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3

청산별곡51문제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살어리 살어리랏다 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 청산에 대한 동경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삶의 비애와 고독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현실 세계에 대한 미련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절망적 고독과 비탄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삶에 대한 운명적 체념과 비애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 래 살어리랏다.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 래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바다에 대한 동경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 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삶의 고뇌를 잊기 위한 절박감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와 잡 와니 내 엇디 리잇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술을 통한 삶의 고통
해소

1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1. 이 시를 외국인들 앞에서 연극으로 공연할 때, 공감을 얻 3. 이 시의 화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기 위해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은?
[2점]
[2점] ① 술로 괴로움을 잊으려 하고 있다.
① 사실성 확보를 위해 시대적 상황에 맞는 의상과 분장을 ② 세속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해야 한다는 점 ③ 낭만적 세계에 대한 동경을 드러내고 있다.
② 이 작품의 형식에 맞게 여덟 부분으로 나누어 공연을 구 ④ 주어진 상황을 운명으로 알고 체념하고 있다.
성해야 한다는 점 ⑤ 유희를 통해 삶의 고뇌를 잠시나마 위로받고자 한다.
③ 인간은 개인과 사회의 갈등 속에서 늘 고뇌하면서 투쟁
하며 살아가야 하는 존재라는 점
④ 주인공이 겪고 있는 삶에 대한 고뇌가 보편적인 것으로
관객에게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⑤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표정과 동
작만으로 이루어진 무언극으로 꾸며야 한다는 점

2. 이 시를<보기>와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전의 옥토는 어찌 되고
쪽박의 신세가 웬 말인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배 띄워라 노다 가세. //
밭은 헐려서 신작로 되고
집은 헐려서 정거장 되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배 띄워라 노다 가세.
- '아리랑 타령'

[2점]
① 둘 다 일정한 율격 형태를 띠고 있다.
② 둘 다 삶의 비애를 노래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③ 둘 다 일정한 후렴으로써 음악성을 확보하고 있다.
④ 둘 다 시대 배경을 짐작할 만한 사건과 단서가 직접적으
로 제시되어 있다.
⑤ 둘 다 일정한 유형의 반복 형태를 지니고 있고,<보기>
는 대구(對句)의 형태도 지니고 있다.

2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가]살어리 살어리랏다 산(靑山)애 살어리랏다. ② (나):예, 그렇습니다. 그런데 당신은 고뇌에 잠겨 살아가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는 것 같군요. 그래서 현실을 벗어난 삶을 그리워하는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것 같군요.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③ (가):그렇습니다. 청산은 저의 이상향입니다. 속세의 모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든 생활에 대한 미련을 다 버리고 살아갑니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④ (나):저는 이 어촌에서 여름이나 가을이나 자연과 더불
어 살아갑니다. 소박한 생활이지만 만족스럽지요.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⑤ (가):나는 왜 이리 외로운지 모르겠습니다. 아무도 찾아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오지 않는 밤이 오면 정말 그 외로움은 이루 말할 수조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차 없을 정도입니다.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5. (가)의 1연과 같은 반복의 유형을<보기>에서 찾아 바르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호리라.
게 묶은 것은?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 석양이 재 넘어갈 제 어깨를 추이르며 긴 소래 저른 소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래 하며 어이 갈고 하더라.
- 사설시조
[나]년닙희 밥 싸두고 반찬으란 쟝만 마라. ㉡ 비위맥(脾胃脈)은 끊어지고, 간맥(肝脈)은 서늘하고, 태
닫 드러라 닫 드러라 충맥(太衝脈)은 걷어가고, 명맥(命脈)은 끊겨 가네. 애고
靑청蒻약笠립은 써 잇노라, 綠녹蓑사衣의 가져오냐. 이게 웬일이요. 원수로다. 원수로다. 고집불통 원수로다.
至지菊국총 至지菊국총 於어思사臥와 - '장끼전'
㉢ 달밤이 싫여, 달밤이 싫여, 눈물 같은 골짜기에 달밤이
無무心심 白백鷗구 내좃 가제좃 가.
싫여, 아무도 없는 뜰에 달밤이 나는 싫여…….
- 박두진, '해'
物믈外외예 조 일이 漁어夫부 生생涯애 아니러냐. ㉣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서는 / 이별이, 이별이 있어야
떠라 떠라 하네. // 높았다, 낮았다, 출렁이는 물살과 / 물살 몰아 갔
漁어翁옹을 뚈디 마라, 그림마다 그렷더라. 다 오는 바람만이 있어야 하네.
至지菊국총 至지菊국총 於어思사臥와 - 서정주, '견우의 노래'
四 時시興흥이 가지나 秋츄江강이 읃듬이라. ㉤ 내게 행복이 온다면 / 나는 그에게 감사하고, / 내게 불
행이 와도 / 나는 또 그에게 감사한다. // 한 번은 밖에서
오고 / 한 번은 안에서 오는 행복이다.
- 김현승, '지각'
4. (가)와 (나)의 화자가 다음과 같은 대화를 나누었다고 할
[2점]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 ② ㉡, ㉢
[2점] ③ ㉢, ㉣ ④ ㉡, ㉢, ㉣
① (가):당신은 어촌에서 유유자적하는 생활을 하며 살아가 ⑤ ㉡, ㉢, ㉤
고 있군요. 저와는 처지가 다른 것 같습니다.

3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6. (가)와 (나)의 시어를 대비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仙선界계ㄴ가 佛불界계ㄴ가 人인間간이 아니로다.

[2점]
① (가)의 '쳥산'과 (나)의 '物믈外외'는 속세와 대립되는 공간
[다]나 보기가 역겨워
이다. 가실 때에는
② (가)의 '멀위', ' 래'와 (나)의 '靑청蒻약笠립'은 화자의 초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라한 생활을 드러낸다.
③ (가)의 2연 '새'와 (나)의 '백구'는 화자의 처지와 상반되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는 소재이다. 진달래꽃
④ (가)의 '믈 아래'와 (나)의 '秋츄江강'은 화자에게 즐거움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을 주는 공간이다.
⑤ (가)의 '밤'과 (나)의 '四 時시'는 화자에게 외로움을 주 가시는 걸음 걸음
는 시간이다.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7. (나)의 1연에 드러나는 화자의 삶과 관련 있는 한자 성어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는?

[2점]
① 안분지족(安分知足) ② 수구초심(首丘初心) [라]까마득한 날에
③ 망운지정(望雲之情) ④ 점입가경(漸入佳境)
하늘이 처음 열리고
⑤ 괄목상대(刮目相對)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山脈)들이
바다를 연모(戀慕)해 휘달릴 때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차마 이 곳을 범(犯)하던 못 하였으리라.

