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가 학업중단 위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5

DOI http://dx.doi.org/10.22143/HSS21.12.2.

62 881

Effect of Reality Art Therapy for the Group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t the Risk of Dropout
Eunbin Ah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if Group Art Therapy with Reality Therapeutic
approach is effective in shaping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termin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specialized in academic discontinu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D city, who are in danger of
discontinuing their studies, and 8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placed wirelessly.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100 minutes
per session, a total of 14 sessions.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as the analysis
metho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eality therapy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found to improve self-evaluation, goal selection, and future planning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efficacy. This study is expected to relieve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crisis of academic discontinuation and provide hope
for careers and opportunities for positive transition.
Key Words: Reality Therapy, Group Art Therapy, Crisis of Abortment of Study, Specialized
High School,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가 학업중단 위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안 은 빈*

요약: 본 연구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학업중단 위기에 있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시 소재
한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학업중단 위기에 있는 학생 16명이며,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
명으로 무선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1회기 당 100분씩, 총 14회기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비
모수통계분석을 활용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진로결정
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평가, 목표선택, 미래계획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업중
단 위기 상황에 있는 고등학생의 심리적 불안을 해소하고 진로에 대한 희망과 긍정적인 전환의 기회
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현실치료, 집단미술치료, 학업중단 위기, 특성화 고등학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 접수일: 2021년 3월 24일, 수정일: 2021년 4월 10일, 게재확정일: 2021년 4월 20일


*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치료학과 박사수료
(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Yeungnam Univ., Email: apple3v@hanmail.net)
882_ 인문사회21, 제12권2호

I. 서론

청소년기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을 파악하고 진로탐색을 하며 인생을 설계하는 중요


한 시기이다. 청소년 시기의 학교 적응력은 성인이 되어 사회생활에 필요한 교육을 습득하
고 문제에 대한 대처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음으로써 이후 사회생활 적응에 미
치는 영향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느끼고 학업중단에 이르게
되는 청소년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이근영 외, 2015).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은 학교에 다니기는 하지만 학습에 대한 의지가 없고 수업참여를
거부하거나 방해하는 일이 많다. 따라서 수시로 결석하면서 학교생활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
거나 좌절감을 경험한다. 그래서 학교생활에 대한 동기와 의욕을 상실하게 되어 결국 학업
중단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최상근 외, 2010). 이러한 학업중단 현상은 해당 학생은
물론이고 가정, 학교, 사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이자영 외, 2010).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발달과정에서 습득해야 할 교육의 기회를 상실하게 되고, 그로인한 진로개
척의 문제와 직면할 가능성이 많다. 학업을 중단한 학생들은 취업을 하더라도 고교 졸업자
보다 저임금에 머무는 경우가 많고, 비행이나 범죄를 범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오혜
영・지승희・박현진, 2011; 윤철경, 2013).
그리하여 학업중단을 예방하기 위해 국가적인 지원과 요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
다. 교육부는 2011년에 ‘학업중단 숙려제’를 도입하여 2014년도에 의무화하였고 막대한 예
산을 투입해서 학교와 교육청에서 학교적응 프로그램과 다양한 심리적 상담을 도입하여 운
영을 지원하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2013년부터 지역사회에 청소년 통합지원체계(CYS-Net)
를 구축하여 위기 청소년들을 지원하였고, 2018년에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을 공포하여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 밖 청소년 지원대책’을
제안하며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교육부・여성가족부, 2013).
이와 같은 정부 차원의 학업중단 예방 프로그램의 시행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업을 중
단하는 학생이 매년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다. 학교를 다니고는 있지만 학업을 포기한 채 몸
만 학교에 있거나 학교에 적만 두는 잠재적인 학업중단까지 포함하면 그 수가 상당할 것으
로 추정된다(이자영 외, 2010; 최동선・이상준 2009). 2018년도에 공식적으로 집계된 학업
중단 고등학생 수는 24,978명에 이르며 이는 전체 고등학교 학생의 1.6%를 차지하고 있다
(교육부, 2019).
특성화고등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라 2007년 실업계 고등학교가 전문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가 학업중단 위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_883

