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53

Dept.

of Energy System Engineering

제 5장. 검사체적의 질량 및 에너지 해석


(Mass and Energy Analysis of Control Volume)

Chon, Mun Soo

Dept. of Energy System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Tel. 043‐841‐5292
Email: mschon@cjnu.ac.kr

Thermodynamics
질량 보존

 질량 보존 (mass conservation)
 가장 기초적인 자연법칙 중의 하나로 질량(mass)은 에너지와 같이 보존되는 상태량(conserved property)이며, 과
정 동안 창조되거나 파괴될 수 없음
 밀폐계 (closed system) : 밀폐계에서는 과정 동안 계의 질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질량 보존의 법칙
(mass conservation)은 조건 없이 사용됨
 검사 체적 (control volume) : 검사 체적에서는 질량이 경계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검사체적을 드나드는 질량의
양을 계속 추적해야 함 (must keep track of the amount of mass)

1
H2  O2  H2O
2
1 kmol of H2  0.5 kmol of O2  1 kmol of H2O

(1 kmol  2 kg / kmol )  (0.5 kmol  32 kg / kmol )  (1 kmol  18 kg / kmol )


 Mass is conserved even during
chemical reactions  2 kg of H2  16 kg of O2  18 kg of H2O

2 Thermodynamics
질량 보존

 질량 유량 및 체적 유량
 질량 유량 (mass flow rate) : 단위 시간당 단면적을 통하여 흐르는 질량의 양
 체적 유량 (volume flow rate) : 단위 시간당 단면적을 통하여 흐르는 물질의 체적


 m   Vn dAC m

A  m  A
C C
 Vn dAC
V


Vn V  A Vn dAC
C
dAC n

 평균 속도 (Vavg, average velocity)


Control surface
1
Vavg 
AC A Vn dA
C
   Vavg AC (kg / s)
m

V  Vavg AC (m 3 / s)

V
   V 
m
v

3 Thermodynamics
질량 보존

 질량 보존의 법칙 (conservation of mass principle)

 질량 평형(mass balance)이라고도 하며, 시간 구간 t 동안 검사 체적으로 들어가거나 검사 체적으로부터 나가

는 정미 질량 전달은 t 동안 검사 체적 내부 총 질량의 정미 변화와 같다.

 Total mass entering   Total mass leaving   Net change of mass 


       
 the CV during  t   the CV during t   within the CV during t 

 min  mout  mCV

dmCV
m
 in  m
 out 
dt

4 Thermodynamics
질량 보존

 질량 보존의 법칙 (conservation of mass principle)

 검사 체적 내부의 질량 변화율 ;

  = 0 : Max. outflow
dm d
mCV  CV  dV  CV 
dt dt CV  dV  0    90 : Outflow
(+)

 90    180 : Inflow


(‐)
  = 180 : Max. Inflow
 검사 체적으로의 유입/유출된 정미 질량 유량 ;

    
 m   Vn dA   (V cos  ) dA   (V  n ) dA m
 net 
CS  m  CS  Vn dA  CS  (V  n ) dA

(Outflow) – (Inflow)
 일반 질량 보존식 (general conservation of mass) ;

d   d dmCV
dt CV  dV  CS  (V  n ) dA  0
dt CV  dV   m   m
in out
or
dt
 m
in
m
out

5 Thermodynamics
질량 보존

 정상 유동 과정에 대한 질량 평형 법칙 (mass balance for steady – flow process)

 정상 유동 ;

dmCV  m
  m
 (kg / s)
 m m 
dt in out in out

 단일 흐름 (single stream) ;

 
1 m
m 2  1V1 A1   2V2 A2

 비압축성 유동 (d = 0, Incompressible Flow) ;

  V   V (m 3 / s)
in out  During a steady‐flow process, volume
flow rates are not necessarily conserved
although mass flow rates are

6 Thermodynamics
질량 보존

 p.225, Ex. 5‐1 : 정원용 호스 노즐을 통한 물의 유동

노즐이 부착된 정원용 호스를 사용하여 용량이 40 L인 물통에 물을 채운다. 호스의 내경은 2 cm이고, 노즐 출구에
서 0.8 cm로 줄어든다. 물통에 물을 채우는데 50초 걸렸다면, 호스를 통과하는 물의 체적 유량과 질량 유량, 노즐 출
구에서 물의 평균 속도는 얼마인가? (단, 물의 밀도는 1,000 kg/m3 이다.)

 Assumption : 1. Water is an incompressible substance


2. Steady – flow process

 Solve : V 40 L 3 3
V 40 L 10 m
V    0.8 L / s V     8  10  4 m 3 / s
t 50 s t 50 s L

 V 8  10 4 m 3 / s
Vnozzle    15.9 m / s
Anozzle 0.5027  10  4 m 2
Anozzle   rnozzle
2
   (0.4  10 2 m)2  0.503  10 4 m 2
 V 8  10 4 m 3 / s
Vhose    2.55 m / s
Ahose 3.14  10  4 m 2
Ahose   rhose
2
   (1.0  10 2 m)2  3.14  10 4 m 2

7 Thermodynamics
질량 보존

 p.226, Ex. 5‐2 : 탱크로부터 물의 배출

상부가 대기에 노출된 높이가 1.2 m, 직경이 0.9 m인 원통형 물탱크에 물이 채워져 있다. 탱크 바닥에 있는 물의 배
출 마개가 열리고 직경이 1.3 cm인 물줄기가 흘러나온다. 물줄기의 평균 속도는 V = (2gh)1/2로 주어진다. 여기서 h는
배출구 중심으로부터 측정한 물의 높이이고, g는 중력 가속도이다. 탱크 내의 물의 높이가 바닥으로부터 0.6 m 높이
까지 낮아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여라.

 Assumption : Water is an incompressible substance


Air
 Solve : 1  1 2
P  mv 2  gh  Pjet  v jet  gh jet
2 2
2 
(P0  Pjet  Patm , v jet  v 2 , h jet  0) Water
h0

v jet  2gh
h
h2 Dpipe
dmCV
m
 in  m
 out ,  in  0)
(m
dt
Dtank
Dpipe
2
 mout  ( VA)out   2gh 
4

8 Thermodynamics
질량 보존

 Solve :
Dtank
2
 mCV  VCV  Atank h   h
4
Air
mass conservation

dmCV Dtank
2
dh Dpipe
2
 m
 out ,     2gh 
dt 4 dt 4 Water
h0
2
Dtank dh
 dt   2 h
Dpipe 2gh h2 Dpipe

2 Dtank
t 1  Dtank  h2
 h
1 / 2
dt    h dh
0 2g  Dpipe  0

2 2
2  Dtank   0. 9 m 2 
t 
2g  Dpipe 
  h0  h2  
2
  
2  0.013 m 2 
 
1.2 m  0.6 m  694 sec  11.6 min
2  9.807 m / s  
2
 0. 9 m 2 

2
  
2  0.013 m 2 
 
1.2 m  0.0 m  2 ,371 sec  39.5 min
2  9.807 m / s  

9 Thermodynamics
유동일과 유동 유체의 에너지

 유동 에너지 (flow energy)

 검사 체적(control volume)은 밀폐계(closed system)와는 달리 경계를 통과하는 질량 유동을 수반하며, 질량을 검

사 체적 내부로 밀어 넣거나 검사 체적 외부로 밀어내기 위한 일 에너지를 유동일(flow work) 또는 유동 에너지


(flow energy)라 함.

P
Wflow  FL  PAL  PV (kJ) w flow  Pv  (kJ / kg)

10 Thermodynamics
유동일과 유동 유체의 에너지

 유동 유체의 총 에너지 (total energy of a flowing fluid)

1
esystem  u  v 2  gz (kJ / kg)
2

1 1
eCV  esystem  e flow  u  Pv  v 2  gz (kJ / kg)  eCV  h  v 2  gz (kJ / kg)
2 2

 질량에 의한 에너지 수송 (energy transport by mass)

 1 
Emass  meCV  m  h  v 2  gz  (kJ)
 2 

  h  v 2  gz 
1
Emass  m
 eCV  m (kW )
 2 

11 Thermodynamics
유동일과 유동 유체의 에너지

 p.230, Ex. 5‐3 : 질량에 의한 에너지 수송

작동 압력이 150 kPa인 4 L의 압력솥에서 증기가 나오고 있다. 정상 작동 상태에 도달한 후, 솥 내의 액체(물)의 양은
40분 동안 0.6 L 감소되었음이 관찰되었다. 출구의 단면적이 총 8 mm2일 때 (a) 증기의 질량 유량과 출구 속도, (b) 단
위 질량당 증기의 총 에너지 및 유동 에너지, (c) 증기에 의해 솥으로부터 빠져나가는 에너지율을 계산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 flow process


2. No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KE = PE = 0)
3. Steam is a saturated vapor

 Solve :
from Table A‐5 (p. 920, Saturated water – pressure table)

@ P  150 kPa , Tsat  111 .35 C , v f  0.001053 m 3 / kg , vg  1.1594 m 3 / kg


ug  2 ,519 .2 kJ / kg , hg  2 ,693 .1 kJ / kg
m 0.57 kg 1 min
m
    2.38  10 4 kg / s
t 40 min 60 s

Vliquid 0 .6 L 10 3 m 3
m   3
  0.57 kg
vf 0.001053 m / kg L

12 Thermodynamics
유동일과 유동 유체의 에너지

 Solve :
 m  vg 2.38  10 4 kg / s  1.1594 m 3 / kg
m
v     34.5 m / s
g AC AC 8  10 6 m 2

 e flow  Pv  h  u  2 ,693.1 kJ / kg  2 ,519.2 kJ / kg  173.9 kJ / kg

 eCV  h  ke  pe  2 ,693.1 kJ / kg
34.5 2 m 2 / s 2 1kJ
ke    0.595 kJ / kg
2 1,000 J

 eCV  (2.38  10 4 kg / s)  (2,693.1 kJ / kg)  2 ,693.1 kJ / kg  0.64 kW


Emass  m

13 Thermodynamics
정상 유동계의 에너지 해석

 정상 유동 과정 (steady‐flow process)

 정상 유동 과정은 검사 체적 내를 유체가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동하는 과정으로 다소 이상화된 과정임

 일반적으로 터빈(turbine), 압축기(compressor), 노즐(nozzle) 등과 같은 많은 공업 장치들은 과도 운전 상태인 시


동 기간이 끝나면, 장시간 동안 일정한 운전 조건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정상 유동 장치로 분류할 수 있음

 검사 체적에 대한 질량 보존 (mass conservation for control volume)

dmCV  m
 m
 (kg / s)
 m  m 
dt in out in out

 단일 흐름 (single stream) ;

 
1 m
m 2 1V1 A1   2V2 A2

Thermodynamics
정상 유동계의 에너지 해석

 검사 체적에 대한 에너지 평형 (energy balance for control volume)

WCV
dECV
Ein  Eout 
dt

 Rate of net energy transfer  Rate of change in internal, flow,


by heat, work, and mass kinetic, potential, etc., energies

QCV  W CV    m  eCV   CV
dE
 eCV   m
 in out  dt QCV

 정상 유동계의 에너지 평형 (energy balance for steady‐flow system)

QCV   m
 eCV   m
 eCV  W CV
in out

15 Thermodynamics
정상 유동계의 에너지 해석

 정상 유동계의 에너지 평형 (energy balance for steady‐flow process)

  h  v 2  gz    m
  h  v 2  gz   W CV
1 1
QCV   m
out  2  in  2 

 단일 흐름 (single stream) ;

 
 v 22  v12 
QCV   h2  h1  
m  gz2  z1   WCV
 2 

 
v 22  v12
qCV  h2  h1    gz2  z1   wCV
2

 
qCV  h2  h1   wCV (v1  v2 , z1  z2 )

16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노즐과 디퓨저 (nozzles and diffusers)

 제트 엔진(jet engine), 로켓(rocket , 우주선(spacecraft) 및 정원용 호스(garden hose) 등에 이용

     
v1 Nozzle v 2  v1 v1 Diffuser v 2  v1
P1  P2 P1  P2

dmCV
 0, m
m
, m
 1  m
2
dt in out

 
qCV  h2  h1  
v 22  v12
 gz2  z1   wCV  h1  h2 
2

1 2 2
v 2  v1 
2

17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p.235, Ex. 5‐4 : 디퓨저 내에서의 공기 감속

10 C, 80 kPa의 공기가 정상 유동 상태에서 200 m/s의 속도로 제트 기관의 디퓨저로 들어간다. 디퓨저의 입구 면적
은 0.4 m2이고, 공기는 입구 속도에 비해 아주 작은 속도로 디퓨저를 떠날 때 (a) 공기의 질량 유량, (b) 디퓨저를 떠
나는 공기 온도를 구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 flow process


2. Air is an ideal gas
3. No potential energy change P1 = 80 kPa
T1 = 10 C Air
4. Heat transfer is negligible T2 = ?
V1 = 200 m/s  ?
m
5. No work done A1 = 0.4 m2
6. Kinetic energy at exit is negligible

 Solve : 
 v1 A1 200 m / s  0.4 m 2
m
 m  1   v1 A1 
2 m   78.8 kg / s
v1 1.015 m 3 / kg

RT1 0.287 kJ / kg  K  283 K


 v1    1.015 m 3 / kg
P1 80 kPa

18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Solve :
  
v 22  v12 v12 200 2 m 2 / s 2
 h2  h1   h1   283.14 kJ / kg   303.14 kJ / kg
2 2 2  1000

from Table A–17 (p. 938, Ideal‐gas properties of air) :

@ h280 K  280.13 kJ.kg h285 K  285.14 kJ.kg

(283 K  280 K )
 h1  280 .13 kJ / kg   (285 .14 kJ / kg  280 .13 kJ / kg )  283 .14 kJ / kg
(285 K  280 K )

from Table A–17 (p. 938, Ideal‐gas properties of air) :

@ h300 K  300.19 kJ.kg h305 K  305.22 kJ.kg

(303 .14 kJ / kg  300 .19 kJ / kg )


T2  300 K   (305 K  300 K )  303 K
(305 .22 kJ / kg  300 .19 kJ / kg )

19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p.238, Ex. 5‐5 : 노즐에서 수증기의 가속

1.8 MPa, 400 C의 수증기가 정상 과정으로 입구 면적이 0.02 m2인 노즐로 5 kg/s 들어가서 1.4 MPa, 275 m/s의 속도
로 노즐을 떠난다. 노즐로부터의 열손실 2.8 kJ/kg일 때 이 수증기의 입구 속도와 출구 온도를 구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 flow process


2. No potential energy change
qout = 2.8 kJ/kg
3. No work done
P1 = 1.8 MPa P2 = 1.4 MPa
 Solve : T1 = 400 C Steam
 V2 = 275 m/s
 v1 A1 A1 = 0.02 m2   5 kg / s
m
   v1 A1 
m T2 = ?
v1 V1 = ?

