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0

9.

과학기술과 윤리
수능 기출 : 1. 과학기술의 가치 중립성
2.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3. 요나스의 책임윤리 1문제
학습 목표
1. 과학기술의 가치중립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3. 요나스의 책임 윤리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1. 과학기술의 가치 중립성
1) 과학 기술을 가치 중립적으로 보는 입장
- 과학 기술은 ‘사실의 영역’
(참, 거짓의 진위판단)
- 과학기술의 독립성 강조(윤리와 관련X)
- 관찰과 실험에 근거(주관적 가치 개입X)
- 과학기술의 결과에 대한 책임
(과학기술을 실제로 활용한 사람들의 몫)
- 사상가
야스퍼스 : 기술은 수단(도구) → 선악X
: 인간의 목적 설정에 따라 긍정적or부정적
ex) 기술은 양날의 칼, 부엌칼

푸엥카레 : 과학과 윤리는 한 점에서


만나는 두 개의 원과 같다.(별개의 영역)
2) 과학 기술에 대한 가치 판단이 필요
- 과학 기술도 가치 판단 필요, 윤리적
검토의 대상
- 연구 주제 선정 및 결과 활용에서
가치가 개입됨
- 과학 기술은 인간의 존엄성 실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
- 사상가 :
하이데거 : 기술을 가치 중립적인 것으로 파악할
때 인간은 무방비 상태로 기술에 내맡겨진다.
ex) 일본도, 총, 원자폭탄 (사람을 죽이는 용도 외에
다른 용도를 생각하기 힘들다)
하버마스 : 도구적 이성이 강조되면 인간관계
(의사소통)가 왜곡됨.

※ 베버 – 발견[연구 주제 선정] 및
[결과 ] 활용의 맥락 : 가치 판단
- 정당화[연구과정]의 맥락 : 가치중립
과학기술의 가치 중립성
연구 주제
과학기술은 선정 및
가치중립적 검증 결과 활용에서
(정당화)
가치가 개입됨
야스퍼스
하이데거

가치중립
(사실의 영역)
- 어떻든 분명한 것은 기술이란 수단일 뿐이지 그 자체는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니라는 사실이다. (중략) 기술은 일종의 공허한
힘이며 결국은 목적에 대한 수단인 것이다. 어떻게 기술이 인간
과 전혀 무관하게 광기를 부릴 수 있다는 말인가? – 야스퍼스

- 기술의 본질은 결코 기술적인 어떤 것이 아니다. 우리가 기술


을 열정적으로 긍정하건 부정하건 관계없이 우리는 어디서나
부자유스럽게 기술에 붙들려 있는 셈이다. 그러나 최악의 경우
는 기술을 중립적인 것으로 고찰할 때이며, 이 경우 우리는 무방
비 상태로 기술에 내맡겨진다. - 하이데거
2. 과학 기술의 성과와 윤리적 문제
1) 성과
- 물질적 풍요, - 편리한 생활
2) 윤리적 문제
- 인류의 생존 위협(ex) 핵무기)
- 인간 중심주의(정복 지향적 자연관)
→ 환경 위기 초래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 감시사회
(판옵티콘, 빅브라더)
3. 과학 기술의 윤리적 평가
1) 과학 기술 지상주의
- 베이컨 : 관찰과 실험을 통한 과학적
지식 추구. ‘아는 것이 힘이다.’
※ 뉴아틀란티스 : 과학적 유토피아
2) 과학 기술 혐오주의
- 러다이트 운동 : 기계 파괴 운동
⇒ 과학 기술 지상주의와 혐오주의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함.
4. 과학기술자(과학자)의 책임(수능 기출)
1) 내적 책임-과학 기술 그 자체에 대한
책임
ex) 학자로서의 양심
(정당한 발견/사실 전달)
2) 외적 책임- 과학기술 결과 활용에 대한
사회적 책임
3) 책임의 한계
① 오펜하이머 : 내적 책임O, 외적 책임X
“결과 활용에 대한 책임은 정치가에게
있다.”
② 하이젠베르크: 내적 책임O, 외적 책임O
“히틀러에게 원자폭탄을 안겨 줄 수 없다.”
결과 활용의 결과 활용의
사회적 책임 내적 사회적 책임
(외적 책임) 책임 (외적 책임)
X O
오펜하이머 하이젠베르크

