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7

2025학년도 풀 MOON 모의고사 시즌 0 1회 과학탐구 영역 화학 I

과학탐구 영역(화학 )


제 4 교시 I
I
성명 수험 번호 제 [ ] 선택
4. 그림은 화합물 XY ZY 의 결합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 .
1. 다음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물질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 뷰테인(C4H10)이 연소하면서 ㉡ 얼음이 녹으면서 음료수가 것은? (단, X~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4)

찌개가 끓는다. 시원해진다.


<보 기>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1) ㄱ. 원자가 전자 수는 Z  Y 이다.


ㄴ. XY  ( )는 전기 전도성이 있다.
<보 기>

ㄱ. ㉠
의 연소 반응은 발열 반응이다.
ㄷ. 공유 전자쌍 수는 Z  X  이다.

ㄴ. ㉠
은 탄화 수소이다. ①ㄱ ②ㄴ ③ㄱ , ㄷ ④ㄴ , ㄷ ⑤ㄱ , ㄴ, ㄷ
ㄷ. ㉡
이 녹으면서 주위로 열을 방출한다.

①ㄱ ②ㄷ ③ㄱ , ㄴ ④ㄴ , ㄷ ⑤ㄱ, ㄴ, ㄷ 5. 표는 분자 (가)~(라)에 대한 자료이다. (가)~(라)는 각각 FCN ,


OF , NOF , COF 중 하나이다.

분자 (가) (나) (다) (라)


2. 그림은 2주기 원자 A~C를 루이스 전자점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공유 전자쌍 수  

비공유 전자쌍 수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5)
것은? (단, A~C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2)
<보 기>
<보 기>
ㄱ.    이다.
ㄱ. AC ()는 전기 전도성이 있다. ㄴ. (나)와 (다)에는 모두 다중 결합이 있다.

ㄴ. BC 에서 B는 부분적인 양전하(  )를 띤다. ㄷ. (라)는 NOF이다.
ㄷ. BC 에는 무극성 공유 결합이 있다.
①ㄱ ②ㄴ ③ㄱ , ㄷ ④ㄴ , ㄷ ⑤ㄱ
, ㄴ, ㄷ
①ㄱ ②ㄴ ③ㄱ , ㄷ ④ㄴ , ㄷ ⑤ㄱ , ㄴ, ㄷ

6. 표는 원소 W~Z로 이루어진 3가지 분자에서 W의 전기 음성도()와


나머지 구성 원소의 전기 음성도( ) 차( -  )를 나타낸 것이다.

3. 3)다음은 ℃
 , 1기압에서 메탄올(CHOH ) 연소 반응의 화학 반응 분자 X W Y W ZW
식이다. - 0.9 -0.5 0.5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CHOH (g) + O  (g) → CO  (g) + HO ( ) 것은? (단, X ~ 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6)

( ~는 반응 계수) 보 기
ㄱ. 전기 음성도는 Y 가 Z 보다 크다.
이 반응에서 3.5mol의 CHOH 과 4.5mol의 O2가 반응하였을
ㄴ. X와 Y의 전기 음성도 차이는 1.4이다.
때, 반응 후 전체 기체의 부피는? (단, 온도와 압력은 일정하고 

t , 1기압에서 기체 1몰의 부피는 24 L이다.)
ㄷ. XZ 에서 Z 는 부분적인 음전하(  )를 띤다.

① L ② L ③ L ④ L ⑤ L ①ㄱ ②ㄴ ③ㄱ , ㄷ ④ㄴ , ㄷ ⑤ㄱ


, ㄴ, ㄷ
(화학 I) 과학탐구 영역
7. 표는 밀폐된 용기 안에 H2O(  )을 넣은 후 시간에 따른  와  에 10. 다음은 금속 A~C의 산화 환원 반응 실험이다.

대한 자료이다.  ,  는 각각 증발 속도와 응축 속도 중 하나이다.  일


[실험 과정]
때 H2O( )과 H2O(g)는 동적 평형 상태에 도달하였다.
2+ +
(가) A (aq)와 B 가 들어 있는 수용액을 준비한다.
시간(초)     (나) (가)의 비커에 g C(s)를 넣어 반응시킨다.
   (다) (나)의 비커에  g C(s)를 넣어 반응시킨다.