 m  v1 5 kg / s  0.16849 m 3 / kg
v1    42.1 m / s
A1v1 0.02 m 2

from Table A–6 (p. 922, Superheated water)

@ 1.8 MPa , 400 C , v  0.16849 m 3 / kg , h  3 ,251 .6 kJ / kg

20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Solve :
 
v 22  v12
qCV  h2  h1    gz2  z1   wCV
2
 
v 22  v12 (275 m / s)2  (42.1m / s)2
 h2  qCV  h1   (2.8 kJ / kg)  (3 ,251.6 kJ / kg)   3 ,211.9 kJ / kg
2 2  1,000

from Table A–6 (p. 922, Superheated water)


@ 1.4 MPa , h350 C  3 ,150 .1 kJ / kg , h400 C  3 ,258 .1 kJ / kg

(3 ,211 .9 kJ / kg  3 ,150 .1 kJ / kg )
T2  350 C   (400 C  350 C )  379 C
(3 ,258 .1 kJ / kg  3 ,150 .1 kJ / kg )

21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터빈과 압축기 (turbines and compressors)


 터빈(turbine) : 증기 발전소, 가스 발전소 또는 수력 발전소에서 발전기를 구동하는 장치로 작동 유체가 터빈을
통과할 때 축에 설치된 날개에 일을 행함. 결과적으로 축이 회전하고 터빈은 일을 함 (+, positive)
 압축기(compressor) : 펌프 및 송풍기와 마찬가지로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데 사용하는 장치. 회전축을 통하
여 외부로부터 일을 공급받음 (‐, negative). 같은 기능을 갖는 송풍기는 기체의 압력을 약간 증가시
켜 주위로 움직이게 하며, 펌프는 작동 유체가 액체임

 
v 22  v12
qCV  h2  h1    gz2  z1   wCV
2
Turbine Compressor
Wout Win
wturbine  h1  h2

wcompressor  h2  h1

22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p.238, Ex. 5‐6 : 압축기에 의한 공기 압축

정상 과정으로 100 kPa, 280 K의 공기를 600 kPa, 400 K 까지 압축한다. 공기의 질량 유량은 0.02 kg/s이고, 이 과정에
서 16 kJ/kg의 열손실이 발생한다.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변화를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압축기에 필요
한 요구 동력을 구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 flow process


2. Air is an ideal gas qout = 16 kJ/kg P2 = 600 kPa
3. No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T2 = 400 K

 Solve :  
v 22  v12 Air
qCV  h2  h1    gz2  z1   wCV m  0.02 kg / s
2 Win = ?
W comp .  m
 qCV  m
 (h2  h1 )
 (0.02 kg / s)  (16  400.98  280.13) kJ / kg  2.74 kW P1 = 100 kPa
T1 = 280 K
from Table A–17 (p. 938, Ideal‐gas properties of air) :

@ h280 K  280.13 kJ.kg h400 K  400.98 kJ.kg

23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p.239, Ex. 5‐7 : 증기 터빈에 의한 동력 발생

단열 증기 터빈의 출력이 5 MW이고, 입구와 출구의 상태는 아래 그림과 같은 때 (a) h, ke 및 pe의 크기를 비교
하고, (b) 터빈을 통과하는 수증기의 단위 질량당 일과 (c) 수증기의 질량 유량을 구하여라.

P1 = 2 MPa
 Assumption : 1. Steady flow process
T1 = 400 C
2. No heat transfer (adiabatic process) v1 = 50 m/s
z1 = 10m
 Solve :
h  h2  h1  2 ,361  3 ,248.4  887.4 kJ / kg
Steam
@ 2 MPa , 400 C , h1  3 ,248 .4 kJ / kg (Table A  6 ) turbine

h2  h2 , f  x 2 h2 , fg  225 .94  0.9  2 ,372 .3  2 ,361 kJ / kg Wout = 5 MW

@ 15 kPa , h f  225 .94 kJ / kg , h fg  2 ,372 .3 kJ / kg (Table A  5)


P2 = 15 kPa
  x2 = 90 %
v 22  v12 (180 m / s)2  (50 m / s)2
ke    14.95 kJ / kg v2 = 180 m/s
2 2  1,000 z2 = 6m

6 m  10 m
pe  g  (z2  z1 )  9.81 m / s 2   0.04 kJ / kg
1,000

24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Solve :  
v22  v12
qCV  h2  h1    gz2  z1   wCV
2
wCV  (h  ke  pe)  (887.4  14.95  0.04)  872.5 kJ / kg

WCV 5 ,000 kJ / s
m
   5.73 kg / s
wCV 872.5 kJ / kg

25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교축 밸브 (throttling valves)
 교축 밸브(throttling valve) : 관 내의 유체의 흐름을 막는 일종의 유동 제한 장치(flow‐restricting device)로 교축 과
정 동안 유체에 큰 압력 강하가 발생함. 유체의 압력 강하는 종종 온도 강하가 동반되기 때문에 교
축 장치는 일반적으로 냉동 장치나 공기 조화 장치 등에 사용됨

 
v 22  v12
qCV  h2  h1    gz2  z1   wCV
2

 h1  h2  const . u1  P1v1  u2  P2v2  const .

Throttle valve dh  0

T1 T2 for ideal gas ,


h1 h2 T2  T1 ( h  h(T ))

26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p.241, Ex. 5‐8 : 냉동기에서 R‐134a의 팽창

냉매 R134‐a가 0.8 MPa의 압력에서 포화액 상태로 냉동기의 모세관으로 들어가서, 0.12 MPa의 압력으로 교축된다.
최종 상태에서 냉매의 건도와 이 과정에서 발생한 온도 강하를 구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 flow process


2. Heat transfer from the tube are negligible
3. No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 Solve :
(Table A  12) @ 800 kPa , T1  Tsat  31.31 C , h1  95.47 kJ / kg

(Table A  12) @ 120 kPa , T2  22 .32 C , h2 , f  22 .49 kJ / kg , h2 , fg  214 .48 kJ / kg

h2  h2 , f 95.47 kJ / kg  22.49 kJ / kg
 x2    0.34 (34 %)
h2 , fg 214 .48 kJ / kg
u1 = 94.79 kJ/kg u2 = 88.79 kJ/kg
 T  T2  T1  (22.32 C )  (31.31 C )  53 .63 C P1v1 = 0.68 kJ/kg P2v2 = 6.68 kJ/kg

h1 = 95.47 kJ/kg h1 = 95.47 kJ/kg

27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혼합실 (mixing chambers)


 공학 문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작동 유체의 혼합(mixing)이 일어나는 부분으로 반드시 별개의
공간이 필요한 것은 아님

  h  v 2  gz    m
  h  v 2  gz   W CV
1 1
QCV   m
out  2  in  2 

 m
h  m
h
in out

 

m
1 m
2 m
3

 m
 1h1  m
 2h2  (m
1 m
 2 )h3

28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p.243, Ex. 5‐9 : 샤워기에서 온수와 냉수의 혼합

60 C의 온수가 10 C의 냉수와 혼합되는 샤워기가 있다. 45 C의 따뜻한 물이 정상 유동으로 공급되기 위한 온수와
냉수의 질량 유량비를 구하여라. (단, 혼합실의 열손실은 무시하고 150 kPa의 압력에서 혼합이 일어난다)

 Assumption : 1. Steady flow process


2. Heat transfer is negligible
3. No work done
4. No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 Solve :
dmCV
(mass balance )  in  m
m  out  ,  in  m
m  out
dt
m
1 m
2 m
3

  h  v 2  gz    m
  h  v 2  gz   W CV
1 1
(energy balance) QCV   m
out  2  in  2 

m
 1h1  m
 2h2  (m
1 m
 2 )h3

29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Solve :
(Table A  4) h1  h f , 60 C  251 .18 kJ / kg
h2  h f , 10 C  42 .022 kJ / kg
h3  h f , 45 C  188 .44 kJ / kg

1
m m 
h1  h2   1  1  h3
2
m 2
m 

 1 h3  h2 188.44  42.022
m
    2.33
 2 h1  h3 251.18  188.44
m

30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열교환기 (heat exchanger)


 두 개의 유체 흐름이 혼합되지 않고 열을 교환하는 장치로 여러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그 설계 또
한 다양하다.

dmA
 A , in  m
m  A , out  m
 A , in  m
 A , out
dt

dmB
 B , in  m
m  B, out  m
 B , in  m
 B , out
dt

 A  h  v 2  gz    m
 A  h  v 2  gz   W CV , A
1 1
QCV , A   m
out  2  in  2 

 B  h  v 2  gz    m
 B  h  v 2  gz   W CV ,B
1 1
QCV ,B   m
out  2  in  2 

QCV , A  m  A hin  QCV ,B  m


 A hout  m  B hin  m
 B hout m
 A hin  m
 B hin  m
 A hout  m
 B hout

31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p.245, Ex. 5‐10 : 물에 의한 R134a의 냉각

응축기에서 R134‐a가 물로 냉각된다. 1 MPa, 70 C에서 질량 유량이 6 kg/min인 냉매가 응축기로 들어가서 35 C의
상태로 나간다. 냉각수는 300 kPa, 15 C로 들어가서 25 C의 상태로 나간다. 압력 강하를 무시할 수 있을 때, 필요한
냉각수 유량과 냉매로부터 냉각수로 전달된 열전달률을 구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 flow process


2. Heat transfer from system is negligible
3. No work done
4. No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5. Pressure drops are negligible

 Solve :
(mass balance ) m
1 m
2 m
w, m
3 m
4 m
R

 w  h  v 2  gz    m
 w  h  v 2  gz   W CV ,w
1 1
(energy balance) QCV ,w   m
out  2  in  2 

 R  h  v 2  gz    m
 R  h  v 2  gz   W CV ,R
1 1
QCV ,R   m
out  2  in  2 

32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Solve :
QCV ,w  m  w h1  QCV ,R  m
 w h2  m  R h3  m
 R h4

m
 w ( h2  h1 )  m
 R (h3  h4 )

(Table A  4) h1  h f , 15 C  62.982 kJ / kg
h2  h f , 25 C  104 .83 kJ / kg

(Table A  13) @ 1 MPa , 70 C , h3  303 .85 kJ / kg


(Table A  11) h f , 34 C  99.4 kJ / kg
h f , 36 C  102 .33 kJ / kg
 h4  0.5  (99.4  102.33)  100.87 kJ / kg

h3  h4 303.85  100.87
m
w  m
R  (6 kg / min)   29.1 kg / min
h2  h1 104.83  62.982

QCV ,w  m
 w (h2  h1 )  (29.1kg / 60 s)  (104.83  63.982) kJ / kg  20.3 kW

33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파이프 및 덕트 유동 (pipe and duct flow)

 파이프(pipe)나 덕트(duct)를 통한 유체의 수송은 공학 분야에서 많이 응용되는 분야이며, 수송 초기와 종료 기간

을 제외하면 정상 유동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음


 차가운 주위에서 단열되지 않은 파이프나 덕트 내를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는 경우 주위로의 열손실이 중요함

문제가 될 수 있으며, 검사 체적이 가열부 또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경우 일 에너지가 고려되어야 함


dm
 in  m
m  out  m
 in  m
 out
dt

 in  h  v 2  gz   m
 out  h  v 2  gz   W CV
1 1
QCV  m
 2   2 

QCV  m
 in hin  m
 out hout  W CV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p.247, Ex. 5‐11 : 전기에 의한 공기 가열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 난방 장치는 전기 저항선이 설치된 덕트로 구성되며, 공기는 저항선 주위를 흘러가면서
가열된다. 15 kW 전기 난방 장치에서 100 kPa, 17 C의 공기가 150 m3/min의 체적 유량으로 가열부로 유입되며, 덕트
내의 공기로부터 주위로 200 W의 열 에너지가 손실될 때 덕트 출구에서 공기의 온도는 얼마인가?

 Assumption : 1. Steady flow process


2. Air is an ideal gas
3. No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5. Specific heat of air is constant

 Solve :
(mass balance ) m
1 m
2 m

 in  h  v 2  gz   m
 out  h  v 2  gz   W CV
1 1
(energy balance) QCV  m
 2   2 

QCV  m
 (h1  h2 )  WCV  CP (T2  T1 ) WCV  QCV
m

35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

 Solve :
 CP (T2  T1 ) WCV  QCV
m

WCV  QCV
T2  T1 
m CP

RT1 (0.287 kJ / kg  K )  (290 K )


v1    0.832 m 3 / kg
P1 100 kPa

V1 150 m3 / min 1 min


 
m   3.0 kg / s
v1 0.832 m3 / kg 60 s

15 kJ / s  0.2 kJ / s
T2  290 K   294.9 K  21.9 C
(3.0 kg / s)  (1.005 kJ / kg  K )

36 Thermodynamics
비정상 유동 과정의 에너지 해석

 비정상 유동 과정 (unsteady‐flow process)


 대부분의 과정은 시간에 따라 검사 체적 내부의 변화량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비정상 유동 과정
(unsteady‐flow process) 또는 과도 유동 과정 (transient‐flow process)이라 함
 공급관을 통한 압력 용기의 가스 충전 과정, 압력 용기로부터의 유체 방출, 큰 용기에 저장된 압축 공기에 의한
가스터빈 구동, 타이어나 풍선 부풀리기, 압력솥에 의한 요리 등이 비정상 유동에 해당됨

Thermodynamics
비정상 유동 과정의 에너지 해석

 질량 평형 (mass balance)

 min  mout  msystem  mCV  (m final  minitial )CV  mi  me  (m2  m1 )CV

i : inlet , e : exit , 1: initial state, 2: final state

 균일 유동 과정 (uniform‐flow process)
 비정상 유동 과정은 과정 동안 입구와 출구에서 질량의 상태량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해석하기 어려운 과정임.
따라서 입구와 출구에서 유체 유동은 균일하고 정상 유동으로 이상화한 과정으로 입구와 출구에서의 유체 상태
량은 시간이나 입출구 단면의 위치에 따라 변하지 않음

 에너지 평형 (energy balance)

Ein  Eout  E system QCV  WCV  (mineCV  mout eCV )  (m2e2 , system  m1e1, system )

1 1
eCV  h  v 2  gz esystem  u  v 2  gz
2 2

Thermodynamics
비정상 유동 과정의 에너지 해석

 p.250, Ex. 5‐12 : 압력 용기에 수증기 채우기

처음에 비어있는 단열 용기가 1 MPa, 300 C의 수증기가 흐르는 공급관과 밸브로 연결되어 있다. 수증기가 용기 내
로 천천히 공급되도록 밸브를 개방한 다음, 용기 내 압력이 1 MPa에 도달하면 밸브를 다시 닫는다. 욘기 내 수증기
의 최종 온도를 구하여라.

