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조명기구의 색온도 차이에 따른 멜라토닌 억제효과 연구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82

석사학위 청구논문

지도교수 최안섭

LED조명기구의 색온도 차이에 따른

멜라토닌 억제효과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김 경 실
석사학위 청구논문
지도교수 최안섭

LED조명기구의 색온도 차이에 따른

멜라토닌 억제효과 연구

Anal
ysi
sofMe
lat
oni
nSuppr
ess
ionac
cor
dingt
o
Di
ff
ere
ntCol
orTe
mpe
rat
urei
nWhi
teLED Li
ght

세종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김 경 실
석사학위 청구논문
지도교수 최안섭

LED조명기구의 색온도 차이에 따른

멜라토닌 억제효과 연구
Anal
ysi
sofMe
lat
oni
nSuppr
ess
ionac
cor
dingt
o

Di
ff
ere
ntCol
orTe
mpe
rat
urei
nWhi
teLED Li
ght
이 논문을 석사학위청구논문으로 제출합니다.

20
13.02

세종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김 경 실
이 논문을 김경실의
석사학위 논문으로 인준함

20
13.02

심사위원장 성민기 (
인)

심사위원 최안섭 (
인)

심사위원 정재원 (
인)
목 차

Ⅰ.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연구의 내용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Ⅱ.선행연구 및 이론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선행연구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
.1빛의 수용에 대한 선행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
.2라이트 테라피(
Lightt
her
apy)
에 대한 선행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1
.3빛의 특성에 따른 일주리듬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1
.4종합 및 시사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2.이론적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2
.1조명의 요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2
.2생체리듬과 조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Ⅲ.일주리듬을 고려하기 위한 LED 조명기구 기초연구 ·


··
··
··
··
··
··
··
··
··
··
··
··
··32
1.실험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2.측정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3.실험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3
.1목표 색온도에 따른 분광분포 측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3
.2단파장 면적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3
.3기존 조명환경과 단파장 면적비율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Ⅳ.일주리듬이 고려된 LED 조명기구 적용성 평가 ·
··
··
··
··
··
··
··
··
··
··
··
··
··
··
··
··
··40
1.실험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1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1
.2실험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2.측정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2
.1피실험자 선정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2
.2멜라토닌 채취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2
.3실험 디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3.실험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3
.1실험 1의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3
.2실험 2& 3의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3
.3실험 4의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Ⅴ.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1.연구 요약 및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1
.1LED 조명기구 연구의 요약 및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1
.2LED 조명기구 적용성 평가의 요약 및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2.향후 연구과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Abst
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표 목 차
표 1-1.시각 및 비시각적 빛의 영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표 3-1.조명기구 및 측정 장비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표 3-2.목표색온도를 구현하기 위한 LED 소자선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표 3-3.목표색온도 구현 및 분광분포 측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표 3-4.목표색온도 구현 및 분광분포 측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표 3-5.4,
500K vs
.2,
500K,6,
900K의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표 4-1.실험 장비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표 4-2.조명환경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표 4-3.피실험자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표 4-4.멜라토닌 분석방법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표 4-5.검체 전달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표 4-6.각 실험의 조명환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표 4-7.각 실험의 온열환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표 4-8.멜라토닌 분비결과 (
실험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표 4-9.실험에 따른 조명환경(
실험 2&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표 4-10.멜라토닌 분비결과(
실험 2&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표 4-11.멜라토닌 절대값 비교(
실험 1vs
.실험 2,3)·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표 4-12.실험 4의 조명환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표 4-13.멜라토닌 분비결과(
실험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표 4-14.실험에 따른 조명환경(
실험 2,3vs
.실험 4)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표 4-15.멜라토닌 절대값 비교 (
실험 4vs
.실험 2,3)·
··
··
··
··
·
··
··
··
··
··
··
·
··
··
··
··
··
··
·
··
··
··
··
··
·
·61
그림목차

그림 1-1.망막의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그림 1-2.파장에 따른 반응그래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그림 1-3.빛의 노출에 따른 체온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그림 1-4.시간에 따른 일주리듬 이동영향 그래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그림 2-1.흑체궤적 위의 등색온도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그림 2-2.광원의 차이(
LED,형광등,백열등)
에 따른 연색성 비교 ·
··
·
··
··
··
··
··
··
··
··
··
··
··
·
·24
그림 2-3.광원(
백열등,형광등,메탈할라이드)
에 따른 분광분포 비교 ·
··
··
··
··
··
··
··
··
··
··
·24

그림 2-4.시간에 따른 인체의 일주리듬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그림 2-5.빛에 반응하는 뇌의 시교차상핵(
SC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그림 2-6.파장에 따른 광수용 그래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그림 3-1.LED 조명기구 측정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그림 3-2.ANSI
(Ame
ric
aNat
ionalSt
andar
dIns
tit
ute
)quadr
angl
es·
··
··
··
··
··
··
··
··
··
··
··
·35
그림 4-1.기초자료 수집에 관한 설문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그림 4-2.실험 디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논문요약

LED조명기구의 색온도 차이에 따른 멜라토닌

억제효과 연구

빛은 인간의 지각을 도울 뿐만 아니라 인간의 일주리듬에 영향을 준다.그러나 실내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에게는 균일한 조명으로 인하여 일주리듬에 혼란을 준다.인
간의 일주리듬이 균형을 잃게 되면 계절정서장애와 시차증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일주리듬

을 고려한 실내조명환경의 구현은 재실자의 일주리듬을 유지함과 동시에 최적의 조명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으므로 인간의 일주리듬과 실내조명환경에 관한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광제어가 용이한 LED 조명기구를 대상으로 조명환경에 따른 재실자의 일주


리듬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첫 번째 연구로는 LED 소자 조합에 따른 단파장영역
의 비율을 분석하였다.선행논문에 따르면 빛의 단파장대 영역이 일주리듬에 큰 영향을 미친

다고 나타냈다.따라서 선행논문을 바탕으로 LED 소자조합에 따른 단파장 영역의 비율을 토


대로 일주리듬의 영향여부를 판단하였다.두 번째 연구로는 실제 LED 조명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실험공간에서 빛환경에 따른 재실자의 멜라토닌 변화를 분석하였다.일주리듬을 대표하

는 호르몬 중 하나인 멜라토닌을 분석하여 빛환경(


색온도)
에 따른 재실자의 일주리듬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두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LED 조명기구 실험 결과 ]
- Whi
te와 RGB LED 소자의 조합을 통하여 조도는 약 400l
x로 유지하고 2800K와
Re
d소자,6000K와 Bl
ue소자를 섞어 각각 2500K과 6900K을 구현하여 측정한 결
과,두 경우 모두 ANSI
(Ame
ric
a Nat
ionalSt
andar
dIns
tit
ute
)가 정의한 백색광
범위에 포함되었다.

- Whi
teLED 소자만 조합하는 경우보다 Re
d와 Bl
ueLED 소자를 섞었을 경우가
기존의 색온도 구현범위보다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색온도에 따른 단파장의 면적비율을 분석한 결과,LED 조명기구는 색온도를 낮

아 질수록 단파장 영역의 비율이 감소하였으며 약 21.


4%의 차이를 보였다.
- Whi
te와 RGB가 조합된 LED 조명기구를 대상으로 LED 소자 조합에 따른 단파
장 비율을 기존조명환경(
4,500K)
과 비교한 결과,10%이상의 단파장 비율변화를

보였다.
- 선행논문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10%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색온도환경의 변화는
인간의 일주리듬을 고려할 수 있는 백색광 조명환경이라고 제시할 수 있다.

[조명환경에 따른 멜라토닌의 결과 ]
- LED 조명기구가 설치된 공간에서 실험 1을 통하여 피실험자의 멜라토닌 분비여

부를 확인한 결과,피실험자 모두 멜라토닌이 분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1의 멜라토닌 절대 량의 비교를 통해 피실험자 마다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
타났다.

-실험 2와 3의 비교를 통하여 색온도 차이(


3,000[
K],6,
000[
K])
에 따른 재실자의 일
주리듬 변화를 알아본 결과,높은 색온도일수록 멜라토닌 분비량이 상대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 4를 통해 수면에 따른 멜라토닌의 분비량을 분석한 결과,피실험자 모두 멜


라토닌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I
.서 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물질적 풍요보다는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으로 건강한 삶을 선호하고 있다.건강한 삶을 살기 위한 요소에는 문화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 등이 있지만,현대인들은 주로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으므로 실내
공간 안에서의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환경적 요인의 지표는 안정성,

보건성,쾌적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대표적인 환경적 요인으로 빛환경을 들을 수 있


다.
빛은 인간의 지각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인간의 일주리듬에도 영향을 준다.인간

의 일주리듬이 균형을 잃게 되면 계절정서장애와 시차증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계절


정서장애는 계절에 따른 낮시간의 변화로 정서적으로 우울해지고 기력이 저하되는 증
상을 말한다.또한 시차증은 비행기와 같은 빠른 교통수단으로 인한 수면시간의 변화

로 신체나 정신기능악화를 유발하는 증상을 말한다.이러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빛이 이용되고 있으며,현재 라이트 테라피(
Lightt
her
apy)
를 비롯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라이트 테라피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주로 LED(


LightEmi
tt
ingDi
ode
)를 대상으
로 연구하였다.LED는 친환경 광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건축조명분야뿐만 아니
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또한 조도와 색온도의 조절이 용이하여 동일한 공간

에 다양한 빛환경 연출이 가능하다.공간을 사용하는 재실자와 용도에 따른 적합한 조


명환경을 구현하는 것은 실내 분위기뿐만 아니라 재실자의 심리·
생리적으로 긍정적인

- 1 -
영향을 줄 수 있다.그러나 선행연구들은 LED 및 형광등이 설치된 라이트 박스(
Light
box)
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선행연구만으로는 조명설계의 적용성

에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주리듬을 고려한 LED 조명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LED 조명
기구가 설치된 공간에서 조명환경 변화에 따른 재실자의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한다.기초적 연구로 LED 조명기구를 대상으로 색온도에 따른 분광분포의 변


화를 분석하였으며,실제 공간에서 임상실험을 통한 재실자의 일주리듬 변화를 멜라
토닌 호르몬의 변화를 통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 2 -
2.연구의 내용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일주리듬을 고려한 LED 조명환경의 구현을 위하여 LED 조명기구


기초연구와 임상실험을 통한 적용성 평가로 구분하여 각각 실험을 수행하였다.LED
조명기구 기초연구에서는 일주리듬에 영향을 주는 단파장영역을 중심으로 색온도에

따른 단파장 비율을 분석하였다.이는 색온도별 단파장의 비율이 균일하고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면 일주리듬에 영향도를 예측할 수 있다고 사료되여 단파장 비율을 분석
하였다.임상실험을 통한 적용성 평가에서는 LED 조명의 색온도 별 멜라토닌 분비영

향을 비교하는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이는 색온도에 따른 멜라토닌 분비량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LED 조명환경이 재실자의 일주리듬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
가하는 것이다.