[가]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끊임없는 광음(光陰)을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부지런한 계절(季節)이 피여선 지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지금 눈 나리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매화 향기(梅花香氣)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나]간밤의 눈 갠 後후에 景경物믈이 달랃고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이어라 이어라 백마(白馬) 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압희 萬만頃경琉류璃리 뒤희 千쳔疊玉옥山산. 이 광야(曠野)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至지菊총 至지菊총 於어思사臥와

8. (가)~(라)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4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2점] [2점]
① (가)~(라) 모두 자연물을 소재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① 자기가 싫다고 떠나는 임을 축복하다니, 나는 절대로 화
② (가)와 (다)는 3음보, (나)는 4음보의 율격으로 이루어져 자와 같은 행동을 하지는 못할 거야.
있다. ② 이 시는 근대 정신을 노래한 것 같지는 않아. 지나치게
③ (가)의 화자는 자신의 서러움과 속세에 대한 미련을 토로 봉건적인 순종의 미덕을 강조하고 있단 말이야.
하고 있다. ③ 사랑의 정이 참으로 애절하게 드러나 있군. 임의 가는
④ (나)의 화자는 대구법을 사용하여 설경(雪景)을 미화하여 길 앞에 뿌려진 진달래꽃은 그런 화자의 사랑을 상징하
표현하고 있다. 고 있어.
⑤ (라)의 화자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④ 이별한 임일지라도 잊을 수 없다는 것은, 곧 일제 강점기
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에 빼앗긴 조국을 포기할 수 없다는 정신을 표현한 것 아
니겠어?
⑤ 이 시가 시대를 초월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것
은 화자의 지고지순한 사랑을 사람들이 아름답게 여기
9. (다)와 (라)의 화자가 대화를 나눈다고 할 때, 작품에서 기 때문일 거야.
드러나는 태도와 일치하지 않는 것은?

[2점]
① (라):정말 당신은 소극적이군요. 임을 사랑한다면 가지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말라고 붙들든지, 아니면 미련을 남기지 말고 헤어지든
지 해야 하지 않을까요? 저라면 그렇게 했을 겁니다.
② (다):떠나는 임에게 꽃을 뿌리는 행위도 소중한 사랑의
표현이라고 생각해요. 슬프지만 그걸 마음 속으로 삭이
며 참아 내는 것은 전통적으로 한국 여인들의 정서에서
찾아볼 수 있던 것이 아니던가요?
③ (라):굳건한 태도와 의지가 필요해요. 당신의 현재 태도
는 곤란하다고 봐요. 어차피 헤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라면, 굳은 마음으로 자신의 감정을 정리하고 미래를 준
비해야 합니다.
④ (다):임이 떠난다는 현실을 체념적으로 받아들일 수밖
에 없으면서도 미련이 많이 남아요. 말로는 죽어도 눈물
을 흘리지 않겠다고 하였지만 그 반대로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 아닐까요?
⑤ (라):물론 인간에게 그런 측면이 있기는 하지요. 우리들
의 감정이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할 때가 많지요.
그럴 경우 저도 단호하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곤 합니다.

10. (다)에 대한 감상 중, 작품의 내재적 의미만을 주목한


것은?

5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 노랗게 속 차오르는 배추밭머리에 서서 11.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생각하노니
[2점]
옛날에 옛날에는 배추꼬리도 맛이 있었나니 눈 덮인 움
속에서 찾아냈었나니 ① (가)와 (나)는 작품의 처음과 끝을 대응시켜 주제를 강조

하얗게 밑둥 드러내는 무밭머리에 서서 하고 있다.


② (가)와 (다)는 색채의 대비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를 선명
생각하노니
옛날에 옛날에는 무꼬리 발에 채였었나니 아작아작 먹었 하게 드러내고 있다.
었나니 ③ (나)와 (다)는 감탄형 어미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강화하
고 있다.
달삭한 맛 ④ (가), (나), (다) 모두 말끝을 감춤으로써 말로 표현하기 어
려운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
산모롱을 굽이도는 기적 소리에 떠나간 사람 얼굴도 스쳐 ⑤ (가), (나), (다) 모두 특정 구절을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하
가나니 설핏 비껴가나니 풀무 불빛에 싸여 달덩이처럼 고 시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오늘은
이마 조아리며 빌고 싶은 고향
12. <보기>를 참고하여 (가), (나), (다)를 감상한 내용으로
- 박용래, '밭머리에 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청계천 7가 골동품 가게에서 보


나는 어느 황소 목에 걸렸던 방울을 / 하나 샀다. 기

인간에게 고향은 이상향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고향은


그 영롱한 소리의 방울을 딸랑거리던 / 소는 이미 이승의
인간이 현실 세계에 적응하면서 잃어버린 순수하고 아련
짐승이 아니지만,
나는 소를 몰고 여름 해질녘 하산하던 / 그날의 소년이 되 한 공간으로,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공간이라기보다는 부
정적 현실 세계에서 꿈꾸는 이상적 공간을 상징한다. 따라
어, 배고픈 저녁연기 피어오르는
서 그곳은 결코 되돌아갈 수 없는 곳이며, 영원한 향수의
마을로 터덜터덜 걸어 내려왔다.
대상으로서만 존재한다.
장사치들의 흥정이 떠들썩한 문명의 / 골목에서 지금, 삼 [2점]
륜차가 울려 대는 경적이
① (가)의 '옛날에 옛날에는'은 인간이 잃어버린, 순수했던
저자 바닥에 따가운데 / 내가 몰고 가는 소의 딸랑이는 방
이상적 시절을 의미한다.
울 소리
② (가)의 '이마 조아리며 빌고 싶은'을 통해 '고향'에 대한 짙
돌담 너머 옥분이네 안방에 / 들릴까 말까,
은 향수를 느낄 수 있다.
사립문 밖에 나와 날 기다리며 섰을 / 누나의 귀에는 들릴
③ (나)의 '그날의 소년'은 화자가 되돌릴 수 없는 향수의 대
까 말까
상이다.
- 이수익, '방울 소리'
④ (다)의 화자가 청산에 있지 않다고 본다면 '청산'은 부정
적 현실에서 꿈꾸는 고향이라 할 수 있다.
㉰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靑山)애 살어리랏다.
⑤ (다)의 화자가 청산에 있다고 본다면 '청산'과 '바다'는 고
멀위랑 래랑 먹고 청산(靑山)애 살어리랏다.
향을 꿈꾸도록 만드는 현실 세계의 의미를 갖는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 래 살어리랏다.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 래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작자 미상, '청산별곡(靑山別曲)'

