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6

붙 임

일상현장+ 민생우선+ 미래지향+ 통일

2024년
2024 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한반도 기반 구축 -

2024. 3. 8.

통일부
순 서

Ⅰ. 추진성과와 평가 ···················································1

Ⅱ. 2024년 업무추진 여건 및 방향 ·······················2

Ⅲ. 2024년 핵심 추진과제 ·
··
··
··
··
··
··
··
··
··
··
··
··
··
··
··
··
··
··4

 북한 바로 알고 알리기 ·
··
··
··
··
··
··
·
··
··
··
··
··
·
··
··
··
··
··
··
·
··4

일상현장+ 통일 “전국 방방곡곡, 국민일상 속으로 통일부가 다가갑니다.”

 북한변화 유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민생우선+ 통일 “단 한분의 고통이라도 잊지 않고 국가책무를 다합니다.”

 통일역량 강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미래지향+ 통일 “탈북민의 성공적 정착을 통한 미래지향적 통일정책을 추진합니다.”


I. 추진성과와 평가

 헌법적 책무와 보편가치에 부합하는 통일부 본연의 정책기조 확립

ㅇ 일관된 원칙을 바탕으로 한 올바른 남북관계 정립


ㅇ 자유민주주의에 입각한 통일 기반 조성을 위한 정책 추진
ㅇ 통일부 조직개편을 통해 북한인권·정보분석 등 기능 강화 월 (`23.9 )

 북한인권 문제 국내외 인식 제고

ㅇ 북한인권보고서 정부 최초 공개 발간 국문 월 영문 월
2023 ( ‘23.3 , ’23.7 )

ㅇ 민간의 북한인권 증진활동 지원사업 억원 최초 실시 (20 )

ㅇ 북한인권 증진 종합계획 약칭 북한인권 로드맵 수립·발표


( ‘ ’) (‘23.12.26.)

 북한의 불법 조치에 단호히 대응

ㅇ 북한당국 대상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손해배상 소송 제기 (‘23.6.14.)

* 국유재산 피해액 약 447억원 청구(공동연락사무소 102.5억원, 개성공단종합지원센터 344.5억원)

ㅇ 북한의 개성공단무단사용 금강산시설무단철거에 단호한 입장 표명


,

* 10년만에 통일부장관 성명 발표(‘23.4.11.), 명백한 남북합의위반 및 재산권 불법침해 엄중경고

 질서있는 남북교류를 위한 제도 정비

ㅇ 미신고접촉 등 불법·일탈행위는 법과 원칙에 따라 조사·처분


* ‘23년 과태료부과심의위원회 4회 개최, 6건 8명 부과(지난정부 5년간 1회 1건 1명)

ㅇ 교류협력 법·제도 정비를 통한 사후 관리체계 강화


* 남북교류협력 위반신고센터 개소(‘23.8.17.), 과태료 부과징수 처리규정(통일부훈령) 제정(’23.9.7.)

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지원 확대

ㅇ 정착기본금 천만원으로 인상 년 각 만원씩 증액 년 천만원 시대


1 (‘23~24 100 , ’24 1 )

ㅇ 탈북민 트라우마 치료를 위한 마음소리공감상담센터 개소 월 (’23.9 )

ㅇ 북한이탈주민 일자리박람회 개최 (’23.12.1.)

- 1 -
Ⅱ. 2024년 업무추진 여건 및 방향

 업무추진 여건

ㅇ (국제) 미·중경쟁 우크라이나전 장기화 등으로 정세 불안정성 지속


,

ㅇ (북한) 중·러 밀착을 가속화 하는 한편 국가론 등 대남정책의 근본적


전환을 표명하며 군사적 위협 및 심리전 지속
, ‘2 ’

