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에 월백이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

이화에 월백고~_이조년 ① 자연과 인간사를 대조하여 표현하고 있다.

② 상황을 가정하여 화자의 소망을 드러내고 있다.


③ 대상의 부재에서 느끼는 안타까움이 드러나 있다.
이화(梨花)에 월백(月白)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 제
④ 계절의 변화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ㅣ야 알랴마
⑤ 인식의 전환을 통해 부정적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다정(多情)도 병(病)인 냥여  못 드러 노라

*은한:은하수
*삼경인 제 : 삼경(밤 11시-새벽1시) 사이임을 알리는 때에 2. 윗글에 나타난 화자의 정서와 가장 잘 어울리는 한자 성어는?
*자규: 두견새. 접동새. 울음소리가 구슬퍼서 슬픔의 정서를 표현하는 소 ① 만시지탄(晩時之嘆)
재로 자주 등장함. ② 망양지탄(亡羊之嘆)
③ 맥수지탄(麥秀之嘆)
1. <보기>를 참고하여 윗글을 감상한 것 중, 작품에 접근하는 방법이 ④ 비육지탄(髀肉之嘆)
나머지와 다른 것은? ⑤ 풍수지탄(風樹之嘆)
<보기>

「이화에 월백고~」 는 배꽃, 달빛, 은한의 시각적 심상과 두견새 울음


3. 화자가 지난 시절을 ‘’이라고 표현한 이유를 윗글의 시구를
소리라는 청각적 심상을 통해 잠 못 이루는 봄밤의 애상적 정조를 노래한 작품
이용하여 서술하시오.
으로, 작가가 귀양살이를 하던 중 유배지에서의 애상을 표현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윗글에서 ( )은/는 인간사의 무상함을 드러내는 시어이다.


① ‘이화’, ‘월백’, ‘은한’은 서로 어울려 밝고 환한 이미지를 강화한다.
② ‘삼경’은 시간 배경이 되는 동시에 ‘은한’의 이미지를 도드라지게 한다.
③ ‘일지춘심’은 ‘이화’나 ‘은한’을 바라보는 화자의 마음을 가리킨다.
④ ‘자규’는 유배지에서 느끼는 시인의 마음 상태와 관련 깊다.
⑤ ‘다정’은 대상에 대한 화자의 감정이 부단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수양산 라보며~_성삼문

2.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수양산 라보며 이제를 한(恨)하노라


① 대상을 의인화하여 정서를 드러낸다. 주려 주글진들 채미(採薇)도  것가
② 선경 후정의 시상 전개 방식이 드러난다. 아모리 푸새엣 거신들 긔 뉘 헤 낫니
③ 시각적 심상과 청각적 심상이 조화를 이룬다.
④ 자연과 속세를 대비하여 자연 친화적 태도를 드러낸다. *수양산: 중국 주나라 때 백이, 숙제가 절개를 지키며 은거하다 죽은 곳
⑤ 흰색의 이미지를 통해 작품 전체의 분위기를 드러낸다. *한하노라: 한탄하노라. 원망하노라
*주려 주글진들: 굶주려 죽을지언정
*채미:고사리를 캠
3. 윗글의 초장에서 ‘이화, 월백, 은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 *푸새: 푸성귀. 산과 들에 저절로 자라는 풀
를 시의 분위기를 중심으로 쓰시오.
1. <보기>를 참고하여 윗글의 내용을 이해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백이와 숙제(이제)는 은나라 말기의 충신으로, 주나라의 무왕이 은나라의


오백 년 도읍지를~_길재 주왕을 치고 주왕조를 세우자 인의(仁義)에 어긋나는 일이라며 수양산에
은거하여 고사리를 캐어 먹으며 살았다고 전해지며 절의를 대표하는 충신
으로 꼽힌다.
오백 년(五百年) 도읍지(都邑地)를 필마(匹馬)로 도라드니
산천(山川)은 의구(依舊)되 인걸(人傑)은 간듸업다
① 화자는 사람들이 ‘이제’의 삶을 본받아 지조 있는 삶을 살기를 원하고 있
어즈버, 태평연월(太平烟月)이 이런가 노라
다.
② 화자는 ‘이제’에 대한 평가를 새롭게 함으로써 자신의 절개를 강조하고
*필마: 한 필의 말
있다.
*의구: 옛날과 같이 변함이 없음
③ 화자는 ‘이제’의 절개를 예찬함으로써 그들을 본받겠다는 자신의 의지
*태평연월: 나라가 안정되어 편안하고 즐거운 세월
를 강조하고 있다.
④ 화자는 ‘이제’가 보인 절개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불만을
1. 윗글과 <보기>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드러내고 있다.
<보기>
⑤ 화자는 ‘이제’의 삶을 비판함으로써 충절의 삶이 시대에 뒤처진 것임을
흥망(興亡)이 유수(有數)니 만월대(滿月臺)도 추초(秋草)ㅣ로다 강조하고 있다.
오백 년 왕업이 목적에 부쳐시니
석양에 지나 객(客)이 눈물계워 라
- 원천석

