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66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최종보고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동기발전기용 디지털 AVR

2013년 9월 17일

주관기관 : MKS 인터네셔날

중 소 기 업 청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수행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최종보고서 공개( O ), 비공개( 년) *비공개는 최장 5년임.)

□ 사 업 명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 과 제 명 : 동기발전기용 디지털 AVR
□ 개발기간 : 2012. 6. 18. ~ 2013. 6. 17.

2013. 9. 17.

주 관 기 관 : MKS인터네셔날 (대표자) 조규민 (인)

과제책임자ː 조규민

연 구 원ː 양승호

〃 ː 김석호

〃 ː 엄승배

〃 ː 이일규

〃 ː 박미숙

〃 ː 조동현
요 약 서 (초 록)

과 제 명 동기발전기용 디지털 AVR


키 워 드 동기발전기, 디지털, AVR, 무선통신

개발목표 및 내용

항 목 계 획 실 적 달성도(%)
FET를 사용한 고속 PWM 직류 쵸퍼를
전력변환기로하고, DSP를 제어기로 하는
동기발전기용 전디지털 제어방식의 AVR
(Automatic Voltage Regulator; 자동전압
조정기)을 개발함과 동시에, 2.4GHz 대역
의 고주파를 사용함으로써 강자계 환경에 100
개발목표 서도 신뢰성 있게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 좌동
신기능을 부가하여 회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발전기 주제어장치와의 연동 운전
및 다수 발전기의 병렬운전이 용이하도록
하게 하는 신 개념의 동기발전기용 디지
털 AVR의 개발.
평가항목 목표치

1. 출력전압조정범위 +/- 10% -10.4% / +10.6% 100


이상
2. 전압변동율 +/-0.5% 0.16% 100
이하
3. 110%과부하 운전 1시간 1시간 이상 100
정량적 이상

목표항목 및 4. 150%과부하 운전 2분 2분 이상 100


이상
달성도 5. 과여자 방지 기능 있음 구현 100
6. 직류쵸퍼 PWM 있음 구현 100
7. 회전계자전류제어 가능(옵션) 구현 100
8. 무선 통신 거리 30m이상 30m 이상 100
기타성과 해당사항 없음.

동기발전기의 출력 제어 성능의 향상에 따른 제반 효과 및


기대효과
발전기 제어 분야의 IT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적용분야 상용, 비상용을 막라한 동기발전기의 자동전압 조정기로 활용 가능함.

변경사항 해당사항 없음.


- 목 차 -

제 1 장 개발기술의 개요

1-1. 대상기술의 개요 및 개발 필요성


1-1-1. 대상기술의 개요
1-1-2. 개발 필요성

1-2. 국내․외 관련기술의 현황


1-2-1. 국내 관련기술 현황
1-2-2. 국외 관련기술 현황
1-2-3. 국내․외 지식재산권 현황

제 2 장 개발목표 및 개발내용

2-1. 기술개발 목표

2-2. 세부 개발내용 및 방법
2-2-1. 디지털 AVR 하드웨어
2-2-2. 디지털 AVR Firmware

- 1 -
2-2-3. 개발제품
2-2-4. 자체 특성평가 실험결과
2-2-5. 공인인증 시험용 발전기 제작 시방서
2-2-6. 발전기 제조사 시험성적서
2-2-7.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공인인증 실험결과

제 3 장 성과요약 및 기대효과

3-1. 기술개발 효과
3-1-1. 기술적 측면의 효과
3-1-2. 경제·산업적 측면의 효과

3-2. 개발기술 활용방안


3-2-1. 주요 핵심 기술 및 차별화 전략
3-2-2. 상품화 계획
3-2-3. 제품 신뢰성 확보 계획

3-3. 양산 및 판로 확보 계획
3-3-1. 제품 양산계획
3-3-2. 판로확보 및 판매전략

- 2 -
제 1 장 개발기술의 개요

1-1. 대상기술의 개요 및 개발 필요성

1-1-1. 대상기술의 개요
상용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병원, 전산설비, 통신설비, 엘리베이터, 비상조명, 배수

펌프 등의 주요 시설이나 전기설비에는 비상용 전원이 투입되어야 하며 이 비상용 발전기


는 상용전원과 유사한 품질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해야 한다.

그림 1. 디젤엔진 비상용 발전기의 구성

그림 1은 디젤엔진 비상용발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크게 기계적 동력을 생산하


는 엔진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발전기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AVR, 그리고 전체 시스

템을 제어하는 제어반으로 구성된다.

그림 2. 회전계자형 동기발전기의 구조

- 3 -
한편 그림 2는 회전계자형 타여자 동기발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조계자와 보

조전기자로 이루어진 보조발전기(이를 주로 “여자기”라고 칭함), 여자기의 출력을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 및 주계자와 주전기자로 이루어진 주발전기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여기


서 보조전기자, 브릿지 다이오드, 주계자로 이루어진 회전자는 엔진축에 결합되어, 4극 발
전기를 사용하여 60Hz를 출력하는 경우, 1800rpm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비상용 발전기
의 대부분에 적용되고 있는 동기식 발전기의 경우, 출력 주파수는 엔진의 회전수만 의존하

므로 가버너라는 엔진 속도 제어장치의 성능에 따라서 전원 주파수의 품질이 정해진다. 그

러나 출력 전압의 경우에는 엔진의 회전수와 더불어 계자에서 발생되는 자속 및 전기자 전

류에 의한 감자작용의 크기에도 의존하게 되므로 출력 주파수를 제어하기 보다는 출력 전


압을 제어하는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본 과제에서 개발한 기술은 동기식 발전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자동전압조정기

(Automatic Voltage Regulator, 이하 AVR이라 칭함)에 대한 기술이다. 기존 AVR의 경우에


는 제어 응답이 늦은 SCR 위상제어 정류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출력 전압의 제어 성능이

그다지 우수하지 못하나, 본 과제에서 개발한 디지털 AVR의 경우에는 FET 등의 고속 스위

칭 소자를 사용한 PWM 직류 쵸퍼로써 계자전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부하 급변시의 속응성

및 정상상태에서의 안정성이 매우 높일 수 있다.