계 고등학교로, 2010년에는 특성화고등학교로 명칭이 변경된 것이다. 특성화고등학교란 학


생의 소질과 적성, 능력이 비슷한 학생들을 어느 특화된 분야에 초점을 두고 그에 맞는 인
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학교이다. 그러나 이러한 취지와는 달리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학업중단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학교 규칙을 위반하거나 수업에 집중하지 못
하며 또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는 학교 부적응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홍희정, 2014).
학업중단 위기 학생에게 영향을 끼치는 전반적인 요인은 크게 개인, 가정, 학교환경, 또래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이 되고 있다(이자영 외, 2010). 원하지 않는 입학으로 인한
부적응, 부모의 이혼, 무관심이나 학대, 교사와의 갈등, 또래관계 문제로 인한 부적응 등이
그것이다. 자신의 가치관을 정립하거나 자신의 미래에 대한 특별한 목표의식을 가지지 못한
채 학교생활을 지속하게 되고, 결국 학교를 중도 포기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진로결정과
관련된 자신감과 믿음이 점차 낮아지게 된다.
어느 청소년에게나 진로와 관련한 역량을 향상시키는 일이 중요하겠지만 무엇보다 학업중
단 위기 청소년들의 진로 영역에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학업중단 청소년의 증가는
각종 범죄를 증가시킬 우려가 있으며, 더 나아가 범죄로 인한 사회 비용 및 복지 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가정의 붕괴로까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이연희・탁진국, 2017). 이들이
진로결정에 대한 높은 역량을 확보한다면 가까운 미래에 직장문제에 대한 어려움을 예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사회 영역에서 긍정적인 기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에게는 미래의 직업을 탐색하고 선택하기 위해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알고 진로성숙을 이루어가는 것이 중요한 발달 과제가 될 수 있다(신선경, 2017).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들의 미래와 진로선택을 위해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도
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현실치료요법은 문제나 고민을 현재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현재
욕구를 파악하여 객관적인 판단과 직면으로 심리적인 욕구를 달성하도록 도울 수 있기 때문
이다(남궁혜정, 2012).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관련
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김세영・박부진, 2011), 진로의식성숙(남궁혜정, 2012)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황옥선(2017)의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
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또한 집단미술치료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안지원, 2017; 황세진, 2019)과 진로결정수준(박희원・신지현, 2020)을 향상시키
고, 전준민(2018)의 연구에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목표선택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884_ 인문사회21, 제12권2호

이에 본 연구는 학업중단 위기에 있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현실요법 기반의


집단미술치료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학업중단
위기 상황에 있는 고등학생의 심리적 불안을 해소하고 진로에 대한 희망과 긍정적인 전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가 학업중단 위기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

현실요법은 미국의 정신과 의사 William Glasser가 1950년대에 확립한 상담이론으로, 내


담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기본욕구를 바탕으로 파악하고, 내담자가 책임질 수 있고 만
족해 하는 방법으로 심리적인 욕구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상담
기법이다. 현실요법적 미술치료는 글이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내용을 미술매체와 기법들
을 활용하여 청소년들로 하여금 저항감을 줄이고 자신을 개방하여 나누기와 질문을 통해 자
신을 통찰하고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다(강갑원, 2004). 또한 학교같은 교육기관
에서 청소년들의 문제를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조력할 수 있는 접근 방법으로 의식 수준
의 판단과 직면을 통하여 자기 자신에 대한 통찰을 돕고 현실적인 변화를 일으키게 돕는다
(Corey, 2012). Wubbolding(1988)은 현실요법 과정으로 상담환경 형성단계와 내담자의
행동변화를 이끌어 내는 중요개념으로 WDEP 상담 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WDEP는
W(want, 바람탐색), D(doing, 행동탐색), E(evaluation, 자기평가), P(planning, 계획 및
적용)의 4가지 세부 단계로 행동변화를 이끌어내는 과정이다. WDEP 상담 단계를 통해 건
강한 정체성을 마주하게 하고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하며 바람직하고 건전한 선택과 행동
을 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Wubbolding, 1988).
한편, 청소년기는 자기 내면의 개방과 감정표현이 미숙하다. 이러한 청소년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업중단 예방과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해 미술치료, 음악치료, 독서치료, 사진치
료 등 다양한 심리치료 이론을 접목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는데, 특히 선행연구(강은혜,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가 학업중단 위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_885

