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4

2.

생활 속의 사고사례들과 교훈

우리 주위에 만연한 안전불감증, 이제 없어져야 하지 않을까요?


이 장에서는 2012년부터 최근까지 발생한 대형사고 사례와 그 원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2-1. 화재·폭발

최근 7년간(‘12년~’18년)까지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화재폭발사고 통계를 살펴보면 화재사


고의 경우, 연간 약4만 건을 초과하여 발생하였고, 산불을 구분하여 보면, 2012년부터 지금
까지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폭발사고는 대전 00케미칼 공장에서 발생한 것처럼 Safety System 에러 등의 이유로 끊이
지 않고 발생하여 인적·물적 피해를 크게 초래한다.
이처럼 일단 화재나 폭발 등이 발생하면 생명과 삶의 터전이 파괴된다. 따라서 사고는 나
와 내 이웃 주변에서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화재 및 폭발사고 현황 (‘12~’18년)>

■ 사고발생 건수 (단위: 건)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화재 43,249 40,932 42,135 44,435 43,413 44,178 42,338

산불 197 296 492 623 391 692 496

폭발 48 61 48 41 51 34 39

■ 전년 대비 증감율 (단위: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화재 -1.4 -5.4 2.9 5.5 -2.3 1.8 -4.2

산불 -28.9 50.3 66.2 26.6 -37.2 77.0 -28.3

폭발 -2.0 27.1 -21.3 -14.6 24.4 -33.3 14.7

※ 출처: 통계청 사고발생현황

- 1 -
1) 2013.02.18. 사이클로헥산 누출 화재
제약공장 합성동에서 시제품 생산 중 여과공정에서
싸이클로헥산 화재 발생 정전기에 의한 화재로 추정되며
2명 1도 화상, 2~3층 건물 합성동 및 실험실 전소(4억원
손해)

[출처: 헬스미디어 http://www.healthmedi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202]

2) 2013.02.19. 발전소 가스터빈실내 화재


개요: 00발전 가스발전소 터빈실내 고온고압의 유압유가
누유되고, 보온재내 축적되어 있던 중 자연발화 등으로
화재발생. 자동소화설비가 작동되어 진화됨

[출처: YTN https://www.youtube.com/watch?v=C9ADqxoAaNc]

3) 2013.07.26. 울산플랜트 물탱크 폭발


00정밀화학부지 내 폴리실리콘 생산공장 현장에서
물탱크 이음에 필요한 고장력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기준에 미달되는 볼트를 사용하여 수압을 이기지 못하여
물탱크가 폭발해 근로자 3명 사망, 12명 부상
재해원인: 물탱크 이음(고정)볼트 비규격품 사용
예방대책: 설계도에 따른 규정 부재 사용
[출처: 네이버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214&aid=0000260578]

4) 2014.05.26.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지하1층 푸드코트 공사현장에서 용접작업 중 불꽃이
누출가스에 옮겨 붙으면서 가스폭발로 인한 화재가
발생되어 6명 사망, 42명 부상
재해원인: 용접 불꽃이 LP가스에 비산되어 화재
예방대책: 용접작업시 불꽃바신방지시설 설치 및 인화성
물질 격리
[출처: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60721186451004?input=1195m]

- 2 -
5) 2015.07.03. 울산 한화 케미칼 공장 폭발
폐수 저장조 상부 화학물질 이송배관 용접중 배관 내
잔류가스에 불꽃이 비산되어 폭발되면서 근로자 6명
사망, 1명 부상

[출처: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7032209175]

6) 2016.06.01. 남양주 지하철 공사장 가스폭발


남양주 지하철 공사 현장에서 용단작업 구간 가스호스를
밸브가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된 호스로 지하
작업장에 가스가 차면서 폭발이 발생(추정) 현장에 있던
17명 중 4명 사망, 10명 부상(10명중 3명은 전신 2~3도
화상의 중상)
재해원인: LP가스 누출로 인한 폭발
예방대책: LP가스 누출 여부 수시점검
(누설검지기 및 경보시설)
호스 연결부 및 토치부 안전기(역화방지기)설치
용접/용단 작업장 주변 가연성, 인화성 물질 격리