한편, 강자계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주변에서도 신뢰성 있게 동작할 수 있는 고성능 무선
통신기술을 디지털 AVR에 접목함으로써 회전자 내부에 장착된 회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발전기 주제어 장치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과전류, 과온으로부터


회전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하며 또한 발전기 주제어 장치와의 각종 정보 교환 및 발전기의

병렬 운전도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과제는 전통적인 아나로그 AVR 기술을 디지털 AVR 기술로 업그레이드 시키
고동시에 최신 IT 기술인 USN 기술과 융합시켜 기존의 AVR이 갖고 있지 못하는 다기능
AVR을 개발, 완료함으로써 향후 매출증대, 수입대체효과, 수출증대 등의 경제적 이익을 추
구할 수 있다.

그림 3. 발전기 시스템에의 USN 접목 개요도

- 4 -
1-1-2. 개발 필요성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AVR은 다이리스터를 이용한 위상제어 정류기와 아날로그 제어
기를 기반으로 한 아날로그 AVR로 전통적인 아날로그 PI 제어기를 사용하므로 우수한 성능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더욱 전력변환 기술이 발달한 최근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SCR 위상제어


정류기를 이용하여 여자전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부하 급변 시, 특히 큰 부하가 일시에 제거되는

경우 상당한 시간동안 과전압을 발생시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품질 전원이 요
구되는 주요 시설에는 국산에 비하여 2배 이상의 고가인 외산 비상용 발전기들을 주로 설치되

고 있으며, 발전용량을 기준으로 한 비상용 발전기 시장의 약 40%가 선진외국의 수입품이 차지

하고 있다. 그리고 수입 고가 비상용 발전기 중 10% 정도는 제어 응답이 빠른 직류쵸퍼를 이용

하여 여자전력을 제어하는 디지털 AVR을 장착한 비상용 발전기로 그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는 아직 연구단계에 있는 디지털 AVR의 상용화가 속히

이루어져야 하며, 나아가 선진 외국의 수입품을 능가하는 고성능의 비상용 발전기 기술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시점이다.


한편, 본 과제에서 개발, 완료한 무선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AVR은 국내외를 망라하여 최

초로 시도된 신기술이다. 현재는 수백 내지 수천 암페어의 전류가 발생하는 강자계 주변에서

신뢰성 있게 동작할 수 있는 무선통신기술의 구현이 쉽지 않기 때문에 발전기 주제어장치와


AVR간의 정보교환에는 아나로그 방식의 전압 혹은 전류 신호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기술적

으로 가능만 하다면 고속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여러 측면에서 유용하다. 이와


같이 본 과제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은 무선통신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전력의 품질을 제어
하는 최첨단 고성능 기술을 비상용 발전기에 접목한 것으로서, 비상용 발전기 분야 외 다른 전

력제어 분야에 걸쳐 그 기술적 파급효과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는 중요한 기술이다.

- 5 -
1-2. 국내․외 관련기술의 현황

1-2-1. 국내 관련기술 현황
2003년한국전력공사에서 획득한 “동기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기의 제어장치”(10-0395681)
는 국내 AVR 기술에 디지털회로를 접목한 최초의 공개기술이다. 그러나 이는 디스크리트
디지털 IC들을 이용하여 복잡하게 설계된 디지털 회로기술이다. 이에 2004년 한국전기원에
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AVR 기술인 “발전기의 자동전압 조정장치”(10-0453158)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 디지털 AVR은 여전히 위상제어 정류기로써 여자전력을 제어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고속 PWM 직류쵸퍼를 적용하는 선진국의 고성능 디지털 AVR에 비하여

그 성능이 뒤떨어 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국내 발전기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한국전력


공사나 한국전기원의 기술력도 선진 외국의 업체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현실이다.

한편, 학계에서도 동기 발전기의 설계와 관련된 연구는 전기기기를 전공하는 연구진들에

의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AVR 등 비상용 발전기의 제어기술 향상에 관한 연구는 미
미한 실정이며 세기자동화, 선진 등 국내 주요 AVR 전문 업체에서도 현재까지는 디지털

AVR 상용 제품을 출시하고 있지 못하다.

1-2-2. 국외 관련기술 현황
현재 국내 수입되는 비상용 발전기의 대부분은 Cummins사(미국, 국내 시장의 약 30% 점
유)와 Caterpillar사(미국, 국내 시장의 약 10% 점유)의 제품이다. 그러나 이들 발전기 제조업

체들의 경우에도 디지털 AVR 기술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지는 못하다. 다만 세계적인 발전

기 주 제어기 및 AVR 전문업체인 Basler사만이 유일하게 PWM 방식의 디지털 AVR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Mitsubishi, Hitachi, Caterpillar, Cummins, Marathon 등 굴지의 국외 발전기 관련

회사에 있어서도 발전기 병렬 운전과 관련한 기술, 발전기 냉각 구조와 관련한 기술, 발전기
디지털 제어 장치와 관련한 기술 등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발전기 제어 분야에 무

선 통신 기술을 적용한 사례는 전무하다.