⇒ 과학자에게 책임이 없다고


하면 안 됨! 내적 책임은 항상 존재
5. 요나스의 책임 윤리
1) 윤리적 공백- 과학기술의 발달
속도에 기존 윤리가 따라가지 못하는
간극(차이, 거리) ≒ (윤리)지체
⇒ 새로운 윤리학의 등장이 필요
2) 인간중심적 사고 비판
- 모든 생명체는 자신만의 고유한 목적을
가지고 있음
3) 책임의 범위 확장
- 의도한 행위 + 의도하지 않은(예측
할 수 있는) 결과에 대해서도 책임
져야 함.
- 현 세대 및 미래세대의 생존 및
생태계 전체에 대한 책임을 강조
- 사후적 책임(보상적)과 함께
예방적 책임 강조
4) 인간은 책임질 수 있는 능력을 소유했기
때문에 책임져야 하는 의무가 발생(≒ 칸트)
※ 생태학적 정언명령 : “너의 행위의
결과가 인간 생명의 미래에 대해
파괴적이지 않도록 행위하라.”
- 미래 지향적 책임 강조, 인류의 생존은
선택의 영역이 아니라 절대적 의무
(공포의 발견술)
but! 일방적 책임(상호X)
- 인간 행위의 새로운 유형에 적합하고 새로운 유형의 행위 주
체를 지향하는 명법은 대충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너의 행위의
효과가 지상에서의 진정한 인간적 삶의 지속과 조화될 수 있도
록 행위하라.” 부정적 형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너의 행
위의 효과가 인간 생명의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 파괴적이지 않
도록 행위하라." - 요나스
형성평가2 2021 수능 11번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 우리는 원하는 것보다 원하지 않는 것을 더 잘 안다. 우리가 실제로 무엇
을 보호해야 하는가를 알아내기 위해서 새로운 윤리학은 희망보다는 두려
움을 논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 행해야 할 것과 관련된 책임 개념에 따르면, 현재의 행위로 인해 발생할
사태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 사태의 의존자인 미래세대는 명령자가 되고,
권력자인 현세대는 의무자가 된다.

[ 보기 ]
ㄱ. 선의 탐구에서 악의 인식보다 선의 인식이 더 효과적이다.
ㄴ. ‘할 수 있다’는 능력에 근거해서 ‘해야 한다’는 책임이 발생한다.
ㄷ. 인간의 힘이 자연으로 확장될수록 자연 파괴의 가능성도 높아진다.
ㄹ. 현세대와 미래 세대는 삶의 지속을 위해 상호 간에 의무를 가진다.
형성평가3 2022 수능12번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
한 것은?
인간은 기술 문명의 힘으로 자신을 포함한 모든 것을 위험에 빠뜨리게 되
었다. 이성과 결탁한 권력은 그 자체로 책임을 동반한다. 이것은 예전부터
인간 상호 간에는 자명한 일이었다. 인간의 책임이 종전의 범위를 넘어서
서 생물계의 상태와 인간 종족의 미래의 생존까지 포괄하게 된 것은 권력
의 확장과 연관되어 있다.

1) 인간이 져야 할 책임은 자신이 가진 권력에 비례하는가?


2) 과학 기술의 비의도적 결과는 책임의 대상에서 제외되는가?
3) 경험하지 못한 미래의 위협으로부터 책임을 도출해야 하는가?
4)권리를 주장하는 존재 외에도 현세대가 책임져야 할 대상이 있는가?
5) 책임질 수 있는 능력으로부터 책임을 져야 하는 당위가 도출되는가?
형성평가4 2024 수능 18번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