LED 조명기구 기초연구에서 Whi


teLED 2700K,6000K소자 그리고 RGB LED를
포함한 조명기구를 대상으로 LED 소자 조합에 따른 분광분포를 측정하였다.분광계

를 이용하여 측정되었으며 파장별 에너지 양(


W/ )
의 데이터를 토대로 단파장대 영
역(
400〜500nm)
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임상실험을 통한 적용성 평가는 LED조명기구가 설치된 강의실에서 수행되었으며,

실험공간에 설치된 평판 LED조명기구의 조광제어를 통해 3,


000[
K]/ 400[
lx]
,
6,
000[
K]/
400[
lx]
을 구현하여 실험 환경을 설정하였다.시간에 따른 멜라토닌 채취를
통하여 재실자의 일주리듬변화를 분석하였다.

- 3 -
I
I.선행연구 및 이론고찰

1.선행연구 고찰

1.
1빛의 수용에 대한 선행연구
인간은 눈을 통해 대부분의 빛을 받아들인다.눈의 광수용체는 크게 시각과 비시각

적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시각적 부분의 광수용 세포는 추상체(


Cone
)와 간상체
(
Rod)
,비시각적인 부분은 망막신경절세포(
Ret
inalgangl
ionc
ell
)로 구성되어있다.다
음 그림 1-1은 망막에 위치한 추상체와 간상체,망막신경절세포의 위치와 모양을 나

타냈다1).

<그림 1-1> 망막의 구조

1)HughJ
.Fol
ey,Mar
gar
etW.Mat
li
n,Se
nsat
ionandPe
rce
pti
on,Pe
ars
on,20
10

- 4 -
광수용 세포는 모두 빛을 받아들이는 기능을 하지만 같은 빛의 특성을 갖더라도 그
에 대한 민감정도는 다르다.다음 그림 1-2에서 알 수 있듯이 추상체와 간상체 차이에

의해서 파장에 따른 민감도가 다르며,같은 추상체라도 그 종류(


Shor
t,Me
dium,
Long)
에 따라 최대지점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2> 파장에 따른 반응그래프

FH Zai
di(
2007)
는 ‘
Shor
t-wave
lengt
hli
ghts
ens
iti
vit
yofc
irc
adi
an,pupi
ll
ary,and
vi
sualawar
ene
ssi
nhumansl
acki
nganout
err
eti
na’
에서 시각적 부분의 기능을 하

지 못하는 맹인을 대상으로 빛의 파장에 따른 일주리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2).실험


결과,460nm 파장대의 빛을 노출할 때 맹인의 일주리듬을 이동시켰으며 555nm의 파
장대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따라서 시각적 기능을 하지 못하는 맹인이라도 비

시각적인 부분의 빛의 수용은 이루어지며,460nm의 짧은 파장대의 빛이 일주리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각적 및 비시각적 부분에서의 빛의 영향을 표 1-1에 간략하게 나타냈다.대부분

의 관련 선행연구들은 비시각적 부분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간의 호르몬 분비


변화를 연구하였다.

2)FH Zaidie
tal
,Short-wave
lengt
hl i
ghts ensi
ti
vit
yofc
irc
adi
an,pupi
ll
ary,andvi
sualawar
ene
ssi
nhumans
lac
kinganout
erret
ina,Curr
entBiology,2007

- 5 -
<표 1-1> 시각 및 비시각적 빛의 영향

특징 시각적 영향 비시각적 영향

세기 (Quantity) 빛의 세기에 상관없이 모두 민감 환경적/경험적 영향에 민감

단파장대 영역에서 민감
Photopic은 555nm, Scotopic은
스펙트럼 (Spectrum) (동물의 경우, 459~508nm
507nm일 때 영향이 큼.
사람의 경우, 459~464nm)

노출 시기 (Timing) 노출 시기에 상관없이 반응 일주리듬을 바탕으로 반응

시각적 영향보다 오랜 시간의


노출 기간 (Duration) 짧은 시간에도 반응
노출에 반응

SA J
ass
er(
2006)
은 ‘
Diml
ightadapt
ati
onat
tenuat
esac
uteme
lat
oni
nsuppr
ess
ion
i
nhumans
’에서 빛의 세기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3).피실험자 8명을 대상으로 빛
의 세기가 다른 di
mli
ght
를 2시간동안 노출된 후에 동일한 조건의 단파장 빛을 노출

시켰다.실험 결과,단파장 빛에 노출되기 전의 환경에 따라 멜라토닌 분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나 같은 조건의 빛에 노출되어도 전에 경험한 환경적 영향에 민감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 Thapan(
2001)
은 ‘
Anac
tions
pec
trum f
orme
lat
oni
nsuppr
ess
ion:e
vide
ncef
ora
nove
lnon-r
od,non-c
onephot
ore
cept
ors
yst
emi
nhumans
’에서 비시각적 측면에서
빛의 스펙트럼 영역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맹인 22명을 대상으로 빛의 파장(
λ=

에 따른 멜라토닌 분비량을 분석하였다4).그 결과 420


424,456,472,496,520,548nm)
∼480nm 영역에서 상당한 영향을 주었으며 최대 파장이 459nm일 때 가장 민감하다
고 나타냈다.또한 동물을 대상으로 파장에 따른 일주리듬의 영향을 분석하였다5).쥐

를 대상으로 파장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사람과 동일하게 단파장대의 영역


3)SA Jas
ser
,Di
mli
ghtadapt
ati
onat
tenuat
esac
uteme
lat
oni
nsuppr
ess
ioni
nhumans
,Br
it
ishJBi
olRhyt
hms
,
200
6
4) K Thapan,An act
ion s
pec
trum f
or melat
oninsuppr
ess
ion:e
vide
ncef
or a nove
lnon-r
od,non-c
one
phot
orece
ptors
yst
emi nhumans,JPhys
iol
.
,2 001
5)RJLucas
,char
acter
izat
ion ofan oc
ularphot
opi
gme
ntc
apabl
eofdr
ivi
ng pupi
ll
aryc
ons
truc
tion i
n mi
ce,
Nat
ureNeur
osc
ienc
e,200 1

- 6 -
(
459∼508nm)
에서 일주리듬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SB Khal
sa(
2003)
은 ‘
A phas
ere
spons
ecur
vet
osi
ngl
ebr
ightl
ightpul
sesi
n

human s
ubj
ect
s’에서 빛의 노출시기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6).멜라토닌 리듬이
ons
et되는 시점의 전후로 나누어 빛을 노출 시킨 결과,멜라토닌이 ons
et되었을 때
노출된 영향이 of
fse
t된 시점에서 노출된 경우보다 상당한 영향을 나타내었다.따라

서 멜라토닌 패턴에 따라 동일한 빛에 노출되어도 차별화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DW Ri
mme
r(2000)
은 ‘
Dynami
cre
set
ti
ng oft
hehuman c
irc
adi
an pac
emake
rby

i
nte
rmi
tt
entbr
ightl
ight
’에서 일주리듬에 영향을 주는 빛의 노출시간을 분석하였다7).
16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25분 또는 90분의 노출시간을 설정한 후 일주리듬의 이
동을 관찰하였다.실험을 통해 빛의 노출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시각적 측면과는 다

르게 비시각적 측면에서는 빛의 노출 시간에 따라 상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고 나타내었다.
또한 안구의 노화에 따라 빛을 수용하는 정도가 달라진다.안구의 노화는 세월의 흐

름에 따라 수정체가 서서히 굳어져 탄력을 잃고 초점을 맞추기 힘들게 되는 증상을


말하며,이로 인하여 인간의 시력은 태어난 직후부터 10대까지 점점 향상되고 50대 후
반에 시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P L Tur
ner
(2008)
는 ‘
Cir
cadi
anphot
ore
cept
ion:age
ing andt
hee
ye'
simpor
tant
r
olei
nsys
temi
che
alt
h’에서 연령대별로 안구의 노화로 인한 망막조도의 변화를 분석
하였다8).연령대별(
10대〜90대)
로 그룹을 나누어 빛의 노출에 따른 망막조도를 분석

6)SB Khalsa,A phas


ere
spons
ecur
ve t
osi
ngl
e br
ightl
ightpul
sesi
n human s
ubj
ect
s,The J
ounalof
Phys
iol
ogy,2003
7)DW Ri mmer,Dynami
cr e
set
ti
ng ofthe human c
irc
adi
an pac
emake
rby i
nte
rmi
tt
entbr
ightl
ight
,Am J
Phys
iolRegulI
ntegrCompPhysi
ol
,2000
8)P L Turne
r,Ci
rcadi
an Phot
orec
ept
ion:Age
ing andt
heEye
'sI
mpor
tantRol
ein Sys
temi
cHe
alt
h,Br
it
ish
Jour
nalofOpht
halmol
ogy,2008

- 7 -
하였으며 10세의 망막조도와 비교하였을 때 연령차이가 커질수록 망막조도가 확연하
게 감소하였으며,그 원인으로는 노안으로 인한 안구 내 렌즈의 투과율 감소와 동공의

면적 감소로 판단하였다.