6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13. (가)~(다)의 시어를 비교하여 이해했다고 할 때, 적절하 나를 태우고 날아가던 그넷줄이
지 않은 것은? 오랫동안 삐걱삐걱 떨고 있었어
어릴 때는 ㉡나비를 좇듯
[2점]
아름다움에 취해 땅끝을 찾아갔지
① 배추꼬리 - 무꼬리 : 서로 대등한 심상으로, '옛날'의 심상 그건 아마도 끝이 아니었을지도 몰라
을 구체화한다. 그러나 살면서 몇 번은 땅끝에 서게도 되지
② 청계천 - 마을 : '청계천'은 '마을'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 파도가 끊임없이 땅을 먹어 들어오는 막바지에서
으로 향수를 달래는 곳이다. 이렇게 뒷걸음질치면서 말야.
③ 그날 - 방울 : '방울'은 '그날'의 심상이 집약된 것으로 '그 살기 위해서는 이제
날'을 환기하는 매개물이다. 뒷걸음질만이 허락된 것이라고.
④ 나 - 새 : '새'는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자연물로 '나'의 비 파도가 아가리를 쳐들고 달려드는 곳
애를 드러내 준다. 찾아 나선 것도 아니었지만
⑤ 낮 - 밤 : '밤'은 '낮'의 심상이 심화되어 화자의 고독을 더 끝내 발 디디며 서 있는 땅의 끝.
욱 부각한다. 그런데 이상하기도 하지
위태로움 속에 아름다움이 스며 있다는 것이
땅끝은 늘 젖어 있다는 것이
[14~1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그걸 보려고
또 몇 번은 여기에 이르리라는 것이
(가) (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애 살어리랏다. 아모도 그에게 수심(水深)을 일러 준 일이 없기에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애 살어리랏다. ㉢흰나비는 도모지 바다가 무섭지 않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제1 청(靑)무우밭인가 해서 나려 갔다가는
장> 어린 날개가 물결에 저러서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공주처럼 지처서 도라온다.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삼월달 바다가 꽃이 피지 않어서 서거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2장 나비 허리에 새파란 초생달이 시리다.
>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4장 14.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 래 살어리랏다. [2점]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 래 살어리랏다. ① (가)와 (나)는 세상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비판하고 있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6장 다.
> ② (가)와 (다)는 미래에 대한 희망과 포부를 형상화하고 있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다.
조롱곳 누로기 와 잡 와니, 내 엇디 리잇고. ③ (나)와 (다)는 이상적인 세계를 추구하는 마음을 드러내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8장 고 있다.
> ④ (가)~(다)는 모두 구체적인 체험을 통해 미래의 상황을
(나) 예측하고 있다.
산 너머 고운 노을을 보려고 ⑤ (가)~(다)는 모두 방랑의 경험에서 삶에 대한 낙관적인
그네를 힘차게 차고 올라 발을 굴렀지 전망을 획득하고 있다.
노을은 끝내 어둠에게 잡아먹혔지

7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15. <보기>를 바탕으로 (가)의 ‘바ᄅᆞᆯ’과 (다)의 ‘바다’의 공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
통점을 이해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제1연>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가)의 ‘청산’과 ‘바다’는 현실의 갈등과 고뇌를 벗어날 수 제2연>
있는 소망스런 삶의 공간으로 인식했던 공간이다. 하지만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화자는 방황하며 술로 근심을 달래는 모습을 보이고 있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제3연>
[2점]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① 화자가 살았던 속세와는 대립적인 성격을 지닌다.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② 화자가 생각하는 이상향으로, 비현실적인 공간이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③ 화자에게 고통을 딛고 일어설 수 있는 힘을 부여한다. 제4연>
④ 화자가 기대를 품었던 공간이지만 결국 충족시키지는 못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 래 살어리랏다.
한다.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 래 살어리랏다.
⑤ 화자의 방황과 모색을 마무리하는 지점이라는 점에서 의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미가 있다. 제6연>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와 잡 와니, 내 엇디 리잇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16. (가)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을 모두 골라 바르 제8연>
게 묶은 것은? - 작자 미상, ‘청산별곡
보 (靑山別曲)’
기 ▝가던 새:① 날아가던 새. ② 갈던 밭.
▝ 강수:독한 술.
ㄱ. 시적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기여한다.
ㄷ. 화자의 심정을 함축적으로 드러낸다. (나)
ㄴ. 시상의 의미를 종결하는 역할을 한다. 풀이 눕는다. / 비를 몰아오는 동풍에 나부껴
ㄹ. 리듬감을 통해 음악적 효과를 고조시킨다. 풀은 눕고 / 드디어 울었다.
날이 흐려서 더 울다가 / 다시 누웠다.
[2점] 풀이 눕는다. /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① ㄱ, ㄴ ② ㄱ, ㄹ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
③ ㄴ, ㄷ ④ ㄴ, ㄹ 날이 흐리고 풀이 눕는다. / ㉣발목까지 / 발밑까지 눕는
⑤ ㄷ, ㄹ 다.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날이 흐리고 풀뿌리가 눕는다.
[17~1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김수
(가) 영, ‘풀’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다)
너희들의 비상은 / 추락을 위해 있는 것이다. / 새여,
알에서 깨어나 / ㉤막, 은빛 날개를 퍼덕일 때

8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너희는 하늘만이 진실이라 믿지만, / 하늘만이 자유라고
③ (다)에서 ‘새’는 Ⓑ에서 꿈을 찾고자 하지만, 화자는 그 꿈
믿지만
이 Ⓐ에서만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자유가 얼마나 큰 절망인가는 / 비상을 해보지 않고서는 ④ (가)의 ‘나’와 (다)의 ‘새’는 Ⓐ를 Ⓑ의 대체 공간으로 여기
모른다.
고 있다.
진흙밭에 딩구는 / 낟알 몇 톨,
⑤ (가)의 ‘믈 아래’는 ‘나’가 미련을 갖는 공간이란 점에서,
너희가 꿈꾸는 양식은 / 이 지상에만 있을 뿐이다.
(다)의 ‘진흙밭’은 ‘새’가 벗어나려 하는 공간이란 점에서
새여, / 모순의 새여,
모두 Ⓐ로 볼 수 있다.
- 오세영, ‘지상(地上)
의 양식(糧食)’

19. <보기>의 두 측면에 따라 (나)`를 감상한 것으로 적절


하지 않은 것은?
17.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2점] 기
① (가)와 (나)는 시구의 반복을 통해 운율감을 형성하며 시
작품 ‘풀’에 대한 이해
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Ⅰ] 시어 간의 대립 관계에 주목하기
② (가)와 (다)는 역설적 인식을 바탕으로 현실의 부정적인
시어 간의 대립 관계에 초점을 둔다면, 이 노래는 강인한
면모를 부각하고 있다.
민중의 생명을 노래
③ (나)와 (다)는 의지적인 어조를 사용하여 화자의 결심을
한 작품으로 해석할 수 있다.
드러내고 있다.
[Ⅱ] 시어(소재) 자체의 특성에 주목하기
④ (가)~(다)는 모두 말을 건네는 듯한 어투로 교훈적 의미
풀과 관련된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들에 초점을 둔다면,
를 전달하고 있다.
이 노래는 풀의 생태
⑤ (가)~(다)는 모두 대상에 감정을 이입하여 화자의 친화적
를 통해 민중의 삶을 형상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인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2점]
① [Ⅰ]:‘풀’과 ‘바람’의 대립에 착안한다면 풀을 외압에 의

18. <보기>를 활용하여 (가)와 (다)를 설명한 것 중, 적절하


해 고통받는 민중으로 볼 수 있다.
② [Ⅰ]:‘먼저 일어난다’, ‘먼저 웃는다’의 ‘먼저’는 풀의 능동
지 않은 것은?
적인 작용으로, 시련을 이겨내는 민중의 꿋꿋한 삶을 드
보 러낸다.
기 ③ [Ⅰ]:‘더 빨리 울고’는 민중에게 찾아오는 슬픔을, ‘늦게
울어도’는 이를 극복하려는 민중의 노력을 의미한다.
④ [Ⅱ]:‘눕는다’와 ‘일어난다’는 풀의 움직임으로서 쓰러졌
다 다시 일어나는 민중의 삶을 형상화한 것 이다.
⑤ [Ⅱ]:‘운다’와 ‘웃는다’는 때로는 울고 때로는 웃으며 애
환을 안고 살아가는 민중의 삶을 상징한다.