[출처: 서울경제 https://news.v.daum.net/v/20160602090450795]

7) 2017.02.04. 쇼핑몰 매장 원상복구 공사 현장 화재


경기 화성 소재 쇼핑몰 매장 원상복구공사 현장에서
인테리어 시설을 철거하던 중 용단작업으로 인한 불티가
가연성 자재에 비산되어 화재가 발생하여 2명 사망, 8명
부상
재해원인: 용단작업 중 불꽃이 가연성 물질에 비산
예방대책: 용접/용단 작업 시 통풍 등이 충분하도록 환기
작업장 주변 가연성, 인화성 물질 격리
불꽃비산방지시설 및 소화 설비 설치

[출처: 안전보건공단 건설 중대재해 사례와 대책_2017-건설-804]

- 3 -
8) 2018.05.29. 대전 한화 케미칼 공장 폭발
51동 추진제 생산라인에서 로켓추진체에 고체연료를
충전 중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되어 2명 사망, 7명
중상
재해원인: 고체연료 충전방법 부적합(밸브 충격)
예방대책: 작업방법 변경 및 당해 근로자에 대한 교육과
관리감독 철저
[출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2667670]

9) 2019.02.14. 대전 한화 케미칼 공장 폭발
로켓추진체에서 연료를 제거하는 작업 중 폭발 및
화재가 발생되어 3명 사망, 1명 중상

[출처: 연합뉴스 https://asadallee.blog.me/221466153599]

10) 2019.04.04. 강원도 고성-속초 산불


고성군 일성콘도 인근 주유소 앞 도로변 전신주
개폐에서 발화가 시작되어 속초시 지역까지 산불이
발생해 2명 사망, 11명 부상, 4,000명의 인근거주자 대피

[출처: 블로그 https://blog.naver.com/tepet/221505896443]

11) 2019.12.24. 전남 광양제철소 폭발사고


포스코 광양제철소 공장 발전설비 내부에서 5분 간격으
로 2차례 폭발이 발생하였으며, 공장 내 설비를 시운전하
는 과정(합금 제조과정에서 발생한 열을 회수하는 장비에
서 불꽃이 비산)에서 발생한 것으로 5명이 중경상 재해를
입은 사고
[출처: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1224147651054?input=1195m]

- 4 -
2-2. 자연재해

인간의 힘으로 도저히 막을 수 없을 것이라던 자연재해도 이제는 과학의 힘으로 어느 정도


방지·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보다 더욱 무서운 것은 인간의 오만이나 방심이다. 미연에 막을 수 있음에도 사전 예방이나
준비가 이루어지지 않아 그대로 방치해 재해가 발생된다면 자연재해가 아니라 오히려 ‘인재
(人災)’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5년간(2013년~2017년)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피해복구 액은 약 2조2백억 원이고, 시


도별로는 부산이 약 4천2백억 원, 경상북도 약 3천억 원, 경상남도가 약 2천7백억 원 순서
로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자연재해 피해 현황 (‘13~’17년)>

