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7

소단원 1.

문학, 쓰기, 읽기와의 첫 만남


(1) 문학의 숲과 나무

실력 평가 학년| 반| 번|이름 |점수

[01-1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02 이 시의 화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


자화상(윤동주) 은 것은?
① 외딴 우물가에 가서 우물에 비친 자신의 얼굴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
을 바라보고 있다.
가선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② 화자는 순수했던 자신의 모습을 통해 분열되어
있던 자아와 화해하고 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③ 화자는 스스로에 대한 애증을 교차적으로 느끼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며 심리적으로 괴로워하고 있다.
④ 화자는 부정적 현실 속에서 힘들고 초라하게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살아가는 자신에 대한 연민을 느끼고 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⑤ 화자는 문득 자신을 사랑했던 사람에 대해 그
리움을 느끼며 심리적으로 위안을 얻고 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도로 가 들여다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03 이 시와 <보기>에 드러나는 화자의 어조를
설명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보기>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처럼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사나이가 있습니다.
마침내 북방으로 휩쓸려 오다.
-----------------------------------------

01 수능형 이 시의 표현상 특징으로 적절하지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


서릿발 칼날 진 그 위에 서다.
않은 것은?
① 대상에 대한 화자의 감정 변화를 중심으로 시
어디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상이 전개되고 있다.
한 발 제겨디딜 곳조차 없다.
② 순수하고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이 시각적 심상
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매 눈감아 생각해 볼밖에
③ 상징적인 소재를 통해 과거에 대한 화자의 낙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관적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 이육사, ‘절정’
④ ‘-ㅂ니다’의 상대 높임 종결 어미를 사용하여
고백적 어조를 드러내고 있다. ① (가)는 독백적 어조가, <보기>는 대화적 어조
⑤ 2연의 표현이 6연에서 유사하게 반복되며 점 가 드러난다.
층적으로 시적 정서가 깊어지고 있다. ② (가)는 냉소적 어조가, <보기>는 상징적 어조
가 드러난다.
③ (가)는 고백적 어조가, <보기>는 의지적 어조
가 드러난다.
④ (가)는 남성적 어조가, <보기>는 여성적 어조
가 드러난다.
⑤ (가)는 지사적 어조가, <보기>는 성찰적 어조
가 드러난다.
04 이 시의 제목인 ‘자화상’이 의미하는 바로 가 06 주관식 <보기>에서 ㉠과 같은 역할을 하는
장 적절한 것은? 시어를 찾아 쓰시오.
① 이상적인 자아의 모습을 새롭게 구축하는 화
<보기>
자의 모습을 의미한다.
거울때문에나는거울속의나를만져보지를못
②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감과 자부심을 가진
하구료마는거울이아니었던들내가어찌거울속
화자의 태도를 의미한다.
의나를만나보기만이라도했겠소 // 나는지금
③ 우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며 스스로
(至今)거울을안가졌소마는거울속에는늘거울속
를 성찰하는 화자의 모습을 의미한다.
의내가있소 / 잘은모르지만외로된사업에골몰
④ 타인의 모습을 통해 이상적인 자신의 모습을
할께요 // 거울속의나는참나와는반대(反對)요
배워 나가려는 화자의 태도를 의미한다.
마는 / 또꽤닮았소 / 나는거울속의나를근심하
⑤ 얼굴 생김새에 대한 치밀한 묘사를 통해 자
고진찰(診察)할수없으니퍽섭섭하오
신이 느끼는 정서를 전달하려는 화자의 태도 - 이상, ‘거울’
를 의미한다.

07 기출 변형 <보기>를 바탕으로 이 시를 해석
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자화상’은 1941년 “문우(文友)”에는 ‘우물
속의 자상화’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는데, 이
제목은 ‘우물’과 ‘그림’이 부각되어 있다. 상
징적 관점에서 볼 때, 우물은 자신의 모습을
투영해 볼 수 있는 사물이고, 하늘을 향해 있
는 동굴이며, 그 동굴의 원형인 모태(母胎)를
05 ㉡에 사용된 심상이 드러나지 않은 것은?
