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과 급수 해설편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40

정답 및

해설
기초수학 미적분과 급수

Chapter 01. Chapter 01.


Chapter 02. Chapter 02.
Chapter 03. Chapter 03.
Chapter 04.
Chapter 05
CHAPTER 01

1. 풀이 참조 2. (1) (2) (3) (4)


(1) ⋯ 이므로
절댓값은 그 수의 부호를 없앤 수이다.
집합 ⋯ ⋯ 이다.
(2) ± ± ± ⋯ 이므로
⋯ 이다.
3. (1) (2) (3) (4) (5) (6)
집합 ⋯ 이다.
(1)
(2)
(3)
(4)
(5)
(6)

4. (1) (2) (3) (4)

(1)
(2)
(3)
(4)

5. (1) (2) (3) (4)

(1) × × × ×
(2) × × × ×
(3) × ×
(4) ×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2)

2 l 기초수학
(3) (3) × × × ×

(4) (4) × × × ×

(5) × × × × × ×

(5)
× × × ×
(6)
(6) × × ×
(7)
× × ×
(8)
× × ×
(9)
(7) ÷ × × ×

(8) ÷ ×

× ×

(9) × ×

(10)
(10) ÷ ×

×
(11)

8. (1) (2) (3) (4)

(5) (6) (7) (8)


(12)
(1)
(2)

(3)

(4)

(5) × ×

7. (1) (2) 2 (3) (4) 2 (5) 4 ×

(6) (7) 6 (8) -9 (9) -110 (10) (6)

(1) × × × ×
(7)

(2) × × × ×

정답 및 해설 l 3
× × 10.
(8) ×

9. (1) (2) (3) (4)


11. (1) 4 (2) (3) (4)

(5) (6) (7) (8) (5) (6) 25 (7) (8)

(1) ÷ × (1) = ×
(2) = × ×
(2) ÷ = × =
(3) × ×

(4) × ×
(3) ÷ ÷ ×
×

(5) ÷

(4) × ÷ ÷

×
(6) ÷
(5) ÷ × × ×
×
× ×
(7) × × × ×

(6) × ×

(8) ÷ ÷
× ×

12. (1) (2) (3)


(7) ÷
(4) (5) (6)
×
(1) =
=
(2)
(8) ÷

× (3) =
(4) = × ×
=
= =
(5) × ×
×

4 l 기초수학
×
(6) (9)

(10)

13. (1) (2)

(3) (4)
(1) 15. (1) (2) (3)

(4) (5)

(2) (6)

(1)

(3)
(2)
(4)

(3) ÷ ×
14. (1) (2) (3) (4)
÷ × ×

(5) (6) (7)

(8) (9) (10)


× (4)
(1)
×
×
(2) = = =
×
(5) ÷
(3)

(6)
(4)

(5) ×

×
(6)
×

(7)

(8)

정답 및 해설 l 5
16.
, 이고,
21. ③
이므로
① (거짓) 항은 , , 이다.
⇒ ⇒
② (거짓) 에 대한 이차식이다.
이므로
③ (참) 상수항은 이다.
⇒ 이다.
④ (거짓) 의 계수는 이다.

17. (1) (2) (3) (4)


22.
⑴ 두 인수의 상수항과 일차항, 일차항과 상수항의 곱을
⑵ 구해서 더하면 된다.
의 전개식에서 일차항의 계수는 ,

의 상수항은 이므로 × ,

⑷ 의 전개식에서 상수항은 ,
의 일차항은 이므로 ×
따라서 일차항의 계수는 이다.

18.
23.
이므로

19.
×
, 24. 풀이 참조
×
(1) (2)
(3) (4)

∴ (5) (6)
(7) (8)
(9) (10)

20.
일때 이므로 25. 풀이 참조
,
(1) × ×

(2) × × ×

(3)
× × × ×

6 l 기초수학
(4) 28. (1) (2) (3)
× × ×
에서 ≠ 이므로 양변을 로 나누면


(5)
(1)

(2) ⋅

(6)
(7) (3)
(8)
(9) ⋅
29. (1) (2) (3)
(10)
(4) (5)
(11)
(6) (7) (8)

(12)
(1)
(13)
× × × ×

(14) (2) ÷
× × × ×

(15)
(3) ÷ ×
× × × ×
× ×
(16)
(17) (4)

(18)
(19)
(20) (5)

26.
에서
이므로 이다.
(6)

27. 1

에서
이므로 × 이다.

정답 및 해설 l 7
31. (1) (2) (3)
(7)

(1)

(8)
(2)

(3)

32.
30. 몫: , 나머지 : 2
에서 이므로

직접 나눠서 구하기


-

-
33. (1) (2)

(3)
조립제법 이용하기

(1)
이므로 을

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은 조립제법에 의하여

(2)

따라서 을 으로 나누었을 때의
(3)
몫은 이고 나머지는 이다.

8 l 기초수학
34. (1) (2) (3) (4)

(1) ⋅
35. ⑤

을 나눌 수 있는 식을 찾는다.
(2) ⋅

(3) 36. 풀이 참조

(1)
(2) 의 공통인수는 이다.


(4) (3) 공통인수인 을 묶어낸다.

(4) 두 식의 공통인수는 이다.

37. 풀이 참조

(1)

(2)

(3)

(4)

(5)

정답 및 해설 l 9
(6) 39. (1) (2)

+1 = +1 (3) (4)

-2 = -10 (1) ∴
= -9 (2) ∴
(3) 로
(7) 인수분해되므로
-3 = -9 (4) 로
-4 = -8 인수분해되므로
-17

(8)
(9) 40. (1) □〓25 (2) □〓±

(10) 공통인수인 를 찾는다.


(3) (4)

(1)

(11) (2)
± ± ±
(12) (3)

(13) × ×
(4)
(14) × ×

(15)

(16)
41. (1) (2)

(1)
(17)

(18)
(2)
(19)

(20)

42.
38. 풀이 참조
×
(1)
(2)
(3)
43. 풀이 참조
(4)
(1)
(5) (2)
(6) (3)
(7) (4)
(8) (5)

10 l 기초수학
(6) (준식)
(7)
(8) (준식) 이므로
(9)
(10)
(11)
(12) (준식) (3) 라 하면
(13)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14)
(15) (준식)
(16) 이므로
(17) (준식)
(18)
(19)
(20)
(4) 라 하면 이므로
(21)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22)
(23)
(24)
이므로
(25)
(26)
(27)
(5) 이라 하면 이므로
(28)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29) (준식)

(30) (준식) 이므로

이다.

(6) 이라 하면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44. 풀이 참조

(1) 이라 하면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이므로

이므로

(7) 라 하면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2) 이라 하면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정답 및 해설 l 11
(11) [풀이1] 라 하면 이므로
조립제법에 의해서
이므로

이므로

(8) 이라 하면

이므로 조립제법에 의해서

[풀이2] 라 치환하면

이므로

(12) 라 하면
이므로 조립제법에 의해서

(9) 라고 하면
이므로
이므로 조립제법에 의해서

이므로

(13) 이라고 하면 이므로


조립제법에 의하여 인수분해 하면

(10) 라 하면

이므로 조립제법에 의해서

(14) 이라 하면 에서
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 또는 ± 이다.
이때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를
이므로 인수분해하면

12 l 기초수학
(15) 이라 하면 48.
에서 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
로 놓고,
또는 ± 또는 또는 ± 이다.
,
이때 , 이므로 조립제법을
라 하자.
이용하여 를 인수분해하면
이므로

49. (1) (2)



(3) (4)

(16) (5)

(6)

(1)

45.
는 로 나누어떨어지고, 이때 몫이 라고
위 식의 통분을 통해서 를 구하면
하면, 이고,
는 1을 인수로 가지므로 을 양변에
대입하면 이므로 ⇔

(2)
46.
는 의 인수를 갖고 있으므로
이므로
⇔ 이므로
× ∴
에서 ∴

(3)
47.
를 로 나눈 나머지가 이므로
이고,
양변에 를 대입하면 이다.
을 로 나눈 나머지가 이므로
이고,
양변에 를 대입하면 이다. ∴



정답 및 해설 l 13
(4)

이므로
50. (1) (2) (3)
(4) (5) 또는
(1) ⇒
⇒ ⇒ ∴
∴ (2) 의 양변에 을 곱하면


(3) 의 양변에 분모의 최소공배수

(5) 를 곱하면


(4)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이 되는 값은 이고, 이
,
값을 기준으로 의 범위를 나눈다.
,
(ⅰ) 일 때,


∴ ∴
(ⅱ) ≥ 일 때,

(6) 따라서 이지만, ≥ 이므로 은


해가 아니다.
여기서
(ⅰ), (ⅱ)에 의해서 이다.
(5)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0이 되는 값은
이고, 이 값을 기준으로 의 범위를
이므로
나눈다.
(ⅰ) 일 때, 이므로

∴ (ⅱ) ≤ 일 때, ≥ 이므로

그런데 ≤ 이므로 는 해가 아니다.
(ⅲ) ≥ 일 때, ≥ 이므로

(ⅰ), (ⅱ), (ⅲ)에 의해서 또는
이다.

51. (1) 또는 (2) 또는

(3) ± (4) 또는

(5) 또는 (6)

(7) ±

14 l 기초수학
(1) ∴ 또는
54.
(2) ∴ 또는
(3) ∴ ± 두 근을 로 놓으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4) ∴ 또는 이다. 식을 정리하면 이고 다

(5) ∴ 또는 른 식에 이 식을 대입하면 이다.

(6) ∴ 즉, 이므로 모든 의 값의 곱은

(7) 근의 공식에 대입하면


± ×
±
± ±
55. (1) (2)

(3) (4)

52. (5) ± ±
(1) ⇒

±
⇔ ⇒

(2) ⇒
∴ ∴
±

(3) 이라고 하면 이므로 조립


53. (1) (2) (3) (4) 제법에 의하여 인수분해하면

(5) (6) (7)

근과 계수의 관계로부터
(1) ×
(2) ∴
× × ∴

(3)
(4) 이라고 하면 이므로
조립제법에 의하여 인수분해하면
× ×
(4)
×

(5)

× × ×
(5) 로 치환하면 주어진 식은 이고,
(6) ⇔ 이므로
± ± 이다.
(7)

정답 및 해설 l 15
56. (1) (2) (3)

의 세 근을 라 할 때,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서 제시된 값을 구할 수 있다.
(1) ∴ ⋯
(2)
×
(3) 이므로

60. ①

57. ⇔
로 놓으면 이므로 ⇔

즉, 에서 ⇔
또는 ± ∴ 또는 또는 또는
이므로 따라서 모든 해의 합은 이다.

61.
58. 로 치환하면
삼차방정식 의 한 허근이 ⇔
이므로 다른 허근은 이다. ⇔
이 두 근을 갖는 이차방정식은 이므로 따라서 두 허근은 의두근 ± 이다.
나머지 한 근을 라 하면 ∴
이고,
을 대입하면 ∴
따라서 나머지 두 근의 합은 62. (1) , (2) ,

⋯⋯
(1) 연립방정식
⋯⋯
59.
㉠의 괄호를 풀면 ⋯⋯
에서 ⇔
× 를 하면 ⋯⋯
≠ 이므로
을 하면 ∴
, 을 ㉢에 대입하면 ∴

, (2)


, 에 대하여 정리하면 에

대하여 ⇒
,

16 l 기초수학
63.

⋯ 에서 ㉡ ㉢을 하면
⋯ 65. (1) (2)
∴ ⋯
(1) 이고,
㉢에 ㉣을 대입하면 ∴ ⋯
(2) 이고, 이다.
㉣, ㉤을 ㉠에 대입하면 식을 정리하면 이다.
∴ ,

66. (1) ≥ (2) ≤ (3) ≤


64. 가로 : cm, 세로 : cm
(1) ≥ 에서 괄호를 풀면
처음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cm, ≥ ⇒ ≥
세로의 길이를 cm라 하면 ≥ ∴ ≥
⋯ ⋯⋯
⋯ (2) 연립부등식
≥ ⋯⋯
㉡을 정리하면 ⋯ , ㉠에서 ⇒ ,
㉢을 ㉠에 대입하면 , ㉡에서 ≥ ⇒ ≥
이므로
따라서 처음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는 cm,
세로의 길이는 cm이다.
∴ ≤

⋯⋯
(3) 연립부등식
≥ ⋯⋯
× 를 하면
⇒ ∴
× 을 하면 ≥
⇒ ≥ ∴ ≤

∴ ≤

67. (1) (2)

(1) 이고 이어야 하므로

에서

⇒ 이므로

따라서 에서 ∴

⋯⋯
(2) 연립부등식
⋯⋯

정답 및 해설 l 17
㉠에서 ⇒ ,

㉡에서 ⇒
연립부등식의 해가 이므로 70. (1) (2) (3)


(1) 에서 이고

이므로 에서

68. 또는 ⇒ ∴ 또는
∴ ∵
(ⅰ) 일 때, 에서
(2) 에서

이므로 이다.
(ⅱ) ≤ 일 때, 에서

∴ ⇒ ∴
⇒ ∴ 또는
(ⅲ) ≥ 일 때, 에서

∴ ⇒ ∴ ≥ (3) ⋅⋅ 에서 로
치환하면 ,
(ⅰ), (ⅱ), (ⅲ)에서 또는
∴ 또는
그런데 이므로 이다. 즉, 에서
따라서 구하는 모든 근의 합은 이다.

69. (1) 또는 (2)

(3) ≥ 또는 ≤ (4) ≤ ≤
71. (1) (2) (3)

(1) 를 만족하는 (1) ≤ 에서 ≤


의 범위는 또는 이다.
(2) 를 만족하는 이고, 이므로 ≥
의 범위는 이다. ≤ , ≤
(3) ≥ 를 만족하는 ∴ ≤ ≤
의 범위는 ≥ 또는 ≤ 이다. 따라서 의 최솟값은 이고 최댓값은 이므로
(4) ≤ 를 만족하는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의 범위는 ≤ ≤ 이다. (2) 주어진 식에서 이므로

로 치환하면

⇒ ∴

그런데 이므로 ⇒

(3) ≤
⇒ ⋅ ≤
⇒ ≤
∴ ≤ ≤ 이고, ≤ ≤ 이다.
따라서, 모든 정수 의 값의 합은

18 l 기초수학
⇒ log log 라 하면

에서 이므로 log 에서

72. (1) (2) 이므로 ∴ log


[다른 풀이]
(1) log log log log log
이므로 모든 실수 에 대하여
log log log
(2) log ⋅log ⋅log ⋅ ⋅ ⇒ log log 에서
log log log
log
log 우변, 좌변의 밑을 로 통일 시키면
log
log log log 에서

⇒ 즉
73.

이므로 ∴ log
에서 이므로 log 이고,

에서 log

∴ log log

74.
log log 에서

을 만족하므로 이다.

log



⇒ 또는

조건 에 의해서 이다. ∴

75. log

이므로 모든 실수 에 대하여

log log

⇒ log log

⇒ log log

정답 및 해설 l 19
76. 풀이 참조

(1) ≤
(2) ≤ ⇒ ≤

(3) ≤ ⇒ ≤

(4) ≤ ⇒ ≤
(5) ≤ 을 만족하는 연립부등식을 풀자.
(ⅰ) ≥ ⇒ ≥ ≤
(ⅱ) ⇒
따라서 ≤ ≤ 이다.

(6) 를 만족하는 부등식을 ≥ 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 이다.

77. ≤

이므로 이다.
는 정수이므로
일 때, ≤ 이므로 ≤
또는 ≤ 또는 ≤ 또는 ≤ 이다.
∴ ≤

20 l 기초수학
CHAPTER 02

78. 풀이 참조 83. ③

(1) 축 대칭 : , 축 대칭 : , 일대일 대응은 이면 이고 공역과 치역이


원점 대칭 : 일치하는 함수를 말한다.
(2) 축 대칭 : , 축 대칭 : , 보기 중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ㄱ, ㄹ이다.
원점 대칭 : ㄴ.
ㄷ.

79.
84.
,
이므로
∴ ∘ ∘ ∘

80. (1) (2) 85.


(1) AB ∘
(2) AB
따라서 이므로 ∵

81.
AB 에서
이므로 , ± 86.
∴ (∵ 는 양수)

,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값들의 합은


82. ,
이다.
OA OB 에서 ⋯ ,
OB AB 에서 ⇔
이므로 ∵
㉠에 대입하면 87.
∴ ⋯㉠
이므로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정답 및 해설 l 21
88.
이므로 의 역함수를 구한다.