■ 시도별 자연재해 피해복구액 (단위: 천원)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합계

합계 386,558,738 507,064,701 38,122,461 590,607,300 499,672,215 2,022,025,415

서울 1,403,894 61,000 - 508,339 2,338,770 4,312,003

부산 4,000 329,858,607 7,000 86,221,210 2,578,754 418,669,571

대구 - 0 - 584,245 - 584,245

인천 180,000 65,000 155,784 108,500 4,075,000 4,584,284

광주 70,500 19,500 - 303,700 35,000 428,700

대전 2,000 0 - 396,000 2,000 400,000

울산 29,500 11,981,000 1,608,025 134,333,891 - 147,952,416

세종 1,500 - - - 105,500 107,000

경기 186,521,030 261,737 1,941,552 4,544,525 5,081,536 198,350,380

강원 192,103,047 22,483,883 5,295,291 19,078,847 23,047,373 262,008,441

충북 692,223 33,500 1,419,863 2,997,696 184,437,753 189,581,035

충남 294,500 5,590,659 998,774 6,375,717 80,501,588 93,761,238

전북 189,500 602,500 2,159,000 4,585,007 774,000 8,310,007

전남 584,918 39,994,913 927,698 15,140,393 49,074 56,696,996

경북 314,500 10,135,030 23,480,974 75,496,405 187,621,756 297,048,665

경남 1,689,710 85,709,694 102,000 173,575,947 8,169,061 269,246,412

제주 2,477,916 267,678 26,500 66,356,878 855,050 69,984,022

※ 출처: 통계청 자연재해 피해현황

- 5 -
또한, 시설별 피해현황(2013년~2017년)을 살펴보면 총 피해액은 약 8천6백억 원이며, 그중
공공시설에서 약 6천2백억 원, 기타시설에서 약 1천2백7십억 원, 건물 약 8백억 원 순서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 시설별 자연재해 피해현황

시설별(1) 시설별(2)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합계

사망ㆍ실 소계 4 2 0 7 7 20
종 (명)
이재민 소계 4,233 7,691 92 7,221 8,731 27,968
(명)
침수면적 소계 0 89 0 630.4 53.93 773.33
(ha)

소계 172,137,010 180,018,668 31,862,144 288,361,815 187,302,271 859,681,908

건물 1,742,400 3,665,800 254,200 8,949,680 64,637,000 79,249,080

선박 130,035 124,623 305,011 1,306,950 73,096 1,939,715


피해액
(천원)
농경지 6,735,088 3,044,203 10,299 7,146,222 13,365,129 30,300,941

공공시설 149,792,318 142,999,425 13,131,644 211,091,521 103,673,588 620,688,496

기타 13,737,169 30,184,617 18,160,990 59,867,442 5,553,458 127,503,676

※ 출처: 통계청 자연재해 피해현황

인명피해로는 사망 및 실종이 20명, 이재민이 약 2만8천여명 이었으며, 침수면적은 약


773ha의 피해가 발생되었다.

한국의 태풍
·볼라벤 - 태풍 볼라벤(태풍 번호 : 1215, JTWC지정 번호 : 16W, 국제명 : BOLAVEN, 필
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Julian)은 2012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5번째 태풍
이자 제4호 태풍 구촐에 이어 2번째 슈퍼태풍으로 중심기압이 910 hPa까지 도달해 현재
2012년에 발생한 모든 태풍 중 가장 강한 태풍이 되었다. 태풍 볼라벤은 제14호 태풍 덴빈
과 후지와라 효과가 발생해 중국으로 서진하게 되는 초기 예상 진로가 한반도로 북서진하게
되는 진로로 바뀌어져 한반도에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 대한민국에서 19명이 숨지고 조선민
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59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특히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최대 순간풍속이 51.8 m/s를 기록해 강풍으로는 2007년의 태풍 나리 이후 가
장 강한 태풍이었고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도에서는 해면기압이 961.9hPa를 기록하여 기압
으로는 2003년의 태풍 매미 이후 9년만의 극값을 세웠다. 또한 북위 28.4도에서 중심기압
이 935hPa, 북위 30.5도에서 중심기압이 945hPa까지 떨어지는 등 상당한 고위도 지역에서
도 '매우 강'한 세력을 유지했고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된 이후 남은 잔해들은 러시아 극동
지방까지 도달했다. 태풍 볼라벤은 2012년에 한반도에 영향을 준 3번째 태풍이었다.

·덴빈 - 태풍 덴빈(태풍 번호 : 1214, JTWC 지정 번호 : 15W, 국제명 : TEMBIN, 필리핀


기상청(PAGASA) 지정 이름: Igme)은 2012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4번째 태풍으로
제15호 태풍 볼라벤과 후지와라 효과가 발생해 기이한 진로를 밟게 되었다. 8월 23일과 8

- 6 -
월 27일 동시에 타이완에 영향을 주게 된 보기 드문 태풍이었다. 또한 대한민국에서는 태풍
볼라벤 이후 바로 한반도에 내습한, 상당히 이례적인 현상을 나타냈고 먼저 발생한 덴빈이
나중에 발생한 볼라벤보다 늦게 북상한 기록도 가지고 있다. 태풍 덴빈은 2012년에 대한민
국에 영향을 준 4번째 태풍이었다.