2019; 정용선, 2015; 황옥선, 2017)에서는 미술치료의 높은 효과성이 부각되고 있다. 미


술치료는 미술이 가진 예술성과 창조성을 활용하여 치료와 성장을 돕는 것으로 창작과정을
통해 자기 객관화와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Rubin, 1999). 특히 집단미술치료는 관계 형성
으로부터 촉진되는 집단 보편성과 희망 고취를 통해 각자의 문제 대안을 제공받고 교정적
재현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수용받으며 긍정적인 자신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박
성혜, 2015). 또한 구성원 간 상호교류를 통해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 감정을 전달하는 적
절한 행동방식을 스스로 선택하는 기회를 제공받고 행동화하는 방법을 습득한다(옥금자,
2006). 이러한 미술치료에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들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자신
의 감정이나 행동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더 나은 목표를 향해 미래계획을 확립할 수
있는 방안으로 현실치료를 접목하고자 한다.

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자신의 미래와 관련된 진로선택에 있어서 중요하게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들 수 있다. 먼저, 자기효능감은 과제의 상황이나 내용에
따라 그 과제에 적절한 자기효능감이 구명되어야 한다(Shelton, 1990). 이는 진로영역에서
도 마찬가지인데 진로에 관련된 의사결정이나 행동이 특정한 맥락에서의 능력을 요구하므로
진로와 관련된 자기효능감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며(Taylor & Betz, 1983), 이에 따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청소년들이 진로와
관련된 과제를 수행하고자 할 때 자신이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고 스스로의 능
력을 믿는 정도와 자신감을 의미한다(Bluestin, 1989).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자신
에게 맞는 직업적 가치와 능력을 효과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선택한 진로에 대한 굳건한 믿음
을 갖게 된다(이기학・이학주, 2000).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들은 이러한 능력이 결여되어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이 낮고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포기하는 현상으로 나타
난다(조윤정・황소리・오민아, 2018). 따라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이들의 미래와 진로선
택에 요구되는 필수적인 역량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방법
886_ 인문사회21, 제12권2호

1. 연구대상 및 실험절차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학업중단 위기에 있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다. 연구참여자는 D


시에 소재한 특성화고등학교 Wee 클래스 상담교사가 1학년 학생 중 학업중단 위기에 있는
학생을 선별하였다. 연구자는 선별된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목적과 방법 등을 설명하
고 참여에 동의를 구하였다. 선별된 학생은 20명이었으나 그 중 무단결석을 하거나 연구
참여에 동의하지 않는 학생 4명을 제외하고 프로그램에 참가동의를 한 16명을 본 연구대상
자로 선정하였다. 참가자는 실헙집단 8명(남학생 4명, 여학생 4명)과 통제집단 8명(남학생
4명, 여학생 4명)으로 무선배치 하였다.
실험설계는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사전에 측정한 후, 프로
그램이 종료된 후에 다시 한번 측정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학교 집단상담실에서 2019년 4
월 12일부터 2019년 9월 19일까지 일주일에 1회, 1회당 100분(50분 진행, 10분 휴식, 40
분 진행), 총 14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고 매 회기마다
상담학 석사학위를 소지하고 있는 보조자 1명이 동참하였다. 통제집단에서는 실험집단의 프
로그램이 실시되는 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으며, 실험집단의 실험이 종료된 후
에는 통제집단에서도 실험집단에 적용한 프로그램을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표 1> 실험설계