- 6 -
1-2-3. 국내․외 지식재산권 현황

지식재산권
지식재산권명 출원국/출원번호
출원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발전제어장치 현대중공업 한국/10-2006-0130322
비상운전이 가능한 선박용 발전기 및 비상운전방법 현대중공업 한국/10-2007-0116091
산업 발전기용 고정자 코일의 리드선 결선 구조 현대중공업 한국/20-2003-0040153
돌극형 발전기의 회전자 코어 결합장치 현대중공업 한국/20-2007-0016804
발전기의 회전정류기 결합장치 현대중공업 한국/20-2006-0025373
발전기 고정자 코어의 냉각구조 현대중공업 한국/20-2002-0020666
직류전원을 이용한 디젤/가스엔진 시동장치 현대중공업 한국/20-2006-0012572
돌극형 발전기의 회전자 코어 구조 현대중공업 한국/20-2005-0036664
발전기 회전자 발란스 웨이트 취부구조 현대중공업 한국/20-2005-0035942
발전기 회전자 코일의 지지구조 현대중공업 한국/20-2002-0039112
발전기 및 전동기의 냉각구조 보국전기 한국/10-2009-0100489
발전기 및 전동기 로터 보국전기 한국/10-2008-0088741
발전기 및 전동기 로터의 마그네트 결합구조 보국전기 한국/10-2007-0067980
발전기의 지지바 고정용 밸런스 플레이트 보국전기 한국/10-2006-0041511
브라켓 밴드히터를 구비한 발전기 보국전기 한국/10-2006-0041508
순환전류 절연장치를 구비한 발전기 보국전기 한국/10-2006-0041507
발전기의 마그네트 조립장치 보국전기 한국/10-2005-0089578
병렬 운전 발전기 제어 장치 STX 한국/20-2002-0036865
비상용 발전기 제어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이스트파워 한국/10-2008-0091310
미국/20070825038
Cast groove electric motor/generator cooling mechanism Caterpillar 일본/200800174489
Improvements in combinations of gas turbine engines and Caterpillar 영국/3477766
electric Generators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rating of a Caterpillar 미국/20020195285
electronically controlled engine generator set
Generator set controller with integral synchroscope mode Caterpillar 미국/19980209027
Motor/generator Caterpillar 미국/20050141064
Generator driving control device and working machine Caterpillar 일본/200700188489
Transition wiring system for multiple traction generators Caterpillar 미국/20080007772
Controlle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for vehicle, has magnetic field
electric current command restraining unit that limits each phase of Mitsubishi 독일/102004059609
line electric current when rotating electric machine functions as
electric generator
Generator control apparatus Mitsubishi 미국/20030702742
Power generator controller Mitsubishi 미국/20030365694
Generator voltage control apparatus Mitsubishi 미국/19750619940
Power gen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alternating current Mitsubishi 미국/19860836827
generator
Power generator Mitsubishi 미국/20060265628
Minimum excitation limiter for A.C. power generator Mitsubishi 일본/197500130266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generator Hitachi EU/19900313576
Method of managing electric power generator, managing device,
electric power generator, communication device, computer program Sharp 미국/20040777983
therefor, and managing system for electric power generator

- 7 -
제 2 장 개발목표 및 개발내용

2-1. 기술개발 목표

FET를 사용한 고속 PWM 직류 쵸퍼를 전력변환기로하고,


DSP를 제어
기로 하는 동기발전기용 전디지털 제어방식의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 자동전압조정기)을 개발함과 동시에, ISM 밴드인 2.4GHz 대


최종 목표 역의 고주파를 사용함으로써 강자계 환경에서도 신뢰성 있게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능을 부가하여 회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발전기 주

제어장치와의 연동 운전 및 다수 발전기의 병렬운전이 용이하도록 하게

하는 신 개념의 동기발전기용 디지털 AVR의 개발.

2-2. 세부 개발내용 및 방법

2-2-1. 디지털 AVR 하드웨어


그림 4, 9, 14에 본 과제를을 통하여 개발된 디지털 AVR의 하드웨어 회로도를 나타내었
다. 그림 4는 PWM DC 쵸퍼 주회로도이고, 그림 9는 아나로그 신호처리 회로도이며 그림
14는 디지털 제어기의 회로도 이다. 그림 5~8, 그림 10~13, 그림 15~20은 각각 그림 4, 9,
14의 세부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그림 명칭으로부터 그 기능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본 보고서에서는 세부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림 4. PWM DC 쵸퍼 주회로도
- 8 -
그림 5. 발전기와의 컨넥터부

그림 6. 정류회로부
- 9 -
그림 7. Gate 신호 절연, FET Diver 및 주 스위칭 회로부

그림 8. 초기 기동 여자회로부
- 10 -
그림 9. 아나로그 신호 처리회로도

그림 10. 교류신호 기준 전위 발생부


- 11 -
그림 11. 3상 출력 전압 센싱부

그림 12. R상 출력 전압 필터부

- 12 -
그림 13. R상 출력 전류 센싱 및 필터부

그림 14. 디지털 제어기 회로도

- 13 -
그림 15. 제어회로용 전원회로부

그림 16. 주제어기부
- 14 -
그림 17. 내외부 가변저항 신호입력부

그림 18. 무선 모뎀부

- 15 -
그림 19. 기준전압 발생부

그림 20. USB 인터페이스부


- 16 -
2-2-2. 디지털 AVR Firmware

주 제어기로는 16bit DSP인 dsPIC33FJ256GP506을 사용하여 40MIPS의 속도로 구동하였으며, 주

요 펌웨어는 다음과 같다.