  
[실험 결과 및 자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온도는 일정하다.) 7)
◦ (나) 과정 후 C는 C
m+
이 되었고, (나)과정에서 B 은 C와
+

반응하지 않았다.

보 기 ◦ (다) 과정 후 C(s)는 모두 C
m+
이 되었다.

ㄱ.  는 증발 속도이다. ◦ 각 과정 후 수용액 속에 들어 있는 양이온의 종류와 수

과정 (가) (나) (다)


양이온의 종류 A2+, B+ B+, Cm+ Cm+

ㄴ.   이다.
전체 양이온 수(mol) 12N 10N 6N

ㄷ. H2O(  )의 양은  일 때가  일 때보다 많다.

①ㄱ ②ㄴ ③ㄷ ④ㄱ , ㄴ ⑤ㄱ , ㄷ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10)(단, A~C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고 은 3이하의 자연수이다.)

8. 다음은 플루오린( F )을 포함한 분자 (가), (나)에 대한 자료이다. <보 기>

(가)와 (나)에서 X 와 Y 는 옥텟 규칙을 만족한다. ㄱ. =3이다.


ㄴ.    =2:1이다.
◦ (가)와 (나)의 분자당 구성 원자 수는 각각 4이하이다.
+
ㄷ. (나) 과정 후 양이온 수 비는 B : C
m+
= 1:1이다.

◦X , Y 는 2주기 원소이다.
①ㄱ ②ㄷ ③ㄱ ④ㄴ ⑤ㄱ
◦ (가)와 (나)에 대한 자료
, ㄴ , ㄷ , ㄴ, ㄷ

분자 (가) (나)
분자식 X  F YF
비공유 전자쌍 수 6 8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 , Y 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8)

<보 기> 11. 표는 원자 A~D에 대한 자료이다.


ㄱ. (가)에는 무극성 공유 결합이 있다.
ㄴ. (나)의 공유 전자쌍 수는 4이다. ◦ A~D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원소 X와 Y의 동위 원소이고
ㄷ. 원자가 전자 수는 X  Y이다. 
X,  
X, 
Y, 
Y 이고    이다.
①ㄱ ②ㄴ ③ㄱ , ㄷ ④ㄴ , ㄷ ⑤ㄱ , ㄴ, ㄷ 원자 존재 비율(%) 질량수
A   
B 70  
9. 표는 18족 원소를 제외한 2~3주기 바닥상태 원자 X ~ Z 에 대한 C   
D   
자료이다.

원자 ◦ X와 Y의 각각 동위 원소들의 존재 비율(%) 합은 100이다.

◦X
X Y Z
전자가 2개 들어 있는 오비탈 수    의 평균 원자량은   이다.
홀전자 수   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와 Y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고, A, B, C, D의 원자량은 질


것은? (단, X ~ Z 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3점] 9) 량수와 같다.) [3점] 11)

<보 기>
<보 기>
ㄱ.      이다.
ㄱ.      이다. ㄴ. Y의 평균 원자량은  이다.
ㄴ. 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는 Z가 Y의 2배이다.  ×
ㄷ.    이다.
ㄷ. X와 Z는 같은 족 원소이다. 

①ㄱ ②ㄴ ③ㄱ , ㄷ ④ㄴ , ㄷ ⑤ㄱ , ㄴ, ㄷ ①ㄱ ②ㄴ ③ㄱ , ㄷ ④ㄴ , ㄷ ⑤ㄱ , ㄴ, ㄷ
과학탐구 영역 화학 I
12. 표는  ℃ 에서 A과 B에 대한 자료이다 . A와 B의 15. 다음은 서로 다른 2,3주기 15~17족 원자 W~Z에 대한 자료

화학식량은 각각 와 이다. 이다.

수용액 A A B


◦W~Z
부피(L)   
의 홀전자 수

원자 W X Y Z
몰 농도(M)   
홀전자 수 + 
용질의 질량(g)   
  

 × 
◦ 원자 반지름은 Z>X>W . 이다

 는? (단, 혼합 용액의 부피는 혼합 전 각 용액의 부피의


 
W~Z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합과 같다.) [3점]12)
①  ②  ③  ④ ⑤  것은?15)(단, W~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보 기>

13. ~ ㄱ . X는 16족 원소이다 .