 Assumption : 1. Uniform‐flow process


2.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of a steam are negligible
3. No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of a system
P1 = 1 Mpa
4. No work done T1 = 300 C
5. Heat transfer from system is negligible

 Solve :
(mass balance) mi  me  (m2  m1 )CV ,  mi  m2
m1 = 0 kg
(energy balance) P2 = 1 MPa
T2 = ?
QCV  WCV  (mineCV  mout eCV )  (m2e2 , system  m1e1, system )

 1   1 
mi  hi  vi2  gzi2   m2  u2  v 22  gz22 
 2   2 

39 Thermodynamics
비정상 유동 과정의 에너지 해석

 Solve :
mi hi  m2u2 ,  hi  u2
P1 = 1 Mpa
(Table A  4) @ Pi  1 MPa , Ti  300 C , hi  3 ,051 .6 kJ / kg T1 = 300 C

 u2  3 ,051 .6 kJ / kg

(Table A  4) u400 C  2957.9 kJ / kg m1 = 0 kg


u500 C  3125.0 kJ / kg P2 = 1 MPa
T2 = ?

(3 ,051 .6 kJ / kg  2 ,957 .9 kJ / kg )
T2  400 C   100 C  456 C
(3 ,125 .0 kJ / kg  2 ,957 .9 kJ / kg )

40 Thermodynamics
비정상 유동 과정의 에너지 해석

 p.252, Ex. 5‐13 : 일정한 온도에서 가열된 공기 방출

단열된 8 m3의 강성 탱크에 600 kPa, 400 K의 공기가 들어 있다. 탱크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여 탱크 내부 압력이
200 kPa로 떨어질 때까지 공기를 방출시킨다. 이 과정 중, 공기 온도는 탱크에 설치된 전기 저항 가열기에 의해 일정
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계산하여라.

 Assumption : 1. Uniform‐flow process


2.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of air are negligible
3. No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of a system
4. Specific heat of air is constant
Air
 Solve : P1 = 600 kPa
(mass balance) mi  me  (m2  m1 )CV ,  me  m1  m2 V = 8 m3 We, in = ?
T = 400 K
(energy balance)

QCV  WCV  (mineCV  mout eCV )  (m2e2 , system  m1e1, system )

 1   1   1 
 WCV  me  he  ve2  gze2   m2  u2  v 22  gz22   m1  u1  v12  gz12 
 2   2   2 

41 Thermodynamics
비정상 유동 과정의 에너지 해석

 Solve :

WCV  mehe  m1u1  m2u2

P1V1 (600 kPa  (8 m 3 ) Air


m1    41.81 kg
RT1 (0.287 kJ / kg  K )  (400 K ) P1 = 600 kPa
V = 8 m3 We, in = ?
P1V1 (200 kPa  (8 m3 )
m1    13.94 kg T = 400 K
RT1 (0.287 kJ / kg  K )  (400 K )

 me  m1  m2  41.81  13.94  27.87 kg

(Table A  17 ) hair , 400 K  400 .98 kJ / kg , uair , 500 C  286 .16 kJ / kg

WCV  (28.87 kg  400.98 kJ / kg)  (13.94 kg  286.16 kJ / kg)  (41.87 kg  286.16 kJ / kg)  3,200 kJ
 1 kWh 
 3,200 kJ     0.889 kWh
 1 kJ  3 ,600 s 

42 Thermodynamics
비정상 유동 과정의 에너지 해석

 Example : 질량에 의한 에너지 수송

압력솥은 밥을 지을 때 솥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일반 솥보다 높게 유지하여 취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솥이다.


솥 내부의 압력은 압력 조정기(regulator)에 의하여 증기를 배출시켜 일정한 압력으로 조절된다. 압력솥 안에 물과
증기 혼합물의 질량이 0.5 kg 들어있고, 압력솥의 용량(체적)이 6L이다. 압력 조절 밸브의 작동 계기 압력이 75 kPa일
경우 다음 사항을 구하여라. (단 대기 압력은 100 kPa으로 가정한다.)

(a) 압력솥 내의 조리가 시작되는 온도 ; 작동압력에 대한 포화 온도


(b) 작동 압력에서 액체와 증기의 질량
(c) 압력솥을 17분간 가열하여 액체 질량이 처음 질량의 ½이 되었을 때 가열량 Q

 Assumption : 1. Uniform‐flow process Pressure regulator


2.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of a steam are negligible
3. No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of a system
m1 = 0.5 kg
4. No work done V=6L CV
P = 75 kPa
 Schematics
H2O

QCV

43 Thermodynamics
비정상 유동 과정의 에너지 해석

 Solve : (a) 압력솥 내의 조리가 시작되는 온도 ; 작동압력에 대한 포화 온도

Psystem  Patm  Pgage  100 kPa  75 kPa  175 kPa

(Table A  4) @ P1  175 kPa , T1  T1, sat  116 .04 C

(b) 작동 압력에서 액체와 증기의 질량

V1 6  10 3 m 3
v1    0.012 m 3 / kg
m1 0.5 kg
(Table A  4) @ P1  175 kPa , v1, f  0.001057 m 3 / kg , v1, g  1.0037 m 3 / kg

v1  v 1, f 0.012 m 3 / kg  0.001057 m 3 / kg
x1    0.0109
v1, g  v1, f 1.0037 m / kg  0.001057 m / kg
3 3

 m1, g  x1  m1  0.0109  0.5 kg  0.00545 kg

 m1, f  m1  m1, g  0.5 kg  0.00545 kg  0.49455 kg

44 Thermodynamics
비정상 유동 과정의 에너지 해석

(c) 압력솥을 17분간 가열하여 액체 질량이 처음 질량의 ½이 되었을 때 가열량 Q

(mass balance) mi  me  (m2  m1 )CV ,  me  m1  m2

(energy balance) QCV  WCV  (mineCV  mout eCV )  (m2e2 , system  m1e1, system )

QCV  mehe  m2u2  m1u1

(Table A  4) @ P1  175 kPa , u1, f  486 .82 kJ / kg , u1, fg  2 ,037 .7 kJ / kg

u1  u f , 1  x1  u fg , 1  486.82 kJ / kg  (0.0109)  (2 ,037.7 kJ / kg)  509.03 kJ / kg

m2 , f  0.5  m1, f  0.5  0.49455 kg  0.24728 kg


V2  V1  V2 , f  V2 , g  m2 , f v 2 , f  m2 , gv 2 , g

(Table A  4) @ P2  P1  175 kPa , v 2 , f  0.001057 m 3 / kg , v 2 , g  1.0037 m 3 / kg


V1  m2 , f v 2 , f 0.006 m 3  0.24728 kg  0.001057 m 3 / kg
 m2 , g    0.00572 kg
v2 ,g 1.0037 m 3 / kg

 m2  m2 , g  m2 , f  0.00572 kg  0.24728 kg  0.253 kg

45 Thermodynamics
비정상 유동 과정의 에너지 해석

(c) 압력솥을 17분간 가열하여 액체 질량이 처음 질량의 ½이 되었을 때 가열량 Q

m2 , g 0.00572 kg
x2    0.02261
m2 0.253 kg
(Table A  4) @ P2  P1  175 kPa , u2 , f  486 .82 kJ / kg , u2 , fg  2 ,037 .7 kJ / kg

u2  u f , 2  x1  u fg , 2  486.82 kJ / kg  (0.02261)  (2 ,037.7 kJ / kg)  532.89 kJ / kg

(Table A  4) @ P2  175 kPa , hg  2 ,700 .2 kJ / kg


 he  hg  2 ,700 .2 kJ / kg

QCV  mehe  m2u2  m1u1


 (0.5  0.253)  2,700.2  (0.253  532.89)  (0.5  509.03)  547.3 kJ

QCV 547.3 kJ
QCV    0.537 kW
t 17 min  60 s / min

46 Thermodynamics
Dept. of Energy System Engineering

제 6장. 열역학 제 2법칙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Chon, Mun Soo

Dept. of Energy System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Tel. 043-841-5292
Email: mschon@ut.ac.kr

Thermodynamics
열역학 제 2법칙

 열역학 제 2법칙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 열역학 제 1법칙 : 에너지는 보존되는 물리량으로 어떠한 과정도 열역학 제 1법칙을 위반하지 않으나, 열역학 제
1법칙을 만족하더라도 실제 과정이 일어난다고 말할 수 없음
 열역학 제 2법칙 : 모든 과정은 정해진 방향으로만 일어나며, 따라서 과정이 완전하게 일어날 수 있는지를 확인
하기 위해 열역학 제 2법칙이라는 일반적인 법칙의 적용이 필요함
 모든 과정은 열역학 제 1법칙과 제 2법칙을 만족하여야 진행될 수 있음. 열역학 제 2법칙은 과정의 방향성을 결
정하는 것 이외에 에너지는 양(quantity) 뿐만 아니라 질(quality)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함

 A cup of hot coffee does not  Transferring heat to a wire  Transferring heat to a paddle
get hotter in a cooler room will not generate electricity wheel will not cause it to rotate

2 Thermodynamics
열에너지 저장조

 열에너지 저장조 (thermal energy reservoirs)

 열을 공급하거나 흡수하여도 온도 변화가 없는 매우 큰 열용량(mass  specific heat)의 가상 물체


 일반적으로 열에너지의 저장 능력이 큰 대기, 호수, 강 바다 등을 열에너지 저장조로 모델링 할 수 있으며, 일정
한 온도에서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2상계(two-phase system), 등온을 유지하면서 많은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산업용 노(industrial furnace) 등을 열에너지 저장조로 간주할 수 있음
 열의 형태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열 저장조를 열원(heat source), 열의 형태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열 저장조를 열
침(heat sink) 이라 함

 Bodies with relatively large thermal masses can  A source supplies energy in the
be modeled as thermal energy reservoirs form of heat, and a sink absorbs it

3 Thermodynamics
열기관

 열기관 (heat engines)

 열(heat)을 일(work)로 변환시키는 장치. (일은 열로 직접적인 변환이 가능함)

1. 높은 열원(태양 에너지, 연소, 핵반응 등)으로부터 열에너지를 공급 받음


2. 받은 열의 일부를 일(보통 축 일)로 변환함
3. 저온의 열침(대기, 강 등)에 남은 폐기열을 방출함
4. 사이클로 작동됨

 작동 유체(working fluid) : 열기관이나 기타 사이클로 작동하는 장치에서 열을 흡


수하고 방출하는 유체

Hero’s steam engine Steam power plant

4 Thermodynamics
열기관

 증기 원동소 (steam power plant)

 Qin : 고온의 열원(furnace)으로부터 보일러 내부의 증기에 공급된 열량


 Qout : 응축기 내부의 증기로부터 저온의 열침(대기, 강 등)으로 방출된 열량
 Wout : 팽창된 증기가 터빈에 전달한 일량
 Win : 펌프를 통해 물(응축된 증기)을 보일러까지 공급하는데 필요한 일량

Wnet  Wout  Win  Wturbine  Wpump

Wnet  Qin  Qout

5 Thermodynamics
열기관

 열효율 (thermal efficiency)

 열기관의 성능을 나타내는 척도로 공급된 열 에너지가 일 에너지로 변환된 비율


 열기관으로부터 방출된 열 에너지(Qout)은 영이 아니므로 열기관의 정미 출력일은 언제나 공급된 열에너지보다
적으며, 열효율은 항상 1보다 작음
 열기관, 냉동기, 열펌프와 같은 사이클 장치는 온도가 TH인 고온의 매체(열 저장조)와 온도가 TL인 저온의 매체
(열 저장조) 사이에서 작동함

Net work output


Thermal efficiency 
Total heat input

Wnet Q
th   1  out
Qin Qin

Wnet Q
th   1 L
QH QH

6 Thermodynamics
열기관

 Can we save Qout?

 Can we not just take the condenser out of the plant and save all that waste energy?
 The answer is, unfortunately, a firm No for the simple reason that without a heat rejection process in a condenser,
the cycle cannot be completed.
 Every heat engine must waste some energy by transferring it to a low-temperature reservoir in order to complete
the cycle, even under idealized conditions.

Wnet = 15 kJ

X
dU = 85 kJ

Qin = 100 kJ Qout = 85 kJ Qout = 85 kJ


Reservoir at Reservoir at Reservoir at
100 C 20 C 100 C

7 Thermodynamics
열기관

 p.289, Ex. 6-2 : 자동차의 연료 소비율

출력이 65 hp인 자동차 엔진의 열효율이 24 %이다. 연료의 발열량(연료 1 kg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이
44,000 kJ/kg일 때, 이 자동차의 연료 소비율을 구하여라.

 Assumption : The power output of the vehicle is constant


.
mfuel
 Solve :

W 65 hp 0.7457 kW Combustion
QH  net    202 kW chamber
th 0.24 1 hp
QH

QH  m
 QHV .
Wlnet = 65 hp
Vehicle
engine
QH 202 kJ / s 3,600 s
m
 fuel    0.00459 kg / s   16.5 kg / h
QHV 44,000 kJ / kg 1h QL

Atmosphere

8 Thermodynamics
냉동기와 열펌프

 냉동기 (refrigerator)

 낮은 온도의 물체에서 높은 온도의 물체로 열을 전달하는 장치


 냉동기도 열기관과 같은 사이클 장치이며, 냉동 사이클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를 냉매(refrigerant)라 함
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vapor-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이 가장 많이 사용됨

 QL : 증발기 내부 저온 저압의 냉매가 증발하면서 냉각 물체에서 흡수한 열량


 Win : 냉매를 증발 압력에서 응축 압력으로 압축하는데 소요되는 일량
 QH : 응축기 내부 고온 고압의 냉매가 응축하면서 주위 매체로 방출한 열량
 팽창 밸브(expansion valve) : 교축과정을 통해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저하시킴

9 Thermodynamics
냉동기와 열펌프

 냉동기의 성적 계수 (coefficient of performance)

 냉동기의 효율 또는 성능은 성적 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R)로 나타냄


 냉동기는 냉각 공간으로부터 열(QL)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임

Desired output Q
COPR   L QH  Wnet  QL
Required input Wnet

QL 1
COPR  
QH  QL QH / QL  1

2
1a PdV
QH
QL  U2  U1 

1
 QH  U1  U2  2b PdV P
Wcycle
1 2
QH  QL  2b PdV  1a PdV  Wcycle V
QL

10 Thermodynamics
냉동기와 열펌프

 열펌프 (heat pump)

 낮은 온도의 물체에서 높은 온도의 물체로 열을 전달하는 또 다른 장치


 냉동기와 동일한 사이클로 작동하나 높은 온도의 물체에 열(QH)을 방출하는 것이 열펌프의 목적임

Desired output QH
COPHP   QH  Wnet  QL
Required input Wnet

QH 1
COPHP  
QH  QL 1  QL / QH

QH Wnet  QL
COPHP    1  COPR
Wnet Wnet

11 Thermodynamics
냉동기와 열펌프

 p.293, Ex. 6-3 : 냉장고의 열방출

한 냉장고의 냉장실은 360 kJ/min으로 열이 제거되어 4 C로 유지된다. 냉장고에 필요한 전력이 2 kW일 때 (a) 냉장
고의 성적 계수, (b) 냉장고가 설치된 방으로 방출하는 열량을 계산하여라.