- 8 -
1.
2라이트 테라피(
Lightt
her
apy)
에 대한 선행연구
인간에게 빛의 노출은 지각뿐만 아니라 인간의 일주리듬에도 영향을 준다.따라서

빛을 이용하여 일주리듬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선행연구가 이루어졌다. RN


Gol
den(
2005)
는 ‘
Thee
ffi
cac
yofl
ightt
her
apyi
nthet
reat
mentofmooddi
sor
der
s:a
r
evi
ew andme
ta-anal
ysi
soft
hee
vide
nce
’에서 me
ta-anal
ysi
s를 통하여 라이트 테라

피와 관련된 문헌들을 조사하였다9).1975년부터 2003년의 문헌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라이트 테라피에 관한 키워드를 정리하였다.키워드는 주로 라이트 테라피가
적용될 수 있는 증상들인 '
Alz
hei
mer
's di
seas
e',‘
seas
onal e
ffe
cti
ve di
sor
der
’,

'
depr
ess
ivedi
sor
der
','
bipol
ardi
sor
der
','
sle
ep di
sor
der
','
jetl
ag'
,'pr
eme
nst
rual
s
yndr
ome
'과 그에 대한 연관어로써 '
cir
cadi
anr
hyt
hm‘
,'me
lat
oni
n'등을 제시하였다.
본 선행논문의 결론은 de
pre
ssi
ons
ympt
om에 라이트 테라피는 상당한 치료효과를 나

타내며 특히 밝은 빛에서 효과가 크다고 나타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일주리듬과 관련된 환자를 대상으로 빛의 노출을 통한 치료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Y Ohas
hi(
1999)
는 ‘
Dai
lyr
hyt
hm ofs
erum me
lat
oni
n

l
eve
lsand e
ffe
ctofl
ighte
xpos
urei
n pat
ient
swi
th de
ment
iaoft
heAl
zhe
ime
r's
t
ype
’에서 불규칙한 일주리듬을 갖는 알츠하이머 환자(
AD :Al
zhe
ime
rDi
seas
e)를 대
상으로 정상인과 비교하여 빛의 노출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다10).정상인과 알츠하

이머 환자는 취침 2시간 전에 3,
000l
x의 빛을 동일하게 쐬었으며 그에 따른 멜라토닌
분비변화를 분석하였다.실험 결과,빛의 노출로 인하여 낮의 멜라토닌 분비가 현저하
게 줄어든 정상인과는 달리 알츠하이머 환자들은 빛에 따른 낮과 밤의 멜라토닌 분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따라서 알츠하이머 환자들은 빛의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인


SCN과 그와 관련된 기관에 대해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S

9)RN Gol
den,Theef
fi
cac
yofl i
ghttherapyi
nt hetreat
me ntofmooddi
sor
der
s:ar
evi
ew andme
ta-anal
ysi
s
oft
hee vi
denc
e,TheAmer
icanJournalofPsychi
atr
y,2 005
10)Y Ohas
hi,Dai
lyrhyt
hm ofs er
um melatoni
nl e
ve l
sande
ffe
ctofl
ighte
xpos
urei
npat
ient
swi
thde
ment
ia
oft
heAlzhe
imer'
stype,Bi
ologi
calPs
yc hiat
ry,1999

- 9 -
Anc
oli
-Is
rae
l(2003)
은 ‘
Eff
ectofl
ightonagi
tat
ioni
nins
tit
uti
onal
ize
dpat
ient
swi
th
s
eve
reAl
zhe
ime
rdi
seas
e’에서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낮과 밤 그리고 빛의 밝

기에 따른 일주리듬을 비교하였다11).실험 결과,아침에 15분 동안 밝은 빛의 노출은


일주리듬을 1.
5시간 이상 이동시킨다고 나타냈으며 알츠하이머 환자는 불규칙한 생활
패턴을 갖고 있으나 라이트 테라피를 통한 치료 가능성이 있다고 나타냈다.

일주리듬과 관련된 증상 중 하나인 계절적정서장애(


SAD :Se
asonalEf
fec
tive
Di
sor
der
)는 계절의 변화로 인해 주광에 노출되는 시간이 변화하고,그에 따라 일주리
듬의 불균형을 일으켜 우울해지는 증상을 말한다.많은 학자들은 주광의 노출감소는

우울감을 조성하며 밝은 빛을 쬐는 것을 치료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12). Y


Me
est
ers
(2011)
는 ‘
Low-i
nte
nsi
tybl
ue-e
nri
che
dwhi
tel
ight(
750l
ux)ands
tandar
d
br
ightl
ight(
10,
000l
ux)ar
eequal
lye
ffe
cti
vei
ntr
eat
ingSAD’
에서 SAD환자를 대상

으로 빛의 노출에 따른 우울증 치료효과를 분석하였으며,Hami


lt
on우울평가 척도를
이용하였다13).실험 결과,빛의 노출에 의해서 65%이상이 우울감소율을 보였으며 환
자의 우울감소율은 기준램프 10,
000l
x인 경우와 블루파장(
높은 색온도)
에 가까운 백색

광 750l
x의 경우가 비슷한 수치로 나타냈다.따라서 SAD환자에게 나타나는 일주리듬
의 불균형은 빛을 이용하여 치료가능하며 짧은 파장의 빛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또한 SAD 환자를 대상으로 G Gl
ickman(
2006)
은 ‘
Light t
her
apy f
or

s
eas
onalaf
fec
tivedi
sor
derwi
thbl
uenar
row-bandl
ight
-emi
tt
ingdi
ode
s(LEDs
)’에
서 짧은 파장대의 LED 조명을 이용하여 SAD 환자의 우울증 치료효과를 분석하였
다14).실험 결과,낮은 색온도의 LED조명(
Redl
ight
)보다 높은 색온도의 LED조명

11)S Ancol
i-Isr
ael
,Eff
ectoflighton agi
tat
ion i
nins
tit
uti
onal
iz
ed pat
ient
swi
ths
eve
reAl
zhe
ime
rdi
seas
e,
Am JGeriat
rPsychi
atr
y,200
3
12)JS Te
rman,Cir
cadi
antimeofmor
ningl
ightadmi
nis
trat
ionandt
her
ape
uti
cre
spons
einwi
nte
rde
pre
ssi
on,
Ar
chGe nPsyc
hiat
ry,2
001
13)Y Mees
ters
,Low-intens
itybl
ue-e
nri
che
dwhi teli
ght(750l
ux)ands
tandar
dbr
ightl
ight(
10,
000l
ux)ar
e
e
qual
lyef
fect
ivei
nt r
eati
ngSAD,BMC Ps yc
hiatr
y,201
1
14)G Gl
ic
kman,Li
ghtt
her
apy f
ors
eas
onalaf
fec
tivedi
sor
derwi
th bl
uenar
row-band l
ight
-emi
tt
ing di
ode
s

- 10 -
(
Bluel
ight
)이 치료에 상당한 효과를 나타냈다.
SDal
las
pez
ia(
2012)
는 ‘
Opt
imi
zedl
ightt
her
apyf
ornon-s
eas
onalmaj
orde
pre
ssi
ve

di
sor
der
:Ef
fec
tsoft
imi
ngands
eas
on’
에서 우울증상을 나타내는 70명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빛의 노출 시기에 따른 항우울 효과를 분석하였다15).Hami
lt
on우울평가 척
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49명은 이른 아침(
MEQ s
cor
e에 의한 시간)
에 30분 동

안 10,
000l
x의 밝은 빛에 노출되었으며,나머지 21명은 늦은 아침(
11:
00am)
에 30분 동
안 10,
000l
x의 밝은 빛에 노출되었다.동일한 스케줄로 3주 동안 실험한 결과,
Hami
lt
on우울평가수치는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이른 아침에 밝은 빛에 노출된 그

룹이 늦은 아침(
11:
00am)
에 빛에 노출된 그룹보다 더 큰 감소율을 나타냈다.
또한 현대인의 생활패턴과 일주리듬 사이의 충돌로 인하여 피곤함을 나타내는 경우
도 있다.대표적인 예로 활동을 해야 할 낮 시간에 수면을 취하고 밤에 일을 해야 하

는 교대근무자를 들을 수 있다.교대근무자는 일반적인 근무자와는 반대의 생활패턴


을 갖게 되는데,교대근무자의 10%〜30%는 갑작스러운 교대시간의 변화 및 부적응
으로 인하여 과도한 졸음과 불면증상을 나타낸다.V Gume
nyuk(
2012)
는 ‘
Cir
cadi
an

phas
e,s
lee
pine
ss,and l
ight e
xpos
ure as
ses
sme
nt i
n ni
ght wor
ker
s wi
th and
wi
thouts
hif
twor
kdi
sor
der
’에서 교대근무장애(
SWD :Shi
ftWor
kDi
sor
der
)환자를
대상으로 멜라토닌을 채취하여 정상적인 교대근무자의 일주리듬과 비교·
분석하였

다16).실험 결과,정상적인 교대근무자들은 저녁시간(


근무시간)
에 빛의 노출로 인하여
일주리듬의 이동을 나타냈지만 SWD 환자들은 저녁시간(
근무시간)
에 빛에 노출됨에
도 불구하고 낮 시간에 근무하는 사람들과 비슷한 일주리듬을 나타냈다.따라서 대부

분의 교대근무자들은 저녁시간대에 인공조명 빛의 노출로 인하여 일주리듬이 이동되

(
LEDs
),Bi
ologi
calPs
ychi
atr
y,2
006
15)S Dal
las
pezi
a,Opt
imi
zedlightther
apyf ornon-s
eas
onalmaj
orde
pre
ssi
vedi
sor
der
:Ef
fec
tsoft
imi
ngand
s
eas
on,Jour
nalofAff
ect
iveDisorde
rs,2012
16)V Gume nyuk,Cir
cadian phas
e,s l
eepine
ss,and l
ighte xpos
ure as
ses
sme
nti
n ni
ghtwor
ker
s wi
th and
wi
thouts
hiftworkdisorde
r,Chronobi
ologyInt
ernat
ional
,2012

- 11 -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WD 환자들은 빛으로 인한 일주리듬의 이동이 정상적으로 이
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 결과를 통하여 SWD 환자들은 일주리듬과

Sl
eep-wakes
che
dul
e의 충돌로 인하여 부정적인 증상을 야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SWD환자를 대상으로 Li
ght
/dar
kpat
ter
n에 의한 치료효과 및 밝은 빛의
노출로 인한 일의 효율평가를 수행하였다17)18).

시차증을 나타내는 제트피로(


Jet
-lag)
는 급격한 이동으로 나타나는 신체리듬의 부
적응 현상을 말한다.방상식(
2000)
은 ‘
국내 및 외국현지 시차적응훈련이 선수 컨디션
조절에 미치는 영향’
에서 국내적응집단과 외국적응집단으로 나누어 운동의 반응시간,

순발력,근력 등의 운동기능과 수면,식욕 등의 컨디션을 조사하여 결과적으로 시차적


응 기간을 분석하였다19).실험 결과,7시간의 시차에서 신체컨디션과 정신적 기분은
국내적응집단의 경우 모두 6〜7일이 걸렸으며 외국적응집단의 경우 완전 회복에는 신

체컨디션의 경우 7일,정신적 기분의 경우에 3일에 회복되었다고 나타냈다.또한 시차


증의 적응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라이트 테라피를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졌다.Z
Boul
os(
2002)
는 ‘
Lightvi
sort
reat
mentf
orj
etl
agaf
terwe
stwar
dtr
ave
lac
ros
ssi
x

t
imez
one
s’에서 빛에 의한 J
et ag치료효과를 분석하였다20).20명의 피실험자를 대
-l
상으로 Zur
ich에서 Ne
w Yor
k으로 비행 후,두 그룹으로 나누어 2일 동안 br
ight
whi
tel
ight
(3,
000l
x)또는 di
mre
dli
ght
(10l
x)를 쬐고 멜라토닌 채취를 통한 일주리듬

을 비교하였다.실험 결과,Sl
eepe
ffi
cie
ncy(
SE)
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di
m
r
edl
ight그룹보다 br
ightwhi
tel
ight그룹에서 더 많이 일주리듬이 미뤄진 것으로 나
타났다(
2.59hvs
.1.
58h)
.