W Y .
다음은 수소 원자의 오비탈 (가) (라)에 대한 자료이다. 은 주
ㄴ . 원자 반지름은  이다
양자수, 은 방위(부) 양자수,  은 자기 양자수이다.
ㄷ . Z는 2주기 원소이다 .

◦ ~
는 (가) (라)에서 각각 2이하이다. ①ㄱ ②ㄴ ③ㄷ ④ㄱ , ㄷ ⑤ㄴ , ㄷ
◦ 
- 는 (가) (나)이다.
◦ 
 는 (나) (다)이고, (가) ~ (라)의  합은 0이다.

◦
   


는 (라)  (나)  (다)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16. 다음은 금속 X,Y와 관련된 산화 한원 반응에 대한 자료이다.

것은? [3점]13)
X의 산화물에서 산소(O)의 산화수는 –
2이다.

<보 기>

ㄱ. (나)는  이다. ◦ 화학 반응식 :

ㄴ.  는 (라)  (가)이다. X O   +Y   +H  → X     + Y     + H  O


ㄷ. 방위(부) 양자수()는 (다)  (가)이다. ㉠ ㉡ ㉢ ( ~ 는 반응 계수)

①ㄱ ②ㄴ ③ㄱ ④ㄴ ⑤ㄱ ◦㉠ ㉢ ~ 중 산화제와 환원제는 1:6의 몰비로 반응한다.


, ㄷ , ㄷ , ㄴ, ㄷ
◦     이다.

 
 은?16)(단, X와 Y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3점]

14. 14)표는 ℃에서 수용액 (가)~(다)에 대한 자료이다.
① 


 ② 


 ③ 

④ ⑤
◦ (가)~(다)의 액성은 모두 다르며, 각각 산성, 중성, 염기성
    

중 하나이다.

◦HO 

의 양( mol )은 (가)가 (다)의 10배이다.

수용액 (가) (나) (다)


pH
pOH
(상댓값) 2 15 
|pH  pOH | +1 7 17. 표는 실린더 (가)와 (나)에 들어있는 기체에 대한 자료이고, (가)
부피( ) mL   와 (나)의 전체 원자 수 비는 7:16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기체 (가) (나)

것은? (단, 25℃에서 물의 이온화 상수(Kw)는  ×  이다.) [3점] 기체의 X Y    

<보 기>
질량( ) g XY  0 

ㄱ. (가)의 액성은 산성이다. 에 들어 있는 X 원자 수 (상댓값)


1g 9 8

ㄴ.    이다. 에 들어 있는 Y 원자의 질량
40g (g) 
 
ㄷ.   이다.  는? (단, X ~ Y 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3점] 17)
 

①ㄱ ②ㄴ ③ㄱ , ㄷ ④ㄴ , ㄷ ⑤ㄱ , ㄴ, ㄷ ① ② ③ ④ ⑤
(화학 I) 과학탐구 영역
18. 다음은 중화 적정 실험이다. 20. 표는 M HCl (aq ) 5mL 와  M AOH 의 부피를

[실험 과정] 달리하여 혼합한 용액 (가) ~ (다)에 대한 자료이다.

(가) 0.6 M CHCOOH ( )  mL와 0.3 M CHCOOH 혼합 용액 ( )


가 ( )
나 ( )

(  )  mL를 혼합한 후 물을 넣어 밀도가  g/mL 의 부피( )
HCl(aq) mL 5 5 5
AOH 의 부피( ) 5 25
인 100mL 수용액 I을 만든다.
mL
(나) (가)에서 수용액 I 25 mL를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2~3방울 떨어뜨린다.


( 다 ) 0 . 3 M N a O H (  ) 을 뷰 렛 에 넣 고 ( 나 ) 의 삼 각
p H 7
플라스크에 한 방울씩 떨어뜨리면서 삼각 플라스크를 모든 이온의 몰농도( ) 합 M   
흔들어 준다.
(라) (다)의 삼각 플라스크 속 수용액 전체가 붉은색으로

 × 는? (단, 혼합 용액의 부피는 혼합 전 각 용액의 부피의 합과

변하는 순간 적정을 멈추고 적정에 사용된 NaOH
(  )의 부피를 측정한다.
같고, 혼합 전과 후의 온도 변화는 없 2+
다. AOH 는 수용액에서 A 와
-
OH 로 모두 이온화되고, 물의 자동 이온화는 무시한다.) [3점]20)