 Assumption : Operating conditions are steady state

 Solve : Kitchen
QL 360 kJ / min min
COPR    3
W net , in 2 kW 60 s
.
QH

60 .
QH  W net , in  QL  2 kW   360 kJ / min  480 kJ / min Wnet, in = 2 kW
min R

.
QL = 360 kJ/min

12 Thermodynamics
열역학 제 2법칙

 The Kelvin–Planck Statement


“It is impossible for any system to operate in a thermodynamic cycle and deliver a net
amount of work to its surroundings receiving energy by heat transfer from a single
thermal reservoir.”

 “사이클로 작동하는 어떠한 장치도 하나의 열 저장조로부터만 열을 받아 정미일을


생산해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Lord Kelvin, 1824-1907

 Heat loss is inevitable.


 Thermal efficiency of any cycle cannot be 100%.

Max Karl Earnest Ludwig Planck


1858-1947
 A heat engine that violates the Kelvin–Planck
statement of the second law.

Thermodynamics
열역학 제 2법칙

 The Clausius Statement


“It is impossible for any system to operate in such a way that the sole result would be
an energy transfer from a cooler to a hotter body.”

 “사이클로 작동하면서 낮은 온도의 물체로부터 그보다 높은 온도의 물체로 열을 전


달하는 것 이외에 주위에 아무런 영향을 일으키지 않는 장치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
하다.”

 It requires other effect (e.g., work) to Rudolph J. E. Clausius


transfer heat from a cooler to a hotter body. 1822-1888

 A refrigerator that violates the


Clausius statement of the second law.

14 Thermodynamics
열역학 제 2법칙

 두 서술의 동등성 (equivalence of the Clausius and Kelvin-Planck statements)

 Kelvin-Planck 서술과 Clausius 서술은 열역학 제 2법칙에 대해 서로 동등한(equivalent) 표현임

 For heat engine


that violates the Kelvin–Planck statement.

Wnet  QH (QL  0)

 For refrigerator

Qout , refrigerat or  Wnet  QL  QH  QL

 For combined cycle


that violates the Clausius statement.

 Any device that violates the Kelvin–Planck statement


also violates the Clausius statement, and vice versa.

15 Thermodynamics
영구운동 기계

 영구운동 기계 (perpetual-motion machines)

 열역학 제 1법칙 또는 열역학 제 2법칙을 위반하는 장치


 열역학 제 1법칙과 열역학 제 2법칙을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어떠한 과정도 일어나지 않음

 제 1종 영구운동 기계(perpetual-motion machine of the first kind, PMM1) : 열역학 제 1법칙을 위반하는 장치
 제 2종 영구운동 기계(perpetual-motion machine of the second kind, PMM2) : 열역학 제 2법칙을 위반하는 장치

. .
Qin = Wnet, out

. .
Qin = Wnet, out

 PMM1 (by energy creating)  PMM2 (th = 100 %)

16 Thermodynamics
가역 과정과 비가역 과정

 가역 과정과 비가역 과정

 가역 과정(reversible processes) : 주위에 어떠한 흔적도 남기지 않고 역으로 진행될 수 있는 이론적 이상(ideal) 과
정. 가역 과정에 가까운 시스템일 수록 열효율(Wout ) 또는 성적 계수 (Win ) 가 커지며 해석이 용이함

 비가역 과정(irreversible processes) : 가역 과정이 아닌 과정으로 실제 자연 현상에서는 일어나는 과정으로 비가


역 과정은 주위가 계에 대해 일을 해야 하므로 초기 상태로 회복할 수 없음

Wo = WR Wo  WR

Gas Gas Friction


Gas
Gas Gas
P0, T0 P0, T0 Qloss P0, T0
P1, T1 P1, T1
Insulated Qloss
Initial state Original process Reverse process Original process Reverse process

 Reversible : Wnet = 0, Qnet = 0  Irreversible : Wnet  0, Qnet  0

17 Thermodynamics
가역 과정과 비가역 과정

 비가역성 (irreversibility)

 마찰 (friction) : 운동하는 물체와 관련된 가장 흔한 비가역성의 형태로 접촉면에서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마찰력이 작용하고 이를 이겨내기 위한 마찰 일이 필요하며, 마찰 과정 중 공급된 일 에너지는 열 에너
지로 변환되어 마찰면의 온도가 증가함
마찰은 접촉되어 있는 고체 사이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유체와 고체, 속도 분포를 갖는 유체층에
도 존재함 (ex. 달리는 자동차의 표면과 주위 유체  마찰 손실로 주위 유체의 내부에너지가 증가)
 가스의 자유 팽창 (unrestrained expansion of a gas)
 열전달 (heat transfer)

18 Thermodynamics
가역 과정과 비가역 과정

 내적 가역 과정과 외적 가역 과정

 내적 가역 과정(internally reversible processes) : 과정 동안 계의 경계 내에서 비가역성이 일어나지 않는 과정. 가


역 과정 동안 계 내부의 물리량은 평형 상태를 유지하며, 역과정도 동일한 동일한 평형 상태와 동일한
경로를 유지함 (준평형 과정, quasi-equilibrium process)
 외적 가역 과정(externally reversible processes) : 과정 동안 계 경계의 외부에서 비가역성이 일어나지 않는 과정.
계의 외부 경계면의 온도와 외부 열저장조의 온도가 동일한 경우
 완전 가역 과정(totally reversible processes) : 계 내부와 그 주위 사이에 비가역성이 없는 과정. 완전 가역 과정에
는 열전달, 비 준평형 과정, 마찰, 소산 효과(dissipation effect) 등이 없음

Reversible process internally reversible Totally reversible

19 Thermodynamics
카르노 사이클

 카르노 사이클 (Carnot cycle)

 가역 과정으로 이루어진 사이클로 등온 팽창(isothermal expansion), 단열 팽창(adiabatic expansion), 등온 압축


(isothermal compression), 단열 압축(adiabatic compression) 과정으로 구성되며, 1824년 프랑스 엔지니어 Sadi
Carnot가 제안함

   

Reversible isothermal expansion Reversible isothermal compression

   

Reversible adiabatic expansion Reversible adibatic compression

20 Thermodynamics
카르노 사이클

 카르노 열기관 (Carnot heat engine)


 카르노 사이클로 작동하는 최대 효율을 갖는 이론적인 열기관

QL RT ln(V3 / V4 )
Carnot  1   1 L
QH RTH ln(V2 / V1)

 2  3, 4  1 : adiabatic process

k 1 k 1
T3  V2  T  T  V 
   L   4   1 
T2  V3  TH  T1  V4 

V2 V3
 
V1 V4
 th  Carnot : irreversible heat engine
QL T  th  Carnot : reversible heat engine
Carnot  1   1 L
QH TH  th  Carnot : impossible heat engine

21 Thermodynamics
카르노 사이클

 역 카르노 사이클 (reversed Carnot cycle)

 역으로 진행되는 카르노 사이클로 냉동기 또는 열펌프의 열역학적 이상 사이클


 카르노 냉동기와 열펌프 (Carnot refrigerator and heat pump) : 역카르노 사이클로 작동하는 최대 성능을 갖는 이
론적인 냉동기와 열펌프

 1  2 : Adiabatic expansion
 2  3 : Isothermal expansion
 3  4 : Adiabatic compression
 4  1 : Isothermal compression

QL QL T
- For refrigerator : COPR    L
Wnet , in QH  QL TH  TL
 COPR  COPR , Carnot : irreversible refrigerator
 COPR  COPR , Carnot : reversible refrigerator
QH QH T
- For heat pump : COPHP    H  COPR  COPR , Carnot : impossible refrigerator
Wnet , in QH  QL TH  TL

22 Thermodynamics
카르노 사이클

 p.308, Ex. 6-5 : 카르노 열기관 해석

카르노 열기관이 652 C인 고온의 열원으로부터 사이클당 500 kJ의 열을 받고 30 C인 저온의 열침에 열을 방출할
때 (a) 카르노 열기관의 열효율, (b)사이클 당 저온 열침에 방출하는 열량을 구하여라.

 Solve :
High-temp. reservoir
TL (30  273) at TH = 652 C
th , Carnot  1   1  0.672 (67.2 %)
TH (652  273)
.
QH = 500 kJ/min

TL (30  273) .
QL  QH  500 kJ   163.8 kJ Wnet, out
TH (652  273) Carnot
heat engine

.
QL

Low-temp. reservoir
at TL = 30 C

23 Thermodynamics
카르노 사이클

 에너지의 품질 (quality of energy)

 열원의 온도가 높을수록 열기관의 이론 열효율은 증가함


 따라서, 에너지는 양뿐만 아니라 품질(quality)이 있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열에너지의 품질이 높음

QL T
Carnot  1   1 L
QH TH

24 Thermodynamics
카르노 사이클

 p.311, Ex. 6-6 : 포화 액체-증기 혼합영역에서 작동하는 카르노 냉동 사이클

카르노 냉동 사이클이 0.8 kg의 R-134a를 작동 유체로 액체-증기 혼합 영역에서 밀폐계로 작동하며, 사이클의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는 각각 20 C와 -8 C 이다. 열방출 과정 끝에서 냉매는 포화 액체 상태이며, 사이클 중 15 kJ의 정미
일이 공급된다. 열 흡수 과정 중 증발한 냉매의 질량 비율을 구하고 열 방출 과정을 마칠 때의 냉매 압력을 구하여라.

 Solve :
TL 265
COPR , Carnot    9.464
TH  TL 293  265 T (C )

QL  COPR , Carnot  Wnet , in  9.464  15 kJ  142 kJ


QH
4 3
QL  meva  hfg @ 8 C (Table A  11) hfg @ 8C  204.52 kJ / kg 20

QL 142 kJ
meva    0.694 kg
hfg @ 8 C 204.52 kJ / kg -8
1 QL 2
m eva 0.694 kg
mass fraction    0.868 (86.8 %)
mtotal 0.8 kg
v (m3/kg)
P4  P3  Psat , @ 20 C  572.07 kPa (Table A  11)

25 Thermodynamics
카르노 사이클

 p.312, Ex. 6-7 : 카르노 열펌프를 이용한 주택 난방

겨울철에 집을 난방하기 위하여 열펌프를 사용하고 있다. 외기 온도가 -5 C인 경우, 집은 135000 kJ/h의 열손실이
있으며, 집 내부 온도는 항상 21 C로 유지할 때 이 열펌프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최소 일을 구하여라.

 Solve :
h
Q H  Q loss , house  135,000 kJ / h   37.5 kW
3,600 s
House
TH = 21 C
TH 294
COPHP , Carnot    11.3
TH  TL 294  268 .
QH

QH 37.5 kW .
Wnet , in    3.32 kW Wnet, in
COPHP , Carnot 11.3 HP

.
 전열기를 사용하는 경우 : 37.5 kW의 전력 소비가 필요함 QL

 그러나, 열펌프는 단지 3.32 kW를 소비하는 냉동 사이클로 34.18 kW (37.5 kW – 3.32 kW)의
Cold outside air
TL = -5 C
외부 에너지를 내부로 옮길 수 있음

26 Thermodynamics
카르노 원리

 카르노 원리 (Carnot principles)

 두 개의 열 저장조 사이에서 작동하는 비가역 열기관의 효율은 동일한 두 열 저장조 사이에서 작동하는 가역 열
기관의 효율보다 항상 낮다.

 동일한 두 개의 열 저장조 사이에서 작동하는 모든 가역 열기관의 효율은 같다.

 If (Wirrev.  Wrev. > 0 )


High-temperature reservoir
at TH
: Violation of Kelvin-Planck statement

QH QH  If (Wirrev.  Wrev. = 0 )

Wrev
: ‘Irrev. HE’ becomes a ‘Rev. HE’.
Wirrev Wirrev - Wrev
Combined
Rev. HE
Irrev. HE HE + R
(or R)  If (Wirrev.  Wrev. < 0 )

QL, irrev. < QL, rev. QL, rev. - QL, irrev.


Wrev . W
(assumed)  rev . rev .  rev .
QH QH
Low-temperature reservoir Low-temperature reservoir
at TL at TL

Crrnot  actual

27 Thermodynamics
카르노 원리

 카르노 원리 (Carnot principles)

 두 개의 열 저장조 사이에서 작동하는 비가역 열기관의 효율은 동일한 두 열 저장조 사이에서 작동하는 가역 열
기관의 효율보다 항상 낮다.

 동일한 두 개의 열 저장조 사이에서 작동하는 모든 가역 열기관의 효율은 같다.