[2점]
[20~2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① (가)에서 ‘쳥산’과 ‘ ’은 ‘나’가 Ⓑ로 여겨 지향한 공간으
로 볼 수 있다. (가)
② (다)에서 ‘지상’은 Ⓐ이고, ‘하늘’은 ‘새’가 Ⓑ로 여긴 공간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이다.

9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여, 고목(古木)은 가지 찍고 햇잎은 제쳐 따소. 찔레꽃 만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1연> 발(滿發) 니 적은 가물 없을소냐. 이때를 승시(乘時)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여 나 할 일을 생각 소. 도랑 쳐 수도(水道) 내고 우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루처(雨漏處) 개와(改瓦) 여, 음우(陰雨)를 방비(防備)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2연> 면 훗근심 더 없나니.
_ 작자 미상 봄낳이 필무명을 이때에 마전 고, 베 모시 형세(形勢)
대로 여름옷 지어 두소. 벌통에 새끼 나니 새 통에 받으
(나) 리라. 천만(千萬)이 일심(一心)하여 봉왕(蜂王)을 옹위(擁
어리고 우활(迂闊) 산이 우 더니 업다. 길흉화 衛) 니, 꿀 먹기도 려니와 군신분의(君臣分義) 깨닫
복(吉凶禍福)을 하날긔 부쳐 두고, 누항(陋巷) 깁푼 곳의 도다. 파일(八日)에 현등(懸燈) 은 산촌(山村)에 불긴
초막(草幕)을 지어 두고, 풍조우석(風朝雨夕)에 석은 딥 (不緊) 나, 느티떡 콩찌니는 제때의 별미(別味)로다.
히 셥히 되야, ㉠셔홉 밥 닷홉 죽(粥)에 연기(煙氣)도 하 앞 내에 물이 주니 천렵(川獵)을 여 보세. 해 길고 잔풍
도 할샤, 설 데인 숙랭(熟冷)애 뷘 쇡일 이로다. (潺風) 니 오늘 놀이 잘 되겠다. 벽계수(碧溪水) 백사장
생애(生涯) 이러 다 장부(丈夫) 을 옴길넌가. 안빈 (白沙場)을 굽이굽이 찾아가니, 수단화 늦은 꽃은 봄빛
일념(安貧 一念)을 젹을망졍 품고 이셔, 수의(隨宜)로 살 이 남았구나. 촉고(數┾)를 둘러치고 은린 옥척(銀鱗玉
려 니 날로조차 저어(齟齬) 다. 히 뷔엿거든 봄 尺) 후려내어, 반석(盤石)에 노구 걸고 솟구쳐 끓여 내니,
이라 유여(有餘)하며, 주머니가 뷔엿거든 병(甁)의라 담겨 팔진미(八眞味) 오후청(五候鯖)을 이 맛과 바꿀소냐. <4
시랴. 빈곤(貧困) 인생(人生)이 천지간(天地間)의 나 월령(四月令)>
이라, 기한(飢寒)이 절신(切身) 다 일단심(一丹心) _ 정학유
을 이질 가. 분의망신(奮義忘身) 야 죽어야 말녀 너
겨, 우탁우낭(于呎于囊)의 줌줌이 모아 녀코, 병과오재(兵
戈五載)예 감사심(敢死心)을 가져 이셔, 이시섭혈(履尸涉
血) 야 몃백 전(百戰)을 지 연고. 일신(一身)이 여가 20.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餘暇) 잇사 일가(一家)를 도라보랴. 일노장수(一奴長鬚)
노주분(奴主分)을 이졋거든, 고여춘급(告余春及)을
어 사이 각 리. 경당문노(耕當問奴)인 눌 [2점]
려물 고, 궁경가색(躬耕稼穡)이 분(分)인 줄 알 ① (가), (나), (다)는 모두 형식의 정형을 띠고 있다.
리로다. ② (가)의‘청산’은 (나)의 화자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공간이
_ 박인로 다.
③ (다)의 내용은 (나)의 화자가 추구하는 현실적인 삶의 모
(다) 습으로 부러움의 대상이다.
사월(四月)이라 맹하(孟夏)되니 입하(立夏) 소만(小滿) 절 ④ (나), (다)에서는 동일한 운율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기(節氣)로다. 비 온 끝에 볏이 나니 일기(日氣)도 청화(淸 ⑤ (다)는 실제 농부들에게 농사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
和) 다. 떡갈잎 퍼질 때에 뻐꾹새 자로 울고, 보리 이 하고 있다.
삭 패어 나니 꾀꼬리 소리 다.
농사도 한창이요 잠농(蠶農)도 방장(方長)이라. 남녀노소
골몰(汨沒)하여 집에 있을 틈이 없어, 적막(寂寞) 대사
립을 녹음(綠陰)에 닫았도다. 면화(棉花)를 많이 가소 방 21. (가)~(다)를 감상하고 말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적(紡績)의 근본이라. 수수 동부 녹두 참깨 부룩을 적게
소. 갈 꺾어 거름 제 풀 베어 섞어 소. 무논을
써을이고 이른 모 내어 보세. 농량(農糧)이 부족 니환 [2점]
자(還子) 타 보태리라. 한잠하고 이는 누에 하루도 열두 ① (가)에서는 눈물을 흘리면서 새를 바라보는 화자의 모습
밥을, 밤낮을 쉬지 말고 부지런히 먹이어라. 뽕 따는 아이 을 상상할 수 있어.
들아 훗그루 보아

10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② (나)에서는 전쟁터에서 돌아와 열심히 농사 준비를 하는
이 눈물을 씻으랍니까.
모습을 상상할 수 있어.
두 볼은 옛날 그대로 복사꽃 빛이지만 한숨에 절로 입
③ (다)에서는 농부들이 농사일을 스스로 찾아서 열심히 일
술이 푸르러 감을 어찌합니까.
하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어.
④ (가)와 (나)에서 시적화자는 부정적인 상황에 처해 있다 몇만 리 구비치는 강물을 건너 와 ㉠당신의 따슨 손길
고 볼 수 있어. 이 저의 흰 목덜미를 어루만질 때 그때야 저는 자취도 없
⑤ (다)에서는 화자가 작품에 직접 노출되지 않으면서 농부 이 한줌 ⓓ티끌로 사라지겠습니다 어두운 밤하늘 허공
들에게 명령을 내리고 있어. 중천(虛空中天)에 바람처럼 사라지는 저의 옷자락은 눈
물 어린 눈이 아니고는 보지 못하오리다.