떠올리게 하는 공간이다. 이 점에서 보면, 이
① 삼월(三月) 달 바다가 꽃이 피지 않아서 서
시에서 우물 속의 자상화은 자신의 존재에
글픈/ 나비 허리에 새파란 초생달이 시리다.
- 김기림, ‘바다와 나비’ 대한 화자의 인식과 태도를 다층적으로 담아
② 해와 하늘빛이 / 문둥이는 서러워 // 보리밭 내고 있는 그림인 것이다.
에 달 뜨면 / 애기 하나 먹고 // 꽃처럼 붉은 ① 1연의 ‘가만히 들여다 봅니다’에서 화자가
울음을 밤새 울었다. - 서정주, ‘문둥이’ 우물을 통해 자기의 모습을 투영해 보고 있다
③ 안개 자욱-한 화원지의 벤치 위엔 / 한낮에 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소녀들이 남기고 간 / 가벼운 웃음과 시들은 ② 2연에서 밝은 달, 흐르는 구름, 펼쳐진 하늘,
꽃다발이 흩어져 있었다. 부는 바람이 우물 속에 있는 것을 보았을 때,
- 김광균, ‘외인촌(外人村)’ 우물이 하늘을 향해 있는 동굴임을 알 수 있
④ 즐거운 지상의 잔치에 / 금으로 타는 태양의 다.
즐거운 울림 // 아침이면 / 세상은 개벽(開闢) ③ 3연의 ‘사나이’는 화자에게 미움의 감정을
을 한다. - 박남수, ‘아침 이미지’
불러일으키는 주체이며, 원형적 모태(母胎)를
⑤ 오늘도 뫼 끝에 홀로 오르니 / 흰 점 꽃이 떠오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인정스레 웃고 /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 ④ 4연~5연에서 화자가 사나이에 대한 감정이
리 아니 나고 / 메마른 입술에 쓰디쓰다. 변화하는 것은 자신의 존재에 대한 화자의 인
- 정지용, ‘고향’
식과 태도가 다층적임을 보여 준다.
⑤ 6연에서 사나이가 ‘추억처럼’ 있는 것은 자
신의 존재를 성찰하며 느꼈던 내적 갈등 상태
를 극복했음을 보여 준다.
08 다음 중, 이 시의 화자와 처지 및 정서가 가 10 이 시를 감상한 관점이 이질적인 것은?
장 유사한 것은? ① 현실을 살아가는 스스로의 모습을 돌아보고
① 낡은 거미집 휘두르고 / 끝없는 꿈길에 혼자 반성하게 하는 소재가 상징적으로 드러나고
설레이는 / 마음은 아예 뉘우침이 아니라. 있어.
- 이육사, ‘교목’ ② 평이한 산문적 표현을 활용하여 화자가 자신
② 뼈에 저리도록 생활은 슬퍼도 좋다. / 저문 의 이야기를 고백하는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
들길에 서서 푸른 별을 바라보자! // 푸른 별 어.
을 바라보는 것은 하늘 아래 사는 거룩한 나 ③ 화자가 자아의 모습을 돌아보며 느끼는 복합
의 일과이어니……. - 신석정, ‘들길에 서서’ 적인 감정의 변화가 주된 시상의 흐름을 이루
③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시대처럼 고 있어.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 나는 ④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은 현재 초라한 화자의
나에게 적은 손을 내밀어 / 눈물과 위안(慰安) 모습과 대조되면서 화자의 상황을 더욱 강조
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수 하여 드러내고 있어.
- 윤동주, ‘쉽게 씌어진 시’
⑤ 시인은 일제 강점기를 살았던 인물이야. 부
④ 진주(晉州) 남강(南江) 맑다 해도 / 오명 가
정적 시대 현실 속에서 지식인이 느껴야 했던
명 / 신새벽이나 밤빛에 보는 것을, / 울엄매
어려움을 성찰의 정서를 통해 잘 보여 주고
의 마음은 어떠했을꼬, / 달빛 받은 옹기전의
있어.
