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

● 기 획 시 리 즈

변압기 철심구조에 따른
문제발생 및 방지대책
신 동 열 / 한전전력연구원

1. 머리말 예를 들어, 삼상 내철형 변압기의 1차측(전원측)에 Y


결선하여 사용할 경우, 배전계통에서 전선단선 고장이
변압기의 구조는 코일(권선)과 철심으로 구성되어 있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내철형 철심구조에 의해 변압기
으며, 그 특성은 코일의 결선방식과 철심의 구조에 따라 과부하 또는 소손이 발생된다.
다르게 발생된다. 대부분의 전기기술자들은 그림 1과 또한 상기 조건에서 전원계통에서 지락고장으로 불
같이 변압기의 결선방식에 따라 1-2차 전압 및 전류의 평형 전압 발생시, 내철형 철심구조에 의해 역기전력이
크기, 접지방식, 위상각은 잘 적용하고 있어 변압기 운 발생 되고, 이때 변압기에서 정격전류의 수십배의 고장
용상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전류를 역으로 공급함으로 인해 보호계전기가 오동작
그러나 변압기의 철심구조는 그림2와 같이 단상 되거나, 변압기 보호용 퓨즈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계
Bank(개별) 타입, 내철형(3각) 타입, 외철형(5각) 타입 3 통측 불평형 부하발생시 내철형 철심에 의해 내부순환
가지 형태로 분류되며, 배전선로, 부하특성, 정상상태 전류 발생으로 인한 변압기 온도상승, 손실증가, 계량오
및 비정상(고장)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변압기를 선정 차 발생 등 공급자와 수요자간에 다양한 문제발생이 예
해야 된다. 상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발생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계통 조건별로 적합한 변압기를 선정할 수 있도록 내철
형 변압기의 소손방지 대책을 제시하였다.

2. 내철형 변압기의 소손사례


그림 1 변압기 권선의 결선방식

최근 한전 배전선로에서 전선단선 고장으로 인한 전


원측 결상으로 수용가측 MOF 수십대가 소손되었다. 그
림3과 같이 MOF 내부 PT는 내철형(3각) 철심구조, 1-2
차 Y-Y결선, 전압비 120배(1차측 13200V, 2차측 110V),
용량 25VA로 제작되었다.
그림 2 변압기의 철심구조

18 전기의 세계
✚ 변압기 철심구조에 따른 문제발생 및 방지대책

점의 말단측 수용가에 설치된 MOF(18


대)가 연쇄적으로 2~3일 간격으로 PT의
1차측 권선이 소손되었다.
상기 MOF 소손과 동일한 조건에서 철
심구조에 따른 영향을 모의하기 위해서
그림4과 같이 정상상태, A상 단선, B상
단선 상태로 각각 MOF의 소손여부를
PSCAD/EMTDC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5와 같이
전원측 #1 MOF(정상구간)는 이상이 없
그림 3 MOF 내부 PT(내철형 변압기) 소손
었으나, 전선단선 지점 이후 #2~#5 MOF
는 과부하로 인하여 소손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MOF의 정격용량은 25[VA]로 정
상시에는 전력량계손실 3[W] 미만이지
만, 1선(A상) 단선시 약 250[VA], 2선(A,B
상) 단선시에는 약 450[VA] 까지 발생하
게 되며, 이는 현장상황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MOF 내부 PT는 내철형 철심
구조로 전선 단선시 MOF의 철심에 의해
건전상의 전압이 역으로 유기되어 단선
된 이후 배전선로 부하를 역으로 공급하
그림 4 전선 단선시 MOF위치별 선로구성도 기 때문에 1차 권선이 과부하로 소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변압기 철심구조별 특성실


험결과

비정상적인 배전계통 조건에서 그림 6


과 같이 전원측 A상전선이 단선될 때 단
상Bank 타입, 내철형 타입, 외철형 타입
3가지 철심형태별로 변압기 이상 유무를
해석하였다.
이때 배전용 변압기를 용량 150[kVA],
Y-Y결선, 1[Ω] 저항(100%부하)상태에서
그림 5 #1MOF 정상(좌) 및 #2~5 MOF 소손(우)
해석한 결과 표1 과 같이 내철형
상기 계통의 고장상황은 변전소 인출부분에서 개폐 (3Legged core) 타입은 단상 Bank 타입 및 외철형(5
기 리드선 불량으로 A상 단선 수십초 후, B상이 단선되 Legged core) 타입과 다르게 전원측 단선고장시 1차측
어 2시간 내에 복구를 완료하였다. 그러나 전선단선 지 에 정격전류 보다 약 14배(C상 54A) 큰 과전류가 발생