여기 돌문이 있습니다 원한도 사무칠 양이면 지극한 정


22. (가)~(다)의 감상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성에 열리지 않는 돌문이 있습니다 당신이 오셔서 다시
천 년(千年)토록 앉아서 기다리라고 슬픈 비바람에 낡아
가는 ⓔ돌문이 있습니다.
[2점]
- 조지훈, ‘석문(石門)’
① (가)는 3ㆍ3ㆍ2조의 3음보율을 지닌 기록 문학으로서 양
[나]
반들이 향유한 장르이다.
손 흔들고 떠나갈 미련은 없다.
② (나)는 서정 문학으로서 교술 문학과 대립되는 장르이며 [A] 며칠째 청산(靑山)에 와 발을 푸니
주로 3음보율을 띠고 있다.
흐리던 산길이 잘 보인다.
③ (다)는 화자가 직접 농사를 짓기 때문에 생동감 있는 운
상수리 열매를 주우며 인가(人家)를 내려다보고
율로써 자기 체험을 농부에게 전해줄 수 있다. [B] 쓰다 둔 편지 구절과 버린 칫솔을 생각한다.
④ (가)는 후렴구의 발달로 주제를 강조하고 생동감 있게 노
남방(南方)으로 가다 길을 놓치고
래할 수 있다.
[C] 두어 번 허우적거리는 여울물
⑤ (나)는 4음보 율격의 반복으로 리듬감을 형성하고 대구법
산 아래는 때까치들이 몰려와
과 열거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모든 야성(野性)을 버리고 들 가운데 순결해진
다.
길을 가다가 자주 뒤를 돌아보게 하는
[23~2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서른 번 다져 두고 서른 번 포기했던 관습들
[D] 서쪽 마을을 바라보면 나무들의 잔숨결처럼
[가] 가늘게 흩어지는 저녁 연기가
당신의 손끝만 스쳐도 여기 소리 없이 열릴 ⓐ돌문이 한 가정의 고민의 양식으로 피어 오르고
있습니다 뭇사람이 조바심치나 굳이 닫힌 이 돌문 안에 생목(生木) 울타리엔 들거미줄
는 석벽 난간(石壁欄干) 열두 층계 위에 이제 검푸른 이 ㉡맨살 비비는 돌들과 함께 누워
끼가 앉았습니다. [E]
실로 이 세상을 앓아 보지 않은 것들과 함께
잠들고 싶다.
당신이 오시는 날까지는 길이 꺼지지 않을 ⓑ촛불 한
- 이기철, ‘청산행(靑山行)’
자루도 간직하였습니다 이는 당신의 그리운 얼굴이 이
[다]
희미한 불 앞에 어리울 때까지는 천 년(千年)이 지나도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눈 감지 않을 저의 슬픈 영혼의 모습입니다.
멀위랑 래랑 먹고 청산(靑山)애 살어리랏다
길숨한 속눈섭에 항시 어리우는 이 두어 방울 ⓒ이슬 얄리 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11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24. ㉠과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던새 가던새 본다 믈아래 가던새 본다 [2점]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아래 가던새 본다 ① ㉠, ㉡ 모두 화자의 의지를 내포하고 있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② ㉠, ㉡ 모두 관습적 표현을 활용하고 있다.
③ ㉠, ㉡ 모두 촉각적 이미지가 드러나고 있다.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④ ㉠은 ㉡과 달리 대상을 비유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디호리라 ⑤ ㉡은 ㉠과 달리 시간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25. (가)의 ⓐ~ⓔ에 대한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2점]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 래 살어리랏다 ① ⓐ 안의 ‘검푸른 이끼’는 화자의 기다림이 오랜 시간 지속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 래 살어리랏다 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② ⓑ는 임에 대한 그리움을 간직하고 있는 화자의 내면을
비유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③ ⓒ는 ‘항시 어리우는’과 연결되면서 화자의 슬픔이 지속
사 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④ ⓓ는 당신과의 해후를 통해 비로소 자유를 얻는 화자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⑤ ⓐ에는 기다림의 정서가 드러나는데, ⓔ에는 기다림보다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와 잡 와니 내 엇디 리잇고 원망의 정서가 강조되고 있다.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작자 미상, ‘청산별곡’
26. (나)의 [A]~[E]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23.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A]를 통해 화자가 속세에서 청산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2점]
② [B]에서 화자는 속세에서의 생활을 떠올리고 있다.
① (가)와 (다)는 시간의 역전을 통해 시상이 전개되고 있다.
③ [C]는 화자가 속세에서 청산으로 옮겨 오게 된 과정을 제
② (가)와 (나)는 의인화된 대상에게 말을 건네는 형식을 취
시하고 있다.
하고 있다.
④ [D]에서 화자는 속세의 애환과 삶의 모습을 생각하고 있
③ (나)와 (다)에는 화자가 이상적으로 여기는 공간이 제시되
다.
어 있다.
⑤ [E]에서 화자는 청산에 동화되려는 소망을 드러내고 있
④ (가), (나), (다) 모두 선경후정(先景後情)의 방식으로 구성
다.
되어 있다.
⑤ (가), (나), (다) 모두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 화자의 시
선이 이동하고 있다.
27.

12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화자를 추리할 때, 그 내용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魄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이 노래가 창작된 고려 시대는 문신과 무신의 대립, 몽골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의 침입 등으로 내우외환이 계속되던 시기였다. 정권을 잡
은 무신들이 끊임없이 세력 다툼을 벌이는 동안, 권력자에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 래 살어리랏다.
게 굴복하지 않은 지식인들은 폭력적인 현실 속에서 어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 래 살어리랏다.
느 곳에도 마음을 두지 못하는 삶을 살았다. 백성들 또한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잦은 전쟁에 동원되면서 사랑하는 가족들과 생이별을 해
야 하는 경우도 흔했고, 관리들의 수탈을 견디다 못해 가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족들이 뿔뿔이 흩어져 유랑민으로 전락하는 경우도 많았 사 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2점]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① 시름에 젖어 외로워하는 모습으로 볼 때, 사랑하는 가족
조롱곳 누로기 와 잡 와니 내 엇디 리잇고.
과 헤어진 사람이라고 볼 수 있어.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② 소박한 삶의 공간을 소망하는 것으로 보아, 평화롭게 살
- 작자 미상, 「청산별곡」
고자 했던 백성들이라고 볼 수 있어. [어휘 풀이]
③ 삶의 터전을 찾아 헤매는 것으로 볼 때, 지배 계급의 수
✽가던 새: 날아가던 새 또는 갈던 사래.
탈을 피해 다니던 유랑민이라고 볼 수 있어. ✽잉 무든 장글란: 이끼 묻은(녹이 슨) 쟁기 또는 병기를.
④ 어디에도 안주하지 못하는 모습으로 볼 때, 무신 정권에 ✽에졍지: 아직 정확한 뜻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외따로
굴복하지 않은 지식인들이라고 볼 수 있어. 떨어져 있는 부엌’이라고도 함.
⑤ 고뇌가 없는 삶을 지향하며 기적과 위안을 바라는 모습 ✽설진 강수: 농도가 진한 강술.
으로 보아, 세력 다툼에 참여하고 있는 권력자라고 볼
수 있어.

28. 윗글의 표현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28~29]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은?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靑山)애 살어리랏다. [2점]

멀위랑 래랑 먹고 청산(靑山)애 살어리랏다. ① 후렴구를 통해 형식적 통일감을 얻고 있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② 설의법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③ 연쇄법을 사용하여 시적 정황을 구체화하고 있다.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④ 비교법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⑤ 동일한 음보의 반복을 통해 음악성을 살리고 있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29. <보기>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윗글을 감상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기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호리라.