로 놓고 와 를 바꾸면 90. 풀이 참조

(1) 기울기가 절편이 이므로


이다. 이 식을 에 대하여 정리하면
(2) 에서

⇒ ⇒ 이고, (3) 에서

이다. (4) 에서

∴ × × (5) 평행한 직선 , 수직이 직선


(6) 평행한 직선: ⇒
수직인 직선: ⇒

89.
, , 이므로 , 91.
, 이다. 직선 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 ∘ 직선의 방정식은 이고,
이 직선이 점 을 지나므로
× , ∴

92.
와 축에 대하여 대칭인 직선 의 방정식은

이다. 구하는 직선은 과 수직이므로 기울기는

이고 점 을 지나므로 방정식은
즉, 이다.

93. (1) (2)

(1) ⇒ 이므로
교점의 좌표는 이다.

(2) ⇒ ⇒

이므로 교점의 좌표는 이다.

94. (1) (2)

(1) ⇔ 이므로

(2)

22 l 기초수학
(2)
95.
1 1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므로 한 직선 위의 임의의 점과 다른 직선 -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된다.


직선 위의 한 점 을 택하면
× × - 2

96. 그래프 참조
(3)
(1) ≥

2
1

- 1 1 2

(4)
(2) ≤
2
1

1
1 2

- 2

(3) ≤
(5)
1

-1 1

- 2 -1 1 2

- 1
2
-

97. 그래프 참조 (6)

(1)

1 5
-3 –2 -1

-1
(-2,1)
-
3
2

정답 및 해설 l 23
98. 그래프 참조

(1)

99. 그래프 참조

(1) ≥

(2)

(2) ≤

(3)

(4)

24 l 기초수학
100. 그래프 참조 의 그래프는 의 그래프와
축 대칭이므로 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1) ≥ ≤
이 된다.

103. (1) ≥ ≤ (2) ≠ 인 모든 실수

(3) ≤ (4)
(1) ≥ 이므로 ≤ ≥
(2) 이므로 ≠ 인 모든 실수
⋯⋯
(3)
≤ ⋯⋯
㉠은 이므로 ,
(2) ≥ ≤ ㉡은 ≤ 이므로
≤ , ≤ ≤
㉠, ㉡의 공통부분은 ≤
(4) ≥ ⇔ ≤
⇔ ≤ ⇔

104.

의 해가 ≤ 또는
≤ ⋯
≤ 이므로 ㉠의 해는 또는 ,
㉡의 해는 ≤ ≤ 이다.
101. 따라서 ㉠에서 ,

의 의 계수를 ≠ 라고 하면 두 근의 합은 ㉡에서 ≤
∴ ∴
18, 곱은 9이므로 이다.
이 식에 대신 를 대입하면
⇒ ⋅
이 식의 양변을 로 나누면
105. 최댓값 : , 최솟값 :

이 방정식의 두 근의 합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모든 에 대하여 ≥ 이 성립하기 위한 조


이다.
건은 ≤ 을 만족하면 된다.


102. 또는
⇔ ≤ ≤
이라 하면 그래프가 점 따라서 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다.
를 지나므로

에서
106.

이므로 꼭짓점의 좌표
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이므로 구간

≤ ≤ 에서 최솟값은 , 최댓값은 이다.
의 두 근은 또는 이다. ∴(최댓값)+(최솟값)

정답 및 해설 l 25
108. ③

② 서로 수직인 두 좌표축이 점근선이므로 직각쌍곡선이다.

107. 그래프 참조
③ 가 클수록 원점에서 멀어진다.
④ 직선 에 대칭이므로 역함수는 자기 자신이다.
(1)

109.
에서 이므로

와 의 점근선이 같으므로

(2)

110.
우변을 통분하여 정리하면

(3)

이고 이 식은 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

(4)

26 l 기초수학
직선 위에 있다.

따라서 에서 (단, ≥ )

111. 그래프 참조 ∴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이다.
(1)

115.
주어진 식은 이므로
로 치환하면 (단, ≥ )

(2) ∴ 또는
따라서 두 근의 합은 이다.

116.
주어진 식은 이고,
로 치환하면 주어진 식은
(단, ≥ ) ⇒
양변을 제곱해서 정리하면
112. ≤

(분모)≠ 이므로 ≠ 이다. 그러나 이면 ≠ 이므로 만 해가 된다.
또한 무리식의 정의역을 생각하면 그러므로 이고 따라서 두 근의 합은 이다.
≥ ⇒ ≤ ⇒ ≤ ≤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의 범위는 ≤ 이다.

113.
두 함수가 역함수 관계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은
와 의 교점과 같다.
에서 이고, 양변을 제곱하면



따라서 두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는 이므로 두 교점
의 거리는 이다.

114.
함수 와 그 역함수 의 그래프는
직선 에 대하여 대칭이고, 교점이 존재한다면

정답 및 해설 l 27
120. ≤ ≤

직선 는점 를 지나고
117. (1) (2) 기울기가 인 직선이다.
(3) 중심: , 반지름: 원 과 이 접할
(1) 중심이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의 방정식 때는 원의 중심 에서 직선 에 이르는
이므로 식에 대입하면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과 같을 때이므로

이다. ,
(2)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이 인 원의 방정식은
이고, 을 대입하면 이다. ,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이다. ∴


(3) 이고
따라서 원과 직선이 만나기 위한 실수 의 값의 범위는
이므로 중심은 이고,
반지름은 인 원이다.
≤ ≤ 이다.

118. ③

① 중심이 원점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② 중심이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다.
③ ⇔ 이므로
중심이 이고 반지름 인 원이다.
④ ⇔ 이
므로 중심이 이고 반지름 인 원이다. 121.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가 가장 큰 원은 ③이다. 원의 중심 에서 직선 에
이르는 거리는 이므로

에서 또는
119.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또는
따라서 모든 상수 의 값의 합은

122.
를 에 대입하면

이 이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원점 O를 지나는 지름의 양 끝점을 각각 P, Q라 하면 점 A 가 점


P의 위치에 있을 때 선분 OA 의 길이는 최대가 되고, 점 Q의 위
즉, 이므로
치에 있을 때 선분 OA의 길이는 최소가 된다. 따라서 구하는 선
분 OA 의 길이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원의 지름 PQ의 길이
와 같으므로 이다.

28 l 기초수학
123. 풀이 참조

(1)

(2)

정답 및 해설 l 29
CHAPTER 03

128. 제9항

첫째항이 이고, 공비가 인 등비수열의 일반항

124. (1) (2) 이다.


제 에서 처음으로 보다 커지다고 하면
(1) ⋯ 에서 첫째항은 이고,
공차 이므로 이다. 이라 할 수 있고, 이므로 이다.

(2) ⋯에서 첫째항은 이고,


공차 이므로 이다.
129.
곡선 와 직선 가 만나는 교점의
125. 좌표는 방정식 의 근이다.
과 사이의 두 수를 라고 하자. 서로 다른 세 근이 등비수열의 관계를 이루기 때문에
공차를 라고 하면 이라 하자.
는 (i) 세 근의 합
등차수열이다. 따라서 이고,

이다.
(ii) 두 근끼리의 곱

위의 식 (i)에 의해서
126.
(iii) 세 근의 곱
삼차방정식의 세 근이 등차수열을 이루기 때문에
라고 하자. 위의 식 (ii)에 의해서 이다.
(ⅰ) 세 근의 합은 이므로
이다.
즉, 는 방정식의 근이 되므로
130.
라 할 때,
이다. ⇒ 첫째항을 , 공비를 이라고 하면

(ⅱ) 세 근의 곱은 이므로 (i) ⇒


을 대입해서 공차 를 구하면
⇒ ⇒ ⇒ ∵ (ii)
이다.
⇒ ,

(iii)
127.

≥ 이고, 이다.
위의 에 을 대입하면 이므로 131.
일반항 ≥ 이다.

≥ 이고, 이다.
위의 에 을 대입하면 이므로

일반항 ≥ 이다.

30 l 기초수학
132.
134. (1) (2) (3) (4)

(1) × ×
⋅ ⋅ ⋅
(2) × ×
(3) × × ×
(4) ×

133. (1) (2)


135.
(1) 이고,

136.
× ×

137. (1) (2) (3) (4) (5) (6)

(1)
(2)
× ×
(2) ⋯ 이고, (3)

× ×
(4)

×
(5)

×
(6)

138.
남자 명중 명을 고르는 경우의 수는
×
이고

여자 명중 명을 고르는 경우의 수는
× ×
이므로

총 경우의 수는 × 이다.

139.
서로 다른 수학문제집 권 중 권을 뽑는 경우의 수는
×
이고

서로 다른 영어문제집 권 중 권을 뽑는 경우의 수는
×
이므로

총 경우의 수는 × 이다.

정답 및 해설 l 31
CHAPTER 01

1. (1) ln
(2)
ln 2. (1) cos (2) sin (3) sin

(4) tan (5) sin (6) sec


밑수도 미지수, 지수도 미지수를 포함하고 있는 식은
ln
항상 와 같이 변환시킨다. (1) sin cos
ln ln
(1)
(2) sin × sin
ln
ln
(2)
(3) cos × sin

(4) tan × tan

(5) sin sin


sin × sin

(6) 삼각함수의 변환공식에 의해서

sin sin , cos sin ,

tan tan , tan tan

sin cos , cos cos

(준식) sin sin tan tan cos cos


tan sec

3.
주어진 그래프는 cos 이고, sin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으므로 sin sin 이므로

이고, 이다.

4. sin , cos , tan

tan 일 때, sin cos 이다.

sin sin cos ,

sin
cos cos sin , tan
cos

32 | 미적분과 급수
5. 8. or

sin 이므로 직각삼각형을 그려서


sin cos sin cos
tan 임을 확인할 수있다. sin cos cos sin

tan tan sin


tan tan ·
tan sin 이므로 or
O 이고,

식을 정리하면
이고, tan 라고 치환하면 이다. or
o 이다.

⇒ ⇒
9.

cos sin

따라서 tan 이다. cos sin

sin

6. (여기서 cos , sin )

주어진 두 직선과 축이 이루는 각을 각각 라고 할 때,


최댓값은 이므로 (∵ )
tan tan 이라고 할 수 있다. 두 직선의 사잇각을

라고 할 때,
tan tan 10. (1) (2) (3)
tan tan 이고,
tan ·tan

이므로 (4) (5) (6)

(1) sin 라 하면 sin 이고 이다.


tan tan ⇒
sin

(2) tan 라 하면 tan 이고 이다.

7. 풀이 참조 tan

cos sin cos sin (3) tan 라 하면 tan 이고 cos 이다.

cos cos sin sin cos tan

cos 이거나 또는 (4) sin sin sin sin

cos sin cos sin (5) sin sin 이다.

sin cos cos sin sin ∵ sin 라 하면 sin 이고 이다.

이다. 따라서 주기는 이고, 최댓값은 ,


(6) cos cos 이고,
최솟값은 , 진폭은 이다.

정답 및 해설 l 33
cos cos 을 이용하자.
12.
cos cos 이다.
cos 라 하고 cos 라 하자.

즉 cos cos 이다.

11. (1) (2) (3) sin sin sin cos cos sin 이므로

sin 이고 sin 이다.


(4) (5)
(단, 이 값들은 직각삼각형과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하여 얻었
(1) cos 라 하면 우리의 목표는 sin tan 가
고, ≤ ≤ 임을 명심하자.)

된다. 여기서 cos 이므로 직각삼각형의 성질에 따라서

sin sin × ×
의해 sin tan 이다.

∴ sin tan

tan tan tan


13. ≤ ≤

(2) tan tan sin 의 정의역은 ≤ ≤ 이므로 sin ⋆에


tan tan tan 서 ⋆의 범위는 ≤⋆≤ 이다.
따라서 sin 에서 ≤ ≤ 을
× 만족한다.

(3) cos 라 두면 cos 이다. ≤ ≤


⇒ ≤ ≤ ⇒ ≤ ≤
sin cos

(4) sin 라 하면 sin 이고, cos 이다.


14. 정답 ①

cos sin cos cos sin ① (참) 일 때,

tan tan tan cot


(5) tan , tan 라 하면

② (거짓) cos sin ≠


tan , tan 이므로
③ (거짓) sin sin
tan ④ (거짓) sin sin sin sin
tan 이다.
tan
sin sin sin
여기서 이고,
⑤ (거짓)

이다. 또한, tan tan 이므로 tan tan tan tan

tan tan tan


tan tan
tan 을
tan ⋅tan 따라서 옳은 것은 ①이다.

만족하는 이다.

34 | 미적분과 급수
19. ln

sinh ln 이므로 를 대입하자.


15.
tanh sinh ln ln
⇔ ⇔

cosh × 20. ln

cosh ≥ ≥ 를 에 대하여

대칭시키면 cosh ≥ ≥ 이다.


16.
(i) cosh ⇔ cosh
(ii) 의 양변에 을 곱하여 정리하면
tanh tanh
tanh 이고 근의 공식에 의하여
tanh tanh
×
∵ ≥ ≥
∴ cosh ln
17.
ln cosh sinh ln cosh sinh 21. ln

ln cosh sinh ln cosh sinh


tanh 를
ln ln
에 대하여 대칭시키면

tanh 이다.
18. 풀이 참조
(i) tanh ⇔ tanh
sinh
(1) tanh 이므로
cosh
(ii) ⇒
ln
tanh ln ln 이 성립한다.
⇒ ⇒
sinh
(2) tanh 이고, cosh sinh
cosh ∴ tanh ln
cosh sinh 이므로
sinh
tanh cosh 22. 풀이 참조
tanh sinh
sec 라고 치환하면 cos , tan 이다.
cosh
cosh sinh ln sec tan ln cosh 이 므 로
가 성립한다.
cosh sinh cosh 이고, sec cosh 이다.
(3) cosh sinh 이므로
cosh sinh 이고,

cosh sinh
23. 풀이 참조

csc 라고 치환하면 sin , cot 이다.


이므로 cosh sinh cosh sinh 이 성립한다.

ln csc cot ln cosh 이므로


cosh 이고, csc cosh 이다.

정답 및 해설 l 35
① 불가능

② 가능
24.
③ 에서 대입하면
cos ⇒ cos cos

가능
sin ×

④ 에서 대입하면
sin ⇒ sin sin

가능
cos

∴ 극좌표가 인 점을 직교좌표로 나타내면

이다.
27. 풀이 참조

(1) 이므로 ⇔ 이다. 따라


서 이다.
25. ④
(2) cot csc ⇔
cos
·
sin sin
⇒ ,
⇔ sin sin cos
tan ⇒ tan ⇔ sin sin cos

직교좌표 을 극좌표 로 나타낼 수 있다. cot csc 는 직교방정식으로
즉, 의 그래프
또한 극좌표의 성질 에 의해서 정수 를 나타낸 것이다.
(3) sin 의 양변에 을 곱하면 sin 이고,
에 대하여 가 성립한다.
, sin 이므로 이다.

이면 (4) csc 의 양변에 sin 를 곱하면


sin

이면 sin 이고, sin 이므로 이다.

이면 , … 이 성립한다.
28. 풀이 참조

(1) sin 이므로 ⇔ sin 이다.


26. ① 따라서 csc 이다.
sin
이고, 이므로 (2) cos , sin 이므로
이다. ⇔ cos sin 이다. 따라서

tan ⇒ tan 이고, 2사분면이다. cos


sin cos ⇔ ⇔ csc cot
sin
즉 이다. (3) , 이므로
⇔ cos ⇔ cos 이다.
따라서 cos , sin 이므로
(4) ,
⇔ cos sin
⇔ cos sin ⇔ cos 이다.
( 정수)

36 | 미적분과 급수
29. ④ ⇔
즉, 타원이다.
원점을 지난다는 것은 이 되는 것과 같다.
① sin 는 일 때, 이므로 원점을 지난다.
(2) , cos sin 이므로
② cos 는 일 때, 이므로 원점을
⇔ sin
sin
지난다.
③ tan 는 일 때, 이므로 원점을 지난다. ⇔
④ sec 는 직선 이므로 원점을 지나지 ⇔
않는다. ⇔

즉, 쌍곡선이다.
30. ②, ④

그래프를 그려서 간단히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3) 의 양변에 sin 를 곱하면


sin
식을 통해서 정리하고자 한다면, 인지
sin 이고, , sin 이므로
확인하자.
① sin sin ⇔ ⇔
sin
② cos cos
이다. 양변을 제곱하면 이므로
③ sin sin
는 포물선이다.
④ cos cos
따라서 극축에 대칭인 것은 ②, ④이다.
(4) 의 양변에 sin 를 곱하면
sin
sin 이고, , sin 이므로
31. 4개

두 극곡선의 교점은 sin
cos sin ⇔ cos sin 일 때이다. ⇔
수식으로는 계산이 복잡하므로 그림으로 확인하자. 이다. 양 변을 제곱하면
교점은 4개이다. ⇔
이므로 타원이다.

