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

2024학년도 1학년 1학기 기말고사 수학 정답 및 해설

선택형

번호 정답 배점 해설
 ×    ×     ×    × 
1 ② 3.5
  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따라서     
     이므로  는        의 한 근이다.
2 ② 3.6  
이때             이므로 주어진 식의 값은  
 
    에서     을 식      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3 ① 3.8 이때 방정식의 해가 한 개이므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 는

     ⇒ 

4 ③ 3.9



5 ⑤ 4.0 절편      절편      넓이는  ×  ×    ∴  

6 ⑤ 4.1      을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     

세 점 A  , B , P 에 대하여 


AP      , 
BP      
 
이때, AP BP ≤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ⅰ)    일 때,     ≤ 에서   ≤   

(ⅱ)   ≤   일 때,   가 항상 성립하므로   ≤   

7 ② 4.2 (ⅲ)  ≤ 일 때,    ≤ 에서  ≤  ≤ 

 
(ⅰ), (ⅱ), (ⅲ)에 의하여   ≤  ≤  이다.
 

하지만 길이의 최솟값은  이므로    이고   이다.

 
       
 
ㄹ. 세 점 A    , B   , C    를 꼭짓점으로 하는
8 ④ 4.3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    이다.
    를 원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9 ④ 4.4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          이어야 한다.

 
   
   에서        
  따라서      

정수 은  , , ,  따라서 정수 의 개수는 
(ⅰ)
      ≤   에서     이고  ≤ 이면 모든 실수 에 대해 성립.

즉 ≤ 

(ⅱ)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10 ③ 4.5
이고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부등식이 모든 실수 에 대해 항상 성립하기 위해서는          의
판별식이 0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즉,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ⅰ), (ⅱ)에 의하여   ≤  ≤  이다.

직선       과 원의 중심     
  
사이의 거리는   이다.
    
 
원의 반지름 길이가   이므로
직선      위의 점 C 와
원위의 점 A 사이 거리의
11 ① 4.7  
최솟값은   
 
 
 
정사각형의 대각선 길이가  이 정사각형은 한 변의 길이가  이므로 정
  
 
사각형의 넓이는  이 최소이다. 따라서 정사각형 넓이의 최솟값은 
 

 의    내분점이고 
점 P 는 AB AP 이므로 
AB 이다.
점Q 는 AB 의    외분점이고 
AB 이므로 
AQ 이다.
점 C 는 각 AOQ 의 이등분선이고 OA  , OQ 이므로 
  AC , 
CQ 이다.

[삼각형 AOQ ]의 넓이는   , 선분 AQ 의 중점을 M 이라 하면


12 ④ 4.8 
AC , 
AM   이므로 [삼각형 OCM ]의 넓이는  
점 G 는 선분 AM 의    내분점이므로 [삼각형 OGC ]의 넓이와

[삼각형 OMC ]의 넓이비는    따라서 [삼각형 OGC ]의 넓이는  ×  

 
[삼각형 OGC ]의 넓이는   이므로    이다.
 
풀이: 삼각형 A ′ BE 는 직각삼각형 이므로  A ′B   , 
B E  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로 인해  A ′ E  


따라서 직선 A ′ B 의 기울기는   이고 점 B 를 원점이라고 하면 직선 A ′ B

 
13 ① 4.9 의 방정식은    , 점 A 의 좌표는      이다.

 
따라서 점 A 에서 직선 A ′ B 까지의 거리는     , 점 C 에서 직선 A ′ B 까

지의 거리는  , 점 D 에서 직선 A ′ B 까지의 거리는   
따라서 거리의 합은 

해가     또는    이고   의 계수가 인 이차부등식은
       이고 즉,        이다.
       와        는 같은 식이므로   이고        
14 ⑤ 5.0 양변에 를 곱하면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이므로          은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식을 연립하면   ,   
    ,        식을 연립하면  ,   
      ,      식을 연립하면   ,   

15 ⑤ 5.1 외접원의 중심을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립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따라서          일 때,       …①


최댓값이 3보다 크다고 하면      에서

  
 또는     
 …② ①, ②에서  
 

16 ③ 5.2 (2)  ≤    일 때,  ≥  이므로      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공통범위로  ≥ 

(3)    ≤  일 때,  ≤   이므로     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1), (2), (3)에서 의 범위는     또는   


서답형

번호 정답 배점
      즉,       의 해는   일 때,     이고   일 때, 해는 존
재하지 않고,   일 때,     이다.
       의 해는      이다.
1 4.0
  과   일 때,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개수는 0개 이다.   일 때,
  ≤    이면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의 개수는 1개이다. 그러므로 의 최솟
값은  이다.
     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를 이라 하면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이므로
  
원의 중심      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   의 양변을 제곱하면
2 4.0
  
     이므로    (∵ 교점이 제1사분면에)


따라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에서


      
 이므로  절편은   

 
(가) :   (나) :        
 
       
3 (다) :   

 (라) :  ㆍ 
AB ㆍ   ㆍ 
 ㆍ   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B     , H            점 G 의 좌표는    ,   
   



점 H    를 직선 에 대입    



  


H  

4
선분 OH 의 길이가 이므로      


 
      .... ㉠
 5.0

 
 와 AB  가 수직이므로 직선 OH 의 기울기는   
OH  이다.      .... ㉡

  
 

㉠, ㉡를 연립하면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또는       


  )
    과 평행하고 원            의 접하는 접선      와
   
중심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접선은   
 
점 P 가 접점이고, 점 R 이 직선     과 직선   에서 거리 비가   인 직선 위에 있
을 때 거리가 최소가 된다.

    ,   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     과 직선   사이의 거리이므로  


A    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점 A 와 점 R 의 최단거리는      
 이다.
 
5   6.0
     Q
A    
A      


R
Q
R          
Q P
 R

O 
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의 방정식을      라 하고


중심      과 거리가 인 직선의 방정식을   라 하면
두 점 A , B 의 좌표는 A       , B      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선분 AB 를   로 외분하는 점 P 의 좌표는 P     

직선 OA 의 방정식은     이므로 점 C 의 좌표는 C    

선분 AC 를 점      이 이등분하고 선분 AP 를 점 B      이 이등분하므로
삼각형 APC 에서 선분 BO 와 선분 PC 가 평행하다.

직선 PC 의 방정식이       이므로       

직선       과 원       의 교점이 C , D 이고
   
선분 CD 의 중점과 점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이므로
  
6   6.0
   
 
      
CD            × 
  

이때 삼각형 QCD 와 삼각형 QOB 가    닮음이므로

  
선분 OC 에서  OQ  
QC     따라서 
OQ   ×   
  
D  

 C

Q
O

A B P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