17)MR Smi
th,Shapi
ng t
hel
ight
/dar
k pat
ter
nforc
irc
adi
an adapt
ati
on t
oni
ghts
hif
twor
k,Phys
iolBe
hav,
200
8
18)IY Yoon,Bri
ghtli
ghtexpos
ureatni
ghtandl
ightat
tenuat
ioni
nthemor
ningi
mpr
oveadapt
ati
onofni
ght
s
hif
twor ke
rs.
,Sle
ep,2002
19)방상식,국내 및 외국현지 시차적응훈련이 선수 컨디션조절에 미치는 영향,한국체육학회지,2
000
20)ZBoulos,Lightvis
ortreat
mentforj
etl
agaf
terwe
stwar
dtr
ave
lac
ros
ssi
xti
mez
one
s,Avi
ati
on,Spac
e,
andEnvi
ronmentalMedi
ci
ne,200
2

- 12 -
1.
3빛의 특성에 따른 일주리듬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J
FDuf
fy(
2005)
는 ‘
Ent
rai
nme
ntoft
hehumanc
irc
adi
ans
yst
em byl
ight
’에서 문헌

고찰을 통한 일주리듬의 사이클 변화와 빛의 연관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21).일주리


듬에 영향을 주는 빛에 대한 요소로는 ‘
ti
ming’
,‘i
nte
rmi
tt
ent l
ight e
xpos
ure
’,

int
ens
ity’
,‘s
pec
trals
ens
iti
vit
y’등을 제시하였다.분석 결과,빛의 노출 시기(
timi
ng)

와 빛의 세기(
int
ens
ity)
,노출 시간(
int
ermi
tt
entl
ighte
xpos
ure
)그리고 빛의 파장
(
spe
ctr
als
ens
iti
vit
y)에 따라 Ci
rcadi
an phas
e를 앞당기거나 늦출 수 있으며 요소에
따라 일주리듬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다르다고 나타냈다.

RW Cor
bet
t(2012)
는 ‘
An hour of br
ight whi
tel
ight i
nthe e
arl
y mor
ning
i
mpr
ove
spe
rfor
manc
eandadvanc
ess
lee
pandc
irc
adi
anphas
edur
ingt
heAnt
arc
tic
wi
nte
r’에서 남극에 거주하는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이른 아침의 빛의 노출로 인한 일

주리듬의 이동을 분석하였다22).7명의 피실험자는 1시간(


8:30am〜9:
30am)
동안 밝은
백색광에 노출되었으며 실험자의 Ac
tigr
aphy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Dur
ing l
ighte
xpos
urec
irc
adi
anphas
e가 4.
97± 0.
96de
cimalhour
s(dh)(
mean±

SD)
에서 4.
08± 0.
68dh(
p= 0.
003)
로 앞당겨졌으며,Wake
-upt
ime
도 8.
45± 1.
83
de
cimalhour
s(dh)
에서 7.
59± 0.
78dh (
p< 0.
001)
로 앞당겨졌다.따라서 단시간의
Li
ghtt
reat
ment
도 일주리듬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영향은 극지방에 거주하는 사람뿐

만 아니라 다른 환경의 사람들도 주광에 노출되었을 때 일주리듬이 이동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Aoki H.
(1998)
는 ‘
Mini
mum l
ight i
nte
nsi
ty r
equi
red t
o s
uppr
ess noc
tur
nal

me
lat
oni
nconc
ent
rat
ioni
nhumans
ali
va’
에서 피실험자의 멜라토닌을 채취하여 빛의
세기와 노출시간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23).5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다른
21)J
FDuf
fy,Ent
rai
nme
ntoft
hehumanc
irc
adi
ans
yst
em byl
ight
,Jour
nalofBi
ol
ogi
calRhyt
hms
,200
5
22)RW Corbe
tt,An hourofbri
ghtwhit
el i
ghtintheearl
y morning i
mprovespe r
for
manc
eand advanc
es
s
lee
pandcir
cadi
anphasedur
ingtheAntar
cti
cwint
er, Ne
uros
cienceLett
ers,201
2
23)AokiH,Mi
nimum l
ighti
nte
nsi
tyr
equi
redt
osuppr
essnoc
tur
nalme
lat
oni
nconc
ent
rat
ioni
nhumans
ali
va,

- 13 -
밝기(
<10,500,1,
000,2,
000,5,
000l
x)의 빛을 2:
00am부터 2시간 노출시켜 노출시간과
밝기에 따른 멜라토닌 분비변화를 분석하였다.실험에 의하여 계산식을 도출한 결과,

피실험자가 393,366,339,285l
x의 빛을 각각 30,60,90,120분 노출되면 멜라토닌 분
비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GC Br
ainar
d(2001)
는 ‘
Act
ion s
pec
trum f
or me
lat
oni
nre
gul
ati
on i
n human :

Evi
denc
eforanove
lci
rcadi
anphot
ore
cept
or’
에서 빛의 세기에 따른 멜라토닌 분비
영향을 분석하였다24).실험 결과,동일한 파장대에서 빛의 세기를 변화시켜 주었을 때
일정세기 이상에서 멜라토닌의 분비 변화가 대체적으로 비례한다고 나타냈다.또한

M He
ber
t(2002)
는 ‘
The e
ffe
cts of pr
ior l
ight hi
stor
y on t
he s
uppr
ess
ion of
me
lat
oni
nbyl
ighti
nhumans
’에서 l
ighthi
stor
y에 따른 멜라토닌 억제영향을 분석하
였다25).2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1주일은 ‘
Bri
ghtwe
ek’나머지 1주일은 ‘
Dim

we
ek’
를 두고,실험기간동안 동일한 빛의 세기에 대한 멜라토닌 억제영향을 비교하였
다.실험 결과,피실험자에게 동일한 빛의 노출이 이루어 져도 l
ighthi
stor
y에 따라 멜
라토닌 억제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냈다.

GC Br
ainar
d(2008)
는 ‘
Sens
iti
vit
y of t
he human c
irc
adi
an s
yst
em t
o
s
hor
t-wave
lengt
h(420-nm)Li
ght
’에서 빛의 파장이 인간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였다26).피실험자들은 두 집단으로 나누어 졌으며 Gr
oup1은 420nm 파장의

빛을 Gr
oup2는 460nm 파장의 빛을 노출시켜 멜라토닌 분비변화를 분석하였다.실험
결과,상대적으로 낮은 420nm의 빛에 노출되었을 때는 460nm에 비해 멜라토닌 분비
의 변화량은 적었지만 변화를 보였다.따라서 단파장대의 빛은 멜라토닌 분비에 영향

Ne
uros
cie
ncel
ett
ers
,1998
24)GC Brainar
d,Act
ion spe
ctr
um for mel
atoninre
gul
ati
on i
n human :Evi
denc
efor a nove
lci
rcadi
an
phot
ore
ceptor
,Thetour
nalofneur
osc
ienc
e,2 001
25)M He be
rt,Thee f
fec
tsofpr
iorl
ighthi
stor
yont
hes
uppr
ess
ionofme
lat
oni
nbyl
ighti
nhumans
,Jour
nal
ofPi
nealResear
ch,2002
26)GC Brai
nard,Se
nsiti
vit
y oft
hehuman c
irc
adi
an s
yst
emt
oshor
t-wave
lengt
h(4
20-nm)Li
ght
,Jour
nalof
bi
ol
ogi
calrhyt
hms,2008

- 14 -
을 주며 460nm의 빛이 일주리듬에 영향이 크다고 나타냈다.
인공조명의 색온도와 빛의 파장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MG

Fi
gue
iro(
2006)
은 인공조명의 색온도 차이에 따른 멜라토닌 억제영향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Cir
cadi
ane
ffe
cti
vene
ssoft
wopol
ychr
omat
icl
ight
sins
uppr
ess
inghuman
noc
tur
nalme
lat
oni
n’에서는 Li
ght box를 이용하여 2가지의 다른 색온도(
4,100K,

8, 에 따른 멜라토닌의 억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27).피실험자는 Li


000K) ghtbox
앞에서 1.
3시간동안 빛에 노출되었으며,같은 색온도에서 4가지의 다른 밝기(
30l
x,
100l
x,300l
x,1,
000l
x)를 쐬어 빛의 세기에 대한 실험도 동시에 진행하였다.실험 결과,

높은 색온도(
8,000K)
일 때의 멜라토닌 억제비율이 낮은 색온도(
4,000K)
보다 더 높다
는 것을 나타냈으며 같은 색온도의 환경에서는 빛의 세기에 따라 억제비율이 증가하
는 것을 나타냈다.