ㅇ (국내) 민족공동체통일방안 발표 년 변화된 안보 환경을 반영하고


국민과 국제사회에 다가가는 새로운 통일정책에 대한 시대적 요구 증대
30 ,

 2024 업무추진 방향
“3.1운동은, 모두가 자유와 풍요를 누리는 통일로 비로소 완결되는 것입니다. 모든 국민이 주인인
자유로운 통일한반도를 향해 나아가야 합니다. … 통일은 비단 한반도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닙니다.
자유와 인권이라는 보편의 가치를 확장하는 것이 바로 통일입니다. … 자유로운 통일 대한민국은,
동북아시아는 물론 인도태평양 지역과 전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것입니다.”
2024.3.1. 윤석열 대통령 <제105주년 3.1절 기념사>

2024년은 북한의 반민족적·반역사적 노선 변화에 대응하여 우리의 통일


비전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북한 변화를 견인해 나갈 최적의 시기

ㅇ 자유주의 철학을 반영하는 새로운 통일구상 마련, 국내외 지지 강화


캠프데이비드의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한반도 비전을 보편적 가치와
글로벌 시각에서 재정립 공론화
- ‘ ’

국내·국제사회 대상 폭넓은 의견수렴을 통해 국민들이 지지하고 국제


사회가 공감하는 통일정책 정립
-

ㅇ 북한 주민 포용 및 북한의 태도 변화 견인
- 북한 경제·사회 실태 인식보고서 확산 등 북한실상 알리기 적극 추진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압박 강화 및 원칙 있는 대북정책 견지
ㅇ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 정착을 통해 북한주민에게 희망의 메시지 전파
△제 회 북한이탈주민의 날 행사 개최 △탈북민 지원체계 개편
추진 △자립·자활 및 마음건강 지원 강화
- 1 (7.14.)

- 2 -
 2024 업무추진 흐름도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한반도’ 2023.8.18. 캠프데이비드


통일비전
(근거)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 대한민국 헌법 제4조

❙ 북한주민의 자유 실현,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 독립의 완성


통일의
역사적 ❙ 미래 통일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의 의
❙ 동북아~인도·태평양~세계 자유·평화·번영에 기여

“3.1운동은, 모두가 자유와 풍요를 누리는 통일로 비로소 완결되는 것”


“자유와 인권이라는 보편의 가치를 확장하는 것이 바로 통일”
“자유로운 통일 대한민국은, 동북아시아, 인도태평양, 전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것”
2024.3.1. 윤석열 대통령 <제105주년 3.1절 기념사>

윤석열정부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한반도’기반 구축


정책목표 국제사회 지지를 기초로, 북한주민에 희망을 주며, 국민과 함께 실질적 통일기반 구축

❶ 북한인권 실태 국내외 인식 확산
❷ 북한실상 콘텐츠 개발 및 북한이해 제고사업 추진
북한 바로 ❸ 미래세대의 올바른 역사관·국가관·안보관·통일관 확립
1
알고 알리기 ❹ 북한정보자료 대국민 서비스 확대

일상현장+ 통일 전국 방방곡곡 국민일상 속 통일문화서비스 제공

❶ 북한인권 개선 압박 강화
2024 북한변화 ❷ 북한에 의한 우리국민 인권침해문제 해결 노력 강화
2 ❸ 북한변화를 견인하는 원칙 있는 대북정책 견지
통일부 유도

핵심과제 민생우선+ 통일 납북자 등 국민의 고통을 기억하고, 국가적 책무 이행

❶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 정비 및 정착지원 강화방안 마련


❷ 북한이탈주민 자립·자활지원 강화 및 위기가구 밀착지원
통일역량 ❸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기반 마련
3 ❹ 분야별 통일역량 확충 추진
강화
❺ 우호적 통일환경 조성을 위한 국제사회 연대 강화

미래지향+ 통일 탈북민의 성공적 정착을 통한 미래지향적 통일정책 추진

- 3 -
Ⅲ. 2024년 핵심 추진과제

핵심과제  북한 바로 알고 알리기

세부과제 ❶ 북한인권 실태 국내외 인식 확산


“대한민국의 또 다른 국민, 북한주민의 인권상황을 제대로 알립니다.”