옹기들같이 / 말없이 글썽이고 반짝이던 것인
가. - 박재삼, ‘추억에서’
⑤ 나는 이제 너에게도 슬픔을 주겠다. / 사랑보
다 소중한 슬픔을 주겠다. / 겨울밤 거리에서
귤 몇 개 놓고 / 살아온 추위와 떨고 있는 할
머니에게 / 귤 값을 깎으면서 기뻐하던 너를
위하여 / 나는 슬픔의 평등한 얼굴을 보여 주 [11-1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겠다. - 정호승, ‘슬픔이 기쁨에게’ 최척전(조위한)

(가) 그때 마침 명나라 장수가 기병(騎兵) 10여


인을 이끌고 남원 성에서 나와 금석교 아래에서
말을 씻기고 있었다. 최척은 의병으로 나가 있
을 때 꽤 오랫동안 명나라 군대와 접촉한 경험
이 있어 중국 말을 조금 할 줄 알았다. 최척은
명나라 장수에게 ㉠자기 일가가 모두 해를 입은
상황을 말하고 의탁할 곳 없게 된 자신의 신세
를 하소연한 뒤 중국에 따라 들어가 은둔하고
싶다고 말했다. 명나라 장수는 그 말을 듣고 측
09 주관식 시적 화자의 내적 갈등이 서서히 통 은히 여겼으며, 또 최척의 뜻을 가련히 여겨 이
합의 단계로 접어들었음을 보여 주는 시어를 찾 렇게 말했다.
아 한 단어로 쓰시오. “나는 오 총병(吳總兵)의 천총(千摠) 여유문
(余有文)이라 하오. 집은 절강성 요흥(姚興)에
있는데, 가난하지만 먹고살 만은 하다오. 인생
은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는 게 중요
하나니, 먼 곳이건 가까운 곳이건 자기 마음
가는 대로 노닐고 머물 따름이지 하필 구석진
땅에 머물며 옹색하게 살 이유가 무어 있겠
소?”
이윽고 최척에게 말 한 필을 주어 자신의 진
영으로 데리고 갔다.
최척은 용모가 빼어나고 생각이 주도면밀하며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하는 데다 문장에도 능했 11 윗글의 내용을 이해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으므로, 여유문은 이런 최척을 매우 아껴서 한 ① 연곡사에서 최척은 우연히 아이의 울음소리
상에서 밥을 먹고 같은 이불을 덮고 잠을 잘 정 를 듣고 몽석과 극적으로 재회하게 된다.
도였다. ② 최척은 언어의 장벽 때문에 여유문과 신뢰
깊은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처지에 놓였다.
(나) 이에 앞서 최척 일가가 왜적에게 붙잡혀 ③ 옥영은 돈우로 인해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
섬진강에 이르렀을 때의 일이다. ㉡왜적은 최척 어 자살을 할 만큼 현실에 대해 크게 낙담하
의 부친과 장모가 늙고 병들었다 여겨 감시를 고 있다.
소홀히 했다. 두 사람은 왜적의 감시가 태만한 ④ 여유문은 최척에게 자신을 따라 구석진 땅에
틈을 타 갈대숲에 몸을 숨겼다. 왜적이 떠난 뒤 가기보다는 조선에 머무는 것이 나을 것이라
마을을 돌아다니며 구걸을 하다 연곡사에 이르 고 조언하고 있다.
렀다. 그런데 연곡사 승려들의 방에서 아기 우 ⑤ 전쟁 통에서 아이를 거두었던 승려는 자신의
는 소리가 들리는 게 아닌가. 심 씨가 울며 최 예상대로 일이 이루어진 것에 대해 놀라운 마
숙에게 말했다. 음을 드러내고 있다.