앞의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실내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PR


Mi
ll
s(2007)
는 ‘
Thee
ffe
ctofhi
gh c
orr
elat
edc
olourt
empe
rat
ureof
fi
cel
ight
ing on
e
mpl
oye
ewe
llbe
ingandwor
kpe
rfor
manc
e’에서 주관평가를 통하여 형광등의 색온도

(
4,000K,17, 에 따른 근로자의 웰빙과 일의 능률을 분석하였다28).본 선행논문의
000K)
목적은 색온도에 따라 오피스 공간에서 근로자가 느끼는 피로도와 집중도,지각능력,
느낌,기억력 등을 조사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인공조명으로 웰빙과 능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실험 결과,높은 색온도의 경우가 재실자에게 웰


빙과 일의 능률을 향상시킨다고 나타냈다.
또한 일주리듬을 고려한 실내 빛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LED 특수조명이나 Li
ght

box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실제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이루어졌다.Koz


aki
T(
2008)
는 ‘
Eff
ect
sofs
hor
twave
lengt
hcont
roli
n pol
ychr
omat
icl
ights
our
ceson

27) MG Fi gue
iro,Circadi
an ef
fec
tive
nes
s of t
wo pol
ychr
omat
icl
ight
sins
uppr
ess
ing human noc
tur
nal
mel
atoni
n,Ne ur
osc
iencelet
ter
s,2006
28)PR Mi
ll
s,The ef
fec
tofhi gh corr
elat
edc
olourtempe
rat
ure of
fi
cel
ight
ing on e
mpl
oye
e we
ll
bei
ng and
wor
kpe
rfor
manc
e,JournalofCi
rcadi
anRhyt
hms ,2
007

- 15 -
noc
tur
nalme
lat
oni
nse
cre
tion’
에서 12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형광등의 색온도 차
이에 따른 피실험자의 멜라토닌 분비량을 분석하였다29).피실험자는 24시부터 1.
5시

간동안 빛에 노출되었으며 6일간의 간격을 두고 4번의 실험을 수행하였다.4가지의


조명환경은 di
m(<10l
x)과 2,
300K(
수직조도 200l
x),3,
000K(
수직조도 200l
x),5,
000K
(
수직조도 200l
x)로 구성되었다.실험 결과,di
m(<10l
x),2,
300K,3,
000K,5,
000K순으

로 피실험자의 멜라토닌이 높게 측정되었으며,형광등 3,


000K와 5,
000K는 멜라토닌
억제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지만 di
m과 2,
300K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따
라서 형광등의 경우는 3,
000K 이상의 색온도에서 일주리듬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SL Che
llappa(
2011)
는 ‘
Non-vi
suale
ffe
cts ofl
ighton me
lat
oni
n,al
ert
nes
s and
c
ogni
ti
vepe
rfor
manc
e:c
anbl
ue-e
nri
che
dli
ghtke
epusal
ert
?’에서 3가지의 다른 색

온도(
2,500K,3,
000K,6,
000K)
에 따른 멜라토닌의 레벨과 인식정도,수행능력을 평가
하였다30).피실험자는 21:
30pm부터 2시간동안 빛에 노출되었으며,인식정도와 수행능
력평가는 PVT(
Psyc
homot
orVi
gil
anc
eTe
st)
와 GO/
NOGO Te
st를 통하여 분석되었

다.실험 결과,6,
500K의 높은 색온도에서 반작용시간이 가장 빨랐으며 인지정도 향상
은 멜라토닌 레벨이 억제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나타냈다.
CA Cz
eis
ler
(1986)
은 ‘
Bri
ght l
ight r
ese
ts t
he human c
irc
adi
an pac
emake
r

i
nde
pende
ntoft
het
imi
ngoft
hes
lee
p-wakec
ycl
e’
에서 인간의 일주리듬을 조정하는
밝은 빛의 영향을 분석하였다31).일주리듬을 대표하는 몸의 체온을 분석한 결과,망막
조도가 500l
x인 경우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망막조도가 7,
000∼12,
000l
x인 경

29)KozakiT,Effe
cts ofshortwavel
engt
hcont
roli
n pol
ychr
omat
icl
ights
our
ces on noc
tur
nalme
lat
oni
n
s
ecr
eti
on,Ne
urosc
iencel
ett
ers,20
08
30) SL Chel
lappa,Non-vis
uale
ffec
ts ofl
ighton me
lat
oni
n,al
ert
nes
s and c
ogni
ti
ve pe
rfor
manc
e :c
an
bl
ue-e
nri
chedl i
ghtkee
pusaler
t?,PLoSone,2
011
31) CA Czei
sl
er,Bri
ghtlightres
etst
he human c
irc
adi
an pac
emake
rinde
pende
ntoft
he t
imi
ng oft
he
s
lee
p-wakecycl
e,Sci
enc
e ,19
86

- 16 -
우에는 몸의 체온을 나타내는 주기가 6시간 늦춰지는 것을 나타냈다.이로써 밝은 빛
의 노출로 일주리듬이 상이동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림 1-3은 피실험자의 체온리

듬을 나타낸 것이다.밝은 빛의 노출로 인해 체온이 가장 낮은 지점이 이동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이것은 규칙적인 기상시간인 06:
15a.
m.에서 11:
35p.
m.으로 6.
7시간 앞당겨
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3> 빛의 노출에 따른 체온의 변화

SM Raj
arat
nam(
2001)
은 ‘
heal
thi
na24-hs
oci
ety’
에서 빛의 노출 시기(
Timi
ng)

따른 일주리듬의 이동효과를 분석하였다32).이를 위해 Cor
e Body Te
mpe
rat
ure

(
CBT)
를 분석하였다.MCBT(
Mini
mum Cor
eBody Te
mpe
rat
ure
)는 체온의 최저에
도달하는 지점을 의미하며 MCBT이후 1.
5∼2시간 후에 자연적인 기상이 나타나는 시
점을 의미하기 때문에 일주리듬에 연관이 깊다.MCBT를 전후로 하여 시간대별로 빛

을 노출시킨 후 기상시간을 분석한 결과,그림 1-4와 같은 그래프를 도출하였다.시간


대 별로 일주리듬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 정도는 달랐으며 MCBT 전의 빛의 노출은

32)SM Raj
arat
nam,He
alt
hina2
4-hs
oci
etySc
ienc
e,Lanc
et,2
001

- 17 -
일주리듬을 미뤄주고,MCBT 후의 빛의 노출은 일주리듬을 앞당기는 것을 알 수 있
다.

<그림 1-4> 시간에 따른 일주리듬 이동영향 그래프

- 18 -
1.
4종합 및 시사점
빛의 수용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일주리듬에 영향을 주는 빛은 눈의

비시각적 부분에서 관여하며,동일한 빛이라도 연령대에 따라 다른 밝기로 인식한다


는 것을 알 수 있다.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행위를 하더라도 재실자
의 정보(
연령대,질병,생활패턴 등)
에 따라 차별화된 조명시스템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피실험자 선정은 피실험자의 정보(


연령대,질
병,생활패턴 등)
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슷한 연령대의 건강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라이트 테라피는 빛을 이용하여 환자의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이다.알츠하이머환자


와 같이 빛의 신호를 전달하는데 장애를 갖고 있다면 다른 환자들과는 차별화된 조명
환경이 필요하며, ‘
seas
onal e
ffe
cti
ve di
sor
der
’,‘
depr
ess
ive di
sor
der
’,‘
bipol
ar

di
sor
der
’와 같이 우울증을 나타내는 증상에는 빛의 노출이 치료방안으로 제시되고 있
다.또한 SWD환자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빛을 이용한 일주리듬의 조
정을 통해 생활에서 느끼는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이트

테라피의 개념을 실내의 조명환경에 적용하기 위하여 LED 조명기구의 색온도 변화


에 따른 재실자의 멜라토닌 분비량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빛이 일주리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일주리듬에 영향을 주는

최소한의 빛의 세기와 노출시간 그리고 빛의 단파장대영역 등 다양한 빛의 특성을 대


상으로 한 선행연구가 이루어졌다.그 중 짧은 파장의 빛은 멜라토닌 분비 억제뿐만
아니라 심장박동과 체온의 상승을 유발한다고 나타내었다33).맹인을 대상으로 460nm

의 빛에 노출된 결과 6.
5시간의 일주리듬 이동을 나타냈고34),짧은 파장대(
470,495
and525nm)
의 빛에 2시간동안 노출되어 약 40∼65분 상(
phas
e)이 이동했다고 나타냈

33)C Caj
oche
ne tal
, Hi gh s
ens
iti
vit
y ofhuman mel
atoni
n,al
ert
nes
s,t
her
mor
egul
ati
on,and he
artr
atet
o
s
hor
twavelengt
hlight
,JCl i
nEndocrinolMe
tab,2
005
34)SW Loc kle
ye tal
.
,Hi gh s
ensi
ti
vit
y oft he human c
irc
adi
an me
lat
oni
nrhyt
hm t
ore
set
ti
ng by s
hor
t
wave
lengt
hl i
ght
,JCli
nEndocri
nolMe t
ab,2003

- 19 -
다35).이를 통해 라이트 테라피 관점에서 환자들을 대상으로 빛 치료가 연구되었으며,
빛은 우울치료 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나타냈다.따라서 본

연구는 LED 조명기구의 색온도 변화에 따른 분광분포를 측정하여 일주리듬에 영향


을 주는 단파장대영역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그리고 실제 LED 조명기구를 적용
한 공간에서 색온도 차이에 따른 재실자의 멜라토닌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35)Hel
enR.Wr i
ghtetal.
,Dif
fere
nti
ale
ffe
ctsofl
ightwave
lengt
hinphas
eadvanc
ingt
heme
lat
oni
nrhyt
hm,
J
our
nalofPi
nealRe
searc
h,2004

- 20 -
연구단계 주제 연구내용

- 시각 및 비시각적 수용경로를 분석
빛의 수용 - 빛의 노출을 통한 시각적/비시각적 영향을 분석
- 대부분의 빛을 수용하는 안구의 노화로 인한 수용영향 분석

- 빛을 통해 일주리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연구가 수행


- 라이트 테라피와 관련된 선행문헌을 조사하여 키워드 정리
- 일주리듬과 관련된 환자(AD환자, SAD환자, SWD환자, 우울증상
라이트 테라피
환자)를 대상으로 빛의 노출에 따른 치료효과를 분석
- 시차를 적응하기 위한 빛의 세기 및 노출 시기에 따른 적응시간
분석

선행연구

- 일주리듬에 영향을 주는 빛의 영향과 관련된 선행문헌을 조사하


여 키워드 정리
- Circadian phase를 이동시키기 위한 밝은 빛의 노출 및 영향
분석(멜라토닌 억제 및 체온을 통해 분석)
- 빛의 세기 및 노출기간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비교적 밝기가
빛의 특성 낮은 빛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최소한의 노출기간 예측)
- 빛의 파장에 따른 일주리듬의 영향정도 분석
- Light box를 이용하여 색온도 차이(4,000K, 8,000K)에 따른
일주리듬의 영향정도 분석
- 형광등이 설치된 실제 공간에서 색온도 차이(4,000K, 17,000K)에
따른 일의 능률 분석

- 시각 및 비시각적 수용경로가 다르며 동일한 빛환경에서도


빛의 수용
연령대에 따라 수용정도가 다름.
- 환자를 대상으로 일주리듬을 유지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
선행연구 라이트 테라피
으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라이트 테라피 연구는 미비한 실정
종합
- 빛의 세기 및 파장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이루어 졌으나 실제
빛의 특성 공간에 일주리듬이 고려된 LED 조명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

- 연령대에 따른 빛의 수용차이를 고려하여 비슷한 연령대(20~


30대)를 선정
- 주거환경에 재실자의 일주리듬을 고려한 LED 조명시스템을
시사점 본 연구의 방향
적용하기 위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계획 설정
- 빛의 파장에 중점을 두어 LED 조명기구가 설치된 실제공간에서
색온도에 따른 멜라토닌 변화를 분석

- 21 -
2.조명의 이론적 고찰

2.
1조명의 요소

2.1조도36)
1.