2-2-2-1. A/D 변환함수


void AD_Conversion(void)
{
// R상 전압
AD1CHS0bits.CH0SA = 2;
AD1CON1bits.SAMP = 1;
while(!AD1CON1bits.DONE)
ADC_R = (ADC1BUF0-GND_LEVEL);
IFS0bits.AD1IF = 0;

// S상 전압
AD1CHS0bits.CH0SA = 3; //AN3 : VS
AD1CON1bits.SAMP = 1;
while(!AD1CON1bits.DONE)
ADC_S = (ADC1BUF0-GND_LEVEL);
IFS0bits.AD1IF = 0;

// T상 전압
AD1CHS0bits.CH0SA = 4; //AN4 : VT
AD1CON1bits.SAMP = 1;
while(!AD1CON1bits.DONE)
ADC_T = (ADC1BUF0-GND_LEVEL);
IFS0bits.AD1IF = 0;

// R상 전류
AD1CHS0bits.CH0SA = 5; //AN5 : IR
AD1CON1bits.SAMP = 1;
while(!AD1CON1bits.DONE)
ADC_I = (ADC1BUF0-GND_LEVEL);
IFS0bits.AD1IF = 0;

// 외부 가변저항
AD1CHS0bits.CH0SA = 7; //AN7 : VR(ex)
AD1CON1bits.SAMP = 1;
while(!AD1CON1bits.DONE)
ADC_VAR2 = 4095 - ADC1BUF0;
IFS0bits.AD1IF = 0;
}

- 17 -
2-2-2-2. 주 인터럽트 처리 함수

void __attribute__((__interrupt__,auto_psv)) _T1Interrupt(void)


{
PR1 = 3999; // 50us at 40MIPS
IFS0bits.T1IF = 0;

AD_Conversion();

// 1차 LPF
Filter1 = (Filter1 + ADC_R) - Filtered_Vout_R;
Filtered_Vout_R = Filter1/Filter_Gain0;

Filter2 = (Filter2 + ADC_S) - Filtered_Vout_S;


Filtered_Vout_S = Filter2/Filter_Gain0;

Filter3 = (Filter3 + ADC_T) - Filtered_Vout_T;


Filtered_Vout_T = Filter3/Filter_Gain0;

Filter4 = (Filter4 + ADC_I) - Filtered_Iout;


Filtered_Iout = Filter4/Filter_Gain0;

Filter5 = (Filter5 + ADC_VAR1) - Filtered_VR2;


Filtered_VR1 = Filter5/1;

//극성 판별 및 EDGE
if(Filtered_Vout_R>0)
{
saveflag0 = 1;
}
else
{
if(saveflag0)
EDGE = 1;
else
EDGE = 0;
saveflag0 = 0;
}

- 18 -
if(saveflag0)
{
SUMRV += (Filtered_Vout_R)*(Filtered_Vout_R);
SUMSV += (Filtered_Vout_S)*(Filtered_Vout_S);
SUMTV += (Filtered_Vout_T)*(Filtered_Vout_T);
SUMRI += (Filtered_Iout)*(Filtered_Iout);
SUMRVI += (Filtered_Vout_R) * (Filtered_Iout);
timer1_cnt0++;
}

if(EDGE == 1)
{
SUM_OUT_RV = SUMRV;
SUM_OUT_SV = SUMSV;
SUM_OUT_TV = SUMTV;
SUM_OUT_RI = SUMRI;
SUM_OUT_RVI= SUMRVI;
SampleCnt = timer1_cnt0;
timer1_cnt0 = 0;
SUMRV = 0;
SUMSV = 0;
SUMTV = 0;
SUMRI = 0;
SUMRVI = 0;
}

- 19 -
2-2-2-3. 10msec 인터럽트 처리 함수

void __attribute__((__interrupt__,auto_psv)) _T5Interrupt(void)


{
IFS1bits.T5IF = 0;
PR5 = 49999; // 10ms at 40MIPS

if (Run_Flag)
{
// 3상 출력 전압 RMS 실효평균 (순시적 실효값)
Vout_Real = sqrt(Filtered_Vout_R*Filtered_Vout_R + Filtered_Vout_S*Filtered_Vout_S +
Filtered_Vout_T*Filtered_Vout_T)*2.9906;
Filter_Sum_Vout_Real = (Filter_Sum_Vout_Real + Vout_Real) - Filtered_Vout_Real;
Filtered_Vout_Real = Filter_Sum_Vout_Real / Filter_Gain0;

Error = Reference - Vout_Mean;

// 비례 제어기용 Error 리미트


Pcon_Error = Error;
if(Pcon_Error<(P_Error_Min)) Pcon_Error = P_Error_Min;
else if(Pcon_Error>P_Error_Max) Pcon_Error = P_Error_Max;

// 적분 제어기용 Error 리미트


Icon_Error = Error;
if(Icon_Error<(I_Error_Min)) Icon_Error = I_Error_Min;
else if(Icon_Error > I_Error_Max) Icon_Error = I_Error_Max;

// 비례 제어기
P_Gain = I_P_Gain;
if(Initial_End_Flag == 1){P_Gain = T_P_Gain;}
if(fabs(Error)<= 20) {P_Gain = S_P_Gain;}
Pcon = Pcon_Error*P_Gain ;

// 비례제어기 제어 입력 제한
if(Pcon<(P_Con_Min)) Pcon = P_Con_Min;
else if(Pcon>P_Con_Max) Pcon =P_Con_Max;

// 적분기
Icon_Error_Sum = Icon_Error_Sum + Icon_Error;

- 20 -
// 적분기 제한
I_Con_Min = I_Gain*I_Sum_Min;
I_Con_Max = I_Gain*I_Sum_Max; //730000

if(Icon_Error_Sum < I_Con_Min) {Icon_Error_Sum = I_Con_Min;}


else if(Icon_Error_Sum > I_Con_Max) {Icon_Error_Sum = I_Con_Max;}

// 적분 제어기
Icon = Icon_Error_Sum/I_Gain;

// PWM 출력
PWM_Duty = Pcon + Icon;

if(Mode == No_Load){PWM_Duty = Fix_Point;}


else if(Mode == Over_Load_120){PWM_Duty = 5352;}
else if(Mode == Over_Load_150){PWM_Duty = 7056;}
else if(Mode == Fixed_Duty_1){PWM_Duty = Fixed_Duty_1_Value;}
else if(Mode == Fixed_Duty_2){PWM_Duty = Fixed_Duty_2_Value;}
else if(Mode == Fixed_Duty_3){PWM_Duty = Fixed_Duty_3_Value;}

if(!Run_Flag)
{
PWM_Duty -= Delta_1;
if (PWM_Duty <= Low_Point) {Delta_1 = Delta_2; Daebak = 1;}
if ((Daebak)&&(PWM_Duty >= Fix_Point)) {Duty_Fix = 1;}
if (Duty_Fix) {PWM_Duty = Fix_Point; Icon_Error_Sum = Fix_Point * I_Gain; }
}