ㅇ 국립북한인권센터 설립 구체화
-△부지매입·건축설계 등 공사준비 △해외사례 벤치마킹 전문가 자문 ,

등 토대로 북한인권 상징성·대표성을 감안한 콘텐츠 제작·설치 기획


ㅇ 2024 북한인권보고서 국·영문본 동시 발간·확산
-△북한인권상황 평가 북한인권증진 정책·노력 및 주요이슈 등 추가
,
*

△시각자료 등 가독성 개선·보완 △감수강화 → 공신력·완결성 제고


❶ ❷ ❸ ❹
* 코로나19 상황, 강제북송, 반동사상문화배격법, 해외파견노동자 등

- 발간 계기 온·오프라인 홍보매체에 다양한 홍보콘텐츠 제작·확산


* 7월 「북한인권 국제대화」(워싱턴 D.C.) 개최를 통해 국제사회 홍보

ㅇ 민간 북한인권 생태계 강화를 통한 인권 담론 지속가능성 제고


-북한인권 증진을 위한 민간단체 사업 지원 등 제도화·시스템화 추진
* 인권 침해 피해자인 탈북민의 참여 활성화

-북한인권 민간단체의 활동영역 확장을 위한 △북한인권단체 성공사업


보고회 △내외신 기자간담회 개최
ㅇ 청년세대 북한인권 관심 제고 사업 추진
- 북한인권 상호대화 토크콘서트 개최 젊은 층에 호소력 있는 인권 ,

의제 발굴 및 유튜브 소통 등 참여방식 다양화


-북한인권에 관심 있는 외국인 대상 온라인 강좌 및 현장견학 기회
제공 등 가칭 글로벌 영리더십 프로그램 추진
( )

- 4 -
세부과제 ❷ 북한실상 콘텐츠 개발 및 북한이해 제고사업 추진
“충실한 북한실상 자료와 콘텐츠를 만들어 국민께 제공합니다.”

ㅇ 북한 경제·사회 실태 인식보고서 최초 공개 발간(2.6.)


여 년간 실시한 탈북민 명 최대규모 표본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기반으로 아래로부터의 북한 경제 사회 변화 실태를 생생하게 기록
- 10 6,351 ( )

발간 후 △대국민 강연 및 토크콘서트 △국제기구·주한공관 설명회


△ 러닝 콘텐츠 개발 등 적극적 아웃리치 실시
- ,

e-

ㅇ 북한이탈주민과 함께 북한실상을 현실감 있게 국민께 설명


-전국 주요도시 토크콘서트 찾아가는 北스토리 연간 수시 개최 ( )

-탈북민 경험 구술 채록 연구를 통한 주제별·생애사 전집 발간


ㅇ 북한실상 알리기 디지털 콘텐츠 개발·확산
-탈북민과 국민 각계각층이 기획에 참여하는 영상 개발 유튜브 채널 운영 ,

-청년층 관심사를 반영하여 온·오프라인 콘텐츠 공모전 개최 ,

세부과제 ❸ 미래세대의 올바른 역사관·국가관·안보관·통일관 확립


“학교 안과 밖에서, 지역사회와 함께 미래세대를 올바로 키워갑니다.”

ㅇ 통일교육 기본교재 헌법가치(자유민주·인권) 내용 강화


ㅇ 청소년 및 2030세대 대상 체험형 통일·안보 현장 교육 확대
-전국 통일안보현장 곳 선정 학교단위 체험 연수 활성화
(50 ) ,

ㅇ 학교·지역거점과 연계한 통일교육 거버넌스 구축


△지역 통일교육센터 총 개 △통일교육위원 기 약 명 월 출범
△통일선도대학 총 개 △통일교육 시민사회단체간 협력 제고
- ( 10 ) (24 1,000 , `24.5 )

( 8 )

ㅇ 학교 통일교육 역량 강화
△교사 통일교육 의무화 및 교사 통일교육 지원체계 마련 등 핵심 전달자
역량 강화 △그릇된 역사인식 방지를 위한 통일교육 직접 전달체계 마련
-

-△교수·학습자료 제작·배포 △학교현장 통일교육 정책 안내


- 5 -
ㅇ 북한이탈주민 전문강사, 2030 통일전문가 육성 등 통일교육 인력 확충
-전문교육과정 운영 등 통해 탈북민강사 양성 및 맞춤형강의 연계
△차세대 전문가 육성 △공무원 교원 통일인식 제고 등 정부·지자체·
민간부문 청년 통일 전문가 육성
-

세부과제 ❹ 북한정보자료 대국민 서비스 확대


“빅데이터가 북한을 말해주고, 문화공간에서 통일을 만납니다.”