 If (Wrev. 1  Wrev. 2 > 0 )


High-temperature reservoir
at TH : Violation of Kelvin-Planck statement

QH QH  If (Wrev. 1  Wrev. 2 < 0 )


Wrev 2 Wrev 1 - Wrev 2 : Violation of Kelvin-Planck statement
Wrev 1 Combined
Rev. HE 2
Rev. HE 1
(or R)
HE + R
 If (Wirrev.  Wrev. = 0 )
QL, rev 1 < QL, rev 2 QL, rev 1 - QL, rev 2
Wrev . 1 Wrev . 2
(assumed)

QH QH
Low-temperature reservoir Low-temperature reservoir
at TL at TL
rev . 1  rev . 2

28 Thermodynamics
열역학적 온도 눈금

 열역학적 온도 눈금 (thermodynamic temperature scale)

 온도 척도 (temperature scale) : 온도계 물질(예, 수은)의 상태량에 의해 정의


 열역학적 온도 눈금 : 온도계 물질의 상태량과 무관한 온도 눈금으로 Kelvin 눈금(Kelvin scale)이라 하며, 이 눈금
에 의한 온도를 절대 온도(absolute temperature)라 함

- From Carnot principle 2 :

QL T QH
th , rev .  1   1  L  f TH , TL ,   f TH , TL 
QH TH QL

Q1 Q2 Q1
 f T1 , T2 ,  f T2 , T3 ,  f T1 , T3 
Q2 Q3 Q3

Q1 Q2 Q1
 ,  f T1 , T3   f T1 , T2   f T2 , T3 
Q3 Q3 Q2

Q1  (T1)  (T2 )
  f T1 , T3   
Q3  (T2 )  (T3 )

29 Thermodynamics
열역학적 온도 눈금

 Kelvin scale의 정의

 열역학적 온도 눈금은 절대 온도의 비로 주어짐


 1954년 국제도량회의에서 물의 3중점(TP, triple point)을 273.15 K로 결정함

QH  T  (TH )
   H  f TH , TL  
QL rev . TL  (TL )

Q T Q
 , T  TTP 
QTP TTP QTP

Q
T  273.16 (K )
QTP

30 Thermodynamics
Dept. of Energy System Engineering

제 7장. 엔트로피 (Entropy)

Chon, Mun Soo

Dept. of Energy System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Tel. 043-841-5292
Email: mschon@ut.ac.kr

Thermodynamics
엔트로피

 Clausius 부등식 (Clasius inequality)

 두 열 저장조 사이에서 작동하는 비가역 열기관의 효율은 가역 열기관의 효율보다 작으며, 동일한 온도 한계 사
이에서 작동하는 비가역 냉동기나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가역 냉동기나 열펌프보다 작음
 따라서, 열역학 제 2법칙에서는 열역학적 물리량의 부등식 표현이 필요하며, 독일 물리학자 Rudolph J. E.
Clausius(1822 ~ 1888)가 이 부등식(Clausius 부등식, Clausius inequality)을 나타냄
 Clausius 부등식은 가역 사이클과 비가역 사이클 모두 적용됨

Q
 T
 0

- 1st law for the combined system

 QR  dECombined sys.   WCombined sys. ( WCombined sys.   Wrev .   Wsys. )

 QR Q
 
TR T
Q
 WCombined sys.  TR (dECombined sys.  0 for cycle)
T

2 Thermodynamics
엔트로피

 Clausius 부등식 (Clasius inequality)

Q
WCombined sys.  TR
T
 From Kelvin-Plank statements, Wcombined sys. < 0

 TR > 0, : Absolute temperature

Q

T  0

Q
- For irreversible cycle : T  0

- For fully reversible or internal reversible cycle :

 Q
  
 T int. rev .
 0

3 Thermodynamics
엔트로피

 엔트로피의 정의 (definition of entropy)

 사이클 적분이 영인 열역학적 물리량은 과정의 경로와 무관하고, 단지 상태에만 의존하는 상태량(property) 임
 따라서, 가역 과정의 Clausius 부등식(Qint. Rev.)은 미분형으로 표현되는 열역학적 상태량임
 Clausius는 이 상태량을 엔트로피(S, entropy)라 명명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정의됨

 Q 2
 Q
dS  
T int. rev .
(kJ / K ) dS  S2  S1 
  
1  T int. rev .
(kJ / K )

 두 상태 사이의 엔트로피 변화량은 가역이든 비가역이든 과정의 경로에 관계없이 동일함

 Special case : 내적 가역인 등온 열전달 과정

2  Q  2  Q  1 2 Q
dS    
1  T int. rev .
   
1  T0 
int. rev .

T0   Qint. rev.
1
dS 
T0
(kJ / K )

 일정한 온도로 열을 공급하거나 흡수하는 열 저장조의 엔트로피 변화량을 구하는데 유용함

4 Thermodynamics
엔트로피

 p.337, Ex. 7-1 : 등온 과정에서 엔트로피 변화

피스톤-실린더 장치에 300 K인 물의 습증기 혼합물이 들어있다. 정압 과정 중에 750 kJ의 열이 물로 전달되어 실린


더 내의 물의 일부가 증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물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하여라.

 Assumption : No irreversibility in system boundary during the process

 Solve :

- 일정한 압력에서 일어나는 상변화(phase change) 과정 : 순수 물질의 온도는 포화 온도(= 300 K)로 일정하게 유지됨

Q 750 kJ
dSsys., isothermal    2.5 kJ / K
Tsys. 300 K
T = 300 K
: const.

Q = 750 kJ

5 Thermodynamics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

 엔트로피 생성 (entropy generation)

 엔트로피 생성 (Sgen, entropy generation) : 과정 중 생성된 엔트로피. 비가역 과정 중 엔트로피는 생성되거나 창조


되며, 이 생성은 전적으로 비가역성(irreversibility)에 기인함
 엔트로피 생성 Sgen 은 항상 양의 값이거나 영이다.

Q 2 Q 1 Q 
 T
 1 T
 2 T 
int , rev .
 0

2 Q 2 Q
1 T
 S1  S2   0  S2  S1  1 T

Q
dS 
T
 A cycle composed of a reversible
and an irreversible process.
2 Q
dS  S2  S1  1 T
 Sgen

6 Thermodynamics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

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 (increase of entropy principle)

 고립계 또는 단열 밀폐계 : 열전달이 영이므로 가역가정인 경우에만 일정한 값이며, 항상 증가함. dSisolated  0
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 : 열전달이 없는 고립계의 엔트로피는 결코 감소하지 않음. 엔트로피 변화는 단지 비가역
성에 기인하며, 따라서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함

Isolated system Sgen  dStotal  dSsys.  dSsurr .  1kJ / K

dStotal  dSsub. 1  dSsub. 2      dSsub. N 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는 계의 엔트로피가 감


Isolated sys. = Sys. + Surr. 소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음. 계의
N
  dSi  0 엔트로피 변화는 음이 될 수 있지만, 엔트로피
i 1 Sgen  dStotal  dSsys.  dSsurr .  0
생성은 음의 값일 수 없음

7 Thermodynamics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

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 (increase of entropy principle)

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는 고립계(또는 자연 만물)의 엔트로피는 계의 엔트로피가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최대점에서 고립계는 평형 상태에 도달하였다고 말함

 Some Remarks about Entropy


 과정은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dSisolated  0)를 따르는 방향으로만 진행될 수 있으며, 이 원리를 위반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진행되는 과정은 불가능함
 엔트로피는 비 보존적인 상태량(non-conserved property)으로 엔트로피 보존의 원리는 없음. 엔트로피는 오직
이상적인 가역 과정 중에만 보존되며, 모든 실제 과정에서는 증가함
 공학적 장치의 성능은 비가역성의 존재에 의해 저하되며, 엔트로피 생성은 과정 중의 비가역성 크기의 척도가
됨. 비가역성의 정도가 클수록 엔트로피의 생성이 커지므로 엔트로피의 생성은 공학적 기기의 성능에 대한 기준
을 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

8 Thermodynamics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

 p.340, Ex. 7-2 : 열전달 과정 중의 엔트로피 생성

800 K인 열원으로부터 온도가 500 K인 침전조와 750 K인 침전조에 각각 2,000 kJ의 열이 전달된다. 각 과정의 엔트
로피 생성량을 구하고, 어느 열전달 과정이 더 비가역적인지 결정하여라.

 Solve :
Qsource  2,000 kJ
dSsource    2.5 kJ / K
T0 , source 800 K Source Source
800 K 800 K

Qsink 2,000 kJ
dSsink , 500 K    4 kJ / K Qsource Qsource
T0, sink , 500 K 500 K

Qsink 2,000 kJ
dSsink , 750 K    2.7 kJ / K Qsink Qsink
T0, sink , 750 K 750 K
Sink A Sink A
500 K 750 K
dSgen., 500 K  dStotal. , 500 K  2.5 kJ / K  4 kJ / K  1.5 kJ / K

dSgen., 750 K  dStotal. , 750 K  2.5 kJ / K  2.7 kJ / K  0.2 kJ / K

9 Thermodynamics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

 Discussion : 두 과정과 관련된 비 가역성은 열원과 열침 사이에 카르노 열기관을 작동함으로써 제거 가능함

TL, sink A 500 K


Carnot , A  1  1   0.375 (37.5 %)
TH 800 K
Source Source
TL, sink A 500 K 800 K 800 K
QL, Carnot A  QH   2000 kJ   1,250 kJ
TH 800 K
Qsource Qsource

TL, sink B WCarnot, A WCarnot, B


750 K
Carnot , B  1  1   0.063 (6.3 %)
Carnot
HE A
Carnot
HE B
TH 800 K

TL, sink B 750 K Qsink Qsink


QL, Carnot B  QH   2000 kJ   1,875 kJ
TH 800 K
Sink A Sink A
500 K 750 K
QH QL, Carnot A  2,000 kJ 1,250 kJ
dSgen., 500 K      0 kJ / K
TH TL, sink A 800 K 500 K

QH QL, Carnot B  2,000 kJ 1,875 kJ


dSgen., 750 K      0 kJ / K
TH TL, sink B 800 K 750 K

10 Thermodynamics
순수 물질의 엔트로피 변화

 순수 물질의 엔트로피 변화 (entropy change of pure substances)

 엔트로피는 상태량(property)이므로 계의 상태량이 정해지면 엔트로피 값도 정해지며, 비체적, 내부 에너지, 엔


탈피 등 다른 상태량과 동일하게 두 개의 독립된 강도성 상태량이 주어지면 엔트로피 값도 결정됨
 엔트로피 값은 임의의 기준 상태에 대한 상대값으로 정하여 상태량 표(Table)로 나타냄.
(수증기표: 0.01 C의 포화액, R-134a: -40 C의 포화액)

- Compressed liquid region :

s@ T , P  s f @ T (kJ / kg  K )

Compressed
- Saturated liquid-vapor mixture region : liquid

s  s f  xs fg (kJ / kg  K ) Superheated
vapor

- Superheated vapor :
Saturated liquid-
s  s(T , P) (kJ / kg  K ) vapor mixture

11 Thermodynamics
순수 물질의 엔트로피 변화

 Example. : 응축 과정의 엔트로피 변화

온도 100 C의 포화 수증기 1 kg이 정압 과정으로 응축하여 100 C의 포화 액체가 되며, 25 C의 대기로 열을 방출한
다. 물과 주위의 엔트로피 변화량을 구하여라.

 Assumption : The pressure of the water is constant (P1 = P2)

 Solve :

from Table A–4 : hfg , 100 C  2,256.4 kJ / kg T = 373.15 K


@ TH2O  100 C
 s fg , 100 C  6.0470 kJ / kg  K : const.

Q = 2,256.4 kJ
Q  mhfg , H2O  1 kg  2,256.4 kJ / kg  2,256.4 kJ

Q 2,256.4 kJ
dSH2O    6.0469 kJ / K or, dSH2O  ms fg  1 kg  6.0470  6.0470 kJ / kg  K
T0 , H2O 373.15 K

Q 2,256.4 kJ
dSsurroundin gs    7.5680 kJ / K
T0 , surroundin gs 298.15 K
dSgen, total  dSH2O  dSsurroundin gs   6.0470  7.5680  1.5211 kJ / K

12 Thermodynamics
순수 물질의 엔트로피 변화

 Solve :
dSgen, total  dSH2O  dSsurroundin gs   6.0470  7.5680  1.5211 kJ / K

 Discussion :
(1) 이 과정의 총 엔트로피는 양의 값으로,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를 만족하므로 이 과정은 일어날 수 있음

(2) 이 과정이 가역적으로 일어나는 경우 : 카르노 열기관이 물(H2O)에서 응축열을 받아 주위로 열을 방출함

dSgen, total  dSH2O  dSsurroundin gs  0, dSH2O  dSsurroundin gs


WCarnot
dSsurroundin gs  dSH2O  6.0470 kJ / K

QL  T0  dSsurroundin gs  298.15 K  6.0470 kJ / K  1,802.9 kJ

ds = 6.047 kJ/K

ds = 7.568 kJ/K WCarnot  QH  QL  2,256.4 kJ  1.802.9 kJ / K  453.5 kJ

cf . QL  T0  dSsurroundin gs  298.15 K  7.5680 kJ / K  2,256.4 kJ

13 Thermodynamics
순수 물질의 엔트로피 변화

 p.342, Ex. 7-3 : 견고한 용기 내에 들어있는 물질의 엔트로피 변화

견고한 용기에 온도 20 C, 압력 140 kPa인 5 kg의 R-134a가 들어 있다. 압력이 100 kPa로 떨어질 때 까지 냉매를 휘저
어가며 냉각하였다. 이 과정 동안에 일어난 냉매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하여라.

 Assumption : The volume of the tank is constant (V1 = V2)


m = 5 kg
 Solve : T1 = 20 C
P1 = 140 kPa
P1 = 140 kPa
from Table A–13 : @ P1  140 kPa  s1  1.0624 kJ / kg  K
S = ?
T1  20 C v1  0.16544 m3 / kg R134a

from Table A–12 : @ P2  100 kPa v f  0.0007259 m3 / kg


T (K)
v2  v1 vg  0.19254 m / kg
3 v = const.
20 1

@ 100 kPa, vf < v2 < vg :

v2  v f 0.16544  0.0007259 2
 x2    0.859 (85.9 %)
v fg 0.19254  0.0007259

s (kJ/KgK)

14 Thermodynamics
순수 물질의 엔트로피 변화

 Solve :

from Table A–12 : @ P2  100 kPa  s f  0.07188 kJ / kg  K


(x2  0.859)  s fg  0.87995 kJ / kg  K

s2  s f  x2  s fg  0.07188  (0.859  0.87995 )  0.8278 kJ / kg  K

dS  m(s2  s1)  5  (0.8278  1.0624)  1.173 kJ / kg

T (K)
v = const.
m = 5 kg 20 1
T1 = 20 C
P1 = 140 kPa
P1 = 140 kPa
S = ? 2
R134a

s (kJ/KgK)

Thermodynamics
순수 물질의 엔트로피 변화

 p.344, Ex. 7-4 : 정압 과정에서 엔트로피 변화

피스톤-실린더 장치에 초기 상태의 온도와 압력이 각각 20 C, 압력 150 kPa인 물이 1.5 kg 들어있다. 이 물을 일정한
압력에서 4,000 kJ의 열로 가열할 때 이 과정에서 일어난 물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하여라.