32. (1) 타원 (2) 쌍곡선 (3) 포물선 (4) 타원

(1) , cos sin 이므로

⇔ cos
cos



정답 및 해설 l 37
CHAPTER 02

36.
에서 연속이기 위해서 lim 가 성립해

33. (1) 존재하지 않는다. (2) 존재하지 않는다. (3) 야 한다.

lim ①

(1) lim 이므로 에서 ② lim lim lim
→ lim → → →

극한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①과 ②가 같아야 하므로 이다.

lim

(2) lim 이므로 에서
→ lim
→ 37. (1) 존재하지 않는다. (2) 존재하지 않는다.
극한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3) (4) 존재하지 않는다.
lim
(3) lim →
이므로 에서 lim tan
→ lim (1) lim tan →
→ →
lim tan
극한값은 lim 이다. →

즉, 우극한은 이고 좌극한은 이므로 발산한다.

(2) lim
34. ③ →

① lim 이다. lim


→ →

② lim 이다. 이므로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3) 일때 ≤ 이므로
③ 에서 좌극한은 이고, 우극한은 이다. 따라서
∴ lim
에서의 극한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
④ 절댓값에 의해 좌극한은 이고 우극한도 이 된다. 따라서 극
(4) lim lim
한값은 이다. →∞ →∞

(단, ≤ ≤ )이므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다. 즉, 값에 따라서 값이 달라진다.

35. (1) 존재하지 않는다. (2)

(1) lim sin (진동)


38.

(2) ≤ sin ≤ (i) lim 이므로 lim


→ →
⇔ lim ≤ lim sin ≤ lim
→ → → (ii) lim 이므로 lim
→ →
⇒ lim sin
→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은 0과 1이 될 수 없고,
좌극한과 우극한값이 같다.

⇔ ⇔

38 | 미적분과 급수
39. lim

(i) 극한값이 존재한다. ⇒


가 불연속인 점은 이고,
⇔ 이다.
가 불연속인 점은 이므로
(ii) 극한값과 함숫값이 같다. 일 때 ①과 ②도 같다.
이다.

40.
(1) 일 때, lim 이므로,
→∞

lim
→∞

(2) 일 때,

lim lim
→∞ →∞

(3) 일 때,
(4) 일 때, 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래프는 위와 같고 ± 에서 불연속이다.


즉 값들의 합은 이다.

41.
에서 연속이기 위해 lim 가 성립해야 한다.

lim ⋯
② lim →
→ lim ⋯

lim lim
→ →

정답 및 해설 l 39
48. 풀이 참조

tan sec
(1)
tan
42. 풀이 참조
(2) cos sin
(1) ,
(3) csc csc cot csc

(2) , cos sin cos sin


(4)

(3) , sec tan sec sec tan


(5)
sec
sec tan
sec
43. (6) sec tan sec
이고, 을 대입하면 이다.

49. (1) (2) (3)

44. (4) (5) (6)

(1)
이고, 를 대입하면 이다.

(2) ,

45. (3) ,

cos cos sin sin


주어진 함수 을 으로 (4) ,
cos
변형시키고 분수함수 미분법을 적용하면 (5) tan sec ,
(6)
이고,


이므로

46. 50. (1) , (2) sin ×

(1) 에 대하여

47. ⇒

(준식) ⇒ ⋮

sec ·tan ·tan sec sec



tan

40 | 미적분과 급수
(2) sin sin ×

⇒ cos sin ×

⇒ sin sin × 52. (1) (2) (3)

⇒ cos sin ×
(4) (5) (6) (7) (8)
⇒ ⋮
⇒ sin × (1)

(2)

51. (3)
에 대하여

(4) sec tan


C C C
C C C sec tan
C C C
C C C sec

(5) sin cos

(6) sin cos

(7) cos sin

(8) cos sin

53. (1) (2) (3) (4) tanh

sinh
(5) (6) sin sin

cos
(1) cos

sin

(2)
sin cos

sec tan

정답 및 해설 l 41
cos
(3) tan (4)
cos

sec
cos

sec sec

(4) tanh sech

tanh
cosh
(5) sinh

sinh

(6) cos cos cos cos

sin sin

sin sin

cos cos cos sin sin


+ cos cos cos sin sin
cos cos cos cos

⇒ cos cos cos cos

54. (1) (2) (3) (4)

(1) sin sin · sin

(2)

(3)

(∵

42 | 미적분과 급수
(1) sinh

55. 풀이 참조

(1) sin 일 때, cos


(2) sin 일 때, sin cos sin
(2) cosh
(3) cos 일 때,
cos · sin · sin cos

(4) 일때
·
cosh
(5) sinh 일때
sinh (3) tanh ln ln 이고,

ln ln
(6) 일 때, ln · tanh

(7) ln sec tan 일 때,


sec tan sec
sec tan
(4) csch sinh
sec sec tan
sec
sec tan
(8) ln csc cot 일 때,
csc cot csc
csc cot
csc cot csc
csc
csc cot
(5) sech cosh

56.
∘ ⋅
∘ ⋅
⋅ ⋅ (6) coth tanh

57.

⋅ ⇔ 이므로
59. sec

을 대입하면 이다.
sec sec
tan sec

sec sec (∵ 이므로 sec )


sec
58. 풀이 참조

60. csc
sin sin
csc
cos sin sin

정답 및 해설 l 43
61.
cos sin 64. ①
cos cos
편미분을 이용한 음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자.
양변을 로 미분하면
cos 이라 하자.
cos cos sin
sin
⇔ cos cos cos sin
sin
cos sin

cos cos
[편미분을 이용한 풀이]
sin cos 일 때, 65.
cos sin 주어진 함수를 변형해서 합성함수 미분을 이용하자.
cos cos 이므로 ⇒
cos sin
이다. , 이므로
cos cos

62.
66. 풀이 참조
의 양변을 로 미분하면
(1) sin ⇔ sin 일 때, cos
이고, sin 의 양변을 로 미분하면
, 을 대입하면
cos ⇔
cos
, ∴ ⇔ sin

따라서 점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다. (2) cos ⇔ cos 일 때, sin


[편미분을 이용한 풀이] 이고, cos 의 양변을 로 미분하면

sin ⇔
sin
· ,
⇔ cos
· ,

(3) tan ⇔ tan 일 때, cos 이고,

tan 의 양변을 로 미분하면

sec ⇔ cos
63.
⇔ tan
ln 라 하고 편미분을 이용해서 접선의 기울
기를 구하자. (4) csc ⇔ csc 일 때,

ln , 라고 하자. sin tan 이고,

csc 의 양변을 로 미분하면


, 이므로
csc cot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이다. ⇔ sin tan

⇔ csc

(5) sec ⇔ sec 일 때,

44 | 미적분과 급수
cos cot 이고, ⇔ ⇒

sec 의 양변을 로 미분하면


sec tan
⇔ cos cot
cos
⇔ sec 70.
(6) cot ⇔ cot 일 때,
을 에 대하여 대칭시키면
sin
sin 이고,
⇔ sin ⇔ sin 이므로
cot 의 양변을 로 미분하면 sin

csc ⇔ sin sin

⇔ cot cos
⇒ cos

67.
sin sin sin 71.
cos sin sin
[풀이1] 직접 역함수를 구한다.
tan 를 에 대하여 대칭을 시키면

tan ⇔ tan ⇔ tan

이므로 tan 이고, ,

68.
sec
[풀이2] tan 에 대하여
tan
tan 이고,
tan 라고 할 때, tan sec 이다.
sec
,
tan tan

69.
72.
tan
tanh 이고, 의 역함수 의 정의역이 일 때,
tan 이고,
ln 이다.

tan 이므로
⇒ 이다.

정답 및 해설 l 45
일 때이다.
73.
cos ,
가 을 지나므로
sin
⇔ 이다.
, 일 때, sin

이다. cos

74.

이고, 이다.

이다. 78.
,
을 만족하는 이다.
즉, 일 때 원점을 지나는 매개함수이다.
75.
, 이고 원점은 일 때이므로
라고 하자.
곡선의 원점에서의 기울기 는

79.
따라서 이다.
, 이므로

76. ⇒ ⇒
의 역함수를 라고 하면
⇒ 또는
이고 이다.
(i) 일 때, , 이므로 정수가
이므로 ,
아니므로 정수가 아니다.
이므로
(ii) 일 때, , 이므로 ,

80.
77. ,
sin cos
이다.
cos sin
sin cos 을 만족하는

46 | 미적분과 급수
sin cos
sin , cos tan
cos sin

, 이므로

이다.
84.
극곡선의 접선의 기울기 는 매개함수 미분법을

81. 이용한다.
cos
sin 를 를 사용하여 매개변수
sin
sin , cos
미분을 한다.
sin cos
sin , cos
cos sin
sin cos
cot
· · cos sin
꼴이므로
· ·

수직접선을 갖는다.
85.
cos 이므로 인 수직접선을 갖는다.
극곡선의 접선의 기울기 는 매개함수 미분법을

이용한다.
cos
sin 를 를 사용하여 매개변수
82. sin
미분을 한다.
sin
sin , cos

cos sin cos


tan
cos sin
sin cos
cos sin

· · 86.
ln ln
ln
· ·
⇒ ln ln ln
ln
⇒ ⇒

83.
극곡선의 접선의 기울기 는 매개함수 미분법을
87.
이용한다.
sin sin ln
cos
cos 를 를 사용하여 매개변수
sin sin
⇒ cos ln sin
미분을 한다.

cos sin ⇒
,

Sin 퐕
y.sc

정답 및 해설 l 47
88. (1) (2) (3) 92.
ln
(1) 을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
ln ln 이다.

ln ·

∴ ln ⋅

ln

ln
93. ,
(2) ⇒
ln ln ⇒ sin
ln ln ⇒
ln ln sin
(3) ⇒
ln ln sin
ln
⋅ · ⇒
sin
ln ln
· · ⇒

sin
89. sin

양변에 ln을 씌우면 곱으로 연결된 인수를 덧셈으로


sin
나타낼 수 있다.

ln ln ln ln 이고 양변을 에 sin

대해서 미분하면 을 지나는 곡선 ⇒ sin

sin

90. 94.

⇒ ⋅
으 식을 정리하면 이다.
a

91. 풀이 참조

(1) ln
sin sin
(2)

(3)

48 | 미적분과 급수
95. 98.
이고,
ln

·
ln ln 이고,

치환적분법에 의하여
따라서 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이다.
ln ln ( , )

ln ln ( , )
96. cos sin
이므로
sin cos
ln ln 이다. 따라서

cos cos ln ln ln ln 이므로


이므로 이다.
cos sin

∴ cos sin cos sin


[다른 풀이]

로 치환하면 이고 구간도 변경된다.

sin sin

sin sin ·

cos sin

cos sin
cos sin

97. sin

라고 치환하면

, , 이므로

sin sin

sin 이다.

따라서

sin sin sin

이므로 sin

정답 및 해설 l 49

99. (1) sin sin (2) sin

(3) (4)
sin

(5) (6) ln
(2)

(1) cos sin



sin sin

(2) cos sin sin


(3)

cos
(3) cos sin
sin

sin
sin
ln ln

(4) ⇒ (4) , , ,

(5) 로 치환하면

⇒ 이므로

ln ln

ln ln

(6) ( ) (5) 로 치환하면


ln ln ln ln

100. (1) (2) (3) ln

(4) ln (5) (6)


(6)

(1)

50 | 미적분과 급수
102. (1) ln (2)

(3) · (4)
101. (1) (2)
(1) 미분공식을 적용해서 구할 수도 있다.
(3) (4) ln

(1) sin 로 치환하면 cos

(2) sec , sec tan 로 치환하면,


cos
cos
의 범위는 부터 이고, 여기서 sec 을 만족
또는 공식에 의해서
한다. 따라서 sec tan 이다.
sin sin
sec · tan · sec tan

sin cos tan sec


(2) ,

cos tan tan


sin cos
·
csc cot

(3) sec , sec tan 로 치환하자.


sec tan
sec · tan

(3) sec

cos

sin ·

sin (4) sec , sec tan ,

sec sec tan

(4)
sec tan

sin sec tan


cos

cos
cos cos sec

sin ⋅
sin

정답 및 해설 l 51
103. (1) ln (2) ln 104. (1) ln

(3) ln (4)
(2) ln tan
(1) 미분공식에 적용하거나, 삼각치환적분을 할 수 있다.
(3) ln (4)
ln
(5) ln (6) ln

(2) (1)

( , ) ln

(2)

ln ln

ln tan
(3) ( , )
(3)

ln

ln ln ln ln

ln ln
(4) , ,

ln ± ln
±
이다. 정적분의 경우 적분상수가 의미가 없기 때문
에 ln 를 적분상수로 생각하고 적분할 수 있
다.

example)
(5) , , ,
ln ln

ln

ln

(4) ln ln ln

(6) 로 치환하면 이므로


tan ·

ln ln

52 | 미적분과 급수
105. (1) ln (2) ln (3) ln ln (6)

(4) ln ln (5) ln ln (6) ln

(1)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2) 106. (1) ln

(2) ln ln tan

ln ln
(3) ln ln tan
ln ln ln

ln ln ln (4) ln ln tan

(1)
(3)

ln ln

ln ln tan
ln ln ln ln ln

ln ln ln

(4)

(2)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5) ln ln tan

ln ln ln tan tan

ln ln
ln ln tan
ln ln ln ln ln ln

정답 및 해설 l 53
tan tan 라고 할 때, (3)
tan tan 이다.
tan tan
tan 이므로
tan ·tan ·

tan tan tan 이다.


ln ln tan

(3) (4)

ln ln tan

ln ln
(4)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ln tan
ln

107. (1) ln (2) ln ln


108. (1) (2) ln

(3) ln ln tan (4) ln


(3) ln tan

(1)
(4) ln ln

tan

ln ln (1)

ln ln ln ln
tan
ln ln ln

ln ln ln tan

(2) (2)

ln ln ln tan

ln ln tan tan

54 | 미적분과 급수
tan tan
ln

ln
tan tan

(3) (2) 로 치환하면 ln 이고 이므로

ln tan

ln ln

(4) ln ln

(3) 로 치환하면 이고
이므로

ln ln
ln ln
ln ln
(4) 로 치환하면 이고 이므로
tan

ln ln

tan

109. (1) tan

(2) ln ln
(3) ln ln

(4) ln ln
ln ln

(1) , ln ,
ln ln

ln ln

정답 및 해설 l 55
(6) ln ln
110. (1) ln (2) ln
ln ln ln

(3) ln (4) ln
(7) 단순 치환적분(덩어리 적분)을 이용해야한다.
ln
(5) (6) ln ln
ln

(7) ln (8)
ln
(8) ln ln ·
(1) ln ln ln

ln ln
ln

ln ln
(2) ln ln ⋅ ln ln
ln
ln

ln 111. (1) (2) ln

(3) ln ln ⋅ (3) (4) ln

ln ln ln
(5) (6)
ln
(1) 두 가지 풀이법을 적용해보자.
ln
[풀이1] 이라 하고, 부분적분을 이용하면
ln
(4) ln
cos cos
ln
ln cos cos

[다른 풀이_공식 적용]


여기서 cos cos 인 성질을 이용하여
ln ln
계산하고, 이 기함수 이므로
ln
이다.

(5) ln ln
[풀이2] 우함수와 기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자.
ln
라고 하고, cos sin 을 이용하면
ln ⋅

cos sin

ln
sin ·
ln
ln

56 | 미적분과 급수
(2) tan tan sinh

tan
sinh 에서 tan 로

치환하면
tan ln
tan
tan ln ln ln sec
sec

ln sec tan
(3) tan tan

tan ln sec sec

ln sec sec
tan

tan tan ln

tan tan sec tan ln sec tan ln sec tan

ln ln

ln
(4) 로 치환하면 이고 일 때

일때 이다.

tan tan 부분적분에


112. (1) (2) (3)

의해서 은 적분하고, tan 는 미분하자. (4) (5) (6) (7)


tan
(1) sin

tan ln
cos sin

ln ln

(5) sinh 로 두고 부분적분을 하면

sinh sinh
sin

sinh cos
ln
ln sin

(6) sinh 로 두고 부분적분을 하면 sin


(2)
sinh
cos sin cos

정답 및 해설 l 57
cos sin cos

sin

cos

sin (6) 주어진 식을 부분적분하면

cosh sinh cosh


cos
sinh cosh cosh

(3)

(7) 절댓값의 핵심은 구간을 나눌 수 있어야 한다. 절댓값 안이 양


수인 경우와 음수인 경우로 나누자.

cos cos cos


[다른 풀이]

cos cos

sin cos sin cos

113. (1) (2)

(4) (3) (4)

sin cos
(1) sin

(5)

58 | 미적분과 급수
cos
cos sin (2) cos ·
(2) cos

cos

sin cos

(3) tan sec


(3) sinh
sec

sec

sec 로 두고 부분적분을 하면

tan tan

cosh tan ln cos


(4)

(4) 로 치환하면 이므로

cos cos

sin cos

114. (1) (2) (3) tan lncos

(4)
115.

sin cos (i)


(1) sin cos
cos

cos cos

cos sin sin (ii) (덩어리적분)

cos cos cos


(i) (ii)에 의해서
cos sin
cos cos sin

sin sin

정답 및 해설 l 59
sec sec tan
sec
sec tan
116. 풀이 참조
이므로 미분의 역연산을 통해서 적분 공식을 정리할

(1) sin sin sin 수 있다. 따라서 sec ln sec tan 이다.