ㅇ 대국민 북한정보포털 콘텐츠 확충·개편


시각화자료 인포그래픽·웹툰 확충 사용자 접근성 제고 등 서비스 개선
- ( ) ,

ㅇ 언론을 통한 북한실상 알리기 확대


테마브리핑·위성자료 협조 등을 통해 북한실상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적기에 제공 북한에 대한 올바른 이해 제고
-

ㅇ 통일·북한정보 전문 통일정보자료센터 건립 추진
*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 기능을 갖춘 종합적인 북한정보자료 거점 기능 수행
point.

일상현장+ 통일 전국 방방곡곡, 국민일상 속으로 통일부가 다가갑니다.

❚ 지역거점 ‘북한·통일 테마 복합문화공간’ 신설


◾ 「국립 북한인권센터」 설립 착수(서울, ’26년 개관예정)
◾ 「통일정보자료센터」 건립 추진(경기, ’27년 개관예정)
◾ 「통일+센터」 제2호 권역센터 개관(강원권 ’24년)
* [통일+센터] 인천(’18~), 호남(’23~), 경기·충청(’25~/예정)

❚ 전국순회 ‘찾아가는 문화행사’ 개최


◾ 토크콘서트 「찾아가는 北스토리 」(수시)
◾ 전시·공연·체험형 문화행사 「통하나봄」(3회)
◾ (가칭)「통일상상 국민참여 토론」(12회)

❚ 전국 50곳 ‘통일문화 체험형 현장학습’ 신규추진


◾ 「통일안보 현장 견학 프로그램」 운영(50개소)

❚ 공간~사람이 연결되는 지역통일교육


◾ 지역센터(10개)-통일관(13개)-선도대학(8개)-교육위원(약1천명)

- 6 -
핵심과제  북한변화 유도

세부과제 ❶ 북한인권 개선 압박 강화
“북한주민이 인권에 눈뜨도록 돕고, 북한의 변화를 견인하겠습니다.”

ㅇ 북한주민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정보 접근권 확대 추진


-민간 차원의 콘텐츠 개발 등 다각적 사업 및 활동 지원
-정부내 실무협의체 가동 및 민·관 공동 연구 등 추진
ㅇ 인권침해 억제 및 향후 활용을 위한 실효적 책임규명 노력 강화
-사법적 책임규명 등 민간 차원의 연구·공론화 활동 지원
-정부 내 및 정부 민간 국제사회 간 정보 공유 및 협력체계 구축
- -

ㅇ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 인식 제고 및 협력 강화


-△유엔북한인권특별보고관 및 유엔인권서울사무소 △미국 북한인권특사
△국제 시민단체 △주한 외교단 △외신 기자단 등 협력·소통 강화
❶ ❷
* 주요 계기 활용 북한인권 개선 촉구 : 유엔인권이사회 북한인권결의(3월경), 2024 북한
❸ ❹
인권보고서 발간(6월), 북한 UPR 수검(11월), 유엔 총회 북한인권결의(12월) 등

-국내외 전문가 및 민간단체 등 참여 북한인권 국제대화 개최 회 (2 )

ㅇ 인권-안보-통일 연계성 공론화 추진


-북한인권 증진이 북핵 해결과 통일로 이어질 것이라는 담론을 통일·
안보 교육 콘텐츠에 반영·확산
-유엔안보리 등 북한인권 주요 계기시 핵심 메시지 발신 외교부 협업

- 7 -
세부과제 ❷ 북한에 의한 우리 국민 인권침해 문제 해결 노력 강화
“국민 단 한 분의 고통까지 잊지 않고, 국가책무를 다 하겠습니다.”