집단 사전검사 처치 사후검사
G1 O X O
G2 O O
G1: 실험집단, G2: 통제집단, O: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X: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2.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특징은 자존감과 자신에 대한 인식이 낮다. 또한 학교생활에 흥미


와 의지가 없고 또래들과의 유대감이 부족하며 주의력이 낮고 산만하다. 이러한 집단원들은
매사에 의욕이 떨어지고 특히 진로에 대한 어려움을 크게 인식할 수 있는데, 이는 자신만의
문제가 아니며 타인도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깨닫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또한
주의력이 낮아 프로그램에서 인식하고 통찰한 내용을 쉽게 잊어버릴 수 있으므로 매 회기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가 학업중단 위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_887

도입과정에서 지난 활동에 대한 나눔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존중받는 느낌을


경험할 수 있도록 이전 작업에 대한 나눔을 실시할 때 격려와 칭찬을 하였다. 또한 스스로
가 무가치하다고 여기고 목표가 없는 참여자들에게 충분한 자기이해를 통해 미래에 대한 희
망을 가질 수 있도록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탐색하는 주제로 반복적으로 탐색하고 재확인
하였다. 또한 욕구를 재확인하고 매 회기마다 반복적인 WDEP(W, 바람탐색; D, 행동탐
색; E, 자기평가; P, 계획)과정을 진행함으로써 그들이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하고 이를 명
확히 수용하며, 더 나은 삶을 위해 효율적인 선택을 돕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현실요법을 적용한 선행연구(김순자・김갑숙,
2006; 김원경, 2003; 김현자, 2003; 박혜경・최외선, 2006)를 참고하였으며 준비기, 바람
탐색기(want), 행동탐색기(doing), 평가하기(evaluation), 계획(planing), 마무리까지 6단
계 절차로 구분되어 있다. 회기 별 프로그램의 내용은 <표 2>에 제시한 바와 같다.

<표 2>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내용


영역 회기 주제 기대효과 활동내용
- 프로그램 진행계획 설명
나 - 친밀감 형성과
1 - 별칭지어 종이에 꾸미고 자기 소개, 프로그
소개하기 동기 유발
램에 대한 기대나누기
준비기・ - 원하는 매체를 선택하여 미래직업 표현 후
바람 이야기 나누기(자신이 원하는 것을 스스로
- 욕구 이해, 심리
탐색기 알 수 있도록 바람이 무엇인지 표현해 봄.
미래의 적 자원 알기
(Want) 2 가장 원하는 것부터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내 모습 - 긍정적 자기평가
바람까지 순서를 정하여 더욱 구체화하기)
증진
- 시청각 자료를 이용해서 직업에 대한 다양하
고 구체적인 정보를 습득
- 현재 내가 느끼는 나의 모습을 그려보고 전
- 전행동 이해
현재 나의 행동으로 이해하고 발표(집단원들이 느끼는
3 - 객관적인 자기이
모습 점도 돌아가며 발표를 하여 자신이 현재 어
해 증진
떤 모습으로 생활하고 있는지 알아봄)
- 장점 강화, 단점 - 자신의 장단점을 다양한 매체로 표현
극복을 위한 동 - 장점은 칭찬하고 단점은 변화시킬 수 있도록
행동 나의
4 기부여 격려하고 장단점 기록지 작성
탐색기 장단점
- 목표설정에 대한 - 강점과 관련하여 진로에 대한 목표설정에 관
(Doing)
동기 부여 해 알아봄
- 자신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기억을 매체를
이용해 표현하고 그것이 현재 스트레스 상황
나는 이런 - 문제해결능력 증
5 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발표해보기
사람이야 진하기
-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지
탐색
888_ 인문사회21, 제12권2호