(3) tan sec 이므로 미분의 역연산을 통해서 적분


sin cos
공식을 정리하면 sec tan 이다.

(4) tan sec tan


sin sin cos
(5) tan tan tan
cos cos
sec tan

sec tan tan


cos cos
(2) sin cos tan ln cos

cos
sec tan sec
cos
tan

cos
tan

sin
(6) tan sec tan sec sec
sin
sec (덩어리적분)
(3) sin cos sin sin cos
csc cot csc
(7) ln csc cot
sin cos cos csc cot
csc csc cot
sincos sin cos csc cot
csc
cos cos
이므로 미분의 역연산을 통해서 적분 공식을 정리하면
(4) sin cos sin cos cos csc ln csc cot 이다.

∵ cos sin (8) cot csc 이므로 미분의 역연산을 통해서


sin sin cos 적분 공식을 정리하면 csc cot 이다.

sin sin sin cos (9) cot cot cot

sin sin sin csc cot

csc cot cot

117. 풀이 참조
cot ln sin
sin
(1) tan ln cos
cos (10) csc csc 로 두고 부분적분을 하면
ln sec csc csc csc 에서
sec tan sec
(2) ln sec tan cot csc csc cot
sec tan

60 | 미적분과 급수
cot csc csc csc 적분값을 구하기 위해 로 치환하면

cot csc csc csc


sin
cos
csc cot csc csc tan cot 가 되고,
sin
cos
cot csc ln csc cot

∴ csc cot csc lncsc cot 같은 이유에서 cot tan 가 된다.

tan
tan cot

118. (1) (2) (3) (4) tan

(1) sin cos sin cos tan cot

sin cot
cot tan
(2) 삼각함수의 반각공식을 이용해서 식을 정리하자.
이므로 처음식이랑 치환된 식
cos
cos , cos cos ,
cot
이랑 더하면
cos cos 이므로 cot tan

cos cos cot tan


이므로
cot tan
cos cos

(3) cos sin 이므로


120.
sin cos sin sin 라고 치환하면 , 구간도 같이 변경하면

⋅ ⋅ ⋅

이다. 처음식과 치환된 식을 더하면


(4) cos sin

cos
sin sin ∵sin

sin sin

· · · 이다.

따라서 이다.

119.
121. (1) tan
tan
라 하자.
tan cot
(2) ln

정답 및 해설 l 61
(3) cot

sin cos ⋅ ⋅
(4) ln
sin cos ln ln

(5) ln (6) ln ln

(1) tan 일 때, , cos tan


ln
tan
cos

sin cos
ln
sin cos

tan

(5) tan 로 치환하면 tan ,

(2) tan 일 때, tan ,


, cos , sin 이므로

tan
sin cos


ln ln tan

ln ln ln

ln ln ln
(3) tan 로 치환하면 tan , ,

cos 이므로
(6) cos 로 치환하면 sin 이므로
⋅ sin sin cos
cos
cos cos

cot 이다. ( 는 상수)

ln ln

(4) tan 로 치환하면 tan , ,

cos , sin 이므로

sin cos


⋅ ⋅

62 | 미적분과 급수
122. (4) sin
tan
, , 로 치환하고 (1) sec tan
cos
로 놓고 부분적분을 사용하면
sec tan sec tan

sec sec sec tan 이므로

sec 로 치환하면 sec tan 이다. 따라서


sec sec sec tan

sec sec ( 는 적분상수)

(2) 로 치환하면 , 이므로


이다. 따라서 부분적분법에

의하여 라 하면 이므로

이다.

123.
(3) 이므로
, ,

sin 로 치환하면 sin ,

cos 이다. 따라서

sin ⋅ cos

cos cos

sin 이다.

(4)

124. (1) sec sec

(2)

(3) sin ( 는 적분상수)

정답 및 해설 l 63
CHAPTER 03

즉, 을 만족해야한다.
⇒ 이고,
⇒ ⇔
125. 이고, 라고 할 수 있다.
이므로 이다.
라 하자.

⇒ ⇒

접선의 방정식은 이다.


129. ⑤

과 와의 교점의 좌표는 방정식 cos 라 하자.


의 해이다. sin 이므로 뉴턴의 방법을 이용하면
cos
따라서 교점은 이고,
sin

교점의 좌표는 이다. cos


sin

126.
130.
곡선 와 접하는 직선의 교점의 좌표를 라고 하자.
이 점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이고, 접선의 두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는 이고,
tan , tan 이다.
방정식은 이다.
접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을 대입하면 이므로 ∴ tan tan

이다. 즉, 접선의 방정식은 이다.

131. ③

127. 곡선과 동경벡터가 이루는 각을 라고 하자.


cos
tan
sin
⇔ 에서 교점이 생기고,
tan 이므로 이다.
ln
⇔ 를 만족하는

이다.
또한 두 그래프가 접하는 점의 좌표는 이다.

128.

이라 할 때,

가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에서 연속이고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의 값도 같다.

64 | 미적분과 급수
cos
이므로
sin
cos cos
, 을 만족하는 이다.
132. sin sin

는 모든 에 대하여 미분가능하므로 따라서 일 때 좌표 cos 이다.


에서 미분가능하고,

평균값 정리에 의해 ≤ 이므로


135.
≤ ⇒ ≤ 이다. 의 최댓값은

이다. sin sin (평균값 : sin )

sin ⇔ sin

133.

136. ②
⇔ ≤
적분의 평균값 정리에 의해서
⇔ ≤
≤ ≤ 이 성립한다.
⇔ ≤ ≤
일 때, 이고, 식에 대입하면 문제
이제 세 변에 lim를 씌우면 (단, 는 동점, 는 고정값이다. 즉
→ 에서 주어진 식을 유도할 수 있다.
는 상수라 생각해도 무방하다.)

lim ≤ lim ≤ lim


→ → →

⇔ ≤ ≤
스퀴즈 정리에 의해 이다. 즉 는 상수함수이다. 따라
주어진 조건식을 이용해서 의 범위를 구하자.
서 이 된다.
≤ ≤ ⇒
⇒ ⇒
134. 역수를 취하면 이므로
sin , cos 이므로
cos 을 만족하는 값을 보기에서
sin
고르면 이다.
ⅰ) 일 때, 이므로

sin 이고

일 때, 이므로 sin 이

다. 따라서 두 점 과 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이다.

ⅱ) 점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정답 및 해설 l 65
139. ④

에서 테일러급수의 정의로 풀어보자.

137.
,
⋯ ⋯

∞ ∞
이므로


138.
⋯ ⋯

⋯이므로 보기에서 고르면 ④이다.


[다른 풀이]

⋮ ∞

⋅ 140.
⋮ 의 매클로린 급수를 이용하여 의 계수 을
구해서 계산하는 문제이다.

sin cos sin 이므로 의 매클로린 급수는 다음과 같다.

cos sin sin




∞ 의 계수는 이므로
×

⋅ 이다.
⋯ ×

66 | 미적분과 급수
141. (1) (2)

(1) 두 가지 풀이법으로 풀어보자.


[풀이1] ⋯



이므로 ⋅ 이다.
⋆ ⋆ ⋆

⋆ ⋯

의 매클로린 공식을 이용하자. 143.


⋅ 의 매클로린 급수를
⋯ cos


구하기 위해서 직접 나눠서 구해보자.
의 계수는 ,
⋅ 이다. ⋯
[풀이2]
라고 하면 ⋯
이고,
의 의 계수는 의 매클로린 급수 ⋯
⋯에서

의 계수와 같다.
, ⋯
이고,

이므로 의 의 계수는 이고,
따라서
⋅ 이다.

cos

cos
(2) cos cos
⋯ 이다.
cos ⋯
⇒ 이다.
이므로 의 계수

142. 144. ×

에서 의 Taylor전개를 하면
⋆ ⋆ ⋆
⋯이고,
⋆ ⋯

의 매클로린공식을 이용하자. 의 계수는 이다.

문제에서 구하고자 하는 것은 이다.

정답 및 해설 l 67
· sin sin sin sin 이다.
⋆ ⋆ ⋆ ⋯
즉, sin sin , 따라서
⋆ ⋆
sin sin ⋯ 이다.
⋯ ⋆ ⋆ ⋆
위 매클로린 공식을 이용하여 을 찾자. sin sin sin

· ⋯ ∞
⋯ 의 은 의 계수이므로
· ⋯
이다.
· ⋯ ·
즉, 이고,

×
· ⋯
×
·
× 147. ,

이고,
145. ∙

이고
(i) 일차근사함수는

라 하면, 이다. ≈ 이고,

이를 이용하여 의 근삿값은
의 의 테일러 전개는 다음과 같
≈ 이다.
다. 여기서 이다.
(ii) 이차근사함수는


⋅ ⋅ ⋅⋅ ⋅ ⋅⋅⋅
이고,
⋯ ⋅ ⋅ ⋯ ⋅ ⋯
이를 이용하여 의 근삿값은

의 의 계수는 이다.

따라서 의 에서 테일러전개를 하면 이다.

의 계수는 ∙ 이므로

∙ 이다. 148.
라고 하자. 에서 일차근사함수 (=선형근사식)
을 이용하여 의 근삿값을 구하자.
146.

은 에서 taylor 급수 전개를 말하는 것이

다. 정의가 아닌 기존의 sin 의 매클로린 공식의 변형을 이용해


서 구해보자. 이라고 할 때,

68 | 미적분과 급수
151. ③

모든 에 대하여

cos ⋯ 이고,
이고, 일차근사함수는 ≈

이고, 이를 이용하여 의근 cos ⋯ 이다.

삿값은 ≈ 이다. cos 의 근삿값을 cos ≈ 라고 하면

오차는 ⋯ 이고, 이 값은 을 넘지 못한다.

149. 즉, ⋯ 이다.

cos sin 의 근삿값을 구하기 위해서 에서 선

형근사식(=일차근사식)을 이용하자. 152. ③


cos sin sin cos

이고, 에서의 의 선형근사식은 ⋯

이다.

cos sin ≈

⋯ ≈

150.
153. ③
tan 의 근사값을 구하기 위해서 에서
cos ⋯
선형근사식(일차근사식)을 이용하자.

tan cos ⋯

이고, 에서 의 선형근사식은 cos ⋯


≈ 이다.

따라서 tan ≈ 이다.
××× ××× ≈

정답 및 해설 l 69
154. ③

sin ⋯
155. (1) (2) ln (3) (4)
sin ⋯
sin cos
(1) lim ( 꼴) lim
sin → →

ln
(2) lim ( 꼴) lim ln
→ →
sin
⋯ ln
(3) lim ( 꼴)
→ cos

sin lim
≈ 이면, → sin

(4) lim ln
( 꼴)
(오차) (오차)의 최대 →

lim × lim
ln
× lim
→ → →

156.
M1)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해서

lim

lim ×

M2) 로피탈 정리에 의해서

lim ( 꼴)

lim ×

157.
tan 의 도함수 이다.

M1)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해서

lim lim
→ →

M2) 로피탈 정리에 의해서

lim 꼴 lim
→ →

70 | 미적분과 급수
(4) (i) 로피탈 정리 이용
158.
cos sin
lim lim
M1) 미분계수의 정의와 극한의 성질에 의해서 → →

cos
lim lim × lim lim
→ → → →

× (ii) 매클로린 급수 이용
cos
M2) 로피탈 정리에 의해서 lim

lim ( 꼴) lim
→ → ⋯
lim


lim
159. (1) (2) (3) (4) →

(1) (i) 로피탈 정리 이용

lim tan lim 160. (1) (2) (3) (4)


→ → sec sec
(ii) 매클로린 급수 이용
⋯ (1) [풀이1] lim lim
lim tan lim →∞ →∞
→ →

[풀이2] 로피탈 정리에 의해서


(2) (i) 로피탈 정리 이용

lim ( 꼴)
lim lim →∞ ∞
→ tan →
lim lim
→∞ →∞
tan sec
lim lim 다항식
→ → (∵) lim 에서 분모와 분자의 최고차항이
→∞ 다항식
tan 다항식 최고차항의계수
lim 이므로 같다면 lim 다항식
→ →∞ 최고차항의계수

극한값은 이다.

(ii) 매클로린 급수 이용
(2) lim lim
→∞ →∞
lim lim
→ tan →


tan (3) 로피탈 정리에 의해서
lim lim
→ →

lim ( 꼴) lim lim
→∞ ∞ →∞ →∞
(3) (i) 로피탈 정리 이용
다항식 ∞
sin cos sin (∵) lim (
지수함수 ∞
꼴)
lim lim lim →∞
→ → →

(ii) 매클로린 급수 이용
ln ∞ ln
(4) lim ( 꼴) lim lim
⋯ →∞ ∞ →∞ →∞
sin
lim lim
→ →


lim

정답 및 해설 l 71
161. (1) (2) (3)
lim
(4) (5) 없다. (6) →

(1) lim ln ( ∙ ∞ 꼴) lim 이므로



lim ∞

ln ∞
lim lim lim
→ ∞ → →
lim 의 극한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2) lim ln ( ∙ ∞ 꼴)

(6) 로 치환하면 → 일 때, →∞이고,

ln ∞ → 일 때, → ∞이다.
lim ∞
lim lim
→ → →

lim lim
→∞

(3) lim tan (∞ ∙ 꼴) lim 이므로


→∞ →

tan lim lim


→ ∞

lim ( 꼴)
→∞

lim 이다.

lim lim
→∞ →∞

sin 162. (1) (2) (3)


(4) lim sin (∞ ∙ 꼴) lim ( 꼴)
→∞ →∞
(4) (5)
sin sin
lim (1) lim sec tan lim cos 꼴

→ →

( 로 치환하면 →∞일 때, → 이다.) cos


lim sin

(5) (i) 로 치환하면 → 일 때, →∞이다.


(2) lim
→∞

lim lim lim


→ →∞ →∞ lim
→∞

(ii) 로 치환하면 → 일 때, → ∞이다.

lim
→∞

lim lim ∞∙ ∞
→ → ∞

72 | 미적분과 급수
(3) 로 치환하면 이다. → ∞일 때,
(1) lim
→ ∞ 이므로 →∞이다. →∞

lim lim lim × lim


→ ∞ →∞ →∞ →∞

lim
→∞

(2) lim lim


→∞ →∞

(4) lim lim


→∞ →∞

lim lim
→∞ →∞

lim
→∞

(3) lim lim


→∞ →∞
(5) 대입을 통해 각각의 값을 확인해보면 → 일 때,

→∞ tan → ×∞ ∞이므로 [다른 풀이]


ln

lim tan lim lim


→ ln →∞ →∞

lim ln
lim tan
→ →

ln
(i) lim ln
lim ln (4) lim sin cot
lim cot ln sin
→ →
→ →
ln ln cos
lim lim ln ln sin sin
→ →
ln ∵lim lim
→ tan → sec
ln
lim ln
→ ln
tan tan
(5) lim lim
sin → →

(ii) lim tan lim


→ →
cos ln
∵ lim lim
→ tan →

limsin · lim
→ →
cos cos
ln sin

lim (6) lim sin lim


→ →

sin ln sin cos
∵ lim lim
→ → sin
따라서 극한값은 이다.

ln sin
(7) lim sin lim
→ →

ln sin cos
∵ lim lim sin
→ →

163. (1) (2) (3) (4) ln


(8) lim lim
(5) (6) (7) (8) → →

정답 및 해설 l 73
ln
∵ lim lim
→ → 167.
분모 → 0이므로 분자 → 0이다.

164. ln 따라서 cos 이어야 하므로 이다.

cos
lim lim 따라서 lim 꼴이므로 로피탈 정리를 활용하면
→∞ →∞ →

lim sin
→∞ lim 이다. 즉
ln ln ln →
⇒ ∴

165. (1) (2) (3) (4) 168.

(1) 로피탈 정리에 의해서 준식이 극한값을 가지므로 (준식) 이어야 한다.

sin sin sin tan ⇒ tan ⇒ ⇒


(준식) lim

이다. 로피탈 정리를 활용하면

sin tan
(2) 로피탈 정리에 의해서 lim

sin sin

(준식) lim limcos tan




sin cos
lim lim cos ⋅ ⇔ ∴
→ →

sin ln sin
(3) (준식) lim lim
→ →

ln sin cos 169.