ㅇ 납북자·억류자·미송환 국군포로 문제 부각
-북한 당국에 주요 계기 시마다 우리 국민의 송환과 생사확인 요구

* 김국기(’14.10월)·최춘길(‘14.12월) 선교사 억류 10년
❷ ❸
KAL기 납치(’69.12.11.) 55년, 세계인권선언 기념일(12.10.)

- 미국·일본·유사입장국 공동 협력을 통한 지속적 북한 압박 외교부 협업


* 미국 등 주요국과 협의 시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가 논의될 수 있도록 노력

북한 UPR(‘24.11월) 계기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 제기

- 상징·기획전시 등 문화적 접근을 통한 공감대 확산


❶ ❷
*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상징 홍보, 美워싱턴D.C.공산주의희생자기념재단 기획 전시

국립6.25납북자기념관 전시 활성화 및 방문객 확대

ㅇ 귀환납북자(6명) 지원 및 납북피해자 추가 발굴을 통해 피해위로금 지급


-통일부 경찰청 국정원 등 관계기관 협업을 통해 조사
* 한국전쟁 이후 납북자 중 거주 불명, 가족 부재 등 미신청 98건 추정

ㅇ 이산가족 고령화에 따른 실태조사 조기 실시 및 생애 기록사업 추진


-실태조사 주기 단축 년→ 년 차 실태조사 년 조기 실시(5 3 ), 4 ’24

-영상편지 제작·유전자 검사 실시 및 기록 보존
-이산가족 생애 기록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ㅇ 이산 2~3세대, 해외 이산가족 등으로 정책 대상 확대
-유전자 검사 지원 이산가족의 날 참여 등 신규사업 실시
,

-국내외 이산가족 실태조사를 통한 정책수요 파악 및 지원방안 강구


- 8 -
세부과제 ❸ 북한변화를 견인하는 원칙 있는 대북정책 견지
“잘못된 행동에 단호히 대응하며, 민생의 주춧돌인 안보를 지킵니다.”

ㅇ 북한의 도발과 위협, 막말과 선전선동에 단호하게 대응


북한의 잘못된 행동에 책임을 묻고 대가를 치르게 하는 남북관계 구축
-

북한의 불법적 재산권 침해행위에 법적 조치 추진


-

ㅇ 북한당국의 반인도적·구시대적 행태 인권유린·우상화 관련 전략홍보 추진( )

대남 심리전에도 기민하게 대응 대남 흔들기 의도 무력화 및 국론 결집


- ,

ㅇ 북한의 불법 자금줄 차단 노력 강화 외교부 협업

주한외교단 등과 협력 강화 및 공론화 지속 실시
-

ㅇ 북한과의 전제조건 없는 대화 입장 견지, 계기시 대화 호응 촉구


우선 긴급 인도적 사안 등을 위한 남북연락채널 복원 추진
-

* 캠프데이비드 정신(‘23.8.18.), “한미일은 북한과의 전제조건 없는 대화 재개 입장을 지속 견지”

point.

민생우선+ 통일 단 한 분의 고통이라도 잊지 않고 국가책무를 다합니다.


“세 송이 물망 초의 그리 움”
❚ 납북피해지원 미신청 피해자 발굴 지원 <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상징 >

◾ 관계기관 협업을 통한 조사 실시
◾ 「납북피해지원」 제도 안내
◾ 피해지원금 지급(평균 3천만 원/인)

❚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상징사업 추진
이산가족 고령화
◾ 세 송이 물망 초 상징 활용 문화행사, 공감대 형성 < 생존 29%, 그 중 80대 이상 68% >
※ 100세 이상 869명 (국내 거주)
❚ 이산가족 고령화에 대응, 지원범위 확대
◾ 「이산가족실태조사」 주기단축·조기실시(5년→3년)
◾ 「영상편지 제작」 및 「유전자 검사」 추진
◾ 「이산가족 2~3세대」 및 「해외이산가족」까지 지원

- 9 -
 통일역량 강화

세부과제 ❶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 정비 및 정착지원 강화방안 마련


“북한이탈주민에게 실효적인 정책으로 업그레이드 하겠습니다.”