·산바 - 태풍 산바(태풍 번호:1216, JTWC 지정 번호:17W[1], 국제명 : SANBA, 필리핀 기


상청(PAGASA) 지정 이름 : Karen)는2012년에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16번째 태풍으로 현
재 2012년에 전 세계에서 발생한 모든 열대 저기압 중 가장 강한 세력을 지녔다. 중심기압
은 900hPa까지 떨어져 중심기압이 885hPa (대한민국 기상청은 890 hPa로 관측)를 기록한
2010년의 태풍 메기이후 가장 강한 태풍이 되었다. 제14호 태풍 덴빈, 제15호 태풍 볼라벤
이후 제16호 태풍 산바까지 3개의 태풍이 연속으로 한반도에 상륙한 최초 사례가 되었고 7
월에 상륙한 제7호 태풍 카눈을 더해서 1962년 이후 50년 만에 한 해에 4개의 태풍이 상
륙한 기록을 세웠다. 또한 북위 28.8도에서 중심기압이 935hPa, 북위 31.4도에서는 중심기
압이 940hPa까지 하락하는 등 상당한 고위도 지방에서도 '매우 강'한 세력을 유지했고 남
해군에 상륙하기 전 중심기압은 965hPa가 관측되어 상륙 시 중심기압 부분에서 역대 5번
째 값을 기록했다. 또한 상륙 당시의 풍속은 38m/s로 해석되어 2003년 태풍 매미와 같은
값을 내기도 했다. 태풍 산바는 2012년에 대한민국에 영향을 준 5번째 태풍이었다.
태풍 산바(SANBA)는 마카오에서 제출하였으며 파울로스를 중국어의 외래어 음역을 사용
하여 이름을 붙인 성 바울 성당의 유적(Ruins of St. Paul's)을 의미한다.

1) 2013.07.15. 노량진 배수지 수몰


올림픽대로 상수도관 이중화 부설공사장 내 집중호우로
지하터널 작업현장 내부로 한강물이 유입되어 이를
차단하기 위한 방지시설물 설치 등의 안전조치를 소홀히
하여 하수관 부설 작업을 하던 근로자 7명 사망
재해원인: 집중호우로 인한 배수지 한강물이 유입되어 수위가
높아짐, 사업주 위험인지(안전의식)부족으로 인한
부적당한 작업 강행
예방대책: 지하터널 집중호우로 인한 한강물 유입에 대한
방지시설물 설치
기상상황 악화로 인한 위험이 예상될 때 작업
중단 및 비상시 즉시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연락망 체계 구축

[출처: 블로그 https://blog.naver.com/ys1132/110175148184]

2) 2014.02.17. 경주 마우나 리조트 붕괴


눈이 리조트 강당 상부에 적설되어 하중을 버티지 못하고
붕괴도어 10명 사망, 105명 부상자가 발생 되었으며,
공법 임의 변경 및 자재 선정 등의 부실공사로 인한 재해
재해원인: 리조트 강당 상부 눈이 과적되어 하중 지지를
하지 못함
설계기준 미 준수(전문가 미 승인 도면 변경)
건축허가 서류 변조
예방대책: 건축 구조물 설계시 당해 지역의 기상 영향
등을 고려하여 반영
설계기준 준수 및 시공과정에서 감리감독 업무
수행 철저

[출처: 네이버 웹사이트 https://wantlaw.tistory.com/142]

- 7 -
3) 2016.09.12 경주 지진
경북 경주 남남서쪽 8.2KM 지역에서 규모 5.8, 여진
68회의 지진이 발생하여 23명 부상, 이재민 111명,
복구액 145억원이 발생한 자연재해

[출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2179649]

4) 2017.11.15. 포항 지진
경북 포항 북구 북쪽 약8KM 지역에서 규모 5.4, 여진
178회의 지진이 발생하여 사망1명, 부상 117명, 이재민
1,797명, 복구액 1,445억원이 발생한 자연재해

[출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2179649]

- 8 -
2-3. 시설물 붕괴 사고사례

20세기 국내 사고사상 최대의 참사로 기록되는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부실시공 때문에 하


루 아침에 무너져 버린 성수대교. 아직도 생생히 기억되는 이 참사들은 철저한 시공과 유지
보수가 이뤄지지 않아 일어난 ‘인재(人災)’라는 점에서 많은 점을 우리에게 시사해 준다.