// PWM 출력 제한
if(PWM_Duty < PWM_Duty_Min)
PWM_Duty = PWM_Duty_Min;
else if(PWM_Duty> PWM_Duty_Max)
PWM_Duty = PWM_Duty_Max;

if((!Run_Flag)&&(!Initial_Flag)) PWM_Duty = 0;

OC1R = PWM_Duty;
OC1RS = PWM_Duty;

- 21 -
2-2-2-4. 모니터링 데이터 전송 함수

void Tx_Monitoring_Data(void)
{
Reply_Count++;
Monitoring_Data_Buf[0] = 0xff;
Monitoring_Data_Buf[1] = 0xff;
Monitoring_Data_Buf[2] = 0x00;
Monitoring_Data_Buf[3] = 0x55;
Monitoring_Data_Buf[4] = 0x00;
if(Run_Flag)Monitoring_Data_Buf[5]=0x77; else Monitoring_Data_Buf[5]=0x66;
Monitoring_Data_Buf[6] = 0x00;
Monitoring_Data_Buf[7] = Reply_Count;
Monitoring_Data_Buf[8] = Reference>>8;
Monitoring_Data_Buf[9] = Reference;
Monitoring_Data_Buf[10]= Vout_Mean>>8;
Monitoring_Data_Buf[11]= Vout_Mean;
Monitoring_Data_Buf[12]= Error>>8;
Monitoring_Data_Buf[13]= Error;
Monitoring_Data_Buf[14]= Pcon>>8;
Monitoring_Data_Buf[15]= Pcon;
Monitoring_Data_Buf[16]= Icon>>8;
Monitoring_Data_Buf[17]= Icon;
Monitoring_Data_Buf[18]= I_Gain>>8;
Monitoring_Data_Buf[19]= I_Gain;
Monitoring_Data_Buf[20]= PWM_Duty>>8;
Monitoring_Data_Buf[21]= PWM_Duty;
Monitoring_Data_Buf[22]= VoutR>>8;
Monitoring_Data_Buf[23]= VoutR;
Monitoring_Data_Buf[24]= VoutS>>8;
Monitoring_Data_Buf[25]= VoutS;
Monitoring_Data_Buf[26]= VoutT>>8;
Monitoring_Data_Buf[27]= VoutT;
Monitoring_Data_Buf[28]= Vout_Real>>8;
Monitoring_Data_Buf[29]= Vout_Real;
Monitoring_Data_Buf[30]= kVA>>8;
Monitoring_Data_Buf[31]= kVA;
Monitoring_Data_Buf[32]= kW>>8;
Monitoring_Data_Buf[33]= kW;
Monitoring_Data_Buf[34]= FREQ._uFiltered>>8;
Monitoring_Data_Buf[35]= FREQ._uFiltered;
Monitoring_Data_Buf[36]= 0x00;

- 22 -
Monitoring_Data_Buf[37]= Mode;
Monitoring_Data_Buf[38]= 0x00;
Monitoring_Data_Buf[39]= 0x00;
Monitoring_Data_Buf[40]= 0x00;
Monitoring_Data_Buf[41]= 0x00;
Monitoring_Data_Buf[42]= 0x00;
Monitoring_Data_Buf[43]= 0x00;
Monitoring_Data_Buf[44]= 0x00;
Monitoring_Data_Buf[45]= 0x00;

checksum_Request(Monitoring_Data_Buf);
Monitoring_Data_Buf[46]=CSH_Request;
Monitoring_Data_Buf[47]=CSL_Request;

unsigned char l = 0;
for(l = 0; l < 48 ; l++) {Uart1PutData_Byte(Monitoring_Data_Buf[l]);}
}

- 23 -
2-2-2-5. 수신 데이터 분석 함수

void Rx_Analyze(void)
{
switch(Command)
{
case 0x0077:Run_Flag = 1; Initial_Flag=0; Ack(); break;
case 0x0066:Run_Flag = 0; Ack(); break;
case 0x0088: Ack(); break;
case 0x0099: break;
case 1:I_P_Gain = Data; Ack(); break;
case 2:S_P_Gain = Data; Ack(); break;
case 3:T_P_Gain = Data; Ack(); break;
case 4 P_Error_Min = Data; Ack(); break;
case 5:P_Error_Max = Data; Ack(); break;
case 6:P_Con_Min = Data; Ack(); break;
case 7:P_Con_Max = Data; Ack(); break;
case 8:I_Gain = Data; Ack(); break;
case 9:I_Error_Min = Data; Ack(); break;
case 10:I_Error_Max = Data; Ack(); break;
case 11:I_Sum_Min = Data; Ack(); break;
case 12:I_Sum_Max = Data; Ack(); break;
case 13:PWM_Duty_Min = Data; Ack(); break;
case 14:PWM_Duty_Max = Data; Ack(); break;
case 15:FF_Gain = Data; Ack(); break;
case 16:Mode = Data; Ack(); break;
case 17:Fixed_Duty_1_Value = Data; Ack(); break;
case 18:Fixed_Duty_2_Value = Data; Ack(); break;
case 19:Fixed_Duty_3_Value = Data; Ack(); break;
case 20:Reference = Data; Ack(); break;
case 85:Tx_Monitoring_Data(); break;
default: break;
}

