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3

오종혁 국어 TV

- 나위소, 「강호구가(江湖九歌)」

※ 나위소(羅緯素) : 나주 출신으로 자는 계빈(季彬), 호는 송암(松巖). 오랜 관직을 거쳤으나 말년에는 향리로,


1651년(효종 2)에 세운 수운정(岫雲亭)에서 지냈다. 이 작품은 수운정의 강호생활에서 느낀 감정을 노래함
관직에서 물러난 뒤 같은 남인이며 5년 연하인 윤선도(尹善道)와 특히 교분이 두터웠는데, 이 점에서 그의 강호
생활은 윤선도의 어부생활과 좋은 비교가 되며, 「강호구가」는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와 같은 계열에 속하는 시조
작품으로 평가됨

※ 맹사성,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 고1 모의고사 출제(2024 6월) → 영상 비교해서 보면 좋음


江湖(강호)에 봄이 드니 미친 興(흥)이 절로 난다 ⇒ : 벼슬을 물러난 한객(閑客)이 거처하는 시골. .

1. 본문 학습

(1수) 성은과 ( )

『어버이 낳으시고 입금이 먹이시니


→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 :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는 한 몸과 같다, 나라에 대한 충성과 스승님과 아버지에 대한 존경을 강조

낳은 덕 먹인 은(성은(聖恩))을 다 갚고자 하였더니』 ⇒ ( )

숙연히(이윽고, ) 칠십이 넘으니(화자의 나이, 수치화) 할 일 없어 하노라( ) →

※ 70세 – 종심(從心), 고희(古稀), 칠순(七旬)


종심소욕불유구(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 일흔이 되어서는 무엇이든 하고 싶은 대로 하여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
나이 70세를 일컫는 고사성어, 공자(孔子)가 《논어》 <위정편(爲政篇)>에서 말함

충담사, 「안민가(安民歌)」

(1) 임금과 신하의 책무(군·신·민의 도리)


→ 국가의 구성(군신민의 관계)을 가족관계로 비유하여 드러냄, 가족 주의(은유)···효(孝)(→忠으로 연결)

임금은 아버지요
신하는 사랑을 주는 어머니요
백성은 어린아이라고 하신다면 → 애민정신

백성이 사랑을 알리라

(2) 나라의 유지를 위해 백성을 통치하는 방법(국가와 국민의 관계)


→ 나라를 다스리는 올바른 지혜와 방법이 제시됨, 어진 정치

꾸물거리며 사는 물생(物生, 백성)


→ 꾸물거리며 : 몸이나 몸의 일부가 매우 느리게 자꾸 움직이며, 미적거리며

이들을 먹여 다스려서
→ 백성들을 부양해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돌보아 줘서
임금과 신하에게 전하는 말임, 민본주의 사상이 드러남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리(설의법)” 한다면(가정)


→ 현실에 만족하며 살아가는 백성들이 보일 수 있는 반응임
물생(백성을 비롯한 생물들)이 ‘이 땅’에서 만족한 삶을 살면서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겠느냐고 말하는 가상의 상황을 설정하여, 백성 의 평안한
삶을 나라가 유지되는 데에 필요한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음

나라 안이 유지될 줄 알리라
→ 백성들의 말을 인용하여 그들의 만족감을 드러냄
~리라 : 해라할 자리에 쓰여, 상황에 대한 화자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1 -
오종혁 국어 TV

(3수) 임금의 ( )

연하(煙霞, 안개와 노을. 고요한 경치, 자연)에 깊이 곤(困, 도취한) 병 약이 효험(效驗, 효과, 효능) 없어
→ 백약무효(百藥無效): 온갖 약을 다 써도 효험이 없음을 이르는 말. 연하고질(煙霞痼疾), 천석고황(泉石膏肓)

강호에 버리언져(버려진지) 십 년 밖이(화자가 자연에 온 기간, 수치화) 되었어라( ) →

그러나 이제(현재) 다 못 죽음도(죽지 못한 것도) 귀(그것도) 성은(聖恩, 임금의 큰 은혜. 은총)인가 하노라( )
→ 그러나 :
★ 성은(聖恩) : 자연에 완전히 동화한 것은 아님, 자연을 ( )

★★★ 정철, 「관동별곡(關東別曲)」 ★★★

(1) 관찰사 ( )

강호(江湖, 자연, 시골, 대유법)애 병(病)이 깁퍼(자연을 사랑하는 병이 깊어) 듁님(竹林, 대숲, 창평, 은유)의 누엇더니,
→ 연하고질(煙霞痼疾) :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버릇, 연하지벽(煙霞之癖)
천석고황(泉石膏肓) : 산수(山水)를 즐기고 사랑하는 것이 정도에 지나쳐 마치 고치기 어려운 깊은 병과 같음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고질병이 됨 (병이 날 정도로 자연을 사랑하여 전라도 담양 창평에서 지내고 있었는데)

(5수) 강호한정의 ( )

달 밝고, 바람 자니(잠잠하니, 멎으니) 물결이 비단일다(금수로다, 매우 곱고 부드러운 아름다운 물결, 은유) →

단정을 비껴 놓아(비스듬히 누워) 오락가락(음성상징어, 왔다갔다하며) 하는(즐기는) 흥(興, 감흥, 재미, 즐거움, 신명)을
→ 단정(短艇) : , 일엽편주(一葉片舟)

백구야(돈호법) 하(너무, 매우, 몹시) 즐겨 말고려(말아라, 명령) 세상(속인들이) 알까 하노라( )


→ 도치법, )
자연에서 누리는 흥을 ( )

★★ 백구(白鷗) ⇒ 소재의 기능 (맞는 것을 찾아 보세요)


① 화자의 즐거움이 투영된 대상(자연물)임
② 화자의 내적 성찰을 일으키는 대상임
③ 화자에게 세월의 흐름을 인식하게 하는 대상임
④ 화자의 한가로운 삶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음
⑤ 세상에 대한 화자의 비판적 태도를 보여 줌

(8수) ( )

피 소주 무우저리(풀로 만든 소주와 무절임, ) 우습다(냉소, 비웃음) 어른 대접


→ 어른(손님)을 대접하기 위한 ( )

남은셔(남들이) 이른 말이(인용) 초초타(보잘것없이 초라하다) 하건마는


두어라(감탄사, 영탄법) 이도(소박한 삶도) 내 분이니 분내사(分內事, 분수에 맞는 일)인가 하노라( )
→ 안분지족(安分知足), 안빈낙도(安貧樂道), 만족감, 흡족함, 충만감, 보람, ( )

- 2 -
오종혁 국어 TV

2. 핵심 정리

① 갈래 : 연시조 → 전체 9수, 조선 후기에 나위소(羅緯素)가 지은 시조

② 제재 : 강호 자연
③ 주제 : 자연을 즐기며 ( )

④ 성격 : , 유교적, 감각적, 강호가. , 강호 한정가, 강호 연군가, 물외한정(物外閑情)

<확인 문제> 변형 28문제 중 2문제


① 백구에게 말을 건네는 어조로 감정이입적 표현으로 명령하는 말하기 방식이 드러남( )
→ 정답과 그 이유를 댓글에 남겨주세요
② 근경에서 원경으로 시선을 이동하며 시상을 전개하고 있음( )
→ 정답과 그 이유를 댓글에 남겨주세요

- 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