- 1 -
2. 윗글의 표현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3. <보기>를 참고하여 화자가 지향하는 삶의 태도를 쓰시오.
① 대구를 통해 주제를 강조하고 있다. <보기>
② 설의법을 통해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 • 초려: 짚이나 갈대 따위로 지붕을 인 가난한 사람들의 집.
③ 선경 후정의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 삼간: 세 칸으로 된 간단한 구조의 집.
④ 연쇄적 표현을 사용하여 리듬감을 드러내고 있다.
⑤ 다양한 심상을 활용하여 감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3. 윗글과 <보기>의 화자가 ‘백이숙제’를 대하는 태도상의 차이를


4. 윗글에서 화자는 ‘달, 청풍, 강산’ 등의 소재를 통해 ( )적
서술하시오.
인 태도를 드러낸다.
<보기>

주려 주그려 고 수양산(首陽山)에 드럿거니


현마 고사리 머그려 야시랴
물성(物性)이 구븐 줄 믜워 펴 보려고 미라
- 주의식
묏버들 갈 것거~_홍랑

묏버들 갈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


자시 창(窓)밧긔 심거 두고 보쇼셔
4. 윗글의 초장에 등장하는 ‘수양산’은 백이와 숙제가 은거하다 죽
밤비예 ㉠새닙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쇼셔
은 곳이라는 의미와 함께 수양 대군을 가리키는 의미를 지님으로써
( )적 표현에 해당한다.
*갈 것거: 가려 꺾어.
*보내노라 님의손: 보내노라 임에게

1. 윗글의 ㉠과 <보기>의 ㉡을 비교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천만리(千萬里) 머나먼 길 고은 님 여희고


십 년을 경영 여~_송순
  둘  업셔 냇의 안쟈시니
㉡져 믈도   여 우러 밤길 녜놋다
십 년(十年)을 경영(經營)여 초려 삼간(草廬三間) 지여 내니 - 왕방연
나  간   간에 청풍(淸風)  간 맛져 두고
강산(江山)은 들일 듸 업스니 둘러 두고 보리라 ① ㉠은 예찬의 대상인 데 반해, ㉡은 비판의 대상이다.
② ㉠은 실재하는 대상인 데 반해, ㉡은 가상의 대상이다.
*경영여: 준비하여 ③ ㉠은 사랑의 징표이고, ㉡은 이별을 암시하는 대상이다.
*초려 삼간: 세 칸밖에 안되는 초가집. 아주 작은 집
④ ㉠은 화자의 분신이고, ㉡은 화자의 마음이 투영된 대상이다.
⑤ ㉠은 임을 떠올리게 하고, ㉡은 화자의 처지를 상기시키는 대상이다.
1. 윗글에 대한 학생들의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십 년을 경영여’를 통해 화자가 오랫동안 자연 친화적 삶을 꿈꾸었다
는 것을 알 수 있군.
2. 윗글의 화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② ‘초려 삼간’은 화자가 지향하는 소박한 삶을 의미하는군.
① 임과 이별한 상황이다.
③ ‘나  간   간에 청풍  간’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고자 하는 화자의 태
② 임을 그리워하고 있다.
도가 드러나는군.
③ 임의 곁에 있고 싶어 한다.
④ ‘’, ‘청풍’, ‘강산’은 모두 자연 자체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군.
④ 임과의 만남을 확신하고 있다.
⑤ ‘들일 듸 업스니’에서 더 넓은 공간을 원하는 화자의 소망이 드러나는군.
⑤ 임이 자신을 잊지 않기를 바란다.