LED_0_Off;
Rx_OK_Flag = 0;
}

- 24 -
2-2-2-6. 메인 함수

int main(void)
{
INTCON1 |= 0x8000; // global interrupt disable.
PORT_Initial();
Initial_Timer2(); // 1kH PWM 타이머
Initial_PWM();
Initial_Timer1(); // ADC 및 EDGE판별 타이머
Initial_Timer5(); // 10ms 타이머
Initial_ADC();
Initial_UART1(); //
Initial_UART2();
sbi(LATG,8);
P_Gain = I_P_Gain;
INTCON1 &= 0x7fff; //global Interrupt Enable

while(1)
{
if(EDGE == 1)
{
SUM_Devideby_cnt0 = SUM_OUT_RV/SampleCnt;
RMS_VoutR = SQRT(SUM_Devideby_cnt0)*5.14751;
RMS_RV.Filtering = (RMS_RV.Filtering +RMS_VoutR) - RMS_RV.Filtered;
RMS_RV.Filtered = RMS_RV.Filtering >> 3;

SUM_Devideby_cnt1 = SUM_OUT_SV/SampleCnt;
RMS_VoutS = SQRT(SUM_Devideby_cnt1)*5.13651;
RMS_SV.Filtering = (RMS_SV.Filtering +RMS_VoutS) - RMS_SV.Filtered;
RMS_SV.Filtered = RMS_SV.Filtering >> 3;

SUM_Devideby_cnt2 = SUM_OUT_TV/SampleCnt;
RMS_VoutT = SQRT(SUM_Devideby_cnt2)*5.17236;
RMS_TV.Filtering = (RMS_TV.Filtering + RMS_VoutT) - RMS_TV.Filtered;
RMS_TV.Filtered = RMS_TV.Filtering >> 3;

SUM_Devideby_cnt3 = SUM_OUT_RI/SampleCnt;
RMS_Iout = SQRT(SUM_Devideby_cnt3);
RMS_RI.Filtering = (RMS_RI.Filtering +RMS_Iout) - RMS_RI.Filtered;
RMS_RI.Filtered = RMS_RI.Filtering >> 3;

- 25 -
VoutR = RMS_RV.Filtered;
VoutS = RMS_SV.Filtered;
VoutT = RMS_TV.Filtered;

Vout_Mean = (RMS_RV.Filtered+RMS_SV.Filtered + RMS_TV.Filtered)/3;

Iout = RMS_RI.Filtered;

kW = SUM_OUT_RVI/1000/SampleCnt;

kVA = Iout * VoutR / 1000;

PF = Power * 1000 / kVA;


if(PF > 1000) PF = 1000;

Freq = 46200/SampleCnt;
FREQ.Filtering = (FREQ.Filtering +Freq) - FREQ._uFiltered;
FREQ._uFiltered = FREQ.Filtering >> 2;

}//end EDGE

if(Rx_OK_Flag) {Rx_Analyze();}
}//end while

return 0;
}

- 26 -
2-2-3. 개발제품
그림 21에 본 과제를 통하여 개발된 디지털 AVR의 외관사진을 나타내었다. 발전기 3상
출력, R/S/T와 중성점 N을 입력받고 여자기의 전력 공급선인 J/K를 출력한다. 피드포워드

제어, 병렬운전 등을 위해 R상의 전류를 입력받도록 제작되었으며, 외부 가변저항을 이용


해서도 출력전압 지령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림 22는 내부사진을 보여주는 것이고, 그림 23~25은 개발제품이 장착된 발전기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며, 그림 26은 개발제품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그림 21. 제품 외관 사진

- 27 -
그림 22. 제품 내부 사진

그림 23. 개발 제품을 탑재한 발전기 정면 사진


- 28 -
그림 24. 개발 제품을 탑재한 발전기 전측면 사진

그림 25. 개발 제품을 탑재한 발전기 후측면 사진


- 29 -
그림 26. 개발 제품이 탑재된 모습 사진

- 30 -
2-2-4. 자체 특성평가 실험결과
,
먼저 그림 27에 기존 아나로그 방식의 AVR에 의해 발전기가 무부하 기동되는 실험파형
을 나타내었다. AVR이 동작하기 시작해서 약 5.5초 정도가 되어야 정상상태에 도달함을

볼 수 있다.
그림 28은 본 과제를 통하여 개발된 디지털 AVR에 의한 무부하 기동 실험파형을 나타

내었다. AVR이 동작하기 시작해서 3초 이내에 정상상태에 안정적으로 도달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9는 무부하에서 50kW씩 부하를 스텝 증가하여 최대 200kW 부하를 인가한 후

50kW씩 부하를 스텝 감소한 과도상태 응답을 보여 주는 것이다. 급격한 부하의 변동에 있


어서도 과도상태가 짧게 유지되어 매우 안정적으로 발전기 출력전압이 제어되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따 그림 . 30~37은 부하 스텝 증가 및 감소 시점을 확대한 파형이다.

Ch1 : 여자전압 – 200[V/div], Ch 2 : 여자전류 – 2[A/div],


Ch3 : 출력상전압 – 400[V/div], Time : 2[sec/div]
그림 27. 아나로그 AVR에 의한 발전기 기동 파형

- 31 -
Ch1 : 여자전압 – 200[V/div], Ch 2 : 여자전류 – 2[A/div],
Ch3 : 출력상전압 – 400[V/div]
Time : 2[sec/div]

그림 28. 개발 디지털 AVR에 의한 발전기 기동 파형

- 32 -
Ch 1 : 여자전압 – 200[V/div], Ch 2 : 여자전류 – 5[A/div],
Ch 3 : 출력상전압 – 400[V/div], Ch 4 : 출력전류 – 500[A/div]
Time : 5[sec/div]

그림 29. 부하 스텝 증가 및 감소시의 과도상태 응답

- 33 -
Ch 1 : 여자전압 – 200[V/div], Ch 2 : 여자전류 – 5[A/div],
Ch 3 : 출력상전압 – 400[V/div], Ch 4 : 출력전류 – 500[A/div]
Time : 1[sec/div]