✓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강화방안> 기본방향


“정부는 탈북민들이 우리사회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1.16, 국무회의)

① 개편방향 가족중심, 여성의 삶 뒷받침,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서비스 설계


② 주요내용 초기정착·주거, 멘토링·교육, 일자리, 마음건강, 해외탈북민, 전달체계 개선 등
“먼저 온 통일” 주체로서 자긍심 향상, 통일주도 역량 강화 <수혜자에서 기여자로>

ㅇ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 개편 추진
-실제 탈북민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법제도 개선 재정확충 노력 ,

ㅇ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지원 확대 방안 마련
-한국어 교육 대안교육기관 지원 등 취업까지 이어지는 교육·멘토링 확대
,

ㅇ 제4차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기본계획(2024~2026) 수립


* 북한이탈주민 인구구조 변화 상황 등 반영, 지원정책 개선

ㅇ 북한이탈주민의 날 (7.14.) 제정 및 탈북민에 대한 인식 개선


-기념일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개정 올해 제 회 기념행사 개최
( ) , 1

민주평통·국민통합위원회 등과 멘토링 및 사회적 인식 개선 사업 관련


협력 정착 성공사례를 확산하여 북한주민에게 희망의 메시지 발신
-

-탈북민의 사회봉사·기여 활성화


세부과제 ❷ 북한이탈주민 자립·자활지원 강화 및 위기가구 밀착지원
“정착지원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촘촘하고 두텁게 지원하겠습니다.”

❙탈북민 고용실태❙ 고용의 질적 수준이 전국 평균 대비 낮은 편 * 2023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탈북민 탈북민
근속기간 월평균소득
36개월 245만원
전국평균 전국평균
74개월 대비 300만원 대비
49% 전국평균 탈북민
82%
전국평균 탈북민

- 10 -
ㅇ 일자리 현장체험 확대 및 맞춤형 취업 지원 강화
하나원 기초교육생 현장체험 및 성공한 탈북민 사업현장 방문 확대
실수요를 반영하여 하나원 심화직업훈련과정 종목 현재 종 개편
- ,

( 15 )

-취업연계형 교육훈련 및 일자리 체험 등 직장경험 확대 추진


-일자리성공패키지 운영 일자리박람회 개최 등 맞춤형 일자리 지원 강화
*
,

* 개인 적성에 맞추어 구직준비 과정을 통합지원(상담·취업교육·일자리체험·취업알선 등)

ㅇ 북한이탈주민 전문인력 양성 노력 경주
-재북·재남 경력 활용을 통한 분야별 전문직 자격취득과정 지원 강화

* (재북경력) 의료경력 탈북민의 실기실습기관 발굴·연계(국내 의과대학 등), ❷ (재남경력)
국가자격시험(기술·기능, 서비스, 전문분야) 응시자격 보유자에 시험준비 실비 지원 확대

- 고등교육 인재양성을 위해 대학원 학비지원 근거 마련 및 지원확대 추진


* 로스쿨 全 재학기간 변호사시험 준비경비(수강료·교재비) 지원 실시 및 합격률 제고

ㅇ 트라우마 적기 치료를 위한 마음건강 지원체계 확대 운영


하나원 하나재단 전문심리치료기관이 협업 하나원 교육단계에서부터
거주지 전입 이후에도 필요한 심리정서안정 프로그램 적시 제공
- - - ,


* 전문심리치료기관과의 MOU 체결 등을 통한 권역별 「마음건강센터」(가칭) 지정 확대

「찾아가는 트라우마 치유프로그램」 운영 등 마음건강 사각지대 해소

- ’24 년 제 하나원에 북한이탈주민 트라우마치유센터 개소


2

❙탈북민 마음건강 지원체계 특징❙ * 대통령 공약사항 : 탈북민 정신건강 지원강화(2022.2.19.)