2. 윗글의 내용과 관계 있는 한자 성어가 아닌 것은? 3. 윗글에서 화자가 임에게 ‘묏버들’을 꺾어 보내는 궁극적인 이유
① 안빈낙도(安貧樂道)
는 무엇인지 서술하시오.
② 안분지족(安分知足)
③ 물아일체(物我一體)
④ 유유자적(悠悠自適)
⑤ 삼고초려(三顧草廬)
4. 윗글의 초장에서는 문장의 순서를 바꾸는 ( )법을 사용하여
임을 향한 화자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 2 -
이화에 월백고~_이조년 ⑤ 이 작품과 <보기>에는 부정적 상황에 대한 안타까움만
{현대어풀이} 드러나 있을 뿐, 긍정적 인식 변화는 드러나 있지 않다.
배꽃에 달이 환하게 비치고 은하수는자정을 알리는 때에,
배나무 한 가지에 어려 있는 봄날의정서를 두견새가 알겠냐마는 2. 3
정이 많은 것도 병인 듯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화자의 정서, 태도
‘맥수지탄’은 고국의 멸망을 한탄함을 이르는 말로, 기자(箕子)
1. 4 가 은(殷)나라가 망한 뒤에도 보리만은 잘 자라는 것을 한탄했
외적 준거에 따른 작품 감상 다는데서 유래했다. 이 작품에서 화자는 고려의 옛 도읍을 돌아
④는 작가의 삶과 작품과 관련된 배경지식을 활용한 외재적 접 보며 망국에 대한 한과 안타까움을 드러내고 있으므로 ‘맥수지
근에 해당하고, ①, ②, ③, ⑤는 모두 작품 안에서 그 내용을 탄’이 가장 잘 어울리는 한자 성어이다.
파악하는 내재적 접근에 해당한다. {오답 이유}
{오답 이유} ① 시기에 늦어 기회를 놓쳤음을 안타까워하는 탄식.
①, ②에서는 시어가 나타내는 이미지를 서술하고 있으며 ② 갈림길이 매우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을 길이 없음을 탄
③, ⑤에서는 화자의 정서와 관련된 내용을 서술하고 있으므 식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로 이는 ④와 달리 모두 내재적 관점에 의한 해석이라고 할 진리도 얻기가 어려움을 이르는 말.
수 있다. ④ 재능을 발휘할 때를 얻지 못하여 헛되이 세월만 보내는
것을 한탄함을 이르는 말.
2. 4 ⑤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
표현상 특징 파악 르는 말.
이 작품에 자연과 속세를 대비하는 내용은 드러나 있지 않
다. 3. ‘산천(山川)은 의구(依舊)되 인걸(人傑)은 간 듸
{오답 이유} 업다’라는 표현을 통해서 망한 고려에 대한 회한과
① ‘자규’를 의인화한 표현이 나타난다. 무상감을 드러내고 있다
② 초장과 중장에서는 봄밤의 정경을 묘사하고, 종장에서는 시어의 의미 파악
화자의 애절한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산천(자연)의 변함없음과 인간사의 유한함을 비교하여, 망한 고
③ ‘이화’, ‘월백’, ‘은한’ 등에서는 시각적 심상이, ‘자규’에서 려에 대한 안타까움과 인간사에 대한 무상감을 ‘’이라는 시어
는 청각적 심상이 드러난다. 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⑤ ‘이화’, ‘월백’, ‘은한’은 모두 흰색의 이미지를 가진 소재
로, 봄밤의 애상적 분위기와 관련 있다. 4. 
구절의 의미 파악
3. 봄밤의 애상적 분위기를 나타낸다. 종장에서 화자는 ‘(꿈)’을 통해 인간사의 허망함과 무상함
소재의 기능 파악 을 강조하고 있다.
이 작품의 초장에서 ‘이화’(배꽃)를 통해 계절이 봄임을 알 수
있고, ‘월백’(달)과 ‘은한’(은하수)을 통해 시간이 밤이라는 것을 수양산 라보며~_성삼문
알 수 있다. 봄날 밤에 잠 못 이루는 화자의 모습에서 애상적 {현대어풀이}
분위기를 찾아볼 수 있다. 수양산을 바라보며 백이와 숙제를 원망하노라.
굶주려 죽을지언정 고사리를 캐어서야 되겠는가.
아무리 푸성귀라도 그것이 누구의 땅에서 났단 말인가.
오백 년 도읍지를~_길재
{현대어풀이} 1. 2
오백 년 이어 온 (고려의) 옛 도읍지를 말을 타고 돌아드니, 외적 준거에 따른 작품 감상
산천의 모습은 예나 다름이 없지만 (고려의) 인재는 간데없다. <보기>의 내용은 ‘이제’에 대한 일반적인 역사적 평가이나 이
아, (고려의) 태평했던 시절이 꿈인가 하노라. 작품에서 화자는 ‘이제’를 원망하며 비판하고 있다. 이는 화자가