“어떤 아이 울음소리기에 우리 손주 소리와
똑같을까요?”
㉢최숙이 급히 문을 열고 들여다보니 과연 몽
석이었다. 최숙은 우는 아이를 품에 안고 한참
어루만졌다. 잠시 후 최숙이 승려들에게 물었다.
12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이 아이를 어디서 데려왔소?”
은?
혜정(慧正)이라는 승려가 앞으로 나오며 이렇
① ㉠: 전쟁으로 인해 가족과 헤어지고 혈혈단
게 대답했다.
신으로 남은 최척의 망연자실한 마음이 드러
“제가 길가의 시체 더미 속에서 울음소리를
난다.
듣고 불쌍하여 거두었습니다. 혹 아기의 부모
② ㉡: 이후에 벌어질 가족 간의 재회가 가능하
가 찾아오지 않을까 기다렸는데 지금 과연 그
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렇게 되었으니, 이 어찌 하늘의 도움이 아니
③ ㉢: 고전 소설이 갖고 있는 우연성을 보여
겠습니까!”
주는 부분으로 판단할 수 있다.
④ ㉣: 돈우의 이러한 품성 덕분에 옥영이 왜적
(다) 이때 옥영은 왜적 돈우(頓于)라는 자에게
의 손에서도 죽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었음을
붙잡혀 있었다. ㉣돈우는 늙은 병사로, 살생을
알 수 있다.
하지 않는 불교 신자였다. 본래 장사꾼으로 항
⑤ ㉤: 이제는 가족을 잊고 자신의 처지를 체념
해에 능숙했으므로 왜장(倭將) 소서행장(小西行
적으로 수용하려는 옥영의 태도를 엿볼 수 있
長)이 그를 선장으로 발탁하였다.
다.
돈우는 명민한 옥영이 마음에 들었다. 그래서
혹 달아날까 싶어 좋은 옷과 맛난 음식을 주어
그 마음을 안심시키려 했다. ⓑ옥영은 물에 빠
져 자살할 생각으로 몇 번이나 배에서 빠져나왔
지만 그때마다 들켜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어느 날 밤 옥영의 ⓒ꿈에 장륙불(丈六佛)이 13 ⓐ의 의미와 관련 있는 한자 성어로 묶인 것
나타나 이렇게 말했다. 은?
“나는 만복사의 부처다. 죽어서는 안 된다! 훗 ① 지기지우(知己之友), 지음(知音)
날 반드시 기쁜 일이 있을 것이다.” ② 금란지계(金蘭之契), 백미(白眉)
옥영이 꿈에서 깨어 그 꿈을 가만히 생각해 ③ 관포지교(管鮑之交), 견원지간(犬猿之間)
보니 그런 일이 전혀 없으란 법도 없을 것 같았 ④ 백아절현(伯牙絶絃), 죽마고우(竹馬故友)
다. ㉤이에 억지로 먹으며 목숨을 부지했다. ⑤ 간담상조(肝膽相照), 낭중지추(囊中之錐)
-----------------------------------------
14 수능형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16 서술형 이어지는 소설의 내용을 고려할 때,
것은? ⓒ의 역할이 무엇인지 한 문장으로 서술하시오.
① 여유문: 최척을 거두고 아껴준다는 측면에서 [5점]
반동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② 최척: 의도적으로 명나라 장수에게 접근해
가족을 찾을 방법을 모색하는 모습에서 주도
면밀한 성격임을 알 수 있다.
③ 심씨: 손자를 찾기 위해 감옥에서 탈출하여
연곡사로 찾아간 모습에서 적극적이고 진취적
인 태도를 살펴볼 수 있다.
④ 돈우: 옥영을 붙잡았으나 애정을 갖고 보살
폈다는 점에서 옥영에게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
⑤ 장륙불: 자살을 하려는 옥영에게 살아야함을 [17-2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강요하는 것에서 종교적 깨달음을 주는 인물 최척전(조위한)
이라고 볼 수 있다.