1) 2012.9.27 구미공장 불산 누출

2012년9월27일 구미에서 불화수소(불산)누출사고가 일어


났음. 구미 4공단 내 휴브글로벌에서 화학약품 불산 20톤
중 8톤정도 누출된 사고로 정부는 구미를 특별재난 지역
으로 선포함.
사상자 23명, 농산물 고사 180건, 가축피해 29건,
이상환자 1,212명, 차량피해 81대(얼룩,부식),
기타건물피해31건
[출처: mbc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214&aid=0000218031]

2) 2013.01.27 삼성전자 불산 누출사고

2013년1월 27일 화성에 위치하고 있는 삼성 반도체 공장


에서 불산이 누출하는 사고가 발생함.
삼성전자 측은 화성공장 생산라인 중 한 곳에서 유독물질
인 불산액이 새고 있는 것을 알게 되지만 이에 대한 수리
를 미뤄 밤늦게 하기로 결정을 하였고 그사이, 약 10시간
동안 불산이 무방비로 누출됐고, 결국 장시간 불산이 누
출된 장소에서 수리를 하던 직원 5명은 모두 병원에 실려
가게 되었지만 1명은 사망하였음.
사망자1명, 부상자 4명

[출처: 네이버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7&aid=0000210215]

3) 2013.12.19 부산 남북항대교 구조물 붕괴

2013년12월 19일 부산 영도구 소재 남북항대교


연결고가도로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중 가설 구조물이
붕괴되어 상부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4명이 약20m
높이에서 추락하여 사망
재해원인: 교량의 캔틸레버 구간 구조검토에 의한 시공
기준(간격) 미 준수
예방대책: 가시설물에 대한 구조기술사 등 전문가의 구조계산
및 시공계획 수립
부재반입 시 시험성적서 등 확인 및 부재 간 설치
간격, 고정방법 등 구조계산서와 시공계획에 의한
이행여부 관리감독 철저
[출처: 뉴시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1220_0012608017&cID=10201&pID=10200]

- 9 -
4) 2014.7.28 인천 영종하늘도시 싱크홀

2014년 7월 28일 인천 영종하늘도시의 한 아파트


인근에서 직경35m, 깊이5m 규모의 지반침하(Ground
sink)가 발생

[출처: 뉴스원 http://news1.kr/articles/?1824039]

5) 2015.3.25 냉수물천교 거푸집동바리 붕괴

2015년 3월 25일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중


동바리가 상부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고 붕괴되면서
슬래브 상부에서 작업중이던 근로자 15명중 8명이
하부로 추락하여 1명이 사망하고 7명이 중상
재해원인: 시공계획의 절ㅊ 미 준수
(벽체 1,2차 타설 및 양생 후 슬래브 타설 계획
이었으나 2차 벽체와 슬래브를 당일 동시 타설)
거푸집동바리의 구조계산 및 설치도면에 따른 시공
기준 미 준수(시스템 서포트 각 부재의 배치 간격을
준수하지 않고 임의로 시공)
예방대책: 시공계획 수립(R&R) 및 이행여부 관리감독 철저
구조계산에 의한 각 부재의 배치 위치 및 간격
준수(교육, 점검 등)
[출처: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50402040700061?input=1195m]

6) 2016.02.18 태안화력발전소 데크 붕괴

2016년 2월 18일 갤러리 바닥 콘크리트 타설 작업 중


데크가 탈락되면서 2명이 지상으로 추락하여 1명은
현장에서 사망하고, 다른 1명은 태안의료원에서
심폐소생술 중 사망
재해원인: 가설 및 완성단계 구조검토 누락
설계도서의 적정성 검토 미흡 및 관리감독자의
역할 수행 미흡
예방대책: 가설구조물 시공시 전문가의 구조검토를 승인하여
시공계획 수립
설계도서의 적정성 검토를 통한 구조 안전성 확보
관리감독자 역할 수행 철저