조도는 단위면적에 입사하는 광속으로 정의하며 단위는 룩스(


lux)
이다.1㎡의 면적
에 입사하는 광속이 1루멘일 때,조도가 1룩스가 된다.다시 말해서 조도는 입사하는
빛의 면적밀도를 뜻하는 것이다.또한 조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므로


거리 역제곱의 법칙’
을 따른다.
조도는 조명설계의 양적 기준으로 사용된다.국가나 조명과 관련되 단체에서 규정
하는 이러한 양적 기준을 권장조도기준이라고 한다.우리나라는 한국산업규격으로 조

도기준을 정하고 있다.조명의 조도는 전기에너지의 사용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


에 한 국가의 권장조도기준은 그 나라의 경제적 여건이나 에너지의 수급상태 등에 따
라 결정된다.

2.2색온도37)
1.
광원의 광색을 수치로 나타내는 데는 색온도(
col
ort
empe
rat
ure
)를 사용하고 단위로

는 켈빈(
Kel
vin)
을 사용한다.색온도는 광원의 색감을 수적(
數的)
으로 표시하는 방법
으로서 흑체(
黑體)
의 온도로 나타낸다.흑체는 입사한 방사를 완전히 흡수하는 온도방
사체를 뜻하며,흡수능(
吸收能)
이 100%인 완전흑체는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이

것에 가까운 물체를 이용하여 흑체실험을 한다.


쇳덩이를 달구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쇠의 색깔이 변화하듯 흑체도 온도가 높아지면
흑색→빨강→주황→백색→연청→진청색 순으로 색깔이 변한다.즉,어떤 광원이 가시

36)김홍범,전시조명,현대건축사,2
004
37)기유경,조명,기다리출판사,200
9

- 22 -
광선을 내며 빛나고 있을 때 그 색이 어떤 온도의 흑체가 복사하는 색과 같아 보일 경
우가 있다.그때의 흑체 온도를 색온도라고 한다.

<그림 2-1> 흑체궤적 위의 등색온도선

2.
1.
3연색성
나트륨램프가 설치되어있는 터널을 통과하며 입고 있던 옷의 색깔이 달라보였던 경

험이 있을 것이다.연색성(
col
orr
ende
ring)
이란 광원에 의해 물체를 비추었을 때 그
물체의 색이 어떻게 보이냐를 결정하는 광원의 성질을 말한다.같은 대상의 색이라도
광원에 따라 색은 다르게 보인다.

이처럼 빛의 분광특성이 색의 보임에 미치는 효과를 연색성이라고 하며 연색성을


수치로 표시한 것을 연색지수(
CRI
,col
orr
ende
ring i
nde
x)또는 평균연색평가지수
(
Ra,ge
ner
alc
olorr
ende
ringi
nde
x)라고 한다.이것은 자연광에서 본 사물의 색과 특

정 조명에서의 경우가 어느 정도 유사한가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측정한 광원이 기


준광원과 같으면 Ra100으로 나타나고 색차이가 클수록 Ra값이 작아진다.즉,지수가
100에 가까울수록 기준광원과 가까워져 연색성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 23 -
<그림 2-2> 광원의 차이(LED, 형광등, 백열등)에 따른 연색성 비교

2.4분광분포38)
1.

각 파장에 대해 단위 파장당의 방사량과 파장과의 관계를 말한다.방사량으로서 절


대값을 취할 경우는 분광 조성이라고도 하며 상대 값을 취할 경우는 상대 분광 분포
또는 단순히 분광 분포라 하는 경우도 있다.상대 값의 경우 광원의 분광 분포는 일반

적으로 파장 560㎚에서 수치 100.


00으로 규격화하는 것이 습관으로 되어 있다.

<그림 2-3> 광원(백열등, 형광등, 메탈할라이드)에 따른 분광분포 비교

38)광용어사전편찬회,광용어사전,일진사,20
05

- 24 -
2.
2생체리듬과 조명

2.
2.
1생체리듬
생물이 생득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율적인 생물활동의 주기적 변동을 생체리듬이라
고 한다.생체리듬은 1일 이상의 긴 주기인 인프라디안 리듬(
Inf
radi
anr
hyt
hm)
과 1일

이하의 짧은 주기인 울트라디안 리듬(


Ult
radi
an r
hyt
hm)
으로 나눌 수 있다(
강영희,
2008)
.그리고 인프라디안 리듬은 약 1일 주기의 일주리듬(
Cir
cadi
anr
hyt
hm)
,약 1개
월 주기의 월주리듬(
Cir
cat
rigi
ntan r
hyt
hm)
,약 1년 주기의 연주리듬(
Cir
cannual

r
hyt 으로 나누어지며39),이와 같은 리듬은 생물 개체의 활동성 리듬을 나타낸다.
hm)
생체리듬은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인 요인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외부적 요인
은 대표적으로 빛의 노출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있으며,내부적인 요인은 호르몬 분

비,허기,기분,체온 등이 있다40).

2.
2.
2일주리듬

생체리듬 중 1일주기를 갖는 리듬을 일주리듬이라 한다.인체의 내부적인 요인들은


대부분 약 1일의 주기를 갖는다.즉,호르몬 분비나 체온,요생성 현상 등은 일주리듬
과 비슷한 사이클을 갖게 된다.또한 일주리듬과 내부적인 요인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관계의 균형이 깨지면 무기력과 근심,신경과민,식이의 변화 등의 증세를 보


인다.
생체리듬은 진동으로 간주되어 최소 단위를 사이클,그 시간적 길이를 주기,진폭정

점을 나타내는 시간적 위치를 정점위상 등과 같이 표현한다.다음 그림 2-4는 시간에


따른 진동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41).인간의 체내변화에 대한 4가지 리듬을 나타낸
39)채범식,김을상,영양학사전,아카데미서적,1
998
40)Wal
terPi
erpaol
i,Wi
ll
iam Re
gel
son,기적의 멜라토닌 요법,세종서적,1
996
41)Cajoc
hen,C,,EEG andocul
arc orre
lat
esofcir
cadi
anme l
atoni
nphas
eandhumanpe
rfor
manc
ede
cre
ment
s
dur
ingsle
eploss. Amer
icanjournalofPhys
iol
ogy,199
9

- 25 -
것이며,빛의 반응,각성의 정도,멜라토닌의 분비,체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이처
럼 일주리듬을 대표하는 요소로는 ‘
Sle
ep/
wakec
ycl
e’
,‘Hor
monepr
oduc
tion’
,‘Body

t
empe
rat
ure
’,‘
Hear
trat
e’,‘
Bloodpr
ess
ure
’,‘
Genee
xpr
ess
ion’등이 있다.

<그림 2-4> 시간에 따른 인체의 일주리듬 변화

2.
2.
3멜라토닌
멜라토닌에 대한 연구는 r
adi
oimmunoas
say에 의한 멜라토닌 검출기술이 발전된 후

부터 활성화되었다.주로 정동장애나 수면과 관련된 연구가 시행되었으며,정신분열


증에서의 멜라토닌에 관한 연구도 일부 이루어졌다.생체리듬을 대표하는 멜라토닌은
산화 방지,노화 억제뿐만 아니라 사이토카인 생성을 증진시켜 면역계 강화기능이 있

다.또한 멜라토닌은 대사 활동에 영향을 주고 많은 내분비 조직들과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성장호르몬 분비조절 역할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고 있다.

- 26 -
2.
2.
3.
1생화학적 멜라토닌
멜라토닌은 시교차상핵(
SCN)
에서 분비를 주관하며 송과체에서 분비되는 신경호르

몬으로 생리기능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멜라토닌 형성에 관여하는 효소는


SNAT와 HI
OMT가 있으며,두 효소 중 SNAT의 작용이 멜라토닌 합성에 중요하다
고 확인되었다42).SNAT는 빛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분비되는데 이러한 영향으로 멜

라토닌의 분비량이 낮에는 저조하고 밤에는 높은 일주기 양상을 나타낸다.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은 pi
neal
ocyt
e에서 합성되는데 멜라토닌의
합성과 분비는 be
ta1-adr
enor
ece
ptor
의 통제를 받으며 동물실험에서는 빛의 영향이

r
eti
nopi
neal pat
hway를 통하여 전달된다고 알려졌다43). 사람도 이와 유사한
r
eti
nos
upr
achi
asmat
icpat
hway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멜라토닌의 생성은
주기성이 있으며,정상인의 주간 혈중 멜라토닌은 r
adi
oimmunoas
say에서 검출되지

않을 만큼 적은 양이며(
>5pg/
ml)
,야간 혈중 멜라토닌은 대부분 25∼125pg/
ml정도가
검출된다고 한다.
이렇게 합성된 멜라토닌은 체순환을 통하여 표적세포로 운반되며,혈액에서 순환하

는 멜라토닌의 약 70%가 al
bumi
n과 결합한 상태로 존재한다.또한 시차이동시 멜라
토닌 생산의 주기성이 상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42)한상진,인위적인 계절적 광주기에서 쥐에 나타나는 멜라토닌 분비양상과 정소크기변화 조사,Envi


ronme
ntal
Toxi
col
ogy,20
03
43)김지웅,김찬형,멜라토닌과 정신분열증,생물치료 정신의학,199
7

- 27 -
<그림 2-5> 빛에 반응하는 뇌의 시교차상핵(SCN)

멜라토닌의 분비에 관여하는 송과체는 빛과 자기장을 감지하여 생체의 일주리듬에

영향을 주는 기관이다.즉,일주리듬에 관여하는 체내시계가 송과체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다.따라서 멜라토닌의 분비는 일주리듬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송과체에 영향
을 주는 요소인 빛이 일주리듬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따라서 적절한 시간에

빛의 노출은 일주리듬을 조절하여 시차적응 및 수면장애,계절적정서장애(


Seas
onal
Af
fec
tiveDi
sor
der
)등의 치료수단으로 사용된다.
멜라토닌은 쌀,시리얼,허브,와인 등의 식물 또는 동물 등에서 발견된 성분으로 식

물에서 추출된 멜라토닌은 생리적 역할에 대한 반응 조절 및 환경변화에 대한 일련의


방어기작 및 항산화 효과 등의 기능이 있다44).일반적으로 동물의 경우 멜라토닌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두뇌에 있는 수용체를 멜라토닌에 바인딩 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멜라토닌 신호는 화학적으로 졸음을 유발하고 체온을 낮추는 특성으로 인해 수면
및 각성주기를 조절하는 시스템을 주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또한 멜라토닌의 신

체대사 경로는 90%가 간을 통해 이동하며 소량은 소변으로 배설되고,일부는 타액에


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44)김동엽,정맹준,이철재,멜라토닌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한국산업응용학회 논문집,201


2

- 28 -
2.
2.
3.
2멜라토닌의 기능
멜라토닌은 단순히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이라고 정의할 수 없다.멜라토닌은 인

체의 뇌와 몸을 보호해주는 기능을 한다.항산화물질들의 수요가 높아지는 이유는 자


유 라디컬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45).멜라토닌도 항산화물질 중 하나로써
자유 라디컬을 붙잡으면 몸속에서 분리시키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뇌와 혈관 그

리고 세포 사이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능력까지 갖춰 적은 양으로도 뇌의 신경


들을 보호하고 심장을 비롯한 몸 전체의 파수꾼 역할을 한다.
실험쥐를 대상으로 멜라토닌으로 인해 실험쥐의 수명을 최대 20% 연장한 결과도

있으며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적절한 멜라토닌 섭취로 인한 농도 증가는 폐경시기


를 늦춘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이로 인해 생명연장으로써 멜라토닌의 영향을 연구
하는 실험이 늘고 있다.