(가) 이때 최척은 요흥에 머물며 여유문과 의형
제를 맺었다. 여유문이 누이동생을 최척에게 시
집보내고 싶어 하는 마음을 내보이자 최척은 완
강히 거절하며 이렇게 말했다.
“우리 일가족이 왜적의 침탈을 입어 지금껏
늙은 부친과 가녀린 아내가 살았는지 죽었는
지조차 몰라 제사도 지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15 ⓑ와 가장 유사한 정서를 보이는 것은? ㉠이런 처지에 혼인하여 나 혼자 편안히 잘
①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서는 / 이별이, 이별 살 궁리를 할 수 있겠습니까?”
이 있어야 하네. // 높았다, 낮았다, 출렁이는 여유문도 최척의 생각을 의롭게 여겨 더 이상
물살과 / 물살 몰아 갔다 오는 바람만이 있어 혼인을 권유하지 않았다.
야 하네. - 서정주, ‘견우의 노래’

② 서럽게 / 아, 엄숙한 세상을 / 서럽게 / 눈물 (나) “백승! ㉡이 세상을 살면서 누군들 불로장
흘려 // 살아가리라. /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 생하기를 바라지 않겠는가마는 고금 천하에
는가. / 누가 구름 한 자락 없이 맑은 / 하늘 어디 그런 이치가 있단 말인가? 남은 생이 얼
을 보았다 하는가. - 신동엽, ‘봄은’ 마나 된다고 불로장생의 약을 먹고 굶주림을
③ 생각하면 / 삶이란 / 나를 산산이 으깨는 일 참으며 괴로움을 자초하면서 산도깨비의 이웃
// 눈 내려 세상이 미끄러운 어느 이른 아침 이 된단 말인가? 나와 함께 배 타고 오월(吳
에 / 나 아닌 그 누가 마음 놓고 걸어갈 / 그 越) 땅을 오가면서 비단이나 차를 매매하며
길을 만들 줄도 몰랐었네, 나는 남은 생을 즐기는 게 세상사에 통달한 사람의
- 안도현, ‘연탄 한 장’ 할 일 아니겠나?”
④ 어느 사이에 나는 아내도 없고, 또, / 아내와 최척이 홀연 깨닫고 마침내 송우와 함께 길을
같이 살던 집도 없어지고, / 그리고 살뜰한 부 떠났다.
모며 동생들과도 멀리 떨어져서, / 그 어느 바
람 세인 쓸쓸한 거리 끝에 헤매이었다. (다) ㉢경자년(1600) 봄이었다. 최척은 송우를
- 백석,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따라 한 마을의 장사꾼들과 함께 배를 타고 안
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것, / 갈대는 저를 흔드
남(베트남)으로 장사하러 갔다. 이때 일본 배
는 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 것을 / 까맣게 몰
10여 척도 같은 포구(浦口)에 정박해 있었다.
랐다. // —산다는 것은 속으로 이렇게 / 조용
열흘 넘게 머물러 4월 초이튿날이 되었다.
히 울고 있는 것이란 것을 / 그는 몰랐다.
하늘엔 구름 한 점 없고 물 빛은 비단처럼
- 신경림, ‘갈대’ [A]
고왔다. 바람이 그쳐 물결이 잔잔했으며 사
방이 고요해 그림자 하나 보이지 않았다. 뱃 서 구경하고 있었는데, 처음에는 두 사람이 친
사람들은 깊은 잠에 빠져 있었고, 간간이 물 척이거나 친구인가 보다 여기고 있었다. 한참
새 울음소리가 들려올 뿐이었다. 일본 배에 뒤 이들이 부부 사이임을 알고는 모두들 놀라
서는 염불하는 소리가 들렸는데, 그 소리가 감탄하고 서로 돌아보며 이런 말을 주고받았다.