13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청산별곡」의 시대적 배경이 되는 고려 후기 사회는 ㉮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외적의 침입과 내란 등 전란으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고 魄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방황하는 농민들이 많았다. 또한 ㉯무신 정권의 횡포, 외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세의 침략 등 현실에 염증을 느낀 지식인들이 속세를 떠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 래 살어리랏다.
나 자연을 지향하는 경우도 잦았다.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 래 살어리랏다.
[2점]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① 산’이나 ‘바ᄅᆞᆯ’을 현실에서 벗어난 도피의 장소로 보는
관점은 ㉮와 ㉯의 맥락 모두에 해당되는 것이군.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② ㉮의 맥락으로 본다면 ‘가던 새’는 ‘갈던 사래’로 해석되 사 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어 농사짓고 살던 땅을 잃고 떠도는 농민들의 삶의 터전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에 대한 미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
③ ㉮의 맥락으로 본다면 ‘잉 무든 장글란’은 ‘이끼 묻은 쟁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기’로 해석할 수 있으며, 더 이상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상 조롱곳 누로기 와 잡 와니 내 엇디 리잇고.
황에 대한 농민의 상실감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어.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④ ‘시름’을 정치적으로 혼란한 현실을 떠나왔음에도 지속되 - 작자 미상, 「청산별곡」
는 화자의 괴로움을 드러내는 것으로 본다면, 이는 ㉯의
맥락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어. [어휘 풀이]
⑤ ‘설진 강수’를 통해 화자가 어지러운 현실로 인한 심리적 ✽가던 새: 날아가던 새 또는 갈던 사래.
고통을 치유받고 현실 극복 의지를 가지게 된다고 본다 ✽잉 무든 장글란: 이끼 묻은(녹이 슨) 쟁기 또는 병기를.
면, 이는 ㉯의 맥락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어. ✽에졍지: 아직 정확한 뜻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외따로
떨어져 있는 부엌’이라고도 함.
✽설진 강수: 농도가 진한 강술.
[30~31]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30. 윗글의 표현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은?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2점]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① 후렴구를 통해 형식적 통일감을 얻고 있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② 설의법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③ 연쇄법을 사용하여 시적 정황을 구체화하고 있다.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④ 비교법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⑤ 동일한 음보의 반복을 통해 음악성을 살리고 있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31. <보기>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윗글을 감상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호리라.
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14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청산별곡」의 시대적 배경이 되는 고려 후기 사회는 ㉮
외적의 침입과 내란 등 전란으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고
방황하는 농민들이 많았다. 또한 ㉯무신 정권의 횡포, 외
세의 침략 등 현실에 염증을 느낀 지식인들이 속세를 떠
나 자연을 지향하는 경우도 잦았다.

[2점]
① ‘쳥산’이나 ‘바 ’을 현실에서 벗어난 도피의 장소로 보
는 관점은 ㉮와 ㉯의 맥락 모두에 해당되는 것이군.
② ㉮의 맥락으로 본다면 ‘가던 새’는 ‘갈던 사래’로 해석되
어 농사짓고 살던 땅을 잃고 떠도는 농민들의 삶의 터전
에 대한 미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
③ ㉮의 맥락으로 본다면 ‘잉 무든 장글란’은 ‘이끼 묻은 쟁
기’로 해석할 수 있으며, 더 이상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상
황에 대한 농민의 상실감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어.
④ ‘시름’을 정치적으로 혼란한 현실을 떠나왔음에도 지속되
는 화자의 괴로움을 드러내는 것으로 본다면, 이는 ㉯의
맥락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어.
⑤ ‘설진 강수’를 통해 화자가 어지러운 현실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치유받고 현실 극복 의지를 가지게 된다고 본다
면, 이는 ㉯의 맥락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어.

[32~3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작자 미상, 「청산별곡(靑山別曲)」

15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32. 이 시의 표현상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① 상승 이미지를 통해 생동감을 부여하고 있다.
② 동일한 음보를 반복함으로써 리듬감을 형성하고 있다.
③ 후렴구를 통해 작품의 구조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있다.
④ 여러 연의 첫 행에 ‘a-a-b-a’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⑤ 특정 음운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음악적 효과를 얻고
있다.

33. 이 시를 감상하면서 상상할 수 있는 장면으로 적절하


지 않은 것은?

[2점]
① 속세에 대한 미련으로 번민하는 모습
(나)
② 혼자서 밤을 지새우며 탄식하는 모습
내 벗이 몇이나 하니 수석(水石)과 송죽(松竹)이라.
③ 무심코 돌을 던진 자에게 항변하는 모습
동산에 달 오르니 긔 더욱 반갑구나.
④ 바다에서 나문재와 굴 조개를 먹는 모습
두어라 이 다섯 밧긔 또 더하여 무엇하리. <제1수>
⑤ 배가 불룩한 술독에 있는 독한 술을 마시는 모습
꽃은 무슨 일로 피면서 쉬이 지고
풀은 어이 하여 푸르는 듯 누르나니
아마도 변치 아닐손 ㉡바위뿐인가 하노라. <제3수>
34. 2연에 드러난 자연물과 시적 화자의 관계에 대한 설명
으로 적절한 것은?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 것이
[2점] 곧기는 뉘 시기며* 속은 어이 비었느냐.
① 시적 화자가 자연물을 동경하고 있다. 저렇게 사시(四時)에 푸르니 그를 좋아하노라.
<제5수
② 자연물과 시적 화자의 모습이 대비되고 있다.
>
③ 시적 화자의 감정이 자연물에 이입되어 있다.
④ 자연물을 통해 시적 화자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 윤선도,「오우가(五友歌)」-
⑤ 자연물을 매개로 시적 화자의 과거와 현재가 연결되고
있다. *시기며: 시키며

[35~3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35.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① (가)는 후렴구를 반복하여 운율감을 높이고 있다.
② (나)의 제1수는 전체 내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③ (나)는 (가)와 달리 4음보를 사용하여 안정감을 주고 있
다.