∵ lim lim sin
→ →
호의 길이 A ∼B × × 이고 이므로
cos cos
(4) lim lim
→ → A ∼B 이다.
cos cos 선분 AB 의 길이를 , AB 의 중점과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lim ∵ lim
→ →
라고 할 때, sin cos 이다.

즉, 선분 AB 의 길이는 sin 이다.


166.
A ∼B
가 다항식이므로 미분가능한 함수이다. lim lim 꼴
→ AB →
sin
lim ( 꼴, ) lim 이고,
→ →
lim

lim 의 극한값이 1로 존재하므로 cos
→∞

라고 할 수 있다.
, 이므로
, 이므로
이다. 의 계수의 합은 이다.

74 | 미적분과 급수
170. (1) 연속, 미분불가능 (2) 연속, 미분가능 즉, 는 에서 연속이고 무한 번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이다.
(1) lim sin (스퀴즈 정리)

함숫값과 극한값이 같으므로 연속이다.

sin
lim lim limsin (진동)
173.
→ → →

미분계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미분불가능하다. ≠


sin 라고 하자. 모든 에 대하여 가
(2) lim sin (스퀴즈정리)

연속이므로 lim 를 만족한다.
함숫값과 극한값이 같으므로 연속이다. →

sin lim lim sin lim cos ∵ 로피탈


→ → →
lim lim
→ →
따라서 이다.

lim sin

(∵극한에서 ×(진동)은 이다.)


미분계수가 존재하므로 미분가능하며
에서의 미분계수는 이다.

171. 존재하지 않는다.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해

tan
lim lim
→ →

lim tan

limtan

lim tan

∴ 에서 미분계수는 존재하지 않고, 미분불가능하다.

172.
주어진 함수는 에서 특이점을 갖는 함수이다. 미분계수를
구할 때, 미분계수의 정의를 통해서 구할 수도 있고, 없앨 수 있는
특이점이므로 매클로린 급수 공식을 이용해서 구할 수도 있다.

⋯ ⋯

이며 이므로 주어진 식과 동일하다.

정답 및 해설 l 75
자 한다. tan 이고 시간에 대하여 미분하면

174.
sec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육면체의 겉넓이는
이고, 이다. cos

“시간에 대한 겉넓이의 변화율” 이고,

일 때, “시간에 대한 부피의 변화율” 를

구하고자 한다.

(i) 겉넓이의 변화율은 , 일때

이므로
177.
라고 하자.
“시간에 대한 한 변의 길이 의 변화율”

이다.

(ii) 이고, 일 때,

이므로 이다.

175. 삼각형 는 직각삼각형이고, 가 성립한다.

변화하는 것은 변수로 두어야 하므로 반지름을 (i) cos ⇔ cos ,

부피 로 두면 반지름이 인 구의 부피는 이다.


(ii) · , 라고 하자.

(시간에 대한 부피의 변화율) 이고, 일때 (iii) 거리=시간×속력 ⇔ 시간=거리/속력


cos sin
(ⅳ) 시간 이고,
의 값을 구하고자 한다.

에서 최대가 존재한다면
이고 을 대입하면

이다. 을 만족한다. 이다.

176. ②

사람이 걷고 있는 직선을 AC 라고 하고, 써치라이트가 사


람을 따라서 비추는 각도를 ∠ABC 라고 하자. AB 은

고정값이다. 시간에 대한 의 변화율 이고, ,

BC 일 때, 시간에 대한 의 변화율 rad 를 구하고

76 | 미적분과 급수
두 식 ㉠과 ㉡의 연립방정식을 풀면 ,

178. ③

역함수가 존재하는 구간에서 함수는 (순)증가 또는 (순)감소이어 182.


야 한다. 에 대하여
극값을 구하기 위해서 먼저 임계점을 구해보자.
이다.
보기 ③은 구간 에서 , 이므로 감 이므로 임계점 에서

소에서 증가로 바뀐다. 따라서 구간 에서 일대일 대응이 극댓값을 갖는다.

되지 않아 역함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극값은 이고,

이고 다.

179. 1
0
곡선이 위로 오목한 것은 아래로 볼록과 같은 의미이고,

일 때 나타난다.
183. 1개

이고, 일 때,
이고 일 때 곡선은 아래로 볼록(위로 오목)하다. 이다.
일 때, 는 위로 볼록하고, 일때
아래로 볼록하다. 따라서 변곡점은 1개이다.

180. ㄷ
0 0
가 성립한다.
ㄱ. (거짓)
[반례] lim lim 을 만족하는 함수를
→∞ →∞

라고 하자.
184.
이므로 이다.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한 함수이다.
변곡점은 인 점 에서 부호의 변화를 확인하자.
따라서 lim 이 된다.
→∞
,
따라서 ㄱ은 거짓이다.
이므로
ㄴ. (거짓) 가 감소함수라 하면 ≤ 이므로
을 만족하는 는 , 이고
≤ 이다. 즉 는 위로 볼록이다.
여기에서 아래로 볼록, 위로 볼록, 아래로 볼록으로 바뀌는
ㄷ. (참) 이면 이므로 위로 볼록이다.
변곡점을 갖는다. 그 값의 합은 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ㄷ이다.

185. 풀이 참조
181.
(1)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이고, 정의역에서 연속이고 미분
가능한 함수이다. 에서 극솟값 을 갖는다는 것을 식으
⇒ 임계점은 일 때이다.
로 표현하면 , 이다.
⋯㉠
.

에서

⇒ ⋯㉡ 따라서 기울기의 증감을 확인하면,

정답 및 해설 l 77
에서 극소이며, 그때의 극솟값은 이다.
0
또한, 에서는 임계점이지만, 극대/극소도 아니다.
이므로

과 에서 변곡점을 갖는다. 이므로

일 때는 이므로 는 아래로 볼록하고 ≠ 에 대하여 는 위로 볼록인 함수이다.

따라서 인 함수는 모든 실수에서


일 때는 이므로 는 위로 볼록하고
연속이지만 에서 미분 불가능한 함수이다.
일 때는 이므로 는 아래로 볼록하다.
lim ∞, lim ∞
→∞ → ∞

(4) 모든 실수에서 연속인 함수이지만, 에서


미분계수가 존재하지 않는 함수이다.

이고,

(2)

은 미분 불가능한 임계점을 갖고,


의 이므로 두 근
은 미분계수가 0이 되는 임계점을 갖는다.
를 갖는다.
0 1
0
4차함수의 그래프 개형을 생각하면 에서 극소,
에서 극대, 에서
에서 극대, 에서 극소가 된다. 따라서 그래프 개형은 다
극소를 갖는다.
음과 같다.

일 때, 이므로 는 아래로 볼록하고,

일 때, 이므로 는 위로 볼록하다.

lim ∞ lim ∞
→∞ → ∞

(3) 는 우함수이고, 을 지난다.

은 미분 불가능한 임계점을 갖고, 은 극솟점이다.

78 | 미적분과 급수
은 정의역에 속하는 원소가 아니므로 임계점이
(5) 은 절편은 이다.
될 수 없다.

0 0

ln ln 은 극댓값이고,

과 은 미분 불가능한 임계점을 갖고, 은 극솟값이다


은 미분계수가 0이 되는 임계점을 갖는다. lim ∞, lim ∞
→∞ →
0 4 6

따라서 은 극솟점이고, 은 극댓값을 갖는다.


은 수직접선을 갖는다.

(3) 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 집합이고 원점을 지나는 연속이


고 미분가능한 함수이다.

임계점은 이고, 에서 극대점 을

갖고, 에서 극소점 을 갖는다.

186. 풀이 참조 lim lim


→∞ →∞

(1) 곡선 ln 의 정의역 이다. lim ∞


→ ∞
ln 일 때, ln ln

이고 에서 극소를 갖는다.

이고 lim ln ∞ lim ln
→∞ →

⇒ 그래프의 개형을 확인할 수 있다.

187.
일 때, 이므로 미분가능 하지
않는 점은 개이고 이다.
(2) ln 의 정의역 이다.
일 때, 이므로 미분가능 하지 않는 점
은 개이고 이다.
→ 일 때, 이므로 미분
가능 하지 않은 점은 개이고 lim 이다.

여기서 임계점은 이다.

정답 및 해설 l 79
따라서 lim 이다. ⑤ 의 함숫값이 정수이므로

≥ 는 항상 성립한다.

188. ① [ +0.5]

의 유리함수는 , 이다. 1
(i) 일때
이고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므로 접선의 방정식 -1 0 1 2 3
이 그래프보다 위쪽에 존재한다.
-1

따라서 인 점은 접선이 지날 수 없다.

(ii) 일때
이고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므로 접선의 방정
190. ②

식이 그래프보다 아래에 존재한다. 중간값 정리를 이용하여 cos 의 함숫값이 가 되


는 가 존재하는 구간을 찾자.
따라서 인 점은 접선이 지날 수 없다.
cos cos ,
(iii) 보기의 값을 대입하면 은 접선이 지날 수 없는 , cos ,
점이다. cos , cos ,
cos 이므로 구간 에서
를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 존재한다.
[참고] cos 의 해가 존재하는 구간을 구하는
것과 같은 문제이다.

191. ④

① 라 하면
≥ 이므로 함수 는
증가함수이다.

189. ③
, 이므로
중간값 정리에 의해서 구간 에서
① 지수함수는 연속함수이다.
방정식 은 개의 해를 갖는다.
② 가우스함수는 불연속함수이므로
② sin 라 하면
(연속함수) (불연속함수) (불연속함수)이다.
sin cos sin 이므로
③ 가우스 함수는 구간에 대하여 나눌 수 있는
함수 는 증가함수이다.

≤ sin , sin
정수함수이다. ≤ 이므로 sin
이므로 구간 에서 방정식 은

≤ 개의 해를 갖는다.
③ sin cos 라 하면
cos sin
cos sin sin
sin sin
≠ sin sin
이므로 함수 는 감소함수이다.
④ 두 그래프 와 의 교점은 없다.
sin cos sin cos

80 | 미적분과 급수
sin cos 이므로 구간 에서 즉, sinh 이고 cosh ≥ 이므로
방정식 sin cos 은 개의 해를 갖는다. 는 단조증가함수이다.
또한 이므로 는 축과의 교점이 개다.
④ cos ⇔ cos 은 그래프를 그려보면
즉, 와 의 교점의 개수가 개이다.
구간 에서 개의 해를 갖는다.
따라서 가장 많은 해를 갖는 방정식은 ④이다.

195. 개

ln 실근의 개수는 두 곡선 ln 와 의
192. ④
교점의 개수와 같다. (정의역 )
⇔ 의해 는 ln 일 ln ln
때, ,
와 의 교점의 좌표와 같다.
에서 또는 이다. 에서 극소를 갖는다.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는 기함수이고, ln 와


이므로 두 곡선 의
극댓값 , 극솟값 일 때 교점은
3개가 생긴다. 교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lim ln ∞ lim ln ⇒
→∞ →
⇒ 그래프의 개형을 확인할 수 있다.

⇒ ⇒ ⇒
따라서 정수 의 최솟값은 이다.

193. 7개

그림을 그려보면 sin 와 의


교점은 단 개 뿐이다. (단, 여기서 ≒ 이다.)
기함수의 성질을 생각하면 제 1사분면에 3개, 원점,
제 3사분면에 3개 총 7개이다.

196.
폐구간 영역에서의 최대/최소 문제는 정의역 내에서
극값을 구하고, 구간의 양끝 값을 비교한다.
(i) 정의역 내의 극값을 구하기
, 임계점은

이고, 극값은

(ii) 정의역의 양 끝 값 :
194. 1개
(iii) 최솟값은 이고 최댓값은 이다. 그러므로 최솟값과 최댓값
sinh , 라고 하자.
의 합은 이다.
풀이1) 그래프를 직접 그려보면 직관적 판단을 할 수 있다.
sinh 의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이다.
원점에서만 두 그래프가 만나므로 교점의 개수는 1개이다.
풀이2) 와 의 교점은 를 만족하는 의 값과 같
197. 최댓값 : , 최솟값 :

다.
(i) 이고, 에서 임계점이
따라서 라 두면 을 만족하는 의
값과 같다. 존재하지만, 구간 에 속하는 점은 아니다.

정답 및 해설 l 81
즉, 구간 ≤ ≤ 에서 이므로
이 구간에서 는 증가한다.
(ii) 따라서 는 최솟값, 은 최댓값이다.
199.
타원 의 상반부와 축에 의해 둘러싸인
198.
(i) 정의역 내의 극값을 구하자. 직사각형의 최대면적은 에 내접하는

직사각형의 최대면적 의 와 같다. 즉, 이다.


이므로 구간 에서의 임계점은 뿐이다.
⇔ 이고 상반원과 축에

둘러싸인 영역의 최대면적은 이다.


(ii) 정의역의 양 끝값을 구하자.

(i), (ii)에 의하여 최댓값은 이다.


200.
주어진 함수 은 우함수이다. 직사각형의 면적은
이고, 관계식을 통해 변수를 줄이자.

이므로 임계점은 (∵
따라서 최대 넓이는

201.
1사분면에 존재하는 직선 ⇔

위의 임의의 한 점을 라고 하자. 한 점 에서 축에 수
직인 선분과 축에 수직인 선분을 내리고 각 교점을 연결하면 직
사각형이 만들어진다. 구하고자 하는 것은 이 직사각형의 최대
면적이고, 이다.
미지수가 2개이므로 관계식을 통해서 변수를 줄이자.

이고, 최댓값은 이차함수의 극대에서 존

재한다.

이다. 즉, 직각삼각형에

내접하는 직사각형의 최댓값은 3이다.

82 | 미적분과 급수
202.
구하고자 하는 것은 원기둥의 부피의 최댓값이므로
이므로 임계점은 뿐이다.
원기둥 부피의 식을 세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점은 이고
반지름이 이고, 높이가 인 원기둥의 부피는
이고, 관계식을 통해서 변수를 줄이자. 거리는

에서 이므로

205. 풀이 참조

포물선 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이 점을 P로 잡을 때


에서
PQ가 최솟값이 된다. 에서 이므로 이
일 때, 극대이자 최대이고 이때 부피 이다. 다.
점 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이므로
203.
포물선 와 직선 사이의 거리는
재료가 적게 들기 위해서는 겉넓이가 작아야 한다.
이다.
즉, 구하고자 하는 것은 통조림 캔의 겉넓이의 최솟값이므로 원
기둥의 겉넓이 식을 세우고, 미분하여 극소를 만족하게 하는
의 값을 찾으면 된다.
반지름을 , 높이를 라 하면
206.
(겉넓이) (아래뚜껑 윗뚜껑) (옆면)
의 넓이가 최대가 되는 의 좌표는 포물선
× ×
위의 접선의 기울기가 가 될 때의 좌표와
(∵ 에서 )
같다. 즉, 이므로 이다.

(겉넓이)′

여기서 임계점을 구하면 분모에서 , 분자에서 이다.


207.
은 조건에 맞지 않다. 따라서 이다. 이것이 정답이다.
(당연히 극소일 것이다.) 두 함수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와 사이의 최소
거리에 × 하면 된다.
이때 이고
와 의 최소거리는 에서 기울기가 인 점은
일 때이다. 즉 과 사이의 거리

이고, 두 곡선 사이의 거리는


204.
거리의 최솟값을 구하는 문제이므로 거리의 식을 찾아 이다.
미분하여 극솟값을 구해보자. 포물선 위의 점 에 대하여
거리 이다.
변수(미지수)가 2개이므로 와 의 관계식( )을 208.
통해서 변수를 한 개로 줄이자
이다. 의 최댓값은 의 최솟값과

이때 속의 식 의 최솟값을 찾아보자.
같고, 의 최솟값은 의최
,

정답 및 해설 l 83
댓값과 같다. 은 정의역 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 와 원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식이고,
이때, 원점에서 시작하여 원의중심 을 지나는 반직선과 원
의 두 교점이 각각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 점이 된다.
원점과 중심 사이의 거리는 이고
(최솟값)= , (최댓값)= 이다. 그러므로 의최
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이다.