- 현재 갈등을 표현해보고 목표선택을 함에 있


- 미래계획과 문제
6 최선의 선택 어 어떤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지 알아봄
해력능력 증진
- 대처방안에 대해 표현
- 자신의 행동이 원하는 것을 얻는 데 어떤
- 객관적인 자기평
7 나의 양면 영향이 있는지 발표해 보고 자신이 할 수
가 이해 증진
있는 작은 실천에 대해 그림이나 점토로 표현
- 고민을 익명으로 적고 집단원은 무작위로 한
개씩 뽑아 해결방법, 대안책을 그림이나 만
- 객관적인 자기평
평가 들기로 표현
8 비밀쪽지 가 이해와 문제
하기 - 대안책을 발표할 집단원은 고민을 적은 익명
해결능력 증진
(Evaluation) 의 집단원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는 매세지
전달
- 원하는 미래 모습이나 직업을 표현하고 초기
- 긍정적인 자기이 와 바뀐 미래 모습이 있다면 발표하고 이야
해와 평가를 통 기 나누기
9 나의 위치 해 합리적인 목 - 스스로 동기부여할 수 있는 응원 메시지를
표선택, 문제해 10글자 이내로 지어 그림이나 상징, 만들
결능력 증진 기, 조립 등으로 표현해보고 큰 소리로 말해
보기
- 목표 달성을 한 대안을 재점검하고 변화에
- 목표선택과 직업
대한 다짐을 협동화로 표현
정보수집 을 위
10 이루어 진다면 - 계획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이어야 하며 즉시
한 계획 세우기
실행할 수 있는 것, 반복해서 할 수 있는
- 변화동기 촉진
것으로 나누기를 통해 재확인함
- 긍정적인 자기평 - 자신이 닮고 싶은 인물을 그림으로 표현함,
계획 11 나를 격려하기
가와 자신감 향상 닮은 점과 다른 점을 살펴봄
(Planing)
- 미래의 목표를 명확히 하기 위해 초기, 중
간, 최종목표 점검
- 합리적인 목표선
미래를 향한 -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미래에 대한 정보수
12 택과 직업정보수
첫걸음 집을 다양한 방법으로 해보기
집력 증진
- 최근 행복한 순간과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을
떠올려본 후 느낌을 표현
- 용기를 주고 욕구를 재확인할 수 있도록 미
나에게 주는 술매체를 통해 자신에게 주는 선물 만들기
13 - 긍정적 자기평가
선물 - 앞으로의 소망과 계획이 담긴 편지쓰고 이야
기 나누기
마무리
- 긍정적인 자기평 - 콜라주를 통해 버리고 싶은 것, 가지고 싶
새로운 나로 가 증진 은 것 표현
14
태어나기 - 심리적 재탄생 - 상담초기와 비교하여 현재 자신의 변화된 점
경험 을 발표

3. 측정도구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가 학업중단 위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_889

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는 Taylor & Betz(1983)가 개발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DMSES)의 단축형인 CDMSES-SF
(Betz, Klein, & Taylor, 1996)를 이기학・이학주(2000)가 번안하고 이주연(2016)이 청소
년용으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선택, 미래계획,
문제해결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문항은 Likert 5점(1점: 전혀 그렇지
않다~5점: 매우 그렇다)으로 응답하게 되어 있다. 각 하위요인의 문항 수는 5문항씩이고
총 문항 수는 25문항이며 총점의 범위는 25~125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결정 자기효
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주연(2016) 연구에서의 문항내적합치도 계수는 자기평가 .76,
직업정보 .83, 목표선택 .69, 미래계획 .85, 문제해결 .87, 전체 .91로 나타났고 본 연구
에서는 자기평가 .70, 직업정보 .85, 목표선택 .80, 미래계획 .86, 문제해결은 .86, 전체
.91로 확인되었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


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내적합치도 계수를 산
출하였다. 둘째, 집단 간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Mann-Whitney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Wilcoxon 순위부호화 검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사전 동질성 검증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사전 점수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차


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Mann-Whitney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제
시하였다. 분석결과, 그룹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890_ 인문사회21, 제12권2호