[실험 결과] ①


②

③
④  ⑤ 
◦ CH COOH 의 화학식량 : 60
  

◦ 적정에 사용된 NaOH(  )의 부피: 20 mL

◦ (가)에서 만든 수용액 I 100 g에 들어 있는 CHCOOH


의 질량 :  g

 × 는 ?( , 단 온도는 25℃ 로 일정하다 .) [3점]18)


① 


② 


③ 

④ 

⑤ 
 

19. 다음은 A (g)


와 B (g)
가 반응하여 C (g) 를 생성하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이다 .
(g)B (g) → C (g)
A
표는 실린더에 A (g) (g)
와 B 완
를 넣고 반응을 결시킨 실험 Ⅰ, Ⅱ

대한 자료이다 .
반응 전 반응 후


g
A ( )의 g
B ( )의 g
A( ) 또는 B( )의 g (g)
C 의
질량(g ) 질량(g ) 밀도(gL ) 밀도(gL )

Ⅰ    

Ⅱ    

 
 × 는
 
?( , 단 실린더 속 기체의 온도와 압력은 일정하다 .) 19)
[3점] * 확인 사항
①  ②  ③  ④ ⑤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과학탐구 영역 화학 I
<정답 및 해설> ㄷ. (라)는 NOF이다.

01 ③ 02 ⑤ 03 ③ 04 ① 05 ④ [오 답 해설]
ㄱ.  = 4,  = 4로    이다.
06 ⑤ 07 ① 08 ① 09 ② 10 ③
11 ④ 12 ⑤ 13 ⑤ 14 ③ 15 ② 6) ⑤
[ 문제 해설]
16 ④ 17 ② 18 ① 19 ⑤ 20 ② 기준이 되는 원자인 W의 전기음성도를  라 하면
전기음성도를  에 관한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③ W= 

[정답 해설] X=     
ㄱ. ㉠의 연소 반응은 열을 방출하므로 발열 반응이다. Y=     

ㄴ. ㉠은 탄소와 수소로만 이루어진 탄화 수소이다.


Z=     

[오답 해설] 7) ①
ㄷ. ㉡이 녹으면서 주위로 열을 흡수한다. [문제 해설]
만약  가 응축 속도, 
  가 증발 속도라면 증발 속도는   로 일정하고 응

2) ⑤ 축 속도는 아 까
 일 때 증발 속도와 같 질 때 지 계속 증가한다. 이때  에서
[문제 해설] 이 미
응축 속도가  로 증발 속도보다 크 로 모순이다. 므
A는 Li, B는 O, C는 F이다.
따라서   는 증발 속도,   는 응축 속도이고 증발 속도이다.      이다.

[정답 해설] ㄱ.   는 증발 속도이다.


ㄱ. AC는 LiF 이온결합이므로 액체 상태에서 전류가 흐른다. ㄴ.    이다.
ㄴ. OF 에서 O의 전기음성도가 F보다 작으므로 부분적인 양전하 를 띤
2
 ㄷ. H2O(  )의 양은 동적 평형에 도달하기 전 지 까 감소하므로  일 때가  일
때보다 적다.
다.
ㄷ. O2F2에서 O와 O의 결합은 무극성 공유 결합이다.
8) ①
③ [문제 해설]
분자이므로 공유결합 물질이여야 하고, 모두 옥텟규칙을 만족해야한다.
3)
[ 문제 해설] 2m≤4, m+1≤4를 만족하여하므로, m은 1또는 2이다.
화학 반응식을 정리하면 2 CHOH + 3 O  → 2CO  + 4 HO 이다.
X F 의 비공유 전자쌍이 6이려면, F의 개수가 2개이고, 중심 원자에 비공유
남고 생성 전자쌍이 없어야 하므로, X는 14족 원소여야한다. YF 은 비공유 전자쌍이 8
m m
CHOH 와 O  가 각각 3.5몰, 4.5몰 반응하면 CHOH 0.5몰이

이려면, F의 개수가 2개이고, 중심원자의 비공유 전자쌍이 2여야 하므로 16


m

물은 CO  (g)와 HO (l) 각각 3몰, 6몰씩 생성된다. 따라서 반응 후

전체 기체의 몰수는 HO (l)를 제외하여 3.5몰이다. 족원소여야 한다. 문제에서 2주기 원소라고 제한하였으므로, X는 탄소고 Y는

[정 답 해설] 산소이다. (가)는 C F , (나)는 OF 이다.