[출처: 산업안전관리(주) 태안화력발전소 00중공업 산업안전보건법에 위한 안전진단 보고서 中]

- 10 -
7) 2017.05.22 다산신도시 공사현장 타워 붕괴

2017년 5월 22일 경기도 남양주 소재 건설현장에서 55m


타워를 71m로 인상하는 중 2단마스트를 인상하는
과정에서 부재가 꺽이면서 상부에서 작업을 하던 근로자
4명과 운전원 1명이 추락하여 3명이 사망하고 2명이
중상
재해원인: 타워크레인 마스트를 고정하는 볼트의
비규격품 사용
예방대책: 시공계획(타워크레인 설치,상승 및 해체) 및 도면
에 의한 시공
부재 반입 시 규격품 여부 검측 등의 관리감독
[출처: 뉴스원 http://news1.kr/articles/?3000457]

8) 2017.8.26 평택 국제대교 붕괴

2017년 8월 26일 경기 소재 평택호


횡단교량(1.32km)건설을 위해 접속 교량 상판 980m 중
405m를 시공한 상태에서 상판 240m 붕괴
(인명피해는 없음)
재해원인: 공사시방서 중 주 공정(압출 공정)누락 및 보강
철근 배치, 시공 상세도(전단 철근 설치 등) 미 준수
예방대책: 시방서 및 각종 시공계획의 면밀한 검토
시공과정에서 시공계획에 의한 이행여부 감리감독 철저
[출처: 국토교통부 건설안전과 보도자료(2018.01.16.)-국토부 건설사고조사위, 평택국제대교,용인물류센터 사고조사결과 발표]

9) 2017.12.09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현장 타워 붕괴

2017년 12월 9일 경기 용인 소재 물류센터 신축공사


현장에서 타워크레인(40T)의 인상작업 중 타워 균형
편심이 발생되면서 마스트 13단이 꺽여 마스트 위에서
작업하던 근로자 6명과 타워 운전원 1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
재해원인: 연식 위조(중국식 포테인 노후 장비)에 의한
재해로 추정
예방대책: 시공계획(타워크레인 설치,상승 및 해체) 및 도면
에 의한 시공
부재 반입 시 규격품 여부 검측 등의 관리감독
[출처: 용인신문 http://www.yonginilbo.com/news/article.html?no=75747]

10) 2018.09.06. 상도유치원 인접 공사현장 흙막이 붕괴


2017년 12월 9일 서울 동작구 상도동 소재 상도유치원
건물이 인접 건설현장의 흙막이 붕괴로 인한 심하게
기울어져 붕괴위험으로 철거됨. 이는 집중호우로 인한
지반 연약 및 공법 변경에 따른 부실시공이 원인
재해예방: 건축 구조물 시공 전 부적절한 지반조사
시공과정에서 감리자 의견 미 반영
흙막이 가시설 시공 계획서 미 수립
계측 및 계측결과보고서 작성 등 계측관리 미흡
예방대책: 전문가에 의한 적절한 지반조사 및 결과값에 대한
지반 지내력 확보
[출처: SBS뉴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112356&plink=ORI&cooper=NAVER]

- 11 -
11) 2020.01.03 인천 송도 빌딩 신축현장 타워 붕괴
2020년 01월 03일 경기 인천 소재 송도 빌딩 신축공사
현장에서 타워크레인 해체작업을 하던 중 작업순서를
준수하지 않고 작업을 하여 지브의 편심에 의해 균형을
잃고 마스트가 꺽이면서 붕괴되어 2명 사망, 1명 중상
재해원인: 작업 절차 미 준수
예방대책: 시공 계획(타워크레인 설치, 상승 및 해체)에
따른 작업순서 및 작업방법 준수
(관리감독자 입회하여 절차 준수여부 등 확인)

[출처: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00103_0000878637]