84 | 미적분과 급수
CHAPTER 04

lim tan
→∞

209. (1) (2) (3)


lim tan tan
→∞

tan
(4) (5) tan (6)
ln

(1) lim (6) ln ln 로 치환하면 가 된다.
→∞ ln

lim lim lim
→∞ →∞ ln lnln →∞ ln

∞ lim lim
→∞ →∞ ln
(2) lim ln
→∞

ln
lim lim
→∞ →∞

(3) 210. (1) (2) (3) (4)

(1) ln ln

tan
lim ln


∴ lim tan
∞ →∞
→ ∞

lim ln


(4) lim
→∞
(2) ln lim ln 이므로
삼각치환법을 사용하여 →

tan 로 치환하면 sec 이므로 부분적분을 사용하면

ln ln
cos
sec
ln
wallis 공식 cos
ln

(5) 분모를 완전제곱식으로 변환하면 이


∴ ln lim ln

므로 특이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lim
→∞

(3) ln ln ln

정답 및 해설 l 85
ln 213. (1) 발산 (2) 수렴 (3) 수렴 (4) 수렴 (5) 발산 (6) 수렴
ln ln
ln ⋅ ∞
(1) ( 치환, )
ln ln

ln ln ln : 발산

ln ∞
lim ln lim (2) ( 치환, )
→ →


ln · : 수렴
lim lim ln
→ →

(3) 로 치환하면

이다.

(4)
특이점이 존재하는 피적분함수의 수렴조건에 의해서 수렴한다.

(∵ , ) (4) 로 치환하면

lim lim
→ →

특이점이 존재하는 피적분함수의 수렴조건에 의해서 수렴한다.


211. , ln

(5) 로 치환하면

lim
→∞

lim ln ln
→∞
특이점이 존재하는 피적분함수의 수렴조건에 의해서 발산한다.

lim ln
→∞
(6) ln 은 일 때 수렴하므로
ln lim ln
→∞
ln ln ln
ln ln ln ( 일 때, 수렴한다.)
ln 는 수렴하고, ln 도 수렴한다.

∵ lim
→∞ ∞
214. 수렴

212. ( sec 로 삼각치환적분을 하자.)
ln
의 수렴조건은 이다. sec tan
ln sec sec
따라서 ln 의 수렴조건은
적분값이 존재하므로 수렴한다.
이므로 일 때 수렴한다.

86 | 미적분과 급수
215. 풀이 참조 (6) 수렴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1) 수렴

로 치환하면 이므로 (7) 수렴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 ∞

∞ ∞
(8) 발산

tan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발산한다.

(9) 발산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발산한다.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10) 수렴
(2) 수렴
sin
로 치환하면 이므로

∞ ∞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 (11) 수렴
tan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이므로 (12) 발산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에서

(3) 수렴 는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발산한다.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13) 발산
(4) 수렴
tan 로 치환하면 sec 이므로 에서

∞ tan tan
sec 는 특이점 가 적분 범위에 없으므로
sec

tan 단순 정적분이므로 수렴한다.


sec 은 특이점 가 적분 범위에 있고

sin cos 이므로 발산한다. 따라서 주어진 이상적분은 발산한다.

sin (14) 발산

csc ln csc cot ∞


cos sin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발산한다.

이므로
(15) 수렴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로 치환하면 이므로

(5) 발산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발산한다.

정답 및 해설 l 87
(22) 수렴

∞ tan ∞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 ∞
(16) 발산 이고


는 수렴하므로
이고
비교판정법에 의해서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는 이므로 발산하므로
(23) 발산
비교판정법에 의해서 주어진 이상적분은 발산한다.
sec
cos
(17) 수렴
이므로 는 이므로 발산하므로
ln ln ln
비교판정법에 의해서 주어진 이상적분은 발산한다.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24) 수렴
(18) 수렴
sin
ln 이고
ln

는 이므로 수렴한다.
ln
비교판정법에 의해서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이므로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19) 수렴 216. ④
주어진 이상적분은 구간에 무한대가 있는 이상적분이고 ∞
① 자연수, 로 수렴한다.
이고 는 무한대까지 이상적분에서
② , 이므로
이므로 수렴한다. ③
비교판정법에 의해서 주어진 이상적분은 수렴한다. ∞ ∞

(20) 발산

∞ ∞ ( , , )
이고
∞ ∞


는 이므로 발산하므로
⑤ ln ln
비교판정법에 의해서 주어진 이상적분은 발산한다.

(21) 발산
∞ ∞

∞ ∞
이고


는 이므로 발산하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해서 주어진 이상적분은 발산한다.

88 | 미적분과 급수
217. (1) 6 (2) (3) (4) (5) (6)


(1) 감마함수 이므로
218. (1) (2) (3) sin

이다.
(4) ln (5) ln (6)

(2) 로 치환하면 이다.


(1) (준식) lim
→∞

∞ ∞ ∞
· ·

(2) (준식)
(3) 로 치환하면 이고 이다.
∞ ∞ ∞


(3) (준식) lim cos
→∞

lim cos
∞ ∞ →∞
(4)
∞ ∞ cos sin sin
라 하면 이므로
부분적분법에 의해 (4) (준식) lim ln
→∞
∞ ∞

∞ ∞ ln ( , )
∞ ∞
∞ ln ln

ln ln ln
∞ ∞
(∵ × )
∞ (5) (준식) lim ln
→∞

(5) 라 두면 이므로 ln ( , )
∞ ∞ ∞
ln ln ln

∞ ∞ (6) (준식) lim sin


→∞
(6)
∞ ∞
lim sin
→∞

sin

정답 및 해설 l 89
219. 222.
lim sin 축과 포물선 의 교점이 이고, 영역
→∞
lim 의 넓이를 라고 하자.
→∞
lim cos
→∞

sin cos
주어진 영역은 축과 포물선 으로 둘러싸인 영역과

cos 같다. 따라서 영역의 면적을 라 하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in

223.
이므로 이고, 영역의 넓이를 라고 하자.
220.
3차함수 의 그래프 개형을 그려보자.
주어진 영역은 축, 직선 과 으로 둘러싸인 영역
의 넓이와 같다. 따라서 영역의 면적을 라 하면 다음과 같이 구
할 수 있다.

224.
≤ ≤ 에서는 sin ≤ cos 이고,

≤ ≤ 에서는 sin ≥ cos 이다.


그래프와 축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은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라고 하면

cos sin sin cos

sin cos cos sin

225.

이므로 는 모든 실수에서
221. ln
증가하는 기함수이다. 와 가 둘러싸인 영역은 와 직선
ln ln 로 둘러싸인 영역의 배이다.

ln ln

90 | 미적분과 급수
의 교점은

⇔ 이다.

(4) 두 그래프 , 의 교점은

이고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라고 하자.

ln ln

(5) 두 그래프 , 의 교점은


와 이고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226. 라고 하자.
포물선 과 직선 , 는 우함수이므로 축에 대하
여 대칭이고 둘러싸인 넓이를 이등분한다는 것은 1사분면의 둘
러싸인 면적 또한 직선 가 이등분한다.

을 직선 가 넓이

를 이등분 하므로
(6) 두 그래프 , 의 교점은
을 만족하는 를 구하면 와 이고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라고 하자.
⇔ 이다.

227. 풀이 참조
(7) 두 그래프 , 의 교점은 이고
(1) 두 그래프 , 의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라고 하자.
교점은 와 이고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라고 하자.

(8)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라고 하자.

cos sin

(9) 구간 ≤ ≤ 에서 cos ≥ sin 이고,

구간 ≤ ≤ 에서 cos ≤ sin 이므로 둘러싸인


(2) 두 그래프 , 의 교점은
와 이고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영역의 넓이를 라고 하면
라고 하자.
cos sin sin cos

sin cos cos sin

(3) 두 그래프 , 의 교점은 와 (10) 두 곡선의 교점을 찾으면


이고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라고 하자.
cos cos ⇒ cos ⇒ 이므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라 하면

정답 및 해설 l 91
cos cos cos cos

cos cos · cos ·

sin sin cos sin

228.
타원은 축, 축, 원점대칭이므로 1사분면상의 면적의 배를 하
면 된다. cos sin 로 매개화하여 축으로 둘러싸
인 면적을 구하면 231. (1) (2) (3) (4)

sin sin
(1) 4엽 장미 cos 의 면적은 ≤ ≤ 에

sin 해당하는 면적의 8배를 해서 구하자.

229.
과 일 때, 곡선과 축이 만난다. 따라서 넓이 는

이다.

· cos

230. cos

(i) 매개함수 cos ≤ ≤ 와 축이


sin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 는 다음과 같다.

sin ⇒ 4엽 장미 그래프 cos , sin 의

내부면적은 이다.
sin cos
sin
(2) cos
(ii) 매개함수 ≤ ≤ 과 축이 cos
3엽 장미 의 면적은 ≤ ≤ 에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 는 다음과 같다.
해당하는 면적의 6배를 해서 구하자.

(iii) 두 그래프가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은

이다.

2) 곡선과 ≤ ≤ 에서 축으로 둘러싸인 면적은

이므로 면적은 다음과 같다.

92 | 미적분과 급수
· cos
232.
× cos
cos

cos cos
sin
cos ×
⇒ 3엽장미 그래프 cos , sin 의

내부면적은 이다.

(3) 극곡선 cos 의 내부의 면적은 233.


구간 ≤ ≤ 에서 그려지는 영역의 면적의 2배로
공통부분의 넓이는 극곡선 sin 의 ≤ ≤ 부분과
구할 수 있다. 면적을 구하면
원 의 넓이의 절반의 합이다.
× cos cos

× sin

sin sin
(4) 극곡선 sin 의 내부의 면적은

구간 ≤ ≤ 에서 그려지는 영역의 면적의

2배이므로 면적을 구하면

sin sin
×
234.

내부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구간 이다.

cos

cos cos

sin sin

sin sin sin sin

정답 및 해설 l 93
238.

cosh 라고 할 수 있다.
235.
sinh cosh 이고,
· 이고,
cosh cosh cosh 이다.
이다.
따라서 구간 에서의 그래프의 길이는 따라서 구간 에서의 그래프의 길이는

cosh

sinh sinh

·
239.
cos , sin 이고,
236.
cos sin
,
cos sin

(∵ 반각공식)

삼각함수의 반각공식
cos
cos sin

sin

237. 매개함수 곡선의 길이 공식에 의해서

sin
곡선의 길이 를 적용해서

길이를 구하자. sin

cos

240.
sin cos , cos sin 이므로

sin cos cos sin

94 | 미적분과 급수
241. ln 244.

sin cos
⇒ sin sin cos cos
lim
cos sin →∞

⇒ cos sin cos sin


lim
→∞

lim lim
→∞ →∞
sec (∵ tan 로 치환)

ln sec tan sec tan


245.
ln

삼각함수의 합성
sin cos sin
242.
단 sin cos
이고,

sin cos sin cos


(∵ ≥ )
따라서 길이 공식에 대입을 하면 sin

이므로 sin 를 만큼 회전한 그래프다.

따라서 곡선 sin cos 와 곡선 sin 는


지름이 인 원이므로 원주의 길이는 이다.

243.
246.
sec sec tan 이고,
교점을 구하면 cos cos 에서 cos 이고,
sec sec tan
sec tan ± 이다. 따라서 ≤ ≤ 에서 cos 의 길

sec sec 이를 구하면 구하는 곡선은 극축에 대칭이므로


극곡선의 곡선의 길이는
×
sec

× cos sin
tan
× cos

× cos (반각공식)

sin

정답 및 해설 l 95
250.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이 인 원 위의
247. (1) (2) 임의의 점을 라고 하자.
(1) 위의 임의의 한 점을 라고 하자. 또는 축에 수직인 입체를 생각해도 상관없다.
축에 수직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이고, 축에 수직인 입체를 생각했을 때, 절단면인 원의 반지름을 이
정사각형 단면의 넓이는
고, 단면의 면적은 이다.
이므로 단면적이 정사각형인 입체의 부피는
입체의 부피는 결국 반구의 부피와 같다.

×
이다.

(2) 위의 임의의 한 점을 라고 하자.


<참고사항>
축에 수직인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이고, 정삼각
형 단면의 넓이는 그래서 반지름이 인 구의 부피는 입니다.

단면적이 정삼각형인 입체의 부피는


251.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이 이므로 원의 방정식은
이다.

248.

sin

sin

⋅ ⋅ ⋅ (∵ 왈리스(Wallis) 공식)

249.
과 의 교점은 일 때이고,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이다.
입체의 부피

96 | 미적분과 급수
부입체 단면의 반지름은 이고,
내부입체 단면의 반지름은

이다.
252.
주어진 영역을 축으로 회전시킬 때 나타나는

입체의 단면은 반지름이 인 원이다. ln ln

256. (1) (2)

253. ln 두 그래프의 교점을 구하면



주어진 영역을 을 축으로 회전시킬 때 나타나는
⇔ 이다.
입체 단면의 반지름이 인 원이다. 주어진 포물선을 각각 ≥ 라고 하자.
즉, 구간 에서 , 이다.
(1) 주어진 영역을 축으로 회전시킬 때 나타나는
외부입체 단면의 반지름은 이고,
ln ln
내부입체 단면의 반지름은 이다.

254. ln

주어진 영역을 를 축으로 회전시킬 때 나타나는

입체 단면의 반지름은 인 원이다.

ln ln

(2) 주어진 영역을 축으로 회전시킬 때 나타나는


외부입체 단면의 반지름은 이고,
255. (1) ln (2) ln
내부입체 단면의 반지름은 이다.
(1) 주어진 영역 를 을 축으로 회전시킬 때

나타나는 외부입체 단면의 반지름은

인 원이고, 내부입체 단면의

반지름은 이다.

ln ln

(2) 주어진 영역 를 을 축으로 회전시킬 때 나타나는 외

정답 및 해설 l 97
257. (1) (2) ·
구간 에서 두 함수 의 교점은

이다.

(1) 원판방법에 의해서


(2) 축으로 회전시킬 때 만들어진 회전체의 부피 ≤ ≤
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때 입체의 단면인 원의 반지름
에서 타원은 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1사분면 위에 있는
은 cos 이다.
영역을 축에 대하여 회전해서 2배하여 계산한다.
cos (i) 원판방법 :

축 ·
· cos cos

cos cos

sin sin
(ii) 원주각법 : 1사분면에 있는 이다.

⋅ ⋅
(2) 원판방법에 의해서
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때 외부입체의 단면인
원의 반지름은 cos 이고, 내부입체의 원의 반
지름은 이다.
타원체 의 부피는 이다.
cos
구 의 부피는 이다.

· cos

cos cos
259. (1) (2) ln (3) ln

sin 원주각법을 이용하여 회전체의 부피를 구하자.


즉, 직사각형의 면적의 합을 이용할 것이고,
밑변= ·회전축과 거리= 이고,

높이는 이다.
258. ,
(1) 축
⇔ or
(2)
을 이용하여 식을 정리하자.
(1) 축으로 회전시킬 때 만들어진 회전체의 부피
ln
≤ ≤ 에서 타원은 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1사분면 위에 있는 영역을 축에 대하여 회전해서
(3)
2배하여 계산한다.
ln

98 | 미적분과 급수
260. 263.
원통쉘법에 의해서 높이는 sin sin 이고
원통쉘법을 이용하면
회전축과의 거리는 이다.
부피
부피 sin sin

sin sin

cos cos sin

264. (1) (2)

261. cos cos 라고 하자.


cos cos
두 그래프의 교점은 일 때이다.

cos cos
≤ ≤ ≤ ≤ cos 이다.

(i) cos sin sin


(1) 축
(ii)

cos cos sin cos cos

∵ cos

sin cos
sin

∴ 축
sin sin cos cos
(2) 축

cos
262.
회전축과의 거리는 , 높이는 이므로 sin cos

정답 및 해설 l 99
265. (1) (2) sin

cos 라고 하자.

두 그래프의 교점은 일 때이다.


(2) 축
sin

즉, 영역 은 ≤ ≤ 에서 , sin

≤ ≤ 에서 cos , 그리고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다. sin

(1) 축
cos

cos sin
(*) cos
cos
sin
cos

(2) [다른 풀이]



(1) 주어진 영역을 에 대하여 대칭시키고 회전축도 바꿔서
생각해보자.
cos sin
즉, ≤ ≤ , , 축으로 둘러싸인 영역
이라고 할 때, 영역 을 축으로 회전한 입체의 부피는 원

sin cos 통쉘방법에 의해서

sin

sin

cos sin

266. (1) (2)

(1) sin
축 (2) 주어진 영역을 에 대하여 대칭시키고
회전축도 바꿔서 생각해보자.
sin
즉, sin ≤ ≤ , , 축으로 둘러싸인 영역
sin
을 축으로 회전한 입체의 부피는 원판법칙에 의해서

sin sin sin

(*) sin

sin

100 | 미적분과 급수
267.
텐트 내피와 외피 사이 공간의 부피는
삼각뿔의 부피-내부 부피로 구할 수 있다. 268.
내피의 함수는 이고 으로 생각해도 된
축으로 회전한 곡면의 면적은
다.

내부의 부피를 원판법칙을 이용하면 이다.

269.