칸막이 없는 협업체계 정부(하나원) + 공공기관(하나재단) + 민간(전문심리치료기관) 유기적 연계


정착과정·생애주기 계속 지원 (입국 직후) 하나원 교육과정 케어 → (거주지 전입) 하나센터·마음건강센터 이용
단계별 인프라 확충 (24년) 하나원 화천분소 기존시설 활용 → (25년 이후) 치유센터 시설 개선

ㅇ 북한이탈주민 특화 위기관리시스템 운영 개시
- 북한이탈주민 통합지원시스템 을 통한 선제적 위기상황 포착
-복지부와 연계 고위험군 상시 발굴·모니터링 및 예방적 지원
,

* 위기상황 탈북민 연중 지원 정례화

- 11 -
ㅇ 북한이탈주민 새출발 장려금 제도 신설
-거주지 보호기간 년 종료 이후에도 정착에 어려움을 겪는 탈북민의
자활 의지 제고를 위한 장려금 지급
(5 )

세부과제 ❸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기반 마련


“국민이 원하는 미래, 헌법에 기초한 통일기반을 만들어가겠습니다.”

ㅇ 자유주의 철학을 반영한 새로운 통일구상 마련


-각계각층의 폭넓은 의견수렴을 통해 국민합의 형성 노력
ㅇ 북한의 2국가론에 대응, 분명한 통일지향 입장 견지
-헌법 제 조와 제 조에 입각한 일관된 통일추진 입장 지속 발신
3 4

-북한의 반민족적·반역사적 행태 규탄 및 대남 심리전 적극 대응


* 통일부장관-4대 연구원장 특별좌담회(2.5.), 통일담론 세미나(3.22.) 등 공론화 계기 활용

ㅇ 인권, 안보, 미래 등 국민 삶과 연결된 통일담론 개발, 활성화


-북한인권과 북핵 위협 등 고비용 분단구조 재조명
차 산업혁명 저출산 등 미래이슈와 통일 결합 젊은 층 관심 제고
- 4 , ,

ㅇ 현장 소통과 국민 참여를 통한 통일 공감대 확산


가칭 통일상상국민참여토론 개최 연 회
- ( ) ( 12 )

-전시·공연·체험형 문화행사 통하나봄 개최 연 회 ( 3 )

-제 호 권역별 통일⁺센터 개관 강원권 하반기


2 ( , )

세부과제 ❹ 분야별 통일역량 확충 추진


“국민이 안심하실 수 있도록, 통일역량을 튼튼히 키워가겠습니다.”

ㅇ 자유민주주의 통일을 위한 범정부 통일역량 강화


-분야별·단계별 범정부 통일역량 강화 계획 수립 및 추진
- 12 -
ㅇ 북한이탈주민·청년과 함께하는 통일준비 추진
- 통일미래기획위원회 기 출범계기 역량강화 월 탈북민·청년 등 보강
2 (3 , )

-탈북민 정착지원·교육 과정에서의 시사점을 통합과제 연구에 활용


세부과제 ❺ 우호적 통일환경 조성을 위한 국제사회와의 연대 강화
“우리가 주도하고, 국제사회가 지지하는 통일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ㅇ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한반도’ 비전에 대한 국제사회 공감·지지 견인


- 정상외교 성과 확산을 위한 통일부 차원의 활동 강화
ㅇ 가치공유국 포함 국제사회 대상 통일·대북정책 소통·연대 강화
- 미국·일본·유럽 등 주요국 대상 통일국제협력대화 추진 외교부 협업

- 주한공관 정책설명회 등 소통 확대 및 공동행사 세미나·토크콘서트 추진 ( )

- 유엔사 및 유엔사 회원국과 협력 강화 상호 방문 교차 강의 등 ( , )

ㅇ 통일부 창설 이래 최초로 글로벌 통일인식 실태조사 추진


- 해외 유수의 여론조사 기관과 협업 한반도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국제
,

사회의 인식 제고 도모
ㅇ 한반도 통일 공감대 확산을 위한 다각적 통일공공외교 추진
- 국내외 연구기관 협업 및 해외 전문가 활동 지원
❶ ❷
* 학위과정, 펠로우십 등 한국 방문연구 프로그램 운영, 전문가 온라인 정례 좌담회

해외 전문가 및 2030세대 중심 해외 현지 세미나·토론회 개최 지원 등

- 재외동포 및 해외 지역사회 대상 통일문화행사 개최


- 국내 거주 외국 유학생 및 북한인권 등 관련 외국인 인턴의 한반도
통일 문제에 대한 관심 및 역할 제고
- 13 -
point.