16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此矣有阿米
④ (가)와 (나)는 각 연의 마지막 행에 시상이 집약되고 있다.
次伊遣(차의유아미차힐이견)
⑤ (가)와 (나)는 대구를 사용하여 시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
나는 간다는 말도 吾隱去內如
다.
辭叱都(오은거내여사질도)
못다 이르고 어찌 갑니까. 毛如云遣去內
尼叱古(모여운견거내이질고)
36. ㉠,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어느 가을 於內秋察早隱風未(어내
추찰조은풍미)
[2점]
① ㉠과 ㉡은 모두 자아 성찰의 매개물이다.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此矣彼矣浮良
② ㉠과 ㉡은 모두 감정이 이입된 소재이다. 落尸葉如(이의피의부량락시엽여)
③ ㉠은 설움을, ㉡은 흠모의 감정을 유발한다. 한 가지에 나고 一等隱枝
④ ㉠은 수용해야 할, ㉡은 극복해야 할 대상이다. 良出古(일등은지량출고)
⑤ ㉠은 초월적 힘을, ㉡은 세속적 권력을 상징한다. 가는 곳 모르온저. 去奴隱處毛
冬乎丁(거노은처모동호정)
아아, 미타찰*에서 만날 나 阿也彌陀刹良
逢乎吾(아야미타찰량봉호오)
37. <보기>를 바탕으로 (가)와 (나)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
지 않은 것은? 도 닦아 기다리겠노라 道修良待是古
如(도수량대시고여)
<보기
>
- 월명사, 「제망매가」
고시가 속의 ‘자연’은 화자가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 미타찰: 극락.
없는 상황에서 선택하는 ‘현실 도피의 공간’으로 나타난
다. 또는 ‘본받아야 할 대상’으로 표현되기도 하는데, 이때
화자는 다양한 자연물의 속성에서 본받고자 하는 덕목을 [나] 살어리 살어리랏다 애 살어리랏다.
찾아 이를 바람직한 삶의 태도로 내면화한다. 멀위랑 래 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3점]
① (가)의 ‘쳥산’은 현실 도피의 공간이다.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② (가)의 ‘새’는 화자가 합일하고자 하는 자연물이다.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③ (나)의 ‘다섯’은 바람직한 삶의 덕목을 담고 있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④ (나)의 ‘꽃’은 본받아야 할 대상과 대조적인 존재이다.
⑤ (나)의 ‘그’는 화자가 내면화하고 싶은 모습을 지니고 있
다.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38~4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생사 길은 生死路隱(생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사로은)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17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① (가)의 ‘예’는 화자의 슬픔이 표출되는 공간, (나)의 ‘바므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란’은 화자의 고독을 심화시켜 주는 시간이다.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② (가)의 ‘이른 바람에’와 (나)의 ‘돌’은 화자의 갈등을 유발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③ (가)의 ‘한 가지’와 (나)의 ‘우러라 새’는 모두 화자의 심정
을 대변하는 소재들이라 할 수 있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④ (가)의 ‘도 닦아’와 (나)의 ‘잉 무든 장글’은 모두 화자의 신
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래 살어리랏다. 분을 짐작할 수 있는 시어라 할 수 있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⑤ (가)의 ‘기다리겠노라’에는 화자의 의지가, (나)의 ‘엇디 리
잇고’에는 화자의 체념이 내포되어 있다.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40. <보기>를 참고하여 (나)를 이해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
은?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 를 비조라. <보기>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내 엇디 리잇고 . (나)는 무단 정치와 몽고의 침입이 지속되는 고려 시대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의 것이라는 인식과 깊이 관련 맺고 있다. 이 가사는
이와 같이 내우외환의 현실을 도피해 새로운 세계에
서 살고자 하는 고려 당대의 민중의 소망을 담고 있
- 작자 미상, 「청산별곡」
다. 즉, 자신이 살던 속세를 떠나 소박한 삶을 살아가고
자 했던 당대 민중의 애환을 그리고 있다고 할 수 있
다.
38. (가)와 (나)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2점]
① ‘쳥산’은 내우외환의 현실을 도피해서 찾아가는 새로운
① 여음구를 반복적으로 제시해 운율감을 형성하고 있다.
세계라 할 수 있군.
② 영탄적 어조를 활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 ② ‘멀위랑 래’를 통해 소박한 삶을 살고자 하는 화자의 태도
③ 유사한 문장 구조를 활용하여 시적 상황을 제시하고 있 를 엿볼 수 있군.
다. ③ ‘가던 새 본다’는 자신이 살던 속세에 대한 미련을 나타낸
④ 계절감 있는 어휘를 활용하여 시적 의미를 나타내고 있 다고 할 수 있군.
다. ④ ‘자기 구조개’는 무단 정치가 극복되기를 바라는 당대 민
⑤ 동일한 시구를 반복해 화자가 처한 상황을 제시하고 있 중의 소망을 드러내고 있군.
다. ⑤ ‘설진 강수’에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술로 잊고자 하는 당
대 민중의 삶의 애환이 담겨 있군.

39. (가)와 (나)의 시어 및 시구들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


지 않은 것은? [41~4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점] 살어리 살어리랏다 ㉮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18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멀위랑 랑 먹고 쳥산애 살어리랏다 42. <보기>의 해석을 참고할 때,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적절한 것은?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보기|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7연의 2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해석이 시도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되고 있는데, 해석에 따라 화자의 대상(사)과의 관계, 앞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뒤 연과의 연결, 장면의 현실성 등에 차이를 보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링공 나즈란 디내와숀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자기 구조개랑 먹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3점]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① ⓐ-ⓓ로 보는 것이 ⓑ-ⓔ보다 뒤 구절과의 연결이 자연스
럽다고 할 수 있어.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② ⓐ보다 ⓑ로 볼 때 장면의 비현실적 성격이 더욱 강해진
가다니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다고 할 수 있어.
③ ⓑ나 ⓒ로 본다면 화자 자신이 곧 해금을 연주하는 주체
조롱곳 누로기 와 잡 와니 내 엇디 리잇고
라고 할 수 있어.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④ ⓓ로 보면 ⓔ로 볼 때에 비해 6연의 시상과 더 자연스럽
- 작자 미상,「청산별곡」-
게 이어진다고 할 수 있어.
⑤ ⓔ로 보면 ⓓ에 비해 ⓐ, ⓑ, ⓒ 어느 것과 연결되어도 실
현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현실적이라고 할 수 있어.
4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43. <보기 1>을 참고하여 윗글을 감상한다고 할 때, ㉮와 <
① 1연과 6연은 동일한 문장 구조를 가지면서 내용적으로
보기 2>의 ㉯를 비교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호응되고 있다.
② 2연과 3연은 모두 다른 대상과의 비교를 통해 화자의 정 |보기 1|
서를 부각하고 있다. 「청산별곡」의 주제에 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는
③ 2연과 5연은 유사한 시어로 시상을 매듭지어 화자의 고 데, 작품의 창작 시기로 추정되는 고려 말의 시대상과 관
뇌를 드러내고 있다. 련하여 보면, 각종 난을 피해 유랑할 수밖에 없었던 백성
④ 4연과 5연은 두 번째 행에서 유사한 형식의 표현을 사용 들의 처지를 노래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는다.
하여 화자의 처지를 나타내고 있다.
⑤ 1연에서 8연까지 모두 같은 위치에 후렴구를 반복하여
통일감을 주고 있다.

19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보기 2| ㉤조롱곳 누로기 매와 잡사와니 내 엇디 하리잇고.
십 년을 경영하여 초려삼간(草廬三間) 지어 내니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 8 연>
나 한 간 달 한 간에 청풍 한 간 맡겨 두고 - 작자 미상, 「청산별곡」
㉯ 강산(江山)은 들일 데 없으니 둘러 두고 보리라
- 송순 -

[2점] 44.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가 민중의 고단한 삶의 현장이라면, ㉯는 호화로운 귀
[2점]
족적 향락의 공간이다.
① 예기치 않은 이별로 인한 서러운 심정이 나타나 있다.
② ㉮가 피폐한 현실로부터의 피난처라면, ㉯는 유유자적한
② 부정적인 현실에 대한 비판 의식이 직접적으로 드러나
삶을 추구하는 공간이다.
③ ㉮ 가 정신적 만족감이 충족되는 공간이라면, ㉯ 는 물질 있다.
적 만족감을 누리는 공간이다. ③ 부정적인 운명에 맞서 이를 극복하려는 태도가 드러나
④ ㉮ 가 유랑 생활의 원인이 된 곳이라면, ㉯ 는 유랑 생활 있다.
④ 현실에서 벗어나 자연에서 살아가려는 화자의 소망이 드
의 결과로 도달하게 된 곳이다.
⑤ ㉮가 괴로움에서 벗어난 항구적인 안식처라면, ㉯는 아름 러나 있다.
⑤ 자신이 겪는 불행의 원인을 제공한 임에 대한 원망의 심
다움을 즐기는 일시적인 유희의 공간이다.
정이 표출되어 있다.

