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새말은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질까?

우선 새로운 사물이 들어오거나 새로운 개념이 생기면 이를 표현할 새말이 필


요하게 된다. 외국에서 생겨난 개념이나 사물이 들어오면 ‘텔레비전’, ‘인터넷’, ‘인터체인지’와 같이 ㉠ 외국말을 그대로 빌
단어를 정의하기란 쉽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자립하여 쓸 수 있는 말 중 가장 작은 단위를 가리킨다. 조사는 자립할 려서 쓰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실버산업’과 같이 차용한 외국말과 기존 우리말의 단어를 결합하거나 ‘외벌이’와 같이
수 없는 ㉠ 형태소이지만 예외적으로 단어의 자격을 부여한다. 단어는 형성 방식에 따라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뉘고, 복합 우리말의 기존 단어를 활용하여 새말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
어는 다시 합성어와 파생어로 나뉜다. 단어의 짜임을 분석하려면 ‘어근’, ‘접사’가 무엇인지 이해해야 한다. ‘어근(語根)’은 나 새말은 국어 순화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다. ‘노견(路肩) → 갓길’과 같이 기존에 사용되던 한자어를 고유어
단어 형성 시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을 가리키고, ‘접사(接辭)’는 어근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하는 주변 부분
로 순화한 경우뿐 아니라, ‘홈페이지 → 누리집’, ‘이모티콘 → 그림말’, ‘이북 → 전자책’, ‘스타일리스트 → 맵시가꿈이’와
을 가리킨다.
같이 차용된 외국말을 순화하여 같은 의미의 새말을 만든 경우도 있다. 새로 생긴 말들 중에는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아
단일어 사전에 등재되는 말도 있고, 일시적 유행어로 사용되다가 점차 사라지는 말도 있다.
단어 합성어
다 새말을 만드는 데에도 기존과 마찬가지로 둘 이상의 어근을 결합하는 방식과 어근과 파생 접사를 결합하는 방식이
어근+어근
복합어 모두 사용된다. ‘꽃미남’은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이고, ㉡ ‘엄지족’, ‘캥거루족’은 어근에 파생 접사 ‘-족
파생어 (族)’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파생어이다.
접두사+어근
어근+접미사
라 ⓐ 단어들의 첫 말을 따서 새말을 만들거나, ⓑ 두 단어 중 하나 혹은 모두를 절단한 후 각 부분을 결합하여 새말을
단일어는 ‘마을, 산, 우리, 크다, 먹다’와 같이 하나의 어근으로 된 단어이다. 복합어는 합성어와 파생어로 나뉜다. 합성어 만드는 방식도 많이 사용된다. ‘심쿵’, ‘강추’, ‘혼밥’은 각각 ‘심장이 쿵’, ‘강력 추천’, ‘혼자 (먹는) 밥’의 첫 말을 따서 하
는 둘 이상의 어근으로 이루어지는데, ‘찬밥, 돌아보다’와 같이 국어의 일반적인 통사적 구성 방법을 따르는 ㉡ 통사적 합 나의 단어로 만든 경우에 해당한다. ‘네티켓’, ‘쫄볶이’는 각각 ‘네티즌+에티켓’, ‘쫄면+떡볶이’와 같이 두 단어 모두를 절
성어와 ‘덮밥, 돌보다’와 같이 국어의 일반적인 통사적 구성 방법과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 ㉢ 비통사적 합성어로 나뉜다. 단한 후 결합한 유형이고 ‘차계부’는 ‘차+가계부’와 같이 한 단어만을 절단한 후 다른 단어와 결합한 유형이다.
㉣ 파생어는 어근과 파생 접사로 이루어지는데, ‘풋사랑, 군침, 헛소문, 맨발, 민낯, 되감다, 치솟다’와 같이 어근의 앞에 접 05 이 글을 읽고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두사가 붙어 만들어진 접두 파생어와 ‘놀이, 먹보, 어른스럽다, 조용히’와 같이 어근의 뒤에 접미사가 붙어 만들어진 접미 ① 새말은 필요에 의해 생겨난 말이군. ② 일시적 유행어는 사전에 등재되지 않겠군.
③ 합성어와 파생어에 의한 새말이 만들어지는군. ④ 새말은 어종에 따라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혼종어로 나뉠 수 있군.
파생어로 나뉜다.
⑤ 단어들의 첫 말을 따서 새말을 만들면 세대 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해지겠군.
06 ㉠의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01 <보기>는 ㉠에 대한 보충 설명이다. <보기>를 읽고 ⓐ를 분석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우주선 ② 콜레라 ③ 게릴라 ④ 하드웨어 ⑤ 소프트웨어
보기
07 새말의 짜임이 ㉡과 가장 유사한 것은?
형태소는 ‘일정한 뜻 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이다. 형태소는 자립성 여부에 따라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로
① 통컵 ② 댓글 ③ 누리꾼 ④ 노트북 ⑤ 스마트폰
구분되고, 구체적이고 실질적 의미를 갖느냐 문법적 의미를 갖느냐에 따라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로 구분된다.
08 다음 중 ⓐ와 ⓑ의 사례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 ⓑ
ⓐ 하늘이 푸르다.
출첵 셀카