[다른 풀이] ⇒
⇔ 이므로 원주각법을 이용해서 내부

부피를 구하면 이다.

× ×

×
∴ ×

270.
≤ ≤ 를 축으로 회전시킨 입체의 표면적은

≤ ≤ 를 축으로 회전시킨 입체의 표면적의

2배이므로 회전체의 표면적은 다음과 같다.


cos sin sin cos 이므로
cos sin sin cos
cos sin cos sin
sin cos

정답 및 해설 l 101
∴ ×
272.
곡선 과 직선 과 축으로 둘러싸
× sin · cos sin 인 영역을 회전시킨 입체이므로 내부영역이 꽉차있다. 따라서 곡
면의 겉넓이에 뚜껑이 포함되어 있다.

sin cos 일 때, 이고, 일 때, 이므로 뚜껑


·
에 해당하는 영역의 넓이는 이다.

· sin
[풀이1] 양함수 풀이

이므로 이고,

271. 를 곡선을 회전시킨 곡면의 겉넓이인 옆면이라고 하자.

곡선 , ≤ ≤ 을 회전시킨 곡면이므로 내부
영역이 비어있는 곡면이다. 따라서 뚜껑에 해당하는 원의 넓이는
제외된다.

[풀이1] 양함수 풀이

이므로 이다. 따라서 이다.

[풀이2] 극좌표 풀이
⇔ , cos cos ,
sin sin 이고, 를 곡선을 회전시킨 곡면의 겉넓이
인 옆면이라고 하자.

sin

[풀이2] 극좌표 풀이 sin


⇔ , cos cos ,
sin sin 이므로 cos
sin
cos cos
cos cos

sin

cos 따라서 이다.

cos cos

273.
곡선 (단, ≤ ≤ )을 회전시킨 곡면이므로
내부영역이 비어있는 곡면이다. 따라서 뚜껑에 해당하는 원의 넓
이는 제외된다.

102 | 미적분과 급수
[풀이1] 양함수 풀이

이므로 이다.

274. (i) 부피 (ii) 표면적

cos sin 이므로



즉 주어진 매개곡선은 중심이 이고 반지름이 1인 원이다.
축과 원의 중심과의 거리 이다.
원의 넓이는 , 둘레는 이므로 파푸스 정리에 의해서
(i) 회전체의 부피 × ×
(ii) 회전체의 표면적 × ×
sin

275.
cos
매개곡선은 sin
⇔ 이므로
[풀이2] 극좌표 풀이
⇔ , cos cos , 중심이 원점인 타원이다. 타원의 면적은 이고,
sin sin 이므로
회전축인 직선과 타원의 중심과의 거리 이다.

sin 파푸스 정리에 의해서 폐곡선의 회전체의 부피


× ×

sin
타원 의

cos 면적은 이다.


직선 과한점 의 거리
cos cos
이다.

276.
(i) 삼각형의 무게중심

(ii) 삼각형의 중심과 회전축인 직선 과의 거리

(iii) 삼각형의 면적은 × ×

∴ 파푸스 정리에 의해서 폐곡선인 삼각형을 회전했을 때 부피는

× ×

정답 및 해설 l 103
삼각형의 세 꼭짓점이
일 때, 삼각형의

무게중심 의 좌표는

이다.

277. (i) 부피 , (ii) 겉넓이

주어진 곡선은 중심이 원점인 성망형 그래프이다.


(i) 성망형의 중심인 원점과 회전축과의 거리

(ii) 성망형의 내부면적은 , 둘레 길이는

∴ 파푸스 정리에 의해서 폐곡선인 성망형을 회전했을 때 부피

× × ,

겉넓이 × ×

cos
성망형 ≤ ≤ 의
sin

내부면적은 , 곡선의 길이는 이다.

104 | 미적분과 급수
CHAPTER 05

280. ①
∞ ∞ ∞
tan
tan
이고 급수 tan

278. (1) 발산 (2) 발산 (3) 수렴 (4) 발산
수렴하기 위해서는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tan 의
(5) 수렴 (6) 수렴
값이 보다 커야 한다.
(1) lim lim ≠ 이므로 발산판정법에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일 때, tan 의 값이
→∞ →∞

의해 발산한다. ∞
tan
이므로 급수 가 수렴한다.

(2) lim lim lim ≠ 이므로


→∞ →∞ →∞

발산판정법에 의해 발산한다.
281. ②
ln
(3) 적분판정법 또는 급수판정에 의하여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면 라고 할 때,
ln ln
∞ ln ln ln 이므로 가 성립한다.
수렴한다.
ln ln ln
로 바꾸어 쓸 수 있으며,
ln

(4) 적분판정법 또는 급수판정에 의하여 급수판정법을 사용하면 ln 를 만족하여야 한다.


∞ 그러므로 정리하면 이 된다.
발산한다.
ln

(5)
∞ ∞
(∵ 로 치환)
282. (1) 수렴 (2) 발산 (3) 발산

(4) 수렴 (5) 수렴 (6) 수렴



lim (1) 이고, 은 급수판정법에
→∞

lim 의하여 수렴하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해


→∞

로 수렴하므로 적분판정법에 의하여 은 수렴한다.

⋅ 도 수렴한다.

(2) 이고, 은
(6) 이므로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한다.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하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해 은 발산한다.

279. (1) 수렴 (2) 수렴 (3) 발산 (4) 수렴


(5) 발산 (6) 수렴
(3) 이고,
ln ln
(1) 이므로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한다. ∞
을 적분판정법을 이용하면
(2) 이므로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한다. ln

(3) 이므로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한다.
(4) 이므로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한다. ln

(5) 이므로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한다.


lim (∵ ln )
→∞ ln
(6) 이므로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한다.

정답 및 해설 l 105
lim ln ln ln ∞ ③ (반례) 과 이 양항급수이면 ≤ 을 만족할
→∞
∞ ∞

때, 이 발산하면 ∞를 의미한다.
이므로 은 발산한다.
ln
∞ ∞

이 때, ≤ 이므로 ∞ ≤ ∞이다.
따라서 비교판정법에 의하여 도
ln

발산한다. 그러므로 은 발산한다.

cos ∞
(4) ≤ 이고, 은 ∞ ∞
④ ≤ ≤ 이므로 과 은 양항급수이고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하므로 비교판정법에
∞ ∞ ∞

cos 이 수렴하면 보다 작은 은
의해 도 수렴한다.
비교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한다.

tan ∞ ∞
(5) 이고, 은
284.
인 급수이므로 수렴한다. sin 의 비교대상은 이고, sin 의 비교대상은

tan
따라서 은 비교판정법에 의해 수렴한다. 이다. 따라서 두 수열의 극한비교를 하면

∞ sin
(6) 이고, 는 공비 인 등비급수이므로 lim ( 로 치환하면)
→∞

수렴한다.
∞ sin
따라서 비교판정법에 의하여 는 수렴한다. lim


이므로 sin 이 수렴하기 위한 조건은


283. ④ 이 수렴하기 위한 조건과 동일하므로

① (반례) , 이라 하면
이면 두 급수는 모두 수렴한다.
≤ 을 만족한다.

∞ ∞ ∞
하지만 은 수렴하고 은
285. (1) 수렴 (2) 발산 (3) 발산
발산한다.
(1) sin 이라 하면,

② (반례) , 이라 하면 sin
sin
lim lim lim 이고,
≤ 을 만족한다. →∞ →∞ →

∞ ∞

하지만 은 수렴하고 은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하므로
∞ ∞

은 발산한다. 극한비교판정법에 의해 sin 은 수렴한다.

106 | 미적분과 급수
(∵로피탈 정리) 이므로 발산판정법에 의하여
(2) · , 일 때, ∞

· 은 발산한다.
ln

·
lim lim lim lim (4) 이라 하면,
→∞ →∞ →∞ →

(∵ lim lim ln
) lim lim 이므로 교대급수 은수
→∞ →∞
→ →
∞ 렴한다.
은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하므로


극한비교판정법에 의하여 도 발산한다.
287. (1) 수렴 (2) 발산 (3) 수렴 (4) 수렴

(5) 발산 (6) 수렴 (7) 수렴 (8) 수렴 (9) 발산

(3) , 라 하면 (1) 이라 하면
ln

ln lim lim
lim lim lim lim
→∞ →∞ ln →∞ →∞ →∞
→∞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한다.


lim ln lim ∞ (∵로피탈 정리)
→∞ →∞

극한값이 발산했으므로 이다.


(2) 이라 하면

은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하므로


극한비교판정법에 의하여 은 발산한다. lim lim
ln →∞ →∞

lim
286. (1) 수렴 (2) 발산 (3) 발산 (4) 수렴
→∞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해 은 발산한다.
(1) 이 감소수열이고, lim
→∞

이므로 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해 은
(3) 이라 하면
수렴한다.

lim lim lim


(2) , 이 감소수열이나 →∞ →∞ →∞

lim ≠ 이므로 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해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한다.


→∞

은 발산한다.
(4) 이라 하면

(3) 이라 하면, lim lim ·


ln →∞ →∞

·
lim lim ln lim ∞≠ lim ·
→∞ →∞ →∞ →∞

정답 및 해설 l 107
lim (9) 은 (8)의 수열과 역수관계이므로
→∞

lim 비율판정값은 4이다. 따라서 는 발산한다.
→∞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급수는 수렴한다.

(5) 이라 하면
288. (1) 수렴 (2) 발산 (3) 수렴 (4) 수렴 (5) 수렴 (6) 발산

(1) 승근판정법에 의하여


lim lim ·
→∞ →∞
lim lim
→∞ →∞
lim ·
· 이므로 수렴한다.
→∞

lim (2) 승근판정법에 의하여


→∞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급수는 발산한다.


lim lim 이므로
→∞ →∞

발산한다.
(6) 이라 하면

(3) 승근판정법에 의하여


lim lim ·
→∞ →∞
lim lim 이므로
→∞ →∞
lim · 수렴한다.
→∞ ·

lim (4) 승근판정법에 의하여


→∞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은 수렴한다. lim lim 이므로
→∞ →∞

수렴한다.

(7) 이라 하면
⋅⋅ ⋯ (5) 승근판정법에 의하여

lim lim lim


→∞
→∞ →∞
⋅ ⋅ ⋯
lim ⋅ 이므로 수렴한다.
→∞ ⋅ ⋅ ⋯

lim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해 (6) 승근판정법에 의하여


→∞

은 수렴한다. lim lim 이므로 판정
⋅⋅ ⋯ →∞ →∞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판정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8) 이라 하면 발산판정법에 의하여 lim ≠ 이므로


→∞

발산한다.

lim lim
→∞ →∞

lim
→∞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급수는 수렴한다.

108 | 미적분과 급수
289. (1) 조건부수렴 (2) 발산 (3) 절대수렴 lim
→∞
(4) 조건부수렴 (5) 절대수렴 (6) 절대수렴
(7) 절대수렴 (8) 절대수렴 lim
→∞

(1) (i) 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은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해 절대수렴한다.

수렴한다.
∞ (6) lim lim ⋅
(ii) 은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한다. →∞ →∞

∞ lim ⋅
→∞
따라서 (i), (ii)에 의하여 은

조건부수렴한다.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해 은

절대수렴한다.
(2) lim lim lim ≠
→∞ →∞ →∞ ∞ ∞
cos
(7) 이므로
이므로 발산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한다.
이라 하면

(3) (i) 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은

수렴한다. lim lim lim


→∞ →∞ →∞
∞ ∞ ∞
(ii) 이고, 은 급수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절대수렴한다.
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하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하여
∞ ∞
은 수렴한다. cos
(8) tan


∞ ∞
따라서 (i), (ii)에 의하여 은 tan tan 이므로

절대수렴한다. ∞ cos
급수 tan 은 양항급수이다.

(4) (i) lim ln 이고


ln
은 양수인 감소수열이므로 교 ∞
cos ∞
→∞ tan tan 은

대급수판정법에 의해 은 ∞
ln
와 극한비교판정과 급수판정에 의해서 수렴한다.
수렴한다.

∞ cos
(ii) ln ,즉 이고 은 급수 따라서 tan 은
ln
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하므로 비교판정법에
절대수렴한다.

의하여 은 발산한다.
ln

(i), (ii)에 의하여 은 조건부수렴한다.
ln
290. 풀이 참조
∞ ∞
sin sin
(1) ⇒
(5) lim lim ∞
→∞ →∞
에서 은 급수판정법에 의해 발산하므로

정답 및 해설 l 109
∞ ∞
sin
도 비교판정법에 의해 발산이다. 비교판정법에 의해 도 수렴한다.

(2) 교대급수이므로 이라 하면
ln ln ln
(10) lim ≠ 이므로 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해
lim 인 감소수열이므로 수렴한다. →∞
→∞

은 발산한다.
∞ ∞
(3) cos 이므로
∞ ∞
sin
이므로 급수판정법에 의해 발산이다. (11)
ln ln

이고
(4) 이라 하면 lim 이므로 발산정리에 ln
→∞

은 급수판정에 의해서 수렴하므로
의해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ln
∞ sin ∞ sin
도 수렴하고 은
ln ln
(5) 이고 급수판정에 의해서
절대수렴한다.
∞ ∞
은 수렴한다.
(12) lim lim 이므로
→∞ →∞

따라서 비교판정법에 의해 도 수렴한다. ∞
승근판정법에 의해 은 발산한다.

(6) lim lim ∞이므로 ∞


→∞ →∞ (13)
승근판정법에 의해서 발산이다.
∞ ∞

(7) 급수판정 또는 적분판정법에 의해


∞ ∞ ∞
수렴한다. 은 발산하고, 은
ln ∞
수렴하므로 은 발산한다.

ln ∞
(8) 는 감소수열이고 따라서 적분판정법에 의해서 은

ln ln 발산한다.
lim lim
→∞ →∞

cos
(14) 이고
⋯ lim
→∞ ∞
은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하므로

ln ∞
이므로 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해 는 cos cos
도 수렴하고 은 절대수렴한다.
수렴한다.

∞ ∞ ∞ (15) 극한비교판정법에 의하여 이 수렴하므로


(9) 이고, 수렴하므로

tan 도 수렴한다.

110 | 미적분과 급수
(16) lim lim ∞ ∞
→∞ →∞ (24) 일 때,

이므로 은 승근판정법에 의하여 ∞
lim 이므로 은 수렴한다.
→∞
발산한다.
∞ ∞
이므로

(17) 가 수렴하므로 적분판정법에 의해 ∞
비율판정과 비교판정에 의해서 도 수렴한다.

도 수렴한다.

(25) lim lim 이므로


∞ →∞ →∞
(18) 급수판정법에 의해 은 발산한다.
ln 승근판정법에 의해 수렴한다.

∞ ∞

(19) 급수판정에 의해서 은 수렴하고, (26) 이 수렴하므로 극한비율판정법에 의해

∞ ∞

극한비교판정법에 의해 sin 도 수렴한다. tan 도 수렴한다.

∞ ∞ ∞ ∞

(20) 이 발산하므로 극한비교판정에 의해서 (27) 이고

∞ ∞
sin 도 발산한다. 이 발산하므로 비교판정과 급수판정에


의해 도 발산한다.
∞ ∞ ∞
(21) 이고, 이
∞ ∞ ∞
발산하므로 비교판정과 급수판정에 의해서
(28) 이고, 이
∞ ln ln ln
도 발산한다.
발산하므로 비교판정과 급수판정에 의해

도 발산한다.
∞ ln
(22) lim
→∞

lim (29) lim lim


→∞ →∞ →∞

lim lim lim


→∞
→∞ →∞

lim
→∞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은 발산한다.
이상적분이 수렴하므로 적분판정법에 의해서

도 수렴한다.
(30) lim lim
→∞ →∞

∞ 이므로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은 발산한다.
(23) 이 발산하므로 극한비교판정에 의해서


도 발산한다.

정답 및 해설 l 111
(31) lim lim 이므로
→∞ →∞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은 발산한다.
291. (1) (2) (3) (4) (5)

(6) ∞ (7) ∞ (8) (9) (10)


(32) lim lim 이므로
→∞ →∞
(1) 이라 하면,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은 수렴한다.
lim lim ∙
→∞ →∞
(33) lim lim 이므로
→∞ →∞
lim lim
→∞ →∞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은 수렴한다. 은 비율판정법에 의해 일때
⋅ ⋅ ⋅⋯⋅
수렴한다. ∴ 수렴반경 1

(34) lim lim 이므로


→∞ →∞ v 추가 설명 v

⋅⋅⋯⋅ ∞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은 인 를 대입하면 은 수렴한다.
⋅⋅⋯⋅
발산한다. ∞
을 대입하면 은 수렴한다.
·

을 대입하면 은 수렴한다.
·

(2) 이라 하면,

lim lim ∙
→∞ →∞

lim lim
→∞ →∞

비율판정법에 의해 는 일때

수렴한다. ∴ 수렴반경

v 추가 설명 v

인 를 대입하면 은

수렴한다.