[44~4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45. <보기>를 바탕으로 윗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않은 것은?
멀위랑 다래랑 먹고 청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제 1 연> <보기>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고려 속요는 구전(口傳)되다가 조선 시대에 우리말로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여러책에 수록된다. 구전되는 과정에서 원곡과 달라졌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 2 연>
을 가능성이 높은데, 「청산별곡」의 경우 제5연과 제6연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의 위치를 바꾸면 전반부와 후반부가 구조적으로 대칭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을 이루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아래와 같이 도식화하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 3 연>
여 구조적 대칭 관계를 고려하여 살펴보면 전반부와 후
이링공 뎌링공 하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반부가 표현이나 공간, 시적 의미 측면에서 조응을 이루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또 엇디 호리라.
고 있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 4 연>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 5 연>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라래 살어리랏다.
나무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라래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 6 연>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스미 대예 올라서 해금을 혀거를 드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 7 연>
가다니 배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20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3점]
① 제1연과 제6연을 볼 때 전반부는 ‘청산’, 후반부는 ‘바
다’가 화자가 지향하는 공간적 배경이 되겠군.
② 제2연과 제5연에서 화자는 울며 지내는데, 이때 화자는
‘새’와 ‘돌’이라는 사물에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여 표현하
고 있군.
③ 제3연과 제7연에서는 보거나 듣는 감각적인 행위를 통
해 화자의 정서를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군.
④ 제4연과 제8연에서는 의문사가 들어간 어구인 ‘엇디 호
리라’와 ‘엇디 하리잇고’를 활용하여 화자의 체념적인 심
정을 드러내고 있군.
⑤ 애상적 분위기는 시상이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전개되는
동안 그대로 유지되고 있군.

46. ㉠ ~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① ㉠: 시적 대상과 비교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화자가 자신
의 내면 심리를 직접적으로 토로하고 있다.
② ㉡: 제1연의 ‘청산’과는 대비적인 공간인 ‘믈 아래’를 제시
하여 화자가 지향하는 이상향을 암시하고 있다.
③ ㉢: 시간적 배경을 활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
다.
④ ㉣: 특정한 시어를 반복하여 화자의 소망을 강조하고 있
다.
⑤ ㉤: 주체와 객체를 서로 바꾸어 표현함으로써 시적 의미
를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47. <보기>를 참고하여 윗글을 감상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


[47~48] 다음 지문을 바탕으로 물음에 답하시오.
은 것은?
<보기>

「 청산별곡 」 의 화자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화자를 폭정을 피해 고향을 떠난 ㉠ 유랑민으로 보기
도 하고, 실연의 슬픔을 잊으려는 ㉡ 실연당한 사람으
로 보기도 하며, 속세의 번뇌를 잊으려는 ㉢ 지식인으
로 보기도 한다.

[2점]
① 화자를 ㉠으로 볼 경우, 3연의 ‘믈 아래 가던 새’는 ‘물 건
너편에 있던 예전에 갈던 밭’으로 볼 수 있겠군.

21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② 화자를 ㉠ 으로 볼 경우, 5연의 ‘돌’은 원치 않게 고향을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떠난 자신의 운명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군.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③ 화자를 ㉡으로 볼 경우, 2연의 ‘시름’은 실연의 아픔과 관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래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련 있는 것이겠군.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④ 화자를 ㉡ 으로 볼 경우, 4연의 ‘오리도 가리도’ 없는 밤
㉣사미 대예 올아셔 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은 임과 이별한 후의 외로운 시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겠군.
⑤ 화자를 ㉢ 으로 볼 경우, 3연의 ‘잉 무든 장글란’을 들고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 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내 엇디 리잇고
새를 보는 것은 번뇌를 완전히 잊었음을 보여 준다고 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수 있겠군.

48.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49.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1점]
① 3음보의 규칙적인 음보율을 보이고 있다. ① 자연물에 감정을 투영하여 화자의 심정을 나타내고 있다.
② 화자는 자신의 삶을 운명적인 것으로 수용하고 있다. ② 명랑한 어감의 후렴구를 사용하여 운율감을 부각하고 있
③ 화자는 청산에 들어왔지만 속세의 삶에 대한 미련이 남 다.
아 있다. ③ 동일한 구절을 반복하여 주제 의식을 강조하여 드러내
④ 반복법을 사용하여 청산과 바다에 살고 싶은 마음을 강 고 있다.
조하고 있다. ④ 청유형의 종결 어미를 사용하여 화자의 다짐을 강조하
⑤ 청산에서 해소하지 못한 고뇌를 바다에서 해소하고 그 고 있다.
기쁨을 술로 표현하고 있다. ⑤ 설의적 표현을 통해 상황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보여 주
고 있다.

[49~5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50. ㉠~㉤을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 랑 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 [1점]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① ㉠: ‘믈 아래’에 대해 미련을 가지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군.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② ㉡: ‘밤’이 ‘낮’에 느낀 삶의 고단함을 해소하는 시간이 된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군.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③ ㉢: 다른 사람에게 ‘돌’을 던졌던 과거의 잘못에 대해 반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성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군.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④ ㉣: 현실로부터 벗어나 ‘금’을 들으며 여유롭게 사는 삶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을 꿈꾸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군.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⑤ ㉤: 혹독한 현실 속에도 ‘조롱곳’과 같은 희망이 생겨나기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를 바라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군.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22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51. 윗글의 Ⓐ와 <보기>의 Ⓑ를 비교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청산(靑山)도 절로절로, 녹수(綠水)도 절로절로


산(山) 절로 수(水) 절로, 산수간(山水間)에 나도 절로
이 중(中)에 절로 자란 몸이 늙기도 절로 하리라
- 송시열

[1점]
① Ⓐ는 화자가 현재 거처하는 공간에 해당하고, Ⓑ는 화자
가 거처하기를 바라는 공간에 해당한다.
② Ⓐ는 화자가 소망하는 세계를 가리키고, Ⓑ는 화자가 지
향하는 삶의 자세를 지닌 대상을 가리킨다.
③ Ⓐ 는 화자가 지향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드러내고, Ⓑ 는
화자가 멀리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드러낸다.
④ Ⓐ 는 화자가 현실을 벗어나 도피하고자 하는 세계를 의
미하고, Ⓑ는 화자가 벗어나고자 하는 현실을 의미한다.
⑤ Ⓐ는 화자의 세속적 욕망이 실현될 수 있는 공간을 상징
하고, Ⓑ는 화자의 세속적 욕망이 해소된 공간을 상징한
다.

23 / 23
기출 문항에 관한 저작권은 시·도교육청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으며,
EBS 교재 문항에 대한 저작권은 EBS에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