[정답 해설]
2 2 2

∴반응 ×
후 전체 기체의 부피는 3.5 24L=84L이다.
ㄱ. (가)에는 탄소-탄소 사이의 무극성 공유결합이 존재한다.
4) ① [오답 해설]

문제 해설]
[ ㄴ. (나)는 OF 로 공유전자쌍은 2개이다
X Y  ZY 는 NH4OH이고 NH  이온과 O H  이온이 결합한 이온 결합 물질 ㄷ 원자가 전자 수는 Y가 6개, X가 4개로 Y  X 이다.


이다. 따라서 X, Y, Z는 각각 N, H, O이다.
[정 답 해설] 9)
ㄱ. 원자가 전자 수는 Z O   Y H  이다. [문제 해설]
[오 답 해설] 홀전자 수가 2인 원자는 C, O, Si, S이다.
ㄴ. X Y  NH   (  )는 공유 결합이 므로 액체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이때, 각각의 경우에 전자가 2개 들어있는 오비탈 수를 구해보면 2, 3, 6,
없다. 7이다.
ㄷ. 공유 전자쌍 수는 X  N    Z  O   이다.
이때 b값은 각각 –1, 0, 3, 4인데 b가 -1또는 0이 될 수 없으므로 (b=0
인 경우 Y가 1주기 원소가 된다.) b=3 또는 b=4이다.
5) ④
[ 문제 해설] case1) b=3인 경우 Y의 홀전자 수는 1개가 된다. 즉 c=2가 된다. 이때
각 분자의 공유 전자쌍 수와 비공유 전자쌍 수를 나열하면 Y는 O가 된다.
FCN 공유-4, 비공유-4
그리고 X의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는 3개가 되는데 이를 만족하는 전
자가 2개 들어 있는 오비탈 수와 홀전자 수가 같은 원자는 없으므로 이는
O F  공유-2, 비공유-8
CO F  공유-4, 비공유-8
모순이다.
NO F 공유-3, 비공유-6이다.
(나)와 (다)는 각각 FCN 과 CO F  중 하나인 데 case2) b=4인 경우 Y의 홀전자 수는 2개가 된다. c=1이 된다. 즉 Y는
(가)의 비공유 전자쌍 수가 (나)의 두배이므로 (나)는 비공유 전자 F가 된다.
쌍이 4인 FCN이고 (다)는 CO F  그리고 (가)는 O F  가 되 므로 (라) 그리고 X의 전자가 들어있는 오비탈 수는 4개가 되고 이를 만족하는 전자
는 NO F 이다
따라서  = 4,  = 4이고, (가)~(라)는 각각 OF , FCN , COF ,
가 2개 들어 있는 오비탈 수와 홀전자 수가 같은 원자는 두 값()가 모두
2가 되는 원자는 C이다.
NOF 이다.
[정 답 해설] ∴X=C, S
Y=F, Z= 이다.

ㄴ. (나)와 (다)는 각각 FCN , COF 로 각각 삼중결합, 이중결합이 존재 [정 답 해설]


한다. ㄴ. 오비탈에 들어있는 전자수는 Z가 10개, Y가 5개로 Z가 Y의 2배이
(화학 I) 과학탐구 영역
다. 14) ③
[오 답 해설] [문제 해설]

ㄱ.      이 로     이다. 만약 (가)의 액성이 중성이라면    인데 (다)에서  의 상댓값이 음
pH

둘은 같은 족 원소가 아니다.
pO H
ㄷ. X는 14족 원소, Y는 16족 원소로
수일 수 없으므로 (다)가 중성 용액이고  의 상댓값이 (가)가 (나)보다
pH
pO H

10) 작으므로 (가)의 액성이 산성, (나)의 액성이 염기성이다. (나)의
문제 해설]
[
|pH-pOH|의 값이 7이므로 (나)의  pH
의 실제값은    이고, (가)
 
2+
(가)에서 A  mol이라 하면 (가)와 (나)에서 B+의 수는
의 수를 pO H 

의  의 실제값은  이다. 따라서 (가)의 pH는 4이고 (가)의


    mol이고, (나)에서 Cm+의 수는     mol이다. 전하량 보존 pH 
법칙을 이용해 이온의 가수와 몰수의곱의 합이 동일함을 이용하면 pO H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면    , |pH-pOH|=6이므로    이다. H O 의 양(mol)은 (가)가 (다)의 10배
3
+

   임을 알 수 있다. 이므로     ×   , 따라서    이다.