- 12 -
2-4. 선박·항공 사고사례

1) 2013.12.29. 부산 앞바다 선박 충돌

2013.12.29일 부산 태종태 남동쪽 해상에서 화학물질을


실은 케미컬 운반선과 화물선이 부딪쳐 두 선박에 불이
나고 케미컬운반선은 크게 파손된 채 표류하다 일본
해역까지 떠내려 감.
재해원인: 선박 운항 부주의 및 오판
(적극적 피향동작이나 기적 신호, 상호 통신 등
충돌 예방 미 실시)
예방대책: 선박 운항자 선별 엄격 및 정기적 교육 관리

[출처: 연합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673636]

2) 2014.04.16. 세월호 침몰

2013.12.29일 인천에서 제주로 향하던 세월호가 진도


인근 해상에서 조타수 운전 미숙, 무리한 선체 증축,
화물 과적, 고박불량 등의 원인에 의하여 299명 사망,
5명 실종의 재해가 발생됨
재해원인: 급격한 방향전환으로 선박 복원력 붕괴
화물 과적(당시 기준 적재량:987톤/세월호 운항
당시 적재량: 3,608톤)
선박 구조 부품의 노후화 및 검사 부실
선장의 합리적인 비상대응 부재(퇴선 지시 지체)
정부의 대형 재난 시스템 부재
예방대책: 선박 운항자 선별 엄격 및 정기적 교육 관리
선박 설계기준에 부합한 적재량 기준 준수
노후된 부품 교체 등 정기적 점검 및 개선 관리
정부의 대형 재난 시스템 구축 및 전 국민 안전교육
의무화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309&cid=43667&categoryId=43667]

3) 2018.04.05. 칠곡 F-15K 전투기 추락

2018.04.05일 경북 칠곡 소재 유학산 능선에서 공군


제11전투비행단 소속 탑승자 2명이 F-15K Slam Eagle
보잉으로 임무를 마치고 기지로 귀환 중 안전고도를
놓치면서 추락하여 비상탈출을 시도하지 않아 2명 전원
사망

[출처: YTN https://www.ytn.co.kr/_ln/0101_201805181345543119]

- 13 -
[참고문헌]
1. 삼성화재 위험관리연구소(방재연구소) 대형사고 사례집 1999
2. 출처: 헬스미디어 http://www.healthmedi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202
3. 출처: YTN https://www.youtube.com/watch?v=C9ADqxoAaNc
4. 출처: 네이버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214&aid=000026
0578
5. 출처: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60721186451004?input=1195m
6. 출처: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7032209175
7. 출처: 서울경제 https://news.v.daum.net/v/20160602090450795
8. 출처: https://news.v.daum.net/v/20160602090450795
9. 출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2667670
10. 출처: 연합뉴스 https://asadallee.blog.me/221466153599
11. 출처: 블로그 https://blog.naver.com/tepet/221505896443
12. 출처: 블로그 https://blog.naver.com/hurucin/221747860584
13. 출처: 블로그 https://blog.naver.com/ys1132/110175148184
14. 출처: 네이버 웹사이트 https://wantlaw.tistory.com/142
15. 출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2179649
16. 출처: mbc뉴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214&aid=00002
18031
17. 출처: 네이버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7&aid=00002
10215
18. 출처: 뉴시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1220_0012608017&cID
=10201&pID=10200
19. 출처: 뉴스원 http://news1.kr/articles/?1824039
20. 출처: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50402040700061?input=1195m
21. 출처: 산업안전관리(주) 태안화력발전소 00중공업 산업안전보건법에 위한 안전진단
보고서 中
22. 출처: 뉴스원 http://news1.kr/articles/?3000457
23. 출처: 국토교통부 건설안전과 보도자료(2018.01.16.)-국토부 건설사고조사위,
평택국제대교,용인물류센터 사고조사결과 발표
24. 출처: 용인신문 http://www.yonginilbo.com/news/article.html?no=75747
25. 출처: SBS뉴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112356&plink=ORI&coop
er=NAVER
26. 출처: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00103_0000878637
27. 출처: 연합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
id=0006673636
28.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309&cid=43667&categoryId=43667
29. 출처: YTN https://www.ytn.co.kr/_ln/0101_201805181345543119

- 1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