을 대입하면 은 수렴한다.
·

을 대입하면 은 수렴한다.
·

112 | 미적분과 급수

(3) 이라 하면, 비율판정법에 의해 는 모든 에 대하여 수렴한다. ∴ ∞
ln
ln
lim lim ∙
→∞ →∞ ln
(7) 이라 하면,
ln
lim ln
→∞
lim lim ∙
∴ 이므로 수렴반경 →∞ →∞

lim lim
→∞ →∞
v 추가 설명 v
· 이므로
⇒ ⇒ 인

∞ 는 모든 에 대하여 수렴한다. ∴ ∞
를 대입하면 은 수렴한다.
ln

를 대입하면 은 수렴한다. (8) 이라 하면,
ln

≠ 인 모든 에 대해
를 대입하면 은 수렴한다.
ln
lim lim
→∞ →∞

lim → ∞
(4) 이라 하면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


따라서 는 ≠ 인 모든 에서
lim lim ∙
→∞ →∞

발산하므로 이다. 일 때만 수렴한다.


lim
→∞

⇒ ⇒
(9) 라 할 때,

∴ 이므로 수렴반경
lim lim ·
→∞ →∞

·
(5) 이라 하면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lim ·
→∞

lim lim ∙ lim


→∞
→∞ →∞

lim lim
→∞
→∞
이 때, 비율판정법에 의해 일 때 수렴한다.
⇒ ⇒ ⇒
∴ 수렴반경

∴ 이므로 수렴반경
v 추가 설명 v
⇒ 인
(6) 이라 하면, ∞
를 대입하면 는 수렴한다.

lim lim ∙ ∞
→∞ →∞ 를 대입하면 은 수렴한다.

lim lim ∞
→∞ →∞ 을 대입하면 은 발산한다.
· 이므로

정답 및 해설 l 113
(10) 라 할 때, 293. ≤

lim lim · 수열 의 비율판정값을 이용하면


→∞ →∞

lim ·
· lim 일 때 절대수렴한다.
→∞ →∞

구간 에서
lim
→∞
(i) 일때( 일 때)
lim ∞
→∞
은 lim 이므로 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하
→∞
비율판정법에 의해 일 때 수렴한다.
여 수렴한다.

∴ 수렴반경 (ii) 일때( 일 때)

∞ ∞
은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v 추가 설명 v
발산한다.
⇒ 인
그러므로 수렴구간은 ≤ 이다.

를 대입하면 는 수렴한다.


을 대입하면 은 수렴한다.
294.

을 대입하면 은 발산한다. 이라 하면

lim lim
→∞ →∞

292.
lim
라 하면 비율판정법에 의하여 →∞

이므로 ,즉 에서 수렴한다.
lim lim 일 때,
→∞ →∞
(ⅰ) 일 때,
수렴한다.
∞ ∞
은 적분판정법에
(i) 일 때, 급수 은
의하여 발산한다.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한다.
(ii) 일 때,
(ⅱ) 일 때,
급수 은 ∞ ∞
은 적분판정법에
이라 하면 이고, 감소수열이며 lim 의하여 발산한다.
→∞

이므로 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한다. 따라서 수렴구간은 이다.



따라서 의 수렴 구간은 이다.

따라서 수렴하는 모든 정수의 합은


이다.

114 | 미적분과 급수
295. 이 모두 수렴하지만,

으로 발산한다.
라고 할 때

lim lim ⋅ 를 (5) 참


→∞ →∞
양항급수 과 이 모두 수렴하면
만족할 때 은 수렴한다.
lim lim 이고, 감소수열이므로
→∞ →∞

, 이 성립한다. 따라서

⇔ ⇔ ⇔ , 이므로 은

∞ 수렴한다.
일 때, 급수 이므로 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하
(6) 참
여 수렴한다.


그러므로 급수 의 수렴구간은 ≥ 이고, lim 이면 비율 판정법에 의하여 이
→∞

수렴한다.
수렴구간에 속하는 가장 작은 정수는 이다.

(7) 거짓

296. 풀이 참조 [반례] 이면 은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1) 거짓
∞ 수렴하나 lim 이다.
→∞
[반례] 이라 하면 lim 이지만 은
→∞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한다. (8) 거짓



[반례] 이라 하면 은
(2) 거짓

교대급수 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하지만
[반례] 이라 하면 은 교대급수
∞ ∞

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한다.
∞ ∞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한다.
하지만 은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한다. (9) 거짓


즉, 이 양항급수인지 교대급수인지 조건을 ∞
[반례] 일 때, 이므로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의 다양성을 고려해야한다.
은 발산한다.

(3) 거짓
그러나 은 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해서 수렴한다.

[반례] , 일 경우 두 급수 과

∞ (10) 거짓
이 모두 발산하지만, ∞
[반례] 이라 하면 은
∞ ∞
은 수렴한다.
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수렴하지만
∞ ∞
⋅ 은 급수판정법
(4) 거짓
에 의하여 발산한다.
[반례] 의 경우 급수 과

정답 및 해설 l 115
(11) 참
∞ ∞
이 수렴하면 은 절대수렴한다.

∞ ∞
297.
즉, , 모두 수렴하고 lim 인
→∞

은 감소수열이다.
∞ ∞ ∞
따라서 이므로 도 수렴한다.

또는 lim lim 이므로 극한비교판정



→∞ →∞

법에 의하여 도 수렴한다.

∴ lim lim
(12) 거짓 →∞ →∞

[반례] 이라 하면 급수판정법에 의하여



은 수렴하지만 은 발산한다. 298. tan

급수의 부분합을 이라 하면
(13) 참 ∞
tan tan
급수 이 절대수렴하고
≤ sin ≤ 이므로
lim tan tan
sin 도 수렴한다. →∞
비교판정법에 의해

급수 sin 은 절대수렴하므로 급수 sin 도 lim tan tan tan tan


→∞

수렴한다. ⋯ tan tan


lim tan tan tan tan
→∞
(14) 참
∞ tan tan
멱급수 이 에서 수렴하면 멱급수의 수렴
tan
범위는 최소한 이므로 은 수렴범위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에서도 수렴한다.

(15) 거짓

299. (1) (2) (3) ln
멱급수 이 에서 수렴하면 멱급수의
(4) (5) (6)
수렴범위는 최소한 이므로 의
수렴성은 이 제시되지 않는 한 알 수 없다.
(1) cos ⋯

이고, 를 대입하면

cos ⋯ 이므로

⋯ cos 이다.

116 | 미적분과 급수
∞ ln ln ln ∞ ∞
ln
(2) ⋯ (6) 라고 하면

이다. 일 때, 식을 유도하기 위해서


cosh ⋯ 의 양변에서

⋯ 의
을 빼면 cosh ⋯이다.
양변을 에 대하여 두 번 미분하고 양변에 을 곱하면
ln 를 대입하면
⋅ ⋅ ⋅ ⋯
ln ln ln ⋯

cosh ln 이다.
ln ln

를 대입하면

∞ ∞

(3) ln 이므로 를 대입하면

∞ ∞


ln

ln ln 이다.

(4) 으로 치환하면
300.

⋯이다. ∞
은 첫째항 공비
⋯이고
인 등비급수이므로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
⋯이고 ⇔ 또는
⇔ 또는 일 때 수렴한다.
양변에 를 곱하면
또한 급수합 ⇔
⋯이므로
±
∞ ⇔

그러나 는 이므로

(5) tan ⋯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



이므로

∞ tan
이고 을 대입하면


tan

정답 및 해설 l 117
301. ln 304.

로 치환을 하면 매클로린 급수의 식으로 바꿀 수 있다. (ⅰ) lim
→∞

⋯ ln lim
→∞

을 대입하면 ln lim ⋯
→∞

302. lim
→∞
규칙성이 존재하는 급수의 소거법으로

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
(ⅱ)
∞ ∞

∞ ∞ ∞

lim ⋯
→∞

lim
→∞

매클로린 급수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식을 조작해보자.


∞ ∞

∞ ∞

303.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 양변에 를 곱하면


⇒ 양변에 에 대하여 미분


⇒ 양변에 를 곱함


⇒ 이다.

118 | 미적분과 급수
정답 및 해설 l 119
sin ± sin cos ± cos sin sin sin cos

cos ± cos cos ∓sin sin cos cos sin

tan ±tan tan


tan ± tan
∓ tan tan tan

cos
cos sin sin

cos
tan sec cos

cos
cot csc tan
cos

sin cos cos cos

sec csc tan cot

sinh cosh sinh

cosh tanh sech

sinh
tanh coth csch
cosh

csch
sinh ln ∞ ∞
sinh ln ≠

sech
cosh ln ≥
cosh ln ≤

coth
tanh ln
tanh ln

120 | 미적분과 급수
lim

lim

± ±

ln log
ln

ln

sin cos sin

cos sin cos

tan sec tan

cot csc cot

sec sec tan sec

csc csc cot csc

sinh cosh sinh

cosh sinh cosh

tanh sech tanh

coth csch coth

sech sech tanh sech

csch csch coth csch

정답 및 해설 l 121
(1) 합성함수 의 미분

(2) 의 역함수를 라고 할 때,

(3) 음함수 의 미분

(4) 매개변수 함수 의 미분

(5) 미분 ln

(1) 에서 는 연속이다 ⇔ lim


(2) 중간값 정리(실근의 존재성) : 가 폐구간 에서 연속이고, 라면


을 만족하는 는 구간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한다.

(3) 롤의 정리 : 함수 가 구간 에서 연속이고, 구간 에서 미분가능하고,


을 만족하면 인 가 구간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4) 평균값 정리 : 함수 가 구간 에서 연속이고, 구간 에서 미분가능할 때,

를 만족하는 가 구간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1) lim ln (2) lim ln


→ →

(3) lim (4) lim


→∞ →∞

122 | 미적분과 급수
sinh cosh

cosh sinh

± ± sech tanh

sin cos csch coth

cos sin tanh ln cosh

tan ln cos ln sec coth ln sinh

csc ln csc cot tanh tanh

sec ln sec tan coth coth

cot ln sin sech tanh sech

sec tan sec csch coth csch

csc cot csc sin cos

sec tan cos sin

csc cot cos sin sin

tan tan sin cos cos

cot cot sec sec tan ln sec tan

sin sin tan tan ln cos

tan
cos sin tan tan

정답 및 해설 l 123
sin cos cos

tan sec sec

ln sec tan sec tan

ln tan

tan

sin cos

sin cos
ln

sinh ln
ln

sinh ln

cosh ln

ln ln cosh ln

ln ln sin

ln ln cos
tan
sin cos
sin

cos sin
cos sin

sin cos
sin cos
tan
sin cos
cos

짝수일때 ⇒ ⋯
sin cos
홀수일때 ⇒ ⋯ ·

124 | 미적분과 급수

가 기함수일 때,


가 우함수일 때,


·

폐구간 에서 연속인 에 대하여



인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여기서 를 의 평균값이라 한다.

ln cos

sin tan
∞ ln

sin cos

cos sin

의 동경벡터 와 접선의 사잇각 일 때,

ln tan


(단, 이 자연수)

ln

정답 및 해설 l 125
≤ ≤

≤ ≤

축 (직선 ) 회전체의 부피

직선 ( 축과 평행) 회전체의 부피
≤ ≤

축 (직선 ) 회전체의 부피

직선 ( 축과 평행) 회전체의 부피

축(직선 ) 회전체의 부피

직선 ( 축과 평행) 회전체의 부피
≤ ≤

축 (직선 ) 회전체의 부피

직선 ( 축과 평행) 회전체의 부피

∙호의길이

∙호의길이

126 | 미적분과 급수
≤ ≤

≤ ≤

축 (직선 ) 회전체의 부피

≤ ≤ 직선 ( 축과 평행) 회전체의 부피
≤ ≤

축 (직선 ) 회전체의 부피

직선 ( 축과 평행) 회전체의 부피

∙호의길이

∙호의길이

≤ ≤

주어진 함수가 단순 폐곡선(원, 타원 등)일 때, ( : 폐곡선의 중심과 회전축과의 거리)


(1) 회전체의 부피 = 폐곡선의 단면적 × (2) 회전체의 표면적 = 폐곡선의 둘레의 길이 ×

정답 및 해설 l 127
sin
cos

cos
sin

± cos
± sin

cos
sin

cos
sin

cos
sin

128 | 미적분과 급수
테일러(Taylor) 급수의 정의 _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할 때,

⋯ ⋯
∞ ∞

매클로린 급수의 정의 _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할 때,


∞ ∞
⋯ ⋯


(1) ⋯


(2) ⋯


(3) ln ⋯


(4) ln ⋯


(5) tan ⋯


(6) sin ⋯ ∞


(7) cos ⋯ ∞


(8) ⋯ ∞

(9) sinh ⋯ ∞

(10) cosh ⋯ ∞

(11) ⋯


(12) sin ∙ ∙ ⋯


(13) sinh ∙ ∙ ⋯

(14) tan ⋯


(15) tanh ⋯

정답 및 해설 l 129
sin ± sin

cos ± cos

tan ± tan

cos sin

sec cos

csc tan

sin cos cos

tan
sec csc

sinh cosh

cosh tanh

tanh coth

sinh csch

cosh sech

tanh coth

130 | 미적분과 급수
±

log

ln

sin sin

cos cos

tan tan

cot cot

sec sec

csc csc

sinh sinh

cosh cosh

tanh tanh

coth coth

sech sech

csch csch

정답 및 해설 l 131
(1) 합성함수 의 미분

(2) 의 역함수를 라고 할 때,

(3) 음함수 의 미분

(4) 매개변수 함수 의 미분

(5) 미분

(1) 에서 는 연속이다 ⇔

(2) 중간값 정리(실근의 존재성) : 가 폐구간 에서 연속이고, 면


을 만족하는 는 구간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한다.

(3) 롤의 정리 : 함수 가 구간 에서 연속이고, 구간 에서 미분가능하고,

을 만족하면 인 가 구간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4) 평균값 정리 : 함수 가 구간 에서 연속이고, 구간 에서 미분가능할 때,

을 만족하는 가 구간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1) lim ln (2) lim ln


→ →

(3) lim (4) lim


→∞ →∞

132 | 미적분과 급수
sinh

cosh

± sech

sin csch

cos tanh

tan coth

csc tanh

sec coth

cot sech tanh

sec tan csch coth

csc cot sin

sec cos

csc cos sin

tan sin cos

cot sec

sin tan

cos tan

정답 및 해설 l 133
:

ln

ln sin ⇒

ln cos ⇒
tan
sin ⇒

cos sin ⇒

sin cos ⇒
tan
cos ⇒

짝수일때 ⇒
sin cos
홀수일때 ⇒

134 | 미적분과 급수

가 기함수일 때,


가 우함수일 때,

∞ 폐구간 에서 연속인 에 대하여

인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여기서 를 의 평균값이라 한다.

ln


∞ ln tan

의 동경벡터 와 접선의 사잇각 일 때,


ln
tan

정의 :

성질

(단, 이 자연수)

ln

정답 및 해설 l 135
≤ ≤

≤ ≤

축 (직선 ) 회전체의 부피

직선 ( 축과 평행) 회전체의 부피
≤ ≤

축 (직선 ) 회전체의 부피

직선 ( 축과 평행) 회전체의 부피

축(직선 ) 회전체의 부피

≤ ≤
직선 ( 축과 평행) 회전체의 부피

축 (직선 ) 회전체의 부피

직선 ( 축과 평행) 회전체의 부피

136 | 미적분과 급수
≤ ≤

축 (직선 ) 회전체의 부피

직선 ( 축과 평행) 회전체의 부피
≤ ≤
≤ ≤

축 (직선 ) 회전체의 부피

직선 ( 축과 평행) 회전체의 부피

≤ ≤

주어진 함수가 단순 폐곡선(원, 타원 등)일 때, ( : 폐곡선의 중심과 회전축과의 거리)


(1) 회전체의 부피 = 폐곡선의 단면적 × (2) 회전체의 표면적 = 폐곡선의 둘레의 길이 ×

정답 및 해설 l 137
sin
cos

cos
sin

± cos
± sin

cos
sin

cos
sin

cos
sin

138 | 미적분과 급수
테일러(Taylor) 급수의 정의 _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할 때,

매클로린 급수의 정의 _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할 때,

(1)

(2)

(3) ln

(4) ln

(5) tan

(6) sin ∞

(7) cos ∞

(8) ∞

(9) sinh ∞

(10) cosh ∞

(11)

(12) sin

(13) sinh

(14) tan

(15) tanh

정답 및 해설 l 139
140 | 미적분과 급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