‘이제’에 대한 평가를 새롭게 함으로써 자신의 절개를 강조하고
1. 3 자하는 의도로 이해할 수 있다.
작품 간의 공통점, 차이점 파악 {오답 이유}
이 작품과 <보기> 모두 망국에 대한 한을 표현한 작품으로, 대 ① 화자는 ‘이제’의 삶을 비판하고 있으므로 사람들이 그들
상(고려)의 멸망에 대한 안타까움이 드러나 있다. 을 본받아 지조 있는 삶을 살기를 원한다고 볼 수 없다.
{오답 이유} ③ 화자는 ‘이제’의 절개를 예찬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하고
① 자연과 인간사의 대조는 이 작품에만 드러나 있다. 있다.
② 이 작품과 <보기>의 화자 모두 현실에 대한 한탄과 안 ④ 화자는 지조와 절개의 상징으로 평가받던 ‘이제’를 비판
타까움을 드러내고 있을 뿐, 소망을 드러내고 있지는 않 함으로써 ‘이제’에 대한 평가를 뒤집고 있다.
다. ⑤ 화자가 ‘이제’의 삶을 비판한 것은 충절의 삶이 시대에
④ 이 작품과 <보기>에 계절의 변화는 드러나 있지 않다. 뒤처진 것임을 강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이 그들보
다 더 절개가 뛰어남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작품의 내용 파악
‘삼고초려’는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한다.’
2. 2 라는 뜻으로,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고자 하는 화자의 삶의 태도
표현상 특징 파악 와는 거리가 멀다.
중장의 ‘채미도  것가’, 종장의 ‘긔 뉘 헤 낫니’에서 설 {오답 이유}
의법을 사용하여 ‘이제’의 행위를 비판하고 있다. ①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겨 지
{오답 이유} 킨다.’라는 뜻으로, ‘초려 삼간’을 지어서 자연과 더불어
① 이 작품에서는 대구법이 사용되지 않았다. 살겠다는 이 작품의 내용과 일치한다.
③ 이 작품은 경치를 노래하고 그에 대한 정서를 노래하는 ② ‘편안한 마음으로 제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을 안다.’라
선경후정이 아니라 초장에서 결론을 말하고 중장과 종장 는 뜻으로,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아가고자 하는 화자
에서 그 이유를 설명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 삶의 태도와 일치한다.
④ 이 작품에서는 연쇄적 표현을 찾아볼 수 없다. ③ ‘외물과 자아, 객관과 주관, 또는 물질계와 정신계가 어울
⑤ 이 작품에 다양한 심상이 활용된 부분은 나타나 있지 않 려 하나가 된다.’라는 뜻으로, 자연과 인간의 경계를 벗어
다. 난 이 작품의 발상과 일맥상통한다.
④ ‘속세를 떠나 아무 속박 없이 조용하고 편안하게 산다.’라
3. 이 작품에서는 백이숙제를 비판한 반면, <보기>에 는 뜻으로, 자연을 벗 삼아 여유롭게 살아가고자 하는 화
서는 옹호하고 있다. 자의 삶의 태도와 관련 깊다.
화자의 정서, 태도
이 작품에서는 백이숙제가 고사리를 캐어 먹은 것을 지조가 부 3. 소박하고 가난하지만 마음은 여유롭고 편안한 삶을
족한 행위라고 비판한 반면, <보기>에서는 백이숙제가 고사리를 추구하고 있다.
캔 것은 굽은 것을 펴기 위함이었을 것이라 추측하며 그들을 옹 화자의 정서, 태도
호하고 있다. ‘초려 삼간’은 가난하고 소박한 삶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통
해 가난하지만 편안한 마음으로 분수를 지키며 살아가고자 하는
4. 중의 삶의 태도가 드러난다.
구절의 의미 파악
이 작품의 초장에 등장하는 ‘수양산’은 실제 산 이름인 동시에 4. 자연 친화
화자와 정치적 갈등 관계에 있는 ‘수양 대군’을 가리키고 있으 화자의 정서, 태도
므로 이는 중의적 표현에 해당한다. ‘달, 청풍, 강산’과 함께 살아가고자 하는 화자의 모습에서 자연
을 사랑하고 자연과 더불어 살고자 하는 자연 친화적인 태도가
드러난다.
십 년을 경영 여~_송순
{현대어풀이} 묏버들 갈 것거~_홍랑
십 년을 준비하여 초가삼간을 지어내니 {현대어풀이}
나 한 칸, 달 한 칸에 청풍 한 칸 맡겨두고 산버들을 가려 꺾어 보내노라 임에게.