<표 3>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전 동질성 검증


Variable Group Mean Rank Rank Sum Z
실험 8.50 68.00
자기평가 .00
통제 8.50 68.00
실험 5.56 68.50
직업정보 -.05
통제 8.44 67.50
실험 8.06 64.50
목표선택 -.37
통제 8.94 71.50
실험 8.75 70.00
미래계획 -.22
통제 8.25 66.00
실험 7.69 61.50
문제해결 -.70
통제 9.31 74.50
실험 7.81 62.50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58
통제 9.19 73.50

2.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


하여 각 집단 별로 Wilcoxon 순위부호화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제시하였
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에서는 자기평가(Z=-2.52, p <.05), 목표선택(Z=-2.55, p <.05),
미래계획(Z=-2.52, p <.05), 진로결정 자기효능감(Z=-2.39, p <.05)이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높고, 통제집단에서는 직업정보(Z=-2.26, p <.05), 미래계획(Z=-2.06,
p <.05), 진로결정 자기효능감(Z=-2.39, p <.05)이 사전 점수가 사후 점수에 비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업위기 청소년의 진
로결정 자기효능감 중 자기평가, 목표선택, 미래계획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4>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점수 비교


Group Variable Time Mean Rank Rank Sum Z
사전 .00 .00
자기평가 -2.52*
사후 4.50 36.00
사전 4.50 9.00
직업정보 -.32
사후 3.00 12.00
실험집단 사전 .00 .00
목표선택 -2.55*
사후 4.50 36.00
사전 .00 .00
미래계획 -2.52*
사후 4.50 36.00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가 학업중단 위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_891

사전 2.50 .00
문제해결 -1.52
사후 4.60 36.00
진로결정 사전 .00 .00
-2.39*
자기효능감 사후 4.00 28.00
사전 3.25 13.00
자기평가 -1.51
사후 2.00 2.00
사전 3.50 21.00
직업정보 -2.26*
사후 .00 .00
사전 3.88 15.50
목표선택 -.32
사후 4.17 12.50
통제집단
사전 3.00 15.00
미래계획 -2.06*
사후 .00 .00
사전 3.00 15.00
문제해결 -.97
사후 6.00 6.00
진로결정 사전 4.00 28.00
-2.39*
자기효능감 사후 .00 .00
* p <.05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위기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현실요법 기반의 집단미


술치료 프로그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현실요법적 집단미술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
술치료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고한 안지원(2017)의 연구, 미
술치료가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밝힌 강은혜
(2019)의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한 황세진(2019)의 연구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가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에 미
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평가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 프
로그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평가를 향상시킴을 밝힌 강은혜(2019)의
연구와 일치한다. 이는 현실치료를 적용한 미술활동을 통해 자유롭게 자기 자신을 표현하고
892_ 인문사회21, 제12권2호

긴장과 방어를 줄이면서 자신의 내적 욕구를 알아가고 강점을 찾아가는 프로그램 과정에서
향상된 것으로 추측된다.
하위요인 중 목표선택에서 유의미한 효과성이 입증된 결과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진로결
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선택 향상이 도움이 되었다는 전준민(2018)의 연구와 일
치한다. 이는 현실요법이론에 바탕을 두고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미래에 대한 목표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실천 가능한 대안을 찾으며 합리적인 선택을 위한 실천 행동을 하도록
이끈 것이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미래계획은 현실요법을 적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들이 반복
적인 바람(Want) 탐색으로 자신의 좋은 세계를 구성하고 구체화하며, 다양한 미술매체를
통해 상징물로 표현하여 희망을 가시적으로 보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나머지 하위요인인 직업정보와 문제해결에서는 유의미한 효과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직업
정보는 통제집단에서 사후 시점의 점수가 사전 시점의 점수 보다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의 직업정보의 하락을 방지하는 완충작
용이 있었던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의 각 회기 과정에서 시청
각 자료를 통하여 직업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자신에게 맞는 직무에 대한 탐색이 도움
이 된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실험집단에서 직업정보와 문제해결 영역이 상대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이유는 본 연구에서 자존감과 자기 이해가 낮은 참여자들의 특성상 현
실요법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문제해결보다는 충분한 자기 이해에 기반한 자기탐색과 자존
감 향상에 중점을 두어 진행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현재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증가를 막고자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
만 학교를 떠나는 고등학생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학업중단 위
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에게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하여 그들이 미래에 대한 희망
과 자신감을 갖고 진로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에 있어서 대상자 학교, 대상의 수, 학년에 대한 분포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어렵고, 추후검사를 실시하지 않아 변화의 지속성
을 파악하기 힘들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타당성과 객관성을
위해 인원수를 충분히 확보하고 일정한 시간을 두어 변화의 지속성을 확인하여 효과를 면밀
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가 학업중단 위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_893