 Assumption : 1. The tank is stationary system (KE = KE = 0)


2. The process is quasi-equilibrium
3. The pressure remains constant during the process (P1 = P2)

 Solve :
from Table A–4 : @ 20 C, Psat. = 2.3393 kPa  Compressed liquid

@ P1  150 kPa  s1  s f @20 C  0.2965 kJ / kg  K


T1 = 20 C
T1  20 C h1  hf @20 C  83.915 kJ / kg P1 = 150 kPa

From the 1st law of thermodynamics for const.-pressure process : H2O

Q12  dH  m(h2  h1) Q = 4,000 kJ


Q12 4,000
h2  h1   83.915   2,750.6 kJ / kg
m 1.5

16 Thermodynamics
순수 물질의 엔트로피 변화

 Solve :

from Table A–5 : @ P2 = P1 = 150 kPa, hg = 2,693.1 kJ/kg < h2 = 2,750.6 kJ/kg  Superheated water

from Table A–6 : @ P = 100 kPa

h100 C  2,675.8 kJ / kg , s100 C  7.3611 kJ / kg  K


@ P  100 kPa
h150 C  2,776.6 kJ / kg , s150 C  7.6148 kJ / kg  K

(2,750.6  2,675.8)
 s100 kPa, h2750.6   (7.6148  7.3611)  7.3611  7.5494 kJ / kg  K
(2,776.6  2,675.8)

h120 C  2,706.3 kJ / kg , s120 C  7.1270 kJ / kg  K


@ P  200 kPa
h150 C  2,769.1 kJ / kg , s150 C  7.2810 kJ / kg  K

(2,750.6  2,706.3)
 s200 kPa, h2750.6   (7.2810  7.1270)  7.1270  7.2356 kJ / kg  K
(2,769.1  2,706.3)

17 Thermodynamics
순수 물질의 엔트로피 변화

 Solve :

@ P  100 kPa , hg  2,675.0 kJ / kg , s100 kPa, h2750.6  7.5494 kJ / kg  K

@ P  200 kPa , hg  2,706.3 kJ / kg , s200 kPa, h2750.6  7.2356 kJ / kg  K

hg , 150 kPa  hg , 100 kPa 2693.1  2675.0


   0.5783
hg , 200 kPa  hg , 100 kPa 2706.3  2675.0

s150 kPa, h2750.6  0.5783  (7.2356  7.5494)  7.5494  7.3678 kJ / kg  K

S  m(s2  s1)  1.5  (7.3678  0.2965)  10.6 kJ / kg  K

T (K)
v = const.
1

s (kJ/KgK)

18 Thermodynamics
등엔트로피 과정

 등엔트로피 과정 (isentropic processes)

 고정된 질량의 엔트로피 변화는 열전달과 비가역성에 의해 일어남. 이는 실제 자연 현상에서는 일어나는 과정


으로, 비가역 과정은 주위가 계에 대해 일을 해야 하므로 초기 상태로 회복할 수 없음
 등엔트로피 과정 (isentropic processes) : 내적 가역(internally reversible)인 단열(adiabatic) 과정과 같이 고정된 질
량의 엔트로피의 변화가 없는 과정
 가역 단열과정(reversible adiabatic process)은 반드시 등엔트로피 과정이지만 등엔트로피 과정은 반드시 가역 단
열과정은 아님 (ex. 과정 중 비가역성에 의한 엔트로피 증가는 열손실에 의한 엔트로피 삼소로 상쇄될 수 있음)

2 Q
dS  S2  S1 

1 T
 Sgen

ds  0, or s2  s1 (kJ / kg  K )

19 Thermodynamics
등엔트로피 과정

 p.345, Ex. 7-5 : 터빈 내에서 증기의 등엔트로피 팽창

압력 5 MPa, 온도 450 C의 수증기가 단열 터빈에 유입되어 1.4 MPa의 압력으로 유출된다. 이 과정이 가역 과정일
때 수증기의 단위 질량당 터빈의 출력일을 구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 state process (mCV = 0)


2. Reversible adiabatic process (QCV = 0, S1 = S2)
3. The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are ignorable (KE = 0, PE = 0)
P1 = 5MPa
 Solve : T1 = 450 C
from the 1st law of thermodynamics for Control Volume :
 
v22  v12
qCV  h2  h1    gz2  z1   wCV Steam
2 turbine

wturbine  h1  h2 Wout = ?

from Table A–5 : @ 5 MPa, Tsat. = 263.94 C < 450 C  Superheated water P2 = 1.4 MPa
s2 = s1
@ P1  5 MPa h1  3317.2 kJ / kg
T1  450 C  s1  6.8210 kJ / kg  K

20 Thermodynamics
등엔트로피 과정

 Solve : @ P1  5 MPa h1  3317.2 kJ / kg


T1  450 C  s1  6.8210 kJ / kg  K

@ P  1.4 MPa h250 C  2,927.9 kJ / kg , s250 C  6.7488 kJ / kg  K


s2  s1 h300 C  3,040.9 kJ / kg , s300 C  6.9553 kJ / kg  K

(6.8210  6.7488)
h2   (3,040.9  2,927.9)  2,927.9  2,967.4 kJ / kg
(6.9553  6.7488)

wturbine  h1  h2  3,317.2  2,967.4  349.8 kJ / kg

T P = 5 MPa

(6.8210  6.7488) 450 C 1


T2   (300  250)  250  235 C
(6.9553  6.7488)
P = 1.4 MPa
235 C 2

s2 = s1 s

21 Thermodynamics
엔트로피 상태 선도

 엔트로피 상태 선도 (property diagrams of entropy)

 과정에 대한 열역학 제 2법칙의 가시적인 해석을 위해 T-s 선도와 h-s 선도를 사용함
 T-s 선도의 과정 곡선 아래의 면적은 내적으로 가역 과정의 열전달량을 나타냄

 뮐러 선도(Mollier diagram, h-s 선도) : 단열 정상유동 장치에서 h-s 선도 상의 수직 거리 h는 일의 크기를 나타냄
며, 수평 거리 s는 비가역성의 크기를 나타냄

 
v22  v12
qCV  h2  h1    gz2  z1   wCV
2

wCV  h1  h2

(Work energy)

2 (Irreversibility)
 Qint. rev .  T  dS Qint. rev . 

1
T dS

22 Thermodynamics
엔트로피 상태 선도

 카르노 사이클의 T-s 선도 (T-s diagrams for Carnot cycle)

T QH
1 2

Wnet

4 3
QL

A B
s1 = s4 s2 = s3 s
 1  2 : Reversible isothermal expansion
 2  3 : Reversible adiabatic expansion  QH = Area 12BA,  QL = Area 34AB

 3  4 : Reversible isothermal compression


 4  1 : Reversible adiabatic compression Wnet  QH  QL

23 Thermodynamics
T ds 관계식

 T ds 방정식 (T ds equation)

 T ds 관계식은 가역 과정과 비가역 과정, 밀폐계와 개방계에 대해 모두 유효함

- 제 1 T ds 방정식 (the 1st T ds equation or Gibbs equation) :

 Qrev.  dU   Wrev.  qrev.  T  ds


Tds  du  Pdv (kJ / kg)
 wrev.  P  dv

- 제 2 T ds 방정식 (the 2nd T ds equation :

h  u  Pv , dh  du  Pdv  vdP


Tds  du  Pdv

Tds  dh  vdP (kJ / kg)

du Pdv dh vdP
ds   ds  
T T T T

24 Thermodynamics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the entropy change of ideal gases)

du  CV dT 2 dT v
ds 
du Pdv
T

T Pv  RT ,
P R

ds  CV
dT
T
R
dv
v
 s2  s1 

1
CV (T )
T
 R ln 2
v1
T v
dh  CP dT 2 dT P

dh vdP dT dP
ds   v R ds  CP R  s2  s1  CP (T )  R ln 2
T T Pv  RT ,  T P 1 T P1
T P

T2 v
ds  s2  s1  CV , avg . ln  R ln 2 (kJ / kg  K )
T1 v1

T2 P
ds  s2  s1  CP , avg . ln  R ln 2 (kJ / kg  K )
T1 P1

25 Thermodynamics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the entropy change of ideal gases)

T2 v
ds  s2  s1  CV , avg . ln  R ln 2 (kJ / kmol  K )
T1 v1

T2 P
ds  s2  s1  CP , avg . ln  R ln 2 (kJ / kmol  K )
T1 P1

T dT 2 dT 2 dT 1 dT
s  sT  s0 

0
CP (T )
T


1
CP (T )
T


0
CP (T )
T


0
CP (T )
T
 s2  s1

P2
ds  s2  s1  s2  s1  R ln (kJ / kg  K )
P1

P2
ds  s2  s1  s2  s1  R ln (kJ / kmol  K )
P1

26 Thermodynamics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 p.359, Ex. 7-9 :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공기가 100 kPa, 17 C의 상태에서 600 kPa, 57 C의 상태로 압축되었다. (a) 공기표를 이용한 상태량의 값과 (b) 평균
비열을 이용하여 압축 과정 동안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 flow process


2. Air is an ideal gas
3. No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 P2 = 600 kPa
 Solve : T2 = 330 K

from Table A–17 :


Air compressor
sT 290 K  1.66802 kJ / kg  K , sT 330 K  1.79783 kJ / kg  K
Win = ?
P2
ds  s2  s1  R ln
P1
P1 = 100 kPa
600
 (1.79783  1.66802)  0.287  ln  0.3844 kJ / kg  K T1 = 290 K
100

27 Thermodynamics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 Solve :
T2 P
ds  s2  s1  CP , avg . ln  R ln 2 (kJ / kg  K )
T1 P1

from Table A–2(b) :


330  290
Tavg .   310 K
2
310  300
CP , avg .   (1.008  1.005)  1.005  1.0056 kJ / kg  K
350  300

330 600
ds  1.0056  ln  0.287  ln  0.3843 kJ / kg  K
290 100

28 Thermodynamics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 정적 과정 (dv = 0, constant – volume process)

P (kPa)

du Pdv dT P1 P2
P1 1 ds    CV 
T T T T1 T2

T2 P
P2 2 ds  s2  s1  CV ln  CV ln 2
T1 P1

v1 = v2 v (m3)

 정압 과정 (dP = 0, constant – pressure process, isobaric process) P (kPa)

1 2
dh dP dT v1 v 2 P1 = P2
ds   R  CP 
T P T T1 T2

T2 v
ds  s2  s1  CP ln  CV ln 2
T1 v1
v1 v2 v (m3)

29 Thermodynamics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 등온 과정 (dT = 0, constant – temperature process, isothermal process)

P (kPa)
du Pdv dT dv
1 ds    CV R
T T T v
P1

v2
P2 ds  s2  s1  R ln
v1
2

V1 V2 V (m3) dh dP dT dP
ds  v  CP R
T T T P

P2
ds  s2  s1  R ln
P1

30 Thermodynamics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 등엔트로피 과정 (ds = 0, isentropic process)

T2 v T2 R v2
ds  CV ln  R ln 2  0 ln  ln
T1 v1 T1 CV v1
R P (kPa)
T2 v  CV CP R 1
ln  ln  1  R  CP  CV , k , CV 
T1  v2  CV k 1 P1

PVk = C

k 1
T  v  2
 2   1  P2
T1  s  const . v2 

V1 V2 V (m3)
T2 P T2 R P2 kR
ds  CP ln  R ln 2  0 ln  ln CP 
T1 P1 T1 CP P1 k 1

k 1 k 1
k 1
T  P  k T  P  k v 
 2   2   2   2   1 
T1  s  const . P1  T1  s  const . P1  v2 

31 Thermodynamics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 등엔트로피 과정 (ds = 0, isentropic process)

 변수 비열 (Variable Specific Heats) : 완전 해석 (Exact Analysis)

P2 P2
ds  s2  s1  R ln 0  s2  s1  R ln
P1 P1

 상대 압력과 상대 비체적 (Pr, relative pressure and Vr, relative specific volume)

s2  s1 P P2 s2  s1 exp( s2 / R)


 ln 2  0   exp  Pr  exp( s / R)
R P1 P1 R exp( s1 / R)

P2  P
   r2
P1  s  const . Pr 1

P1v1 P2v2

T1 T2
v2  v
   r2
v2 T2 P1 T2 / P2 T2 / Pr 2 v1  s  const . vr 1
    
v1 T1 P2 T1 / P1 T1 / Pr 1

32 Thermodynamics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 p.363, Ex. 7-10 : 자동차 엔진에서 공기의 등엔트로피 압축

자동차 엔진 내에서 22 C, 95 kPa 공기가 가역 단열과정으로 압축된다. 피스톤 – 실린더 장치의 압축비(V1/V2)가 8
일 때, 공기의 최종 온도를 구하여라.

 Assumption : 1. Isentropic process


2. Air is an ideal gas Air
T1 = 295 K
 Solve : P1 = 95 kPa
v1/v2 = 8
v2  v v2 
  r2 , vr 2  vr 1  
v1 ds  0 vr 1 v1 

from Table A–17 : vr 1, 295 K  647.9

1
vr 2  647.9   80.99
8

80.99  81.89
T2   (670  660)  660  662.7 K
78.61  81.89

33 Thermodynamics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

 Solve (another method):

k 1 k 1
T2 v1  v 
  , T2  T1  2 
T1 v2  v1 

from Table A–2(b)17 : if Tavg. = 400 K, k = 1.395

295  670.7
T2  295  80.395  670.7 K T2   482.9 K
2

if Tavg. = 450 K, k = 1.391


295  665.2
T2  295  80.391  665.2 K T2   480.1K
2

34 Thermodynamics
가역 정상 유동일

 가역 정상 유동일 (reversible steady-flow work)

- Energy balance for steady-flow system :

 qrev .  T ds
 qrev.  dh  d(ke)  d(pe)   wrev .  qrev .  dh  vdP
T ds  dh  vdP

Closed system
2
 wrev .  vdP  d(ke)  d(pe) 1
wrev .   v dP  d(ke)  d(pe)

2
1
wrev .   vdP , (if Δke  Δpe  0)

- Bernoulli equation (for a incompressible substances without system work) : Steady-flow system

 
v22  v12 1 2 1 
v P2  P1    gz2  z1   0 P1  v1  gz1  P2  v22  gz2
2 2 2

35 Thermodynamics
가역 정상 유동일

 p.367, Ex. 7-12 : 액체 상태와 가스 상태의 물질 압축

수증기를 100 kPa에서 1 MPa까지 등엔트로피 과정으로 압축하는데 필요한 일을 구하여라. 이 때, 증기의 초기 상태
는 (a) 포화 액체, (b) 포화 증기라고 가정하며,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는 무시할 수 있다.