강과 산은 들일 데 없으니 (병풍처럼)둘러 두고 보리라. 주무시는 곳 창밖에 심어 두고 보소서.
밤비에 새잎이 나거든 나인가 보다 여기소서.
1. 5
감상의 적절성 평가 1. 4
‘들일 듸 업스니’는 화자가 더 많은 자연물들과 함께하고 싶은 구절의 의미 파악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더 넓은 공간을 원하는 화자의 ㉠은 바로 뒤에 나오듯이 ‘날인가도 너기’도록 하는 대상이므로
소망이 드러난다는 감상은 적절하지 않다. 화자의 분신이라 할 수 있으며, ㉡이 울면서 간다는 것은 임을
{오답 이유} 여읜 화자의 슬픈 감정이 이입된 표현이므로 화자의 마음이 투
① 화자는 ‘십 년’ 동안 자연에 은거하고 싶은 마음을 품어 영된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왔으므로, 오랫동안 자연 친화적인 삶을 꿈꾸었다고 할 {오답 이유}
수 있다. ① ㉠은 화자 자신을 뜻하는 것이므로 예찬의 대상이라고
② ‘초려 삼간’은 세 칸밖에 안 되는 초가라는 뜻으로, 아주 보기 어렵고, ㉡은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이므로 비
작은 집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려 삼간’은 소박한 삶을 판의 대상으로 보기 어렵다.
나타내는 소재라고 할 수 있다. ② ㉠은 화자가 보낸 ‘묏버들’에서 피어날 수 있는 것이지
③ ‘나  간   간에 청풍  간’은 ‘초려 삼간’에서 자 현재 실재하는 것이 아니고, ㉡은 화자가 앉아 있는 ‘냇
연과 함께 살아가겠다는 의미이므로, 자연과 더불어 살고 ’에서 보고 있는 것이니 실재하는 것이다.
자 하는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③ 이 작품에서 ㉠은 화자의 분신인 동시에 화자가 자신의
④ ‘’, ‘청풍’, ‘강산’은 ‘자연’에 대한 대유적인 표현이다. 마음을 표현하기 위해 임에게 보낸 ‘묏버들’에서 난 잎이
므로 사랑의 징표로 볼 수도 있겠지만, <보기>의 초장에
2. 5 이미 이별의 상황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은 이별의 상
황에서 느끼는 화자의 슬픈 감정이 이입된 대상일 뿐 이
별을 암시하는 대상으로 보기는 어렵다.
⑤ ㉡은 화자의 마음을 대변하는 대상으로 화자의 처지를
상기시키는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은 임이 아니라 화
자를 떠올리게 하는 대상이다.
2. 4
화자의 정서, 태도
이 작품에서 화자는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은 드러내고 있지만,
임과 다시 만날 것이라는 확신을 드러내고 있지는 않다.
{오답 이유}
① ‘묏버들’을 가려 꺾어 임에게 보내겠다는 것에서 임과 함
께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② ‘묏버들’을 보고 자신을 떠올리라고 하는 것에서 임을 그
리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③ 자신의 분신인 ‘묏버들’을 창밖에 두고 봐 달라는 것에서
임의 곁에 머물고 싶어 하는 화자의 마음이 드러난다.
⑤ ‘새닙’이 나면 자신인 것처럼 여겨 달라는 것에서 임이
자신을 잊지 않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이 드러난다.
3. 임이 자신을 잊지 않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작품의 내용 파악
주무시는 창가에 ‘묏버들’을 두고 보라고 하고, 새잎이 나면 그
것이 자신인 것처럼 생각해 달라는 것에서 임이 자신을 잊지 않
기를 바라는 화자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4. 도치
표현상 특징 파악
‘묏버들 갈 것거 님의손 보내노라’라고 표현해야 할 문장에
도치법을 적용함으로써 임을 향한 화자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표
현하고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