그림 30. 무부하 => 50[kW] 부하 스텝 증가시의 과도상태 응답

- 34 -
Ch 1 : 여자전압 – 200[V/div], Ch 2 : 여자전류 – 5[A/div],
Ch 3 : 출력상전압 – 400[V/div], Ch 4 : 출력전류 – 500[A/div]
Time : 1[sec/div]

그림 31. 50[kW] => 100[kW] 부하 스텝 증가시의 과도상태 응답

- 35 -
Ch 1 : 여자전압 – 200[V/div], Ch 2 : 여자전류 – 5[A/div],
Ch 3 : 출력상전압 – 400[V/div], Ch 4 : 출력전류 – 500[A/div]
Time : 1[sec/div]

그림 32. 100[kW] => 150[kW] 부하 스텝 증가시의 과도상태 응답

- 36 -
Ch 1 : 여자전압 – 200[V/div], Ch 2 : 여자전류 – 5[A/div],
Ch 3 : 출력상전압 – 400[V/div], Ch 4 : 출력전류 – 500[A/div]
Time : 1[sec/div]

그림 33. 150[kW] => 200[kW] 부하 스텝 증가시의 과도상태 응답

- 37 -
Ch 1 : 여자전압 – 200[V/div], Ch 2 : 여자전류 – 5[A/div],
Ch 3 : 출력상전압 – 400[V/div], Ch 4 : 출력전류 – 500[A/div]
Time : 1[sec/div]

그림 34. 200[kW] => 150[kW] 부하 스텝 감소시의 과도상태 응답

- 38 -
Ch 1 : 여자전압 – 200[V/div], Ch 2 : 여자전류 – 5[A/div],
Ch 3 : 출력상전압 – 400[V/div], Ch 4 : 출력전류 – 500[A/div]
Time : 1[sec/div]

그림 35. 150[kW] => 100[kW] 부하 스텝 감소시의 과도상태 응답

- 39 -
Ch 1 : 여자전압 – 200[V/div], Ch 2 : 여자전류 – 5[A/div],
Ch 3 : 출력상전압 – 400[V/div], Ch 4 : 출력전류 – 500[A/div]
Time : 1[sec/div]

그림 36. 100[kW] => 50[kW] 부하 스텝 감소시의 과도상태 응답

- 40 -
Ch 1 : 여자전압 – 200[V/div], Ch 2 : 여자전류 – 5[A/div],
Ch 3 : 출력상전압 – 400[V/div], Ch 4 : 출력전류 – 500[A/div]
Time : 1[sec/div]

그림 37. 50[kW] => 무부하 부하 스텝 감소시의 과도상태 응답

- 41 -
2-2-5. 공인인증 시험용 발전기 제작 시방서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48 -
- 49 -
- 50 -
- 51 -
- 52 -
2-2-6. 발전기 제조사 시험성적서

********

- 53 -
********

- 54 -
2-2-7.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공인인증 실험결과
본 과제를 통하여 개발된 디지털 AVR에 대한 공인기관의 성능인증을 위하여 전술한 발
전기 세트를 제작, 개발 디지털 AVR인 MKS-DVR3를 장착하여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

구원에 공인인증시험을 의뢰하였다.

그림 38은 공인인증 시험 장면 사진이며, 인증시험 결과로써,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


원의 검사성적서를 첨부하였다.

그림 38. 공인인증 시험 장면

- 55 -
********

- 56 -
********

- 57 -
제 3 장 성과요약 및 기대효과

3-1. 기술개발 효과

3-1-1. 기술적 측면의 효과


비상용 발전기의 동력원인 디젤엔진은 국내 업체인 두산커머셜에서 우수한 엔진을 생산하고

있고 발전기 동체 또한 현대중공업에서 우수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AVR을 비롯하


여 비상용 발전기에 소요되는 각종의 제어장치들은 기술력이 미미한 중소기업에서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비상용 발전기 생산 업체들은 엔진과 동체는 고품질의 국산을 사용할 수 있

으나 고성능 제어장치들은 외산 장치를 수입해야 한다.


본 과제에서 개발 완료한 디지털 AVR은 단순히 SCR을 이용한 아날로그 AVR을 FET를 사

용한 디지털 AVR로 개발함과 동시에 전통적인 전기기기 기술과 IT 기술의 꽃이라 할 수 있


는 USN 기술이 접목된 이기종 분야의 융합 기술을 바탕으로 구현된 기술이다. 따라서 상

용전원에 뒤떨어지지 않는 비상용 전원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용 발전기 수준의


대규모 발전 설비에 적용이 되는 경우 전력 계통 전압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이와 더불어 종래에는 고려할 수 없었던 AVR의 출력 전압, 전류, 전력, 온도 등 AVR의
제반 환경을 발전기 주 제어장치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

인 비상용 발전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해 진다. 또한 발전기 내부에 회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회전자를 과전압, 과전류, 과온 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러
한 고속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전력제어/모니터링 기술은 다른 전기전자 분야에 있

어서도 그 기술의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3-1-2. 경제· 산업적 측면의 효과

현재 국내 비상용 발전기 시장의 40%가 수입산으로 이들 수입산들은 주로 병원, 통신운

영시설, 전산운영시설, 고층 빌딩, 화학 플랜트, 철강 플랜트 등 매우 안정적인 전원이 요구


되는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본 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고성능 다기능의 디지털

AVR을 국내 발전기 제조사에 납품함으로써 외산 디지털 AVR 뿐만 아니라 외산 비상용


발전기 자체에 대한 수입 대체 효과도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산 디지털 AVR과
이를 장착한 국산 비상용 발전기가 선진 외국으로 수출될 수 있는 가능성도 매우 커질 것
으로 사료된다.