【참고문헌】

강갑원(2004), 상담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강은혜(2019),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부(2019), 2019년 교육기본통계, 서울: 교육부.
교육부・여성가족부(2013),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방안, 서울: 교육부,
여성가족부.
김세영・박부진(2011),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및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 아동권리연구, 15(3): 455-479.
김순자・김갑숙(2006),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가 학습부진 청소년의 성취동기 및 자아개
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3(3): 527-552.
김원경(2003), “현실요법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비만도와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자(2003),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에 미치
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궁혜정(2012),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진로의식성숙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대도시학교와 대안학교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박성혜(2015), “특별교육대상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중력 집단프로그램 개발 및 효
과”,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혜경・최외선(2006),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가 비행청소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미술
치료연구, 13(3): 553-575.
박희원・신지현(2020),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
과”, 미술치료연구, 27(4): 645-669.
신선경(2017), “청소년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지원(2017), “집단미술치료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불안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혜영・지승희・박현진(2011), “학업중단에서 업무복귀까지의 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
894_ 인문사회21, 제12권2호

담연구, 19(2): 124-154.


옥금자(2006), 집단미술치료 방법론, 서울: 하나의학사.
윤철경(2013), “학업중단 청소년 현황 및 정책과제”, 학교밖 청소년 문제 대책 마련 토론
회 자료집,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폭력예방연구소.
이근영・배진형・이지현・송미향・서성식(2015), 경기도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 지원을 위한 지
역사회 연계 방안, 경기도: 경기도교육연구원.
이기학・이학주(2000), “대학생의 진로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
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이연희・탁진국(2017),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잠재적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1(2): 69-87.
이자영・강석영・김한주・이유영・양은주(2010),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중단의 위
험 및 보호요인 탐색: 개념도 연구법의 활용”, 청소년상담연구, 18(2): 225-242.
이주연(2016), “진로집단 통합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발달의 진로
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준민(2018),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용선(2015),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밖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윤정・황소리・오민아(2018), 학교 밖 위기청소년들의 진로개발에 대한 질적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최동선・이상준(2009),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최상근・양수경・남기곤・권경림・연보라(2010), 학업중단위기 학생의 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홍희정(2014),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특성화고 학생의 자아정체감과 학교적응
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세진(2019),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
구: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옥선(2017),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가 학업중단 위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_895

Betz, N. E., Klein, K. L., & K. Taylor(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1): 47-57.
Blustein, D. L.(1989), “The role of goal instability and career self-efficacy in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5(2): 194-203.
Boelen, P. A. & H. Prigerson(2007), “The influence of symptoms of prolonged grief
disorder, depression, and anxiety on quality of life among bereaved adults”,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57(8): 444-452.
Burke, L. A. & R. Neimeyer(2013), 11 Prospective risk factors for complicated
grief, NY: Routledge.
Corey, G.(2012),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ON: Nelson
Education.
Rubin, J. A.(1999), Art therapy: An introduction, Hove: Psychology Press.
Shelton, S. H.(1990), “Developing the construct of general self-efficacy”, Psychological
reports, 66(3): 987-994.
Taylor, K. M. & N. Betz(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Wubbolding, R. E.(1988), Using Reality Therapy, NY: Harper & Row.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