멜라토닌은 성장호르몬 분비 조절에 관여한다고 나타냈다46).성장호르몬은 글루코


스와 아미노산의 이용을 감소시키고,지방산의 이용을 증가시켜 세포막을 통한 아미
노산의 수송과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며 뼈와 연골조직을 성장시키는 등 신체의 성장

에 주로 관여하는 호르몬이다.멜라토닌과 성장호르몬에 관한 연구에서 소량의 멜라


토닌 구강 투약(
2mg)
은 성장호르몬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많은 양(
1g)
의 구강
투약은 성장호르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성장 호르몬 및 면역계에 관여하는 멜라토닌은 빛이 노출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


에 빛을 통한 개선 및 영향연구에 대한 선행연구가 수행되었다.조류를 대상으로 육계
나 산란계의 능력 개선을 위한 광주기연구가 진행되었다47).인공점등에 의해 조기 산

란유도를 하고 16시간의 광자극으로 초산일령을 단축하였다.또한 육계에서는 광주기

45)김성진,뇌를 보호하는 암흑호르몬 멜라토닌,브레인,2


008
46)이강우,박제영,장기간의 농구 훈련이 여자 대학 농구선수들의 포지션별 신체조성,혈중렙틴,멜라토닌 및 성
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200
7
47)류경선,강창원,혈중 멜라토닌 혹은 에스트로겐과 광주기의 상호작용이 재래닭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199
7

- 29 -
의 형태나 길이에 따라 경골의 강도차이를 보였으며 광주기의 증가로 성성숙 도달일
령이 단축되었다.그리고 사람을 대상으로 야간 교대근무에 의한 건강 악화 및 멜라토

닌의 분비영향을 연구하였다48).2조 1교대 근무 군에서는 출근시가 퇴근시보다 농도


가 더 높았다.그러나 3조 2교대 근무 군에서는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는데,이는 저
녁시간의 빛의 노출로 인한 영향으로 분석하였다.

2.
2.
4빛의 수용
시각적 부분인 추상체와 간상체는 서로 다른 지각 기능을 갖는다.추상체는 빛이 많

은 낮에 사물의 색과 형태를 보는 기능을 하며,간상체는 빛이 적은 밤에 물체의 형태


를 감지한다.또한 빛의 수용세포마다 파장에 따른 감도가 다르다.이로 인하여 낮과
밤에 빛의 파장에 따른 수용도가 달라진다.따라서 시각적인 부분은 명소시와 암소시

로 나누어 나타낸다.
비시각적 부분인 망막신경절세포는 사람의 일주리듬과 관련된 빛의 수용세포이다.
이는 블루 빛의 짧은 파장대에서 민감하다49).다음 그림 2-6은 광수용체의 파장별 상

대적인 반응정도를 나타내며, 암소시(


Scot
opi
c)와 명소시(
Phot
opi
c), 일주리듬
(
Cir
cadi
an)
에 대한 파장별 민감도를 알 수 있다50).일주리듬은 망막신경절세포가 빛
을 수용함으로써 나타나는데,이는 일주리듬에 영향을 주는 멜라토닌의 분비정도에

따라 분석된 결과이다.따라서 낮과 밤,시각과 비시각부분에 따라 빛의 파장별 감도


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8)정경숙,안연순,야간 교대근무 전후 소변 멜라토닌 대사산물 비교,대한직업환경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
1
49)Smith MR etal,Phas
e advanc
ing t
he human c
irc
adi
an c
loc
k wi
th bl
ue-e
nri
che
d pol
ychr
omat
icl
ight
,
Sl
eepMedi
ci
ne,2008
50)PL Turne
re tal
,Ci r
cadi
an Phot
ore
cept
ion:Age
ing and t
heEye
'sI
mpor
tantRol
ein Sys
temi
cHe
alt
h,
Br
it
ishMedic
alJ
ournal
,2008

- 30 -
<그림 2-6> 파장에 따른 광수용 그래프

- 31 -
I
II.일주리듬을 고려하기 위한 LED 조명기구

기초연구

1.실험의 개요

실내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에게는 균일한 조명환경으로 인해 인간의


일주리듬에 혼란을 준다.특히 빛이 세기가 클수록 400〜500nm의 단파장대를 많이
갖고 있을수록 영향이 크다.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형광등을 대상으로 색온도별 멜

라토닌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단파장의 비율이 약 10% 증가하면 멜라토닌 분비가 기


존보다 30%이상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현재 일주리듬을 고려하여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명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 졌지만,빛의 단파장을 고려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빛의 단파장을 대상으로 빛의 세기뿐만 아


니라 빛의 파장도 고려하여 일주리듬에 더 효율적인 조명환경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Whi
te와 RGB LED 소자를 대상으로 단파장 비율이 가장 낮은 조

합과 가장 높은 백색광의 조합을 제시하고자 한다.또한 일반적인 조명환경에 사용되


는 4500K의 단파장 비율을 비교하여 위에서 제안한 LED 소자 조합이 일주리듬에 영
향을 주는지 선행연구를 토대로 비교‧분석한다.

- 32 -
2.측정의 개요

본 연구는 Whi
teLED 2700K,6000K소자 그리고 RGB LED를 포함한 조명기구를
대상으로 LED 소자 조합에 따른 분광분포를 측정하였다.본 연구에 사용된 제어소
프트웨어의 조광단계조절은 총 256단계로 수행하였으며,다음 표 3-1은 조명기구 및

측정 장비의 개요를 나타낸 것이다.

<표 3-1> 조명기구 및 측정 장비 개요

항목 내용

- S사, LED, 40W급(72EA), 24V(DC), 2700K


측정램프 - S사, LED, 40W급(72EA), 24V(DC), 6000K
- S사, RGB LED, 40W급(36EA), 24V(DC)

- 광원색채색차계 : Minolta CL-200


측정장비 - 분광계 : LOE-MMS1
- 조광제어소프트웨어 프로그램

LED 조명기구 LED 소자배열 (1) LED 소자배열 (2) 분광계

조광제어소프트웨어 광원색채색차계 분광측정 실험 구성도

- 33 -
분광계를 이용하여 LED 소자조합에 따른 분광분포를 측정하였다.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채 조명기구의 정중앙을 측정하였다.다음 그림 3-1은 LED 조명기구에 구성

된 각각의 소자 측정값을 나타낸 것이다.

2
800
K 6
000
K Re
d Bl
ue
CCT 2
825
K 6
060
K - -
CRI 85 81 - -
(
x,y) (
0.45
,0.
41) (
0.3
2 ,
0.
35) (
0.56
,0.
31) (
0.1
7,0.
08)

<그림 3-1> LED 조명기구 측정값

Whi
te와 RGB LED 소자의 조합을 통하여 조도는 약 400l
x로 유지하고,백색광 범
위의 색온도를 구현하였다. 백색광 범위는 ANSI
(Ame
ric
a Nat
ional St
andar
d

I
nst
it
ute
)에서 정의한 백색광 범위의 색온도로써 색좌표(
x,y)값에 의해 좌우된다.
본 연구는 분광계를 통해 측정된 색좌표(
x,y)
를 토대로 백색광 여부를 판단하였다.
또한 2,
800K와 6,
000K,Re
d소자,Bl
ue소자를 섞어 2500〜6900K의 색온도를 구현하되

백색광에 해당되도록 소자비율을 조정하였다.

- 34 -
<그림 3-2> ANSI(America National Standard Institute) quadrangles

- 35 -
3.실험 결과

3.
1LED 소자 조합에 따른 분광분포 측정
표 3-2는 2500〜6900K의 색온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LED 소자선택을 나타낸 것이
다.목표색온도가 4,
000K,5,
000K,6,
000K인 경우는 Whi
teLED소자의 비율을 조정하

여 구현하였다.그러나 가장 낮은 목표색온도인 2,
500K와 가장 높은 목표색온도인
6,
900K는 Whi
teLED 조합만으로는 구현할 수 없기 때문에 RGB LED 소자를 섞어
구현하였다.다음 표 3-3은 해당하는 분광분포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표 3-2> 목표색온도를 구현하기 위한 LED 소자선택

목표색온도 측정색온도 측정조도 LED 소자선택

2,500 K 2,500 K 417 lx 2,700K (White LED) + R소자(RGB LED)

4,000 K 4,000 K 394 lx

5,000 K 5,002 K 388 lx 2,700K (White LED) + 6,000 K (RGB LED)

6,000 K 6,000 K 396 lx

6,900 K 6,915 K 398 lx 6,000K (White LED) + B소자 (RGB LED)

- 36 -
<표 3-3> 목표색온도 구현 및 분광분포 측정

목표색온도 측정색온도 측정조도 분광분포

2,500 K 2,500 K 417 lx

4,500 K 4,500 K 394 lx

5,000 K 5,002 K 388 lx

6,000 K 6,000 K 396 lx

6,900 K 6,915 K 398 lx

- 37 -
3.
2단파장 면적 분석

분광 측정을 통해 파장별(
nm)
로 에너지 양(
W/ )
을 알 수 있다.이 자료를 토대로
가시광선 영역인 400〜700nm의 파장을 편집한 뒤,본 연구의 목적인 단파장대 영역
(
400〜500nm)
의 에너지 면적과 전 파장대 영역(
400〜700nm)
의 에너지 면적을 비교하

였다.