- 58 -
3-2. 개발기술 활용방안
필드 테스트 후 주관기관의 협력업체인 에버다임과 SJ에너지에서 출시하는 모든 발전기
에 적용 할 예정이다. 한편, 국내 AVR 전문업체에서도 디지털 AVR을 상용화 하고 있지
못하므로 협력업체에서 생산하는 발전기 세트에 적용하는 것에만 제한을 두지 않고 국내
동종 업계에도 제공함으로써 국내 시장에 뿌리를 내리고 이를 발판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

고자 한다.
현재 비상용 발전기의 기종은 10kW에서부터 3000kW에 이르기까지 수십여 단계의 용량
이 사용되고 있다. 1차적으로 75kW, 85kW, 90kW, 115kW, 130kW, 160kW, 175kW, 200kW

비상용 발전기에 적용하고, 이후 지속적인 개발을 통하여 상위 용량인 275kW, 300kW,

320kW, 400kW, 520kW, 750kW 비상용 발전기에도 적용한 후 점진적으로 용량을 확대하여
수천kW급 비상용 발전기용 디지털 AVR을 시판할 계획이다.

3-2-1. 주요 핵심 기술 및 차별화 전략
본 과제에서 개발, 완료한 기술은 전통적인 발전기 기술에 첨단 IT 기술인 USN 기술을
접목시킨 이기종 융합 기술로, 세계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기술이므로 제품에 적용하는 경

우 타사의 제품은 확보할 수 없는 첨단 기능을 적용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과제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을 원천적으로 보호하기 1건의 지적재산권인
“비상용 회전 계자형 동기식 발전기의 다기능 디지털 자동 전압 조정 장치”[대한민국 발명

특허 10-1021195]를 획득해 둔 상태이다.


한편, 향후 본 과제에서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해당 기술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국내 특허
를 출원하고, 핵심적인 기술에 대해서는 해외 주요 시장 국가에 국제특허를 출원함으로써

본 과제를 통하여 확립된 기술을 보호할 예정이다.

3-2-2. 상품화 계획
성공적인 상품화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개발 단계를 밟아 양산제품을 생산하도록 한다.

[상품화 1단계] 개발품 설계를 바탕으로 시양산품을 제작하여 개발품 설계의 회로 및 구조


의 검증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설계의 수정 보완 사항을 도출, 양산품의 설계를 완성한다.

[상품화 2단계] 양산품 설계를 바탕으로 제작된 양산품으로 실험을 수행한다.


[상품화 3단계] 양산품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제품 설계도를 완성한다.

- 59 -
[상품화 4단계] 최종 시상품을 제작하여 제품의 성능을 자체 검증하고 필요시 외부 공인기

관에 성능 평가시험을 의뢰한다.(EMC/EMI인증 포함)

[상품화 5단계] 필드 테스트를 통하여 성능을 검증한다.


[상품화 6단계] 양산품의 스펙을 확정한다.

3-2-3. 제품 신뢰성 확보 계획
3-2-3-1. 자체 실험 시설을 이용한 신뢰성 시험
- 가혹 환경(온도, 습도, 환기 등) 하 신뢰성 시험 실시

- 유사 제품의 KS 기준을 적용하여 자체 신뢰성 평가 실험 수행

- 자체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제품 설계 수정 보완 후 자체 기준에 부합될 때까지 신뢰

성 시험을 지속함.

3-2-3-2. 발전기 제조사를 통한 필드 테스트

- 협력사인 애버다임에 750kW급 실험용 발전기 세트를 설치하고 양사가 공동으로 시제

품의 필드 테스트를 수행
- 기존 외산 AVR 기준을 적용하여 시험함.
- 실험 결과를 최종 양산품의 설계에 반영

3-2-3-3. 공인 인증기관 시험

- KC/EMC/EMI 등 최종 시제품 인증 시험을 의뢰


- 공인 기관의 실험 결과를 최종 양산 제품의 설계에 반영
- 국내외 각종 인증을 획득하여 제품 신뢰도를 높임

3-3. 양산 및 판로 확보 계획

3-3-1. 제품 양산계획

3-3-1-1. 생산 공정 개발

- 제작 공정도 작성
- 품질 검사 기준서 작성

- 일정 수량 생산 후 양산시의 문제점 검토 및 생산 공정 수정

- 60 -
3-3-1-2. 생산 기반 구축 및 부품 수급처 확보

- SMT 조립 혐력업체 선정 및 MOU 체결


- 품질 및 제작 지도를 통한 고품질 확보
- 신규 협력 업체 발굴 및 전문 업체를 통하여 원활한 부품 수급 및 품질을 확보

3-3-1-3. 사원 교육 및 인원 충원

- 사내 조립 생산 기술자 교육
- 생산 및 품질 검사 인력 충원

- 기술지원을 담당할 연구 개발 인력 충원

3-3-2. 판로확보 및 판매전략


3-3-2-1. 제품 홍보

- 국내 비상용 발전기 제조사를 방문하여 제품을 소개

- 예견되는 고객의 요구 사항 및 양산 공정에 필요한 사항을 도출


- 제품 품평 결과를 바탕으로 양산 제품 설계에 반영

3-3-2-2. 영업 및 마케팅 준비

- 제품 카다로그 및 매뉴얼 등 영업 자료 작성

- 제품 판매가 책정

3-3-2-3. 국내 판매망 구축

협력사인 애버다임, 성지인프라하이테크의 11개 전국 지사망(서울 2개, 인천, 경기, 강원,

충남, 충북, 경북 ,부산, 호남, 제주)을 통한 국내 판촉 및 서비스 수행

3-3-2-4. 해외 판매망 구축

국내 무역 상사인 대우, 애버다임, LG상사 등을 통한 해외 판매망 구축

3-3-2-5. 마케팅

- 국내외 발전기(Power-Gen. Marine Exhibition 등) 관련 전시회 참가


- 국내외 관련 학술지 논문 발표 및 국내외 전문 기술 서적에 광고

- 61 -
주 의

1. 이 보고서는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한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의 기술개발 보고서

입니다.

2. 상기 기술개발 내용을 대외적으로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한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의 기술개발 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