 

[정답 해설] [정답 해설]


ㄱ.    이다. ㄱ. (가)의 액성은 산성이다.
수가 각각   mol,  mol이므로 (가)와 (나)의
m+
ㄴ. (나)와 (다)에서 C 
ㄷ.    이다.
비커에 넣어준 C(  )의 수는 각각   mol,   mol이다. 몰수비는 질량비와 
같으므로        이다. [오 답 해설]
[오답 해설] ㄴ.      이다.


+ m+
ㄷ. (나) 과정 후 양이온 수 비는 B :C =3:2이다.
15)
11) ④ [ 문제 해설 ]
문제 해설]
[
제1 이온화 에 너지가 Y>X이므로 Y는 2주기 원소임을 알 수 있다 .즉,
X의 평균 분자량은 므
    이 로, A:C가 6:4의 비율로 존재해 한다. 야 X는 3주기 원소이다
원자 반지름은 Z>X이므로, Z도 3주기 원소이고 X보다 원자번호가 작음을 알
따라서        이 되므로 므
   이 된다. 그리고    이 로 수 있다. W는 15족 원소, X,Y,Z는 16족,17족 원소중 하나이다.
     ,      ,      이다. 즉, Z=S, X=Cl임을 알 수 있다. Y=F
[정 답 해설] 원자 반지름은 X>W이므로 W=N이다.
[정답 해설]
ㄴ. 원자 반지름은 W  Y이다.
ㄴ. Y 의 평균 원자량은    ×       ×       이다.
×


 × 
ㄷ.       ,    이 로      이다.

[오답 해설]

[오 답 해설] ㄱ . X는 Cl로 17족 원소이다 .


ㄷ . Z는 S 로 3주기 원소이다 .

ㄱ.      ,      이 로      이다.
16) ④
12) ⑤ Y의 산화수는 n+ → (n+1)+ 으로 바뀌므로 산화되므로 환원제임을 알 수
[문제 해설] 있고,  의 산화수는 변화가 없으므로 X가 산화제이고, X의 산화수는 감
몰농도는 용질의 몰수/용액의 부피이므로, 부피와 몰농도를 곱한값이 용질의 소됨을 알 수 있다.
몰수이다. A(aq)끼리의 자료를 비교했을 때, 용질의 몰수비가 1:4이므로, 부 산화제와 환원제는 1:6의 몰비로 반응하므로 식으로 표현하면
피와 몰농도를 곱한값의 비가 1:4여야하므로, V :V =1:8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자료를 비교했을 때, 용질의 질량비가 2:1이고, 분자량비
1 2

            

가 3:2이므로, 몰수 비는 4:3이 된다. 두 수용액의 부피는 같으므로, 몰농도


1X  O  +6 Y +14 H → 2X +6 Y +7 H  O 이다.

비가 4:3이 되어야하므로, x=0.15임을 알 수 있다.


sol1) 산화되는 물질이 잃은 전자의 수와 환원되는 물질이 얻은 전자의 수는
[정답 해설]
항상 같으므로
 ×   × 
  
 
-    =6 정리하면 m+2 =6 n
n
 =  =1.2
   자료에 나와 있는          에 의해 6=2m+

13) ⑤ 연 립하면 m=2, n=2 이다



문제 해설]
 
[
∴  =  =  이다.
  
므 능
 이 2 이하이 로 가 한 오비탈의 종류는  ,  ,  이고    이 (가)>

므     
(나)이 로 (가)는  오비탈이다.  이 (라)>(나)=(다)이 로 므 sol2) 반응 전후 전하량은 일정해 야 하므로
 반응전 전하량=반응후 전하량을 이용하면
(라)는   이 0 또
는 +1인  오비탈이고 (나)와 (다)는 각각  오비탈과                
 이 -1인  오비탈 중 하나이다.  이 (나)>(다)이 로 (나)는  오비 므      이 로 므
탈, (다)는  이 -1인  오비탈이고 (가)~(라)의  합이 0이 로 (라)의 므 립
     과 연 하면        이다.
 은 +1인  오비탈이다.   
∴  =  =  이다.
  