 Assumption : 1. Steady-state flow system


2.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s are negligible. (ke = pe = 0)
3. Isentropic process (ds = 0)

 Solve :
(a) In case of saturated liquid, the specific volume remains constant during the process (dv = 0)

from Table A–5 : v1  v f @ 100 kPa  0.001043 m3 / kg

2
1
wrev .   vdP  v(P2  P1)  0.001043  (1,000  100 )  0.094 kJ / kg

(b) In case of saturated vapor, the specific volume changes considerably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dv  0)

2 2
1 1
wrev .   vdP   dh  h1  h2 Tds  dh  vdP  0 (ds  0), vdP  dh

36 Thermodynamics
가역 정상 유동일

 Solve :
from Table A–5 : h1  hg@ 100 kPa  2,675.0 kJ / kg s1  sg@ 100 kPa  7.3589 kJ / kg  K

from Table A–6 : @ P  1 MPa h350 C  3,158.2 kJ / kg , s350 C  7.3029 kJ / kg  K


s2  s1 h400 C  3,264.5 kJ / kg , s400 C  7.4670 kJ / kg  K

(7.3589  7.3029 )
h2   (3,264.5  3,158.2 )  3,158.2  3,194.5 kJ / kg
(7.4670  7.3029 )

wrev .  h1  h2  2,675.0  3,194.5  519.5 kJ / kg

P = 1 MPa
 Discussion : T
2

(b)
2
P = 100 kPa
(a)
1 1

s2 = s1 s

37 Thermodynamics
압축기 일의 최소화

 압축기 일의 최소화 (minimizing the compressor work)

 압축기 일은 압축 과정이 가역으로 수행될 때 최소가 되므로, 비가역성(마찰, 난류, 비준평형 등)을 최소화하여
가능한 한 가역 과정에 접근하도록 설계하여야 함
 또는, 기체의 비체적은 온도에 비례하므로, 압축 과정 동안 기체를 냉각하여 비체적이 적게 유지되도록 설계하
여야 함

2 2

P2, T2  1 
wrev .   vdP   dh  h1  h2 ,
1
(in case of Δke  Δpe  0 )

- Isentropic process (ds = 0, Pvk = C )


Air compressor
kR
Win wc , isentropic  CP (T1  T2 )  (T1  T2 )
k 1

 (k 1) / k 
kRT1  T2  kRT1 P2 
wc , isentropic  1  T   k 1  1   
P1, T1 k 1  1   P1  

38 Thermodynamics
압축기 일의 최소화

- Polytropic process (Pvn = C )

 (n1) / n 
kR kRT1  T2  kRT1 P2 
wc , polytropic  CP (T1  T2 )  (T1  T2 ) wc , polytropic  1  T   k 1  1   
k 1 k 1  1   P1  

- Isothermal process (Pv = C )

2 1 dP P1

wc , isothermal   v dP  P1v1
1 2 P
wc , isothermal  RT ln
P2

wc , isothermal  wc , polytropic  wc , isentropic

39 Thermodynamics
압축기 일의 최소화

 중간 냉각을 갖는 다단 압축 (multistage compression with intercooling)

 압축되는 기체의 냉각이 압축기 일을 감소시키며,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냉각을 위해 다단 압축(multistage


compression) 기술이 응용됨
 중간 냉각기 (intercooler) : 다단 압축시 기체는 각 단에서 압축되고, 각 단 사이에서 중간 냉각기라고 부르는 열
교환기를 통해 초기 온도까지 냉각됨

wc  wc , poly 1  wc , poly 2


(n1) / n  (n1) / n 
kRT1  Px  kRT1  P2 
  1     1   
k 1  P1   k  1  Px 

- Minimum compression work


n1 n1 n1 n1
1  1
dw n1 1  n P  n n  1 P2  n P  n
 c  0,    x     x
dPx n P1  1 n 1 1

Px P2
  , or Px  P1  P2 1 / 2
P1 Px

40 Thermodynamics
압축기 일의 최소화

 p.371, Ex. 7-13 : 여러 압축 과정의 압축일

가역 압축기로 공기를 100 kPa, 300 K의 입구 상태로부터 출구 압력이 900 kPa로 압축하고 있다. (a) k = 1.4 인 등엔
트로피 압축, (b) n = 1.3 인 폴리트로픽 압축, (c) 등온 압축, (d) 중간 냉각기를 갖는 n = 1.3 인 이상적인 2단 압축일 때
단위 질량당 압축기의 일을 구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state flow system


2. The air is an ideal gas
3.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s are negligible. (ke = pe = 0)

 Solve :
(a) Isentropic compression (ds = 0, k = 1.4)

(k 1) / k 
kRT1   0.4 / 1.4 
P2  1.4  0.287  300 900 
wc , isentropic   1    1     263.2 kJ / kg
k 1  P1   1.4  1  100  

(b) Polytropic compression (n = 1.3)

(n1) / n 
nRT1   0.3 / 1.3 
P2  1.3  0.287  300 900 
wc , isentropic   1    1     246.4 kJ / kg
n1  P1   1.3  1  100  

41 Thermodynamics
압축기 일의 최소화

 Solve :
(c) Isothermal compression (dT = 0)

P1 100
wc , isothermal  RT ln  0.287  300  ln  189.2kJ / kg
P2 900

(d) Two-stage compression with intercooler (n = 1.3)

Px  (P1  P2 )1 / 2  (100  900)0.5  300 kPa

 (n1) / n   (n1) / n 
nRT1 Px  nRT1 P2  Px 300 P2 900
wc , 2 stage   1      1       3
n1  P1   n  1  Px  P1 100 Px 300

(n1) / n 
nRT1 
 2
n1 
Px 
 1    2
1.3  0.287  300
1.3  1
 
1  30.3 / 1.3  215.3 kJ / kg

P1  

42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의 등엔트로피 효율

 등엔트로피 효율 (isentropic efficiencies)

 터빈, 압축기, 노즐 등과 같은 정상 유동 장치의 실제 과정은 비가역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제 과정은


열역학적 이상 모델인 등엔트로피 과정에 가까울수록 장치의 성능은 더욱 높아짐
 등엔트로피 효율 (isentropic efficiency) 또는 단열 효율(adiabatic efficiency) : 실제 과정과 이상 과정(등엔트로피
과정)의 차이를 나타내는 비율

 터빈의 등엔트로피 효율 (isentropic efficiency of turbines) :

P1, T1
Actual turbine work
turbine 
Isentropic turbine work
wt ,actual
Steam turbine 
wt , isentropic
Wout

h1  h2a
turbine 
h1  h2 s
P2, T2

43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의 등엔트로피 효율

 등엔트로피 효율 (isentropic efficiencies)

 압축기와 펌프의 등엔트로피 효율 (isentropic efficiencies of compressors and pumps) :

P2, T2
Isentropic compressor work wc , isentropic
compressor  
Actual compressor work wc , actual

Air compressor h1  h2 s
compressor 
Win h1  h2a

ws v(P1  P2 )
pump  
P1, T1 wa h1  h2a

 Isothermal efficiency

Isothermal compressor work wc , isothermal


compressor  
Actual compressor work wc , actual

44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의 등엔트로피 효율

 등엔트로피 효율 (isentropic efficiencies)

 노즐의 등엔트로피 효율 (isentropic efficiencies of nozzles) :

 
v22  v12
qCV  h2  h1    gz2  z1   wCV
2
  
v1 Nozzle v2  v1
P1  P2 1
h1  h2  v22
2


Actual KE at nozzle exit v22, actual
nozzle  
Isentropic KE at nozzle exit v22, isentropic

h1  h2a
nozzle 
h1  h2 s

45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의 등엔트로피 효율

 p.374, Ex. 7-14 : 증기 터빈의 등엔트로피 효율

3 MPa, 400 C의 증기가 정상 유동 단열 터빈에 유입되고 50 kPa, 100 C로 유출된다. 터빈 출력이 2 MW일 때 (a) 터
빈의 등엔트로피 효율, (b) 터빈을 흐르는 증기의 질량 유량을 구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state flow system


2.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s are negligible. (ke = pe = 0)
3. No heat transfer from the steam turbine (adiabatic process) P1 = 3 MPa
T1 = 400 C
 Solve :
from Table A–6 : @ P1  3 MPa h1  3,231.7 kJ / kg
T1  400 C  s1  6.9235 kJ / kg  K
Steam turbine
@ P1  3 MPa h2 ,a  2,682.4 kJ / kg Wout = 2 MW
T1  400 C  s2 ,a  76953 kJ / kg  K

For isentropic process, s2s = s1 = 6.9235 kJ/kgK < sg, @50 kPa = 7.5931 kJ/kgK
P2 = 50 kPa
 Saturated liquid-vapor mixture T2 = 100 C

46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의 등엔트로피 효율

 Solve :
from Table A–5 : s f , 2 s  1.0912 kJ / kg  K , s fg , 2 s  6.5019 kJ / kg  K
hf , 2 s  340.54 kJ / kg , hfg , 2 s  2304.7 kJ / kg  K

s2 , s  s f , 2 s 6.9235  1.0912
 x2 s    0.897
s fg , 2 s 6.5019

h2 s  hf , 2 s  x2 s  hfg , 2 s  340.54  0.897  2304.7  2,407.9 kJ / kg

h1  h2a 3,231.7  2,682.4


turbine    0.667 (66.7 %)
h1  h2 s 3,231.7  2,407.9
T 1

from the 1st law for Control Volume :


P = 3 MPa
 h1  m
m  h2a  w CV 2a

P = 50 kPa 2s
w CV 2,000 kJ / s
m
   3.64 kg / s
h1  h2 3231.7 kJ / kg  2682.4 kJ / kg
s2s = s1 s2a s

47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의 등엔트로피 효율

 p.376, Ex. 7-15 : 압축기 동력에 미치는 효율의 영향

질량 유량 0.2 kg/s으로 정상 유동하는 100 kPa, 12 C의 공기를 800 kPa까지 단열 압축기로 압축한다. 압축기의 등
엔트로피 효율이 80 %일 때, (a) 출구에서 공기의 온도, (b) 압축기에 필요한 동력을 구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state flow system


2. The air is an ideal gas
3.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s are negligible. (ke = pe = 0)
P2 = 800 kPa
4. No heat transfer from the steam turbine (adiabatic process) T2 =
 Solve :
from Table A–6 : @ T1  285 K , h1  285.14 kJ / kg Pr 1  1.1584

P2  Pr 2 P 800 Air compressor


  Pr 2  Pr 1  2 s  1.1584   9.2672
P1  s Pr 1 P1 100 Win = ?

from Table A–17 : @ T  510 K , h  513.32 kJ / kg , Pr  9.031


T  520 K , h  523.63 kJ / kg , Pr  9.684
P1 = 100 kPa
9.2672  9.031 T1 = 12 C
h2 s   (523.63  513.32 )  513.32  517.05 kJ / kg
9.684  9.031

48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의 등엔트로피 효율

 Solve :
9.2672  9.031
T2 s   (520  510 )  510  513.6 K
9.684  9.031

h1  h2 s h1  h2 s 285.14  517.05
compressor  h2a  h1   285.14   575.03
h1  h2a compressor 0.8

from Table A–17 : @ T  560 K , h  565.17 kJ / kg


T  570 K , h  575.59 kJ / kg
T
2a P = 800 kPa
575.03  565.17 575.03 K
T2a   (570  560 )  560  569.5 K 2s
575.59  565.17 569.5 K

from the 1st law for Control Volume :


P = 100 kPa
 h1  m
m  h2a  w CV 285 K
1

w compressor  m
 (h1  h2 ) s2s = s1 s2a s
 0.2 kg / s  (285.14  575.03) kJ / kg  58.0 kW

49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의 등엔트로피 효율

 p.378, Ex. 7-16 : 노즐 출구 속도에 대한 효율의 영향

200 kPa, 950 K의 공기가 낮은 속도로 단열 노즐에 유입되어 80 kPa의 압력으로 유출된다. 노즐의 등엔트로피 효율
이 92 %일 때, (a) 가능한 최대의 노즐 출구 속도, (b) 출구 온도, (c) 공기의 실제 속도를 구하여라. (단, 공기의 비열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 Assumption : 1. Steady-state flow system


2. The air is an ideal gas
 
3. KE at nozzle inlet is ignorable and PE change is negligible. (v12  v22 , PE  0 )
4. No heat transfer from the nozzle (adiabatic process)
 Solve :
Let Tavg. = 900 K, from Table A-2(b) : CP  1.121 kJ / kg  K , k  1.344

(k 1) / k 0.344 / 1.344


P  80  P2 = 80 kPa
T2 s  T1  2 s   950    751 K P1 = 200 kPa Air nozzle
V2 = ?
P1  200  T1 = 950 K nozzle  0.92
T2 = ?

950  751
Tavg .   851 K
2

50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의 등엔트로피 효율

 Solve :
Let Tavg. = 800 K, from Table A-2(b) : CP  1.099 kJ / kg  K , k  1.354

(k 1) / k 0.354 / 1.354


P  80  950  751
T2 s  T1  2 s   950    748 K Tavg .   849 K
P1  200  2

1.099  1.121 1.354  1.344


Let Tavg. = 850 K, from Table A-2(b) : CP   1.110 kJ / kg  K k   1.349
2 2
(k 1) / k 0.349 / 1.349
P  80  950  750
T2 s  T1  2 s   950    750 K Tavg .   850 K
P1  200  2

from the 1st law for Control Volume :

1 1  
h1  v12  h2  v22 , (v22  v12 )  m m2 J 
2 2  cf . J  N  m  kg  2  m,  2  
 s s kg 


v2  2 (h1  h2 )  2  CP ,avg . (T1  T2 )

kJ 1,000 m2 / s 2
 2  1.11  (950 K  750 K )   666 m / s
kg  K 1 kJ / kg

51 Thermodynamics
정상 유동 장치의 등엔트로피 효율

 Solve :
h1  h2a CP , avg . (T1  T2a )
nozzle  
h1  h2 s CP , avg . (T1  T2 s )

T2a  T1 nozzle  (T1  T2 s )  950  0.92  (950  750 )  766 K


v22a  
nozzle  2 v2a  nozzle  v22s  0.92  666 2  639 m / s
v2 s

T
P = 200 kPa
1
950 K
P2 = 80 kPa
P1 = 200 kPa Air nozzle
V2 = 639 m/s
T1 = 950 K nozzle  0.92
T2 = 766 K 766 K P = 80 kPa
2a
750 K 2s

s2s = s1 s2a s

52 Thermodynamics
엔트로피 평형

 엔트로피 평형 (entropy balance)

 Total entropy   Total entropy   Total entropy   Change in the total 


          
 entering   leaving   generated   entropy of the system 

Esystem  Ein  Eout

Ssystem  Sin  Sout  Sgen

 계의 엔트로피 변화 (Ssystem, entropy change of a system) :

Ssystem  S final  Sinitial  S2  S1


 Energy and entropy
balances for a system

53 Thermodynamics
엔트로피 평형

 엔트로피 평형 (entropy balance)

 엔트로피 전달 기구 (Sin, Sout, mechanisms of entropy transfer) :

(1) Heat transfer : Heat transfer is always


accompanied by entropy transfer in the amount of Q/T

2 Q Q
Sheat 

1 T
 Sheat 
T
, (T  const .)
Entropy is not
transferred
with work
Entropy
(2) Work : No entropy accompanies work as it crosses the system boundary. generation
via friction

 Swork  0

(3) Mass flow : Mass contains entropy as well as energy,


and thus mass flow into or out of system
is always accompanied by energy and entropy transfer.