미래 지향 + 통일 탈북민의 성공적 정착을 통한 미래지향적 통일정책을 추진합니다.

❚ 개인 중심에서 「가족 중심」으로 정책관점 전환 “취업·육아 두 마리 토끼를


제대로 잡았죠”
◾ 가족공동체 중심 정책수요 발굴·대응 통일전통주 제조 여성자조기업 성공스토리
충북 음성 <하나도가> 김성희 대표
* 탈북민 전체의 75% 여성, 일·육아 병행에 어려움 호소
“<하나도가>는 같은 고향에서 자란 탈북민
◾ 주거-아이돌봄-좋은일자리 패키지 지원체계 확립
한부모 가장으로 이뤄진 통일전통주 제조
◾ 제3국 출생 자녀 지원 확대 방안 마 련 기업입니다. 고향의 술을 빚고 있습니다.”

* [학습지원] 한국어 강사·교재, 대안학교·대안교육기관 운영 지원 강화 “<하나도가>는 한부모


가장의 취업과 자녀양육을
[취업지원] 진학 이후 취업까지 이어지는 교육·멘 토링 실시 가능케 하고 희망을 주는
등대와 같아요.”
❚ 지방소멸 시대 「지역중심 정착지원」 강화 “지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꾸준히 봉사하고
◾ 지방정착 성공사례 확산 등 지방거주 유인책 마 련 있습니다.”
* 지방거주장려금 및 취업장려금 제도 정비
“땅은 정착을 도와준 은인입니다”
50억 매출 쪽파사장님 지역정착 성공스토리
❚ 부처·기관 칸막 이 제거 「촘촘한 정착지원」 실현 충남 예산 <신양농원> 김나현 대표

◾ 지자체·민주평통·국민통합위와 정착지원 협업 강화 “예산에 내려와 비닐하우스 2개로 시작해서


* 사회적 인식 개선,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멘 토링 확산·체계화 등 지금은 150개동이 되었습니다.”
“수확기엔 마을 어르신들과 외국인노동자들
◾ 지자체의 탈북민 정착 역량·책무 강화 80명 넘게 일할 정도로 일감이 많아요.”

◾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의 효과적 일원화 추진 “이젠 마을 어르신들이 내


가족과 같지요. 고령화로
◾ 하나센터 서비스의 전문성·체계성 강화 일손이 많이 모자라는데,
젊은 탈북민들이 지방에
◾ 민·관 협업 「마 음건강 지원체계」 확대 운영 와 땅과 함께 숨 쉬면서
* 권역별 MOU 체결, 제2하나원 <트라우마 치유센터> 개소 지역을 살렸으면 해요”

◾ 정착지원시스템-복지시스템 연계 강화 ⇒ 예방적 지원 “편견을 갖고 있던 의뢰인도 제 일


처리 과정을 보고 사건을 맡겼어요”
❚ 수혜자에서 기여자로 「정착 성공사례」 확산 1호 탈북민 변호사 이영현 변호사

◾ 「북한이탈주민의 날」 지정, 제1회 기념행사 개최 “처음엔 법서가 해석되지 않아 2달 만에


고시를 포기 했었죠. 로스쿨 졸업 후 마지막
◾ 직종·대상·지역별 「일자리 박람회」 지속 추진 기회, 5번째에야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수임료를 떠나 어르신께
◾ 현장체험 및 취업연계 교육훈련 강화(근속기간 증대)
신뢰를 얻고 도움 드렸던
◾ 고등교육 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 경험이 소중합니다. 사건
의뢰가 들어오면 가족의
* 탈북민 전문직 양성, 재북·재남경력 활용 자격취득과정 지원 일처럼 나서게 됩니다.”

- 1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