매우 구슬펐다. “참 기이하기도 하다! 하늘이 돕고 귀신이 도
최척은 홀로 선창(船窓)에 기대 자신의 신세 왔구나. ㉮옛날에도 이런 일은 없었다.”
를 생각하다가, 짐 꾸러미 안에서 퉁소를 꺼내 -----------------------------------------
슬픈 곡조의 노래를 한 곡 불어 가슴속에 맺힌
슬픔과 원망을 풀어 보려 했다. 최척의 퉁소 소 17 윗글의 내용을 이해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리에 바다와 하늘이 애처로운 빛을 띠고 구름과 ① 최척은 여유문의 누이와 혼인하고 싶었지만,
안개도 수심에 잠긴 듯했다. 뱃사람들도 그 소 가족들이 눈에 밟혀 혼인하지 못했다.
리에 놀라 일어나 모두들 서글픈 표정을 지었 ② 여유문은 자신의 제안을 거절한 최척에게 배
다. 그때 문득 일본 배에서 염불하던 소리가 뚝 신감을 느끼고 그를 더이상 제대로 돌보지 않
그쳤다. 았다.
③ 송우는 안남으로 가기를 원치 않는 최척을
(라) “저건 내 아내가 지은 시일세. 우리 부부 억지로 데려가 옥영을 만날 수 있도록 하였
말곤 아무도 알지 못하는 시야. 게다가 방금 다.
시를 읊던 소리도 아내 목소리와 흡사해. 혹 ④ 두홍은 최척의 말을 듣자마자 상대편의 배로
아내가 저 배에 있는 게 아닐까? 그럴 리 없 가서 진실 여부를 확인해 주었다.
을 텐데 말야.” ⑤ 사람들은 최척과 옥영의 만남을 보고 처음에
그러고는 자기 일가가 왜적에게 당했던 일의 는 둘이 부부라는 것을 알지 못했다.
전말을 자세히 말했다. 배 안에 있던 사람들이
모두 놀랍고 희한한 일로 여겼다.
그 자리에 두홍(杜洪)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젊고 용감한 자였다. 두홍은 최척의 말을 듣더
니 의기 넘치는 표정이 되어 주먹으로 노를 치
고 분연히 일어서며 이렇게 말했다.
“내가 저 배로 가서 사정을 살펴보겠소!”
송우가 두홍을 말리며 말했다.
“야심한 시각에 소란을 일으켰다가는 큰 난리
가 날지도 모르네. 내일 아침에 조용히 처리 18 [A]의 표현 효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하는 게 좋겠어.” ① 고요하고 애상적인 분위기를 형성하여 주인
사람들이 모두 그러는 게 좋겠다고 했다. ㉣ 공의 슬픈 심리를 강조하고 있다.
최척은 앉은 채로 아침이 오기만을 기다렸다. ② 아름답고 흥겨운 자연의 이미지가 초라한 주
인공의 모습과 대조되며 주인공의 처지를 더
(마) ㉤옥영은 어젯밤 배 안에서 최척의 퉁소 욱 부각하고 있다.
소리를 들었다. 조선 가락인 데다 귀에 익은 곡 ③ 속세와 대조되는 이미지의 자연을 활용하여
조인지라, 혹시 자기 남편이 저쪽 배에 타고 있 세속적 이익을 추구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비
는 것이 아닐까 의심하여 시험 삼아 예전에 지 판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었던 시를 읊어 본 것이었다. 그러던 차에 밖에 ④ 적막한 배경에서 구슬픈 염불 소리가 부각되
서 최척이 말하는 소리를 듣고는 허둥지둥 엎어 게 하여 불교적 깨달음을 얻고자 노력하는 주
질 듯이 배에서 뛰어 내려왔다. 인공의 심리를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최척과 옥영은 마주 보고 소리치며 얼싸안고 ⑤ 조용하고 평안한 자연의 상태를 바탕으로 새
모래밭을 뒹굴었다. 기가 막혀 입에서 말이 나 로운 길을 찾아 떠나며 마음의 평안 상태를
오지 않았다. 눈물이 다하자 피눈물이 나왔으며 찾은 주인공의 모습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눈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있다.