① ⓐ에 사용된 단어는 3개이다. ② ⓐ를 통해 볼 때, 형식 형태소는 모두 의존 형태소가 된다. (출석+체크) (셀프+카메라)
③ ⓐ를 통해 볼 때, 실질 형태소는 모두 자립 형태소가 된다.④ 자립성 유무로 볼 때, ⓐ는 자립 형태소가 1개, 의존 형태소가 레포츠 줌마렐라

3개이다. ⑤ ⓐ를 통해 볼 때, 단어는 형태소가 하나 혹은 둘 이상이 모여 만들어진다. (레저+스포츠) (아줌마+신데렐라)
멘붕 취준생
02 <보기>의 ㉮, ㉯를 분석한 결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③
(멘탈+붕괴) (취업+준비생)
<보기> 문상 라볶이

㉮ 햇고구마 ㉯ 밤고구마 (문화+상품권) (라면+떡볶이)
모티켓 몰카
① ㉮는 접미 파생어이다. ② ㉮와 ㉯는 모두 복합어에 해당한다. ③ ㉮와 ㉯는 공통되는 어근이 있다. ⑤
(모바일+에티켓) (몰래+카메라)
④ ㉯는 두 개의 어근이 결합된 합성어이다. ⑤ ㉮와 ㉯는 어근과 접사의 결합 방식이 서로 다르다.
03 다음 중 ㉡과 ㉢의 사례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09 보기>를 참고하여 ‘놀이터’의 짜임을 분석하시오.
㉡ ㉢ 보기
① 밤낮 된서리 단어의 짜임 분석 시 일차적으로 분석되는 성분을
② 꺾쇠 척척박사 ‘직접 구성 성분’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말다툼’은 ‘말’
③ 본받다 검붉다 과 ‘다툼’으로 이루어진 합성어로, ‘말’과 ‘다툼’이 직접
④ 높푸르다 살펴보다 구성 성분에 해당하며, 파생어인 ‘다툼’은 다시 어근 ‘다
⑤ 그만두다 돌아가다 투-’와 파생 접사 ‘-ㅁ’으로 분석된다.
04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놀이터
① 접두 파생어는 품사의 변화가 없다. ② 접미 파생어는 품사의 변화가 있다.
조건
③ 접사는 홀로 쓸 수 없고 반드시 어근에 붙어 사용된다. ④ 모든 어근은 실질적인 의미를 지니므로 실질 형태소이다.
⑤ 접사는 어근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하므로 형식 형태소이다. <보기>의 밑줄 친 부분과 같은 형식으로 서술할 것.
[05~0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