답 해설]

[정
ㄱ. (나)는  이다. 17)
ㄴ.  은 (라)가 +1, (가)가 0으로 (라)>(가)이다. [문제 해설]
ㄷ. 방위(부) 양자수(  ) (다)  (가)이다. (가)와 (나)의 질량비가 2:3이 므로, (가)와 (나)의 X원자수비는 3:4이다.
(가)는 X3Ym에 의해서만 결정되 므로 2wg의 X원자수를 3이라 하면 (나)의
과학탐구 영역
X3Ym은 1.5, XYm은 2.5가 된다. X3Ym은 분자 당 X의 개수가 3개이 므로, 농도는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따라서 z= 
   
단위질량당 분자 수는 X3Ym: XYm = 2:5이 므로 분자량 비는 5:2이다. 의 몰
    
므로, 2(m+3): (m+3)+5(m+1) 이다.
답 해설]
(가)와 (나)의 전체 원자수비는 7:16이
므로, m=4이다.
= 7:16 이
[정

위에서 구한 분자량비를 통해 X와 Y의 원자량비가 12:1임을 알 수 있다.


   
∴ × =×  = .
   
(X3Y4=5,XY4=2)
(나)의 X3Y4와 XY4의 분자수비는 1:5이고, 원자량비가 X: Y=12:1이 므로,
(나)의 X와 Y의 구성 질량비는 4:1이다. 즉 40g중 Y의 질량은 =8이다.
[정 답 해설]
 
    이다.
 

18) ①
[ 문제 해설]
(가)에서 만든 혼합 수용액 100mL에 들어 있는 CH  CO O H 의 양

은 (0.6  +0.6  ) 
mmol이고, 이 중


이 반응하였으 로 반응에 므

사용된 CH  CO O H 의 양(mmol)은      이고, 6mmol

-
OH 의 몰수와 같다. 그 러므
로    이다. mL × g  mL =  g
이다.

(가) 용액  g에 용질은 24mmol(  g)

 
따라서, 100g에는  =  이다.    ,    이
 
므로
[정 답 해설]
 
∴  ×    ×   
 

19) ⑤
[문제 해설]
Ⅰ, Ⅱ에서 전체 기체의 질량은     g 으로 같다. 반응 후 전체 기체의
밀도는 남은 반응물의 밀도와 C 의 밀도를 합한 것과 같으므로 각각
     g L ,     g  L 이다. 이들의 비는    이고 전체 기체 질량
비는 므
   이 로 반응 후 전체 기체의 부피 비는    이다.
ⅠⅡ , 에서 반응 후 전체 기체의 부피 비는    이고 C 의 밀도는    이 므
로 생성된 C 의 질량 비는    로 같다. 따라서, , ⅠⅡ
에서 반응한 물질의 양

은 같으 로 A  g , B  g 이 반응하여 C     g 이 생성되었다.
A  g 을  mol , B  g  mol 이라고 하면
Ⅰ 에서 반응 후 A  C 는 각각  mol 존재하고
Ⅱ 에서 반응 후 B  C 는  mol ,  mol 존재한다.
Ⅱ 므
에서 반응 전 B 는  mol 이 로        이다.
A B  C 의 반응 질량 비는               이고

A  B  C 의 분자량 비는      이다.
 
           이다.
 
[정 답 해설]
    
∴ ×  ×  
    

20) ②
문제 해설]
[
HCl의 부피는 용액 (가), (나), (다)에서 모두 5ml로 같다. (다)에서
A O H  의 부피가 (가)보다 크고, 모든 이온의 몰 도는 (다)에서 농 감소하였
으 므로 (가)는 산성이다.
(다)는 염기성이고 전체 이온수는 75  이다.
(가)와 (다)의 몰농도 비가 3:1이고 전체 부피가 1:3이므로 전체이온수가
(가)와 (다)에서 같아야 한다. 10  -5  =75  에서  =8  이다. (나)는 중성
용액이고, HCl의 몰농도가 A O H  의 8배이고, A O H  는 2가 염기이므
 

로 혼합용액이 중성이려면 A O H  의 부피가 HCl 부피의 4배, 즉 20ml이


면 된다. 따라서 (나)의 모든 이온의 몰농도는  이고, (가)에서 모든 이온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