두 나라의 뱃사람들이 이들 주위를 빙 둘러서
19 (나) 화자의 말하기 방식으로 적절한 것은? 22 기출 변형 <보기>를 바탕으로 작품을 해석
① 상대방의 생각이 잘못되었음을 지적하고 새 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보기>
② 사회적 통념을 비판하며 기존과 다른 절충적
임진왜란(1592~1598년) 등 16세기 말 ~ 17
대안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세기 초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전쟁들은 각국 백
③ 상대의 감정에 호소하며 자신의 처지를 부각
성들의 삶에 심대한 수난을 초래했다. 이러한
시켜 상대를 설득하려 하고 있다.
역사를 반영한 대표적인 작품이 조위한의 ‘최
④ 운명론적 세계관을 드러내며 운명에 순응하
척전’이다. 최척에게서 체험의 전말을 전해
는 태도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듣고 이 작품을 썼다는 후기로 보면 이 작품
⑤ 완곡한 표현을 사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직접
이 실제 체험에 바탕을 둔 인물들의 이산(離
표현하지 않고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散)과 귀향의 과정을 그린 유랑의 서사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서사 공간이 조선을 포함하
여 아시아 여러 국가에 걸쳐 있고 국가 간
갈등을 넘어선 개인 간의 인간적 배려 및 전
쟁의 참상에 대해 각국 백성들이 보인 인류
애적 연민의 모습도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이
20 ㉮의 상황과 가장 잘 어울리는 한자 성어
주목할 만하다.
는?
① 최척과 옥영이 가족들과 이별하며 겪는 여러
① 고복격양(鼓腹擊壤)
아픔들은 16세기 말~17세기 초 백성들이 겪
② 다다익선(多多益善)
었던 수난의 모습으로 연결될 수 있겠어.
③ 자가당착(自家撞着)
② 두홍이 최척의 안타까운 사연을 듣고 당장이
④ 전대미문(前代未聞)
라도 달려가 상황을 알아보려고 했던 것은 개
⑤ 후생가외(後生可畏)
인간의 인간적 배려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측
할 수 있겠어.
③ 최척이 퉁소를 꺼내 슬픈 곡조를 불 때 그
속에 담았던 가슴속에 맺힌 슬픔과 원망은,
21 ㉠~㉤에 대한 독자의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그가 겪은 이산(離散)과 유랑에서 비롯된 것
것은?
임을 파악할 수 있어.
① ㉠: 일부일처제라는 사회적 제도에 순응하려
④ 최척과 옥영의 만남이 안남으로 가던 중 정
노력하는 최척의 선비적 면모를 살펴볼 수 있
박한 항구에서 이루어진 것은, 이 작품의 서
어.
사 구조가 아시아를 넘어서 여러 국가에 걸쳐
② ㉡: 이 시대의 사람들이 그러하듯 송우도 불
있음을 알 수 있게 해.
로장생(不老長生)을 삶의 목표로 생각하고 있
⑤ 송우가 두홍을 말리는 것과, 모든 사람이 송
음을 알 수 있어.
우의 의견에 전반적으로 동의하는 모습은 혹
③ ㉢: 주인공들이 겪는 사건의 구체적인 시간
시 분쟁이 일어날까 봐 걱정하는 태도, 즉 인
적 배경을 제시하여 작품에 허구성을 더해 주
류애적 연민의 모습이 드러난 것이라 볼 수
는 역할을 하고 있어.
있어.
④ ㉣: 분쟁이 또 일어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에 잠 못 드는 최척의 모습은 그 당시 전쟁에
떨던 백성들의 모습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겠
어.
⑤ ㉤: ‘두 인물이 그 시간에 그 공간에 함께 있
었다’는 개연성이 떨어지는 설정은, 고전 소설
의 특징인 우연성을 보여 주고 있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