2012년 제61권 제2호 19


● 기 획 시 리 즈

그림 7 A상 COS OFF시 철심구조별 모의 2

표 2 COS OFF시, 철심구조별 모의 2 결과


그림 6 A상 전선 단선시 철심구조별 모의 1

표 1 전선 단선시, 철심구조별 모의 1 결과

과 외철형 변압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상기 변


하였으며, 이로 인해 변압기가 소손될 수 있는 것으로 압기 시험조건(Y-Y결선, 150kVA)에서 10[Km] 지점에
분석되었다. 시험용 변압기를 설치하고, 선로 말단측에서 1선 지락
모의 2는 상기 동일한 변압기조건에서 그림 7과 같이 고장이 발생한 경우, 내철형과 외철형 변압기의 특성을
변압기 1차의 A상 또는 A, B상 COS의 OFF시 철심구조 비교하였다.
별 변압기 2차측 전압과 전류 현상을 해석하였다. 분석 모의결과 내철형 변압기는 그림 8과 같이 1선지락 고
결과 표2와 같이 내철형 타입은 A상 OFF시 225 V, AB 장발생시 정격전류 4.0[A] 보다 큰 212[A](순시300A)의
상 OFF시 114 V로 전압이 유기되어, 운용변압기가 부적 고장전류가 전원계통으로 방출되였으며, 동일한 실험
절한 경우 현장에서 감전사고 또는 설비사고가 발생될 조건에서 외철형 변압기는 그림 9와 같이 고장전류를
수 있다. 방출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모의 3은 배전계통에서 1선지락 고장발생시 내철형 따라서 3상 내철형 변압기는 전원측 지락고장시 고장

20 전기의 세계
✚ 변압기 철심구조에 따른 문제발생 및 방지대책

그림 8 1선지락 고장발생시 내철형 변압기 모의 3

그림 10 불평형 부하발생시 내철형 변압기 모의 4

그림 9 1선지락 고장발생시 외철형 변압기 모의 3

전류에 의해 소손되거나, 변압기 2차측 부하와 무관하


게 휴즈가 동작하거나, 보호계전기가 오동작 현상이 발 그림 11 불평형 부하발생시 외철형 변압기 모의 4
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4는 상기 동일한 계통 조건에서 말단 부하를 각 배전선로에 사용하면 계통의 불평형 전류에 의해 변압
상 3,000[kW], 2,000[kW], 2,500[kW]로 적용하여 계통의 기 내부 순환전류가 발생되어 변압기가 과열되거나 손
부하불평형율 15%인 경우 내철형과 외철형 변압기의 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순환전류 발생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림9와 같이 내철형 변압기를 사용할 때, 전원계통 4. 모의실험 및 방지대책
의 불평형 전류로 인하여 내철형 변압기 1차측에 상별
로 각각 약 2[A] 동위상의 순환전류가 발생되었으며, 이 전절의 모의결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그림 12와 같이
때 중성선의 전류는 상전류 보다 3배 큰 약 6[A] 전류가 변압기의 철심형태별로 제작하여 실증시험을 수행한
발생되었다. 동일한 조건에서 그림11과 같이 외철형 변 결과, 모의결과와 실험값이 모두 일치하는 것으로 검증
압기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 외철형 변압기는 1차측에 되었다.
순환전류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내철형 변압기를 본 실증시험 및 모의를 통해서 상기고장 사례와 같은

2012년 제61권 제2호 21


● 기 획 시 리 즈

MOF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철심의 형


태를 외철형 타입 또는 단상 Bank 타입 형태
를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림 13는 기존의 내철형 MOF를 외철형(5
각 철심구조)으로 개선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상기 동일 계통조건에서 1선 단선시 또
는 2선 단선시 3.0[VA] 미만으로 종래 비정상
적인 계통조건에서 MOF가 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5. 결 론
그림 12 모의 배전선로 구성 및 비교검증 모습
국내와 같은 배전계통 조건에서 변압기 1
차(전원측) Y결선 상태에서 내철형 철심구
조를 적용하면 계통조건에 따라 변압기 과부
하, 파급소손, 온도상승, 손실증가, 보호계전
기 오동작, 휴즈용단, 역가압, 계량오차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L-L부하와 같은 영상분이 없는 전력
선간 부하는 변압기를 △결선을 적용해야 하
며, 영상성분이 존재하는 L-N부하는 Y결선
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
따라서 부하의 형태에 따라 변압기의 결선
△과 철심의 구조(3각, 5각)를 그림 14과 같
이 일치시켜야 한다.
그림 13 외철형 MOF 개선시 시뮬레이션 결과 즉, 변압기의 △결선을 사용하면 철심을
내철형으로 제작하고, 변압기가 Y결선시에
는 외철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또한 MOF
내부 PT철심은 단상 Bank타입 또는 5각 철심형태로 제
작해야만 중성선에 순환전류와 소손을 예방할 수 있으
며, 이와 관련된 규격 개정이 필요하다. 특히 L-L 부하와
L-N 부하의 비율에 따라 철심의 Outer Limb의 사이즈가
결정되며, 영상분이 없는 비접지선로 또는 1차(전원측)
△결선을 사용하는 변압기는 5각철심보다 3각철심 형
태로 사용하는 것이 제작원가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그림 14 변압기의 결선방식과 철심구조

22 전기의 세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