 Smass  ms

54 Thermodynamics
엔트로피 평형

 엔트로피 평형 (entropy balance)

 엔트로피 생성 (Sgen, entropy generation) :

Sin  Sout  Sgen  Ssystem

Net entropy transfer Entropy Change


by heat and mass generation in entropy

dSsystem
Sin  Sout  Sgen 
dt

Rate of net entropy Rate of entropy Rate of change


transfer generation in entropy
by heat and mass

55 Thermodynamics
엔트로피 평형

 엔트로피 평형 (entropy balance)

 밀폐계 (closed systems) : 밀폐계의 엔트로피 변화량은 열전달에 의해 계의 경계를 통해 전달된 엔트로피와 계 내
부의 비가역성에 의해 생성된 엔트로피의 합

(1) Closed system

Qk
Sin  Sout  Sgen  Ssystem   Sgen  S2  S1 (kJ / K )
Tk

(2) Adiabatic closed system

Sgen  Sadiabatic system (kJ / K )

(3) System + Surroundings

Sgen   S  Ssystem  Ssurroundin gs  m(s2  s1)  Qsurr / Tsurr (kJ / K )

56 Thermodynamics
엔트로피 평형

 엔트로피 평형 (entropy balance)

 검사 체적 (control volumes) : 엔트로피 변화량은 열전달에 의해 계의 경계를 통해 전달된 엔트로피, 질량 유동에


의한 엔트로피 정미 변화량, 검사 체적 내부 비가역성에 의한 엔트로피 생성량의 합

(1) Control volume :


Q k dS
  m  e se  Sgen  CV
 i si   m (kJ / K )
Tk dt

(2) Steady-flow process :


Q k
 Sgen   m
 e se   m
 i si   (kJ / K )
Tk

(3) Steady-flow, single stream :


Q k
 Sgen  m
 (se  si )   (kJ / K )
Tk

(4) Steady-flow, single stream, adiabatic :


 Sgen  m
 (se  si ) (kJ / K )

57 Thermodynamics
엔트로피 평형

 p.385, Ex. 7-17 : 벽 내부의 엔트로피 생성

두께가 30 cm, 5 m  7m의 단면을 갖는 주택의 벽돌 벽을 통한 정상 열전달을 고려하자. 외부와 실내의 온도가 각
각 0 C, 27 C로 유지되고 있다. 벽돌 벽의 실내 표면 온도와 실외 표면 온도가 각각 20 C, 5 C이고, 벽을 통한 열전
달률이 1,035 W일 때, 벽 내부의 엔트로피 생성률과 이 열전달 과정의 총 엔트로피 생성률을 구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state process


2. 1-D heat conduction

 Solve :
Q
Sgen   m
 e se   m
 i si   k (kJ / K )
Tk

(a) For Brick wall :


.
Q Q  Q  1,035 W 1,035 W Q = 1,035 W
 Sgen    k        0.191 W / K
Tk T out T in 278 K 293 K

(b) For Total process :


Q k Q  Q  1,035 W 1,035 W
 Sgen           0.341 W / K
Tk T out T in 273 K 300 K

58 Thermodynamics
엔트로피 평형

 p.386, Ex. 7-18 : 교축 과정의 엔트로피 생성

7 MPa, 450 C의 수증기가 정상 유동 과정으로 밸브에서 교축되어 3 MPa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어난 엔트로피
생성을 구하고,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를 만족하는지 검토하라.

 Assumption : 1. Steady-state process (mCV = 0, ECV = 0 , SCV = 0)


2.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s are negligible. (ke = pe = 0)
3. No heat transfer from the throttle valve (adiabatic process)

 Solve :

from Table A–6 : @ P1  7 MPa h1  3,288.3 kJ / kg


T1  450 C  s1  6.6353 kJ / kg  K Throttle valve

from the 1st law for Control Volume :


  P1 = 7 MPa
v22  v12 P2 = 3 MPa
qCV  h2  h1    gz2  z1   wCV T1 = 450 C
2

h1  h2  const ., dh  0 (const .  enthalpy process)

59 Thermodynamics
엔트로피 평형

 Solve :
from Table A–6 : @ P  3 MPa h400 C  3,231.7 kJ / kg , s400 C  7.9235 kJ / kg  K
h2  h1 h450 C  3,344.9 kJ / kg , s450 C  7.0856 kJ / kg  K

3,288.3  3,231.7
 s2   (7.0856  6.9235 )  6.9235  7.0046 kJ / kg  K
3,344.9  3,231.7

Qk
Sgen  m (s2  s1)  
Tk
Sgen
 sgen   s2  s1  7.0046  6.6353  0.3693 kJ / kg  K
m

60 Thermodynamics
엔트로피 평형

 p.389, Ex. 7-20 : 열교환기에서 엔트로피 생성

빌딩의 공기가 열교환기에서 수증기로 가열되어 따뜻하게 유지되고 있다. 35 C인 건포화 수증기가 10,000 kg/h으
로 열교환기에 유입되어, 32 C인 포화수로 유출된다. 공기는 1atm, 20 C로 열교환기에 유입되어 같은 압력의 30
C로 유출된다. 이 과정에서 일어난 엔트로피 생성률을 구하여라.

 Assumption : 1. Steady-state process (mCV = 0, ECV = 0 , SCV = 0 )


2.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changes are negligible. (ke = pe = 0 )
3. No heat transfer from the heat exchanger to surroundings ( Qsteam = Qair )
4. The air is an ideal gas with constant specific heat of room temperature ( CP = const. )

 Solve :
Q
Sgen   m
 e se   m
 i si   k  m
 steam s2  m
 air s4  m
 steam s1  m
 air s3
Tk

Sgen  m
 steam (s2  s1)  m
 air (s4  s3 )

from Table A–2(b) : @300 K , CP , air  1.005 kJ / kg  K

from Table A–4 : @35 C , h1  2,564.6 kJ / kg , s1  8.3517 kJ / kg  K

61 Thermodynamics
엔트로피 평형

 Solve :
from Table A–4 : @30 C , h30 C  125.74 kJ / kg , s30 C  0.4368 kJ / kg  K
@35 C , h35 C  146.64 kJ / kg , s35 C  0.5051 kJ / kg  K

2
h2   (146.64  125.74 )  125.74  134.1 kJ / kg
5
2
 s2   (0.5051  0.4368 )  0.4368  0.4641 kJ / kg  K
5
Q steam  m
 steam (h2  h1)  10,000 / 3,600  (2,564.6  134.1)  6 ,751 kW

Qair  m
 air (h4  h1)  Q steam

Q steam 6 ,751
m
 air    671.7 kg / s
CP (T4  T1) 1.005  (30  20)

T4
 Sgen  m
 steam (s2  s1)  m
 air (s4  s3 )  m
 steam (s2  s1)  m
 air CP ln
T3
10,000 303
 (0.4641  8.3517)  671.7  1.005  ln  0.745 kJ / kg  K
3,600 293

62 Thermodynamics
Eco & Electric Power (E2) Spring Semester,
Mobility Research Lab 2023

8. Exergy

Prof. Suhan Park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School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0.0 Exergy: Measure of Potential Work

열에너지의 유효성
가역일 (reversible work) : 시스템의 상태변화 과정이 모두 가역과정으로
이루어진 사이클에서 발생하는 이상적인 일. 최대유용일.

※ 밀폐시스템, 개방시스템에서 상태변화?

• 가용에너지 (available energy), Exergy


• 비가용에너지 (unavailable energy), Anergy

※ 기준상태 : 기계적, 열적으로 평형된 상태. T0=25oC, P0=1atm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2


0.0 Exergy: Measure of Potential Work

가역일과 비가역성
가역일 (reversible work) : 계가 주어진 처음상태에서 마지막 상태까지
과정동안 하는 유용한 일의 최대량. (Wrev)

비가역성 (irreversibility) : Wrev – Wu (비가역에너지, 엑서지 손실)

δW0 δW = δWu + δW0 δWu = δW - δW0 = δΦ


δW δWu
P δWu = (P-P0)dV δΦ = δW – δW0
P0, T0
δW0 = P0dV δϕ = δw – δw0

유효에너지를 시간당 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Φ̇ = ̇̇ − ̇
0

비가역에너지는….
 =   −  [ ]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3


0.0 Exergy: Measure of Potential Work

예제
풍력터빈이 바람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발전하고 있다. 풍차의 지름이
15m이고, 바람의 속도는 12m/s이다. 바람이 정상상태로 불고 있다고
생각하여 풍차가 낼 수 있는 유효 출력을 구하여라.

2 122
1 = = = 0.072 /
2 2 × 1000

풍차의 지름이 15m이므로, 날개차에 부딪히는 공기유량은


3.14
̇ = 1 = 1.18 × × 152 = 2501.01 /
4

그러므로 유효한 출력은 ̇1 = 180.0727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4


0.0 Exergy: Measure of Potential Work

예제
그림과 같은 열기관에서 보일러는 1300K인 고열원으로부터 600kW의 열량을
공급받고 외부에 대하여 200kW의 일을 한 다음 300K인 저열원에 방열하는
경우 (1) 가역동력 ̇  [kW]와 (2) 비가역성률  ̇ [kW] 를 구하여라.

1300K
̇ = 600 /

보일러

펌프 터빈 ̇ = 200W

복수기

300K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5


0.0 Exergy: Measure of Potential Work

예제
그림과 같은 열기관에서 보일러는 1300K인 고열원으로부터 600kW의 열량을
공급받고 외부에 대하여 200kW의 일을 한 다음 300K인 저열원에 방열하는
경우 (1) 가역동력 ̇  [kW]와 (2) 비가역성률  ̇ [kW] 를 구하여라.

(1) 가역적 일 : 동력(일) ̇ 

̇ 
ηℎ =
̇ 

̇  = η̇  = (1 − )̇  =461.538 kW


(2) 비가역성률  ̇

261.538kW
(※ 저열원으로의 방열량은? 138.462kW)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6


0.0 Exergy: Measure of Potential Work

열역학 제 2 법칙의 효율

고열원 1 (700K) 고열원 2 (1100K)

HE-A WA HE-B WB
ηth,A=32 % ηth,B=32 %

저열원 (300K)

• 두 열기관이 가역기관일 경우 열효율은?

ηrev,A=57.143 %, ηrev,B=72.727%

• 열역학 제 2 법칙 효율: 실제 열효율과 가역 열효율의 비, 유효율, 엑서지율


(가역적인 작동에 얼마나 근접하는지를 나타냄.)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7


0.0 Exergy: Measure of Potential Work
폐쇄계에 대한 제 2 법칙의 해석

밀폐계
Q

주위 P0, T0

• 1법칙: 12 = 2 − 1 + 12 


• 2법칙:  = ∆ = ∆ + ∆ = 2 − 1  +

Q 소거
 = 1 − 2 + 0 2 − 1 − 0  
과정 중의 실제일 (actual work)

• 유용한 일 Wu ?
 = 1 − 2 − 0 1 − 2 − 0   + 0(1 − 2)

• 가역상태라고 가정하면?

 = 1 − 2 − 0 1 − 2 + 0(1 − 2)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8


0.1 Example
예제
피스톤-실린더 장치에서 0.07kg의 증기가 1MPa, 350oC의 상태로부터 200kPa,
200oC로 팽창한다. 이 때 실린더로부터 주위로의 방열량이 2kJ일 때 유효
에너지, 가역일, 비가역성, 제 2 법칙 효율을 구하여라. 단, 주위 상태는
T0=25oC, P0=100kPa이다.
상태 1 상태 2

팽창
P1=1MPa P2=200kPa
T1=350oC T2=200oC
주위 P0, T0 주위 P0, T0

● 구해야 할 것? (1) 유효에너지 (2) 가역일 (3) 비가역성 (4) 2법칙 효율


(1) 유효에너지 (3) 비가역성

Φ =  − 0 − 0( − 0) + 0( − 0) I = Wrev − Wu

(4) 2법칙 효율
(2) 가역일

Wrev = Φ1 − Φ2 η =
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9
0.1 Example

(1) 유효에너지

Φ =  − 0 − 0( − 0) + 0( − 0)

상태 1: 1MPa (Tsat=179.88oC), 350oC


상태 2: 0.2MPa (Tsat=120.21oC), 200oC

Φ1 = [ 1 − 0 − 0 1 − 0 + 0(1 − 0)

Φ2 = [ 2 − 0 − 0 2 − 0 + 0(2 − 0)

@T0=25oC
 = 0.0010033/
 = 104.83 /
 = 0.3672 /

Φ1 = 51.1798 kJ
Φ2 = 37.0061 kJ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10


0.1 Example

(2) 가역일

 = Φ1 − Φ2 Wrev=14.1737 kJ

(3) 비가역성

 =   −  

 =  −  

 = 12 + (1 − 2)

 = −2 + 0.07 2875.7 − 2654.6 = 13.477kJ  = 7.8911


 = 0 2 − 1 = 100 1.08049 − 0.2825 = 5.5859  = 6.2826

(4) 2법칙 효율


η = = 0.5567
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11
0.1 Example
HW #1
강철로 제작된 탱크 속에 공기 m kg이 P1kPa, T1oC의 상태로 들어 있다. 이
공기를 날개차로 혼합하여 T2oC까지 상승시켰을 경우 비가역성과 가역일을
구하여라. 단, 주위 공기의 온도는 T0oC이고, 용기는 완전 단열된 상태이다.

(1) 비가역성

 = 0 = 0 ∆ + ∆ = 0∆


  
    2
∆ = 2 − 1 =  = = =  
      1
2
∴  = 0 

1

(2) 가역일

 = 1 − 2 − 0 1 − 2 + 0(1 − 2)

2
 =   1 − 2 + 0 

1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12
0.1 Example
HW#2
처음온도 350oC인 3kg의 주철 조각을 50oC인 물 120kg이 들어 있는 단열
탱크 속에 넣었다. 주위 온도와 압력이 100kPa, 25oC일 경우, (1) 최종 평형
온도, (2) 이 계의 총 유효에너지, (3) 버려지는 일을 구하여라.

(1) 최종 평형 온도 물 물 주위
※ 철의 비열: 0.45kJ/kgK, 물의 비열: 4.184kJ/kgK oC,
50.8450 oC,120kg
120kg 25oC
100kPa
쇠조각
쇠조각
쇠조각이 잃은 열량 = 물이 얻은 열량 50.804o
350oC,C,3kg
3kg
Tf=50.804oC
(2) 유효에너지

Φ =  − 0 − 0  − 0 + 0( − 0) Φ1 = 868.9294 kJ


 Φ2 = 761.8646 kJ
Φ =    − 0 − 0 
0
(3) 비가역성 (버려지는 일)

I = Wrev − Wu = Wrev = Φ1 − Φ2
I=107.0648kJ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13


0.2 Review
l 열역학 제 1 법칙 (폐쇄계, 개방계)
- 제1기초식, 제2기초식, 질량보존 (질량유량, 체적유량)
- 공업일, 유동일
- 검사체적에 대한 질량보존의 법칙
- 검사체적에 대한 열역학 1 법칙
- 공학적 응용 (노즐, 디퓨저, 증기터빈, 가스터빈, 압축기, 펌프, 스로틀링장치
열교환기, 파이프 및 덕트 등등)
- 비정상 유동과정 (충전, 방출)

l 열역학 제 2 법칙
- 표현
- 카르노기관 (카르노 사이클, 카르노 효율)
- 카르노 원리

l 엔트로피
- 클라우지우스 부등식
- 엔트로피의 정의
- 엔트로피의 변화 (가역과정, 비가역과정)
- 엔트로피 증가의 원리, 엔트로피 생성
- 엔트로피를 포함한 선도 (T-s, h-s 등)

l 단열효율, 2법칙 효율
l 가역일, 비가역성
l 엑서지, 아너지

Eco•Electric Power Mobility Lab. 14


친환경·전기동력 모빌리티 연구실
Eco & Electric Power Mobility Research Laboratory
감사합니다. Webpage : https://e2lab.konkuk.ac.kr
Email : suhanpark@konkuk.ac.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