<표 3-4> 목표색온도 구현 및 분광분포 측정

전체면적 단파장면적
목표색온도  단파장 면적 비율[%] 색좌표 (x, y)
(
/ ) (
/ )
2,500 K 0.50 0.07 14.4 (0.47, 0.41)

4,500 K 0.50 0.12 24.8 (0.36, 0.37)

5,000 K 0.48 0.13 27.1 (0.35, 0.37)

6,000 K 0.57 0.18 31.2 (0.32, 0.37)

6,900 K 0.50 0.18 35.8 (0.31, 0.33)

단파장의 면적비율은 표 3-4에 표시된 400〜500nm의 면적을 분광분포의 전체면적


으로 나눈 값이다.조도를 유지하였기 때문에 전체면적은 대체적으로 비슷하며,색온

도가 높아질수록 단파장 면적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또한 Whi


teLED 소
자에 Re
d와 Bl
ueLED 소자를 섞었을 경우,기존의 색온도 구현범위보다 넓어지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 38 -
3.
3기존 조명환경과 단파장 면적비율 비교
실내공간에 주로 사용되는 기준색온도인 4,
500K과 RGB LED를 섞어 색온도를 최

소 ‧최대화시킨 2,
500K와 6,
900K을 비교하여 일주리듬에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4500K의 형광등은 제조사 및 모델별로 그 범위가 다양했으나 단파장의 비율이 주로
20〜30% 사이의 값을 나타냈다.따라서 평균값에 가까운 24.
8%의 단파장 면적 비율

을 넣어 비교하였다.

<표 3-5> 4,500K vs. 2,500K, 6,900K의 비교

전체면적 단파장면적
목표색온도  단파장 면적 비율[%] 색좌표 (x, y)
(
/ ) (
/ )
2,500 K 0.50 0.07 14.4 (0.47, 0.41)

4,500 K 0.50 0.12 24.8 (0.36, 0.37)

6,900 K 0.50 0.18 35.8 (0.31, 0.33)

선행연구에 의하여 단파장 면적비율이 10%이상 변화되면 일주리듬을 대표하는 멜


라토닌의 양에 큰 영향을 주는 결과를 나타냈다.따라서 표 3-5의 분석결과는 기준색

온도와의 비율차가 10%이상 나타나므로 일주리듬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


다.

- 39 -
I
V.일주리듬이 고려된 LED 조명기구 적용성 평가

1.실험의 개요

1.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빛을 통해 인간의 일주리듬을 조정하기위한 다양한 선행연구가 진행되었다.일주리

듬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일반적인 조명환경에 상용 불가능한 LED 특수조명을 사


용하거나 형광등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LED 조명환경의 적용성에 한계를
갖는다.

앞서 수행된 일주리듬에 영향을 주는 LED조명기구의 색온도별 단파장 비율 분석을


토대로 색온도 차이에 따라 일주리듬에 주는 영향이 다르다고 판단하였다.그러나 수
행된 연구는 단파장의 비율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결과를 예측했으나,LED 조

명기구를 대상으로 실제 공간에 적용될 때의 일주리듬의 실질적인 영향을 제시할 필


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LED조명기구가 설치된 공간에서 색온도 차이에 따

른 재실자의 일주리듬의 변화를 멜라토닌 호르몬의 양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멜


라토닌은 일주리듬을 대표하는 호르몬 중 하나이며,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피실험자
의 멜라토닌을 채취한 뒤,설정조명환경에 노출되었을 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40 -
1.
2실험 방법
본 연구에서는 LED 조명기구의 특정 조도 및 색온도 구현을 위하여 다양한 측정장

비를 사용하였다.광원색채색차계(
Chr
omame
ter
)는 작업면의 조도를 측정하는데 사
용되었으며,조명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조광제어소프트웨어와 그에 따른 분광분포 및
색온도 측정을 위한 분광계(
Spe
ctr
ome
ter
)를 이용하였다.다음 표 4-1은 사용한 실험

장비를 나타낸 것이다.

<표 4-1> 실험 장비의 개요

항목 내용

- 광원색채색차계 : Minolta CL-200


측정장비 - 분광계 : MCS-600
- 조광제어소프트웨어 프로그램 : ESA (Easy Sand Alone)

조광제어소프트웨어 분광계 광원색채색차계

실험이 수행된 공간은 LED조명기구가 설치된 강의실이며 실험공간에 설치된 평판


LED조명기구는 4가지 소자(
2,650[
K],3,
650[
K],5,
200[
K],6,
600[
K])
로 구성되었다.또

한 암막천을 이용하여 외부 침입광을 차단함으로써 실험 외의 빛의 영향을 최소화하


였다.그리고 조광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3,
000[
K]/400[
lx]
,6,
000[
K]/
400[
lx]
을 구현하
였으며,표 4-2에 조명환경의 개요를 나타내었다.

- 41 -
<표 4-2> 조명환경 개요

항목 내용

조도 400[lx]

색온도 3,000[K], 6,000[K]

3,000[K]

분광
분포

6,000[K]

- 42 -
2.측정의 개요

2.
1피실험자 선정방법
빛환경에 따른 멜라토닌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
을 실시하였다.피실험자에 따른 결과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슷한 연령대의 S

대학교 대학원생 1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흡연 및 흡연습관을 배제하기 위해서 모두 비흡연자로 선정하였다.다음 표 4-3은 피
실험자들의 정보를 나타낸다.피실험자는 남자 5명,여자 5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

자는 M 여자는 W로 임의로 정하여 나타내었다.

<표 4-3> 피실험자 개요

성별 남자(M) 5명, 여자(W) 5명

소속 S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평균 나이 24.8 ± 3.06 세

피실험자 나이 피실험자 나이

M1 31세 W1 24세

M2 28세 W2 22세

M3 27세 W3 22세

M4 26세 W4 22세

M5 25세 W5 21세

- 43 -
2.
1멜라토닌 채취방법
멜라토닌의 분비량 분석은 침(
Sal
iva)
을 통하여 측정되었으며 분석기관의 권고 사

항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아래와 같은 분석기관의 권고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모


든 피실험자에게 권고사항을 인지시켰다.

분석기관의 권고 사항 (
Sal
i
va검체 채취 시 주의사항)
① 검체 채취 1
2시간 전까지 알코올 및 카페인 섭취를 제한한다.
② 검체 채취 1
시간 전까지는 음식을 먹거나,마시지 않는다.

③ 검체 채취 1
0분 전 차가운 물로 입안을 세척한다.
(세척 후 다시 뱉어낸다.
)
④ 구강 내 질환,염증,병변이 있을 시에는 혈액에 의한 오염이 있을 수 있으므로 검체 채
취를 하지 않는다.

⑤ 육안으로 채취한 타액에 붉은색의 혈액이 섞여있는지 확인한다.


(혈액이 섞여있을 경우에
는 재 채취한다.
)
⑥ St
ero
id계 검사를 할 경우는 흐르는 Sa
li
va를 멸균된 t
ube
에 담아 사용한다.

- 44 -
멜라토닌의 분석은 의료재단에 의뢰하여 이루어 졌으며,분석방법은 아래 표 4-4와
같다.침(
sal
iva)
을 통한 멜라토닌 검사법으로 ELI
SA 방법을 선택하였으며,ELI
SA

KI
T를 통하여 검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검사가 진행되었다.또한 사진과 같
은 Mi
cropl
ater
eade
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4-4> 멜라토닌 분석방법 개요

검사명 Melatonin (saliva)

검사코드 K257

검사법 ELISA (Enzyme-LinkedImmunosorbentAssay)

검체보관방법 냉동 (saliva0.3)
1) Kit상품명 Direct Saliva Melatonin ELISA Kit
시약
2) Kit제조사,제조국 Buhlmann, Switzerland
1) 분석기명 Microplate Reader
2) 모 델 명 VERSA Max
3) 제조사,제조국 Molecular device, USA

분석장비

4) 사진

- 45 -
분석기관 권고 사항에 따라 멸균된 튜브에 침을 채취했으며,검체보관은 채취와 동
시에 냉동보관(
-40℃이하)되었다.또한 실험 다음날 분석기관으로 전해져 검체의 결

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최소화 하였다.다음 표 4-5는 검체 전달과정을 나타낸 것이


다.

<표 4-5> 검체 전달과정

1단계 - 멸균튜브 준비(이름, 순서, 날짜표시) 2단계 - 채취

3단계 - 냉동보관 4단계 - 배송

- 46 -
일일 설문조사를 통하여 음식물 섭취 및 생활패턴의 정보를 수집하였다.설문지는
다음 그림 4-1과 같다.실험이 이루어지는 12시간 전부터는 알코올 및 카페인 섭취를

제한하였으며,18일간의 일일설문조사를 통해 실험 2일 전부터는 모든 피실험자가 알


코올을 자제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카페인 섭취는 2잔 이상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나서 섭취로 인한 실험 결과의 오류를 최대한 제어하였다.

<그림 4-1>기초자료 수집에 관한 설문지

- 47 -
2.
3실험 디자인
본 연구는 설정된 조명환경(
3,000[
K]/400[
lx]
,6,
000[
K]/
400[
lx]
)아래서 실험을 진행

하여 피실험자의 멜라토닌 분비량을 분석하고자 한다.멜라토닌 호르몬은 저녁시간에


집중적으로 분비되므로 실험시간은 21:
00〜02:
30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의 디자인은 4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하루에 한 실험씩 총 4일 수행되었

다.또한 선행된 실험으로 인한 피실험자의 일주리듬 변화를 고려하여 7일 간격을 두


어 실험을 진행하였다.다음 그림 4-2는 전체적인 실험 디자인을 나타낸 것이며 침의
채취는 실험 당 4번씩 이루어졌다.그리고 실험 1,2,3은 실험시간동안 각성상태를 유

지하고 실험 4는 3시간동안 각성 후 수면을 취하였다.

21:00 22:00 23:00 24:00 01:00 02:00 02:30

4,500K, 4,500K, 4,500K,


실험 1 실험안함 채취 채취 채취 채취
10lx 10lx 10lx
4,500K,
실험 2 실험안함 채취 채취 6,000K, 400lx 채취 6,000K, 400lx 채취
10lx
4,500K,
실험 3 실험안함 채취 채취 3,000K, 400lx 채취 3,000K, 400lx 채취
10lx

룹 채취 6,000K, 400lx 채취 6,000K, 400lx 채취 sleep 채취

1
험 그
4 룹 채취 3,000K, 400lx 채취 3,000K, 400lx 채취 sleep 채취
2

<그림 4-2>실험 디자인

실험 1은 피실험자의 멜라토닌 분비여부와 분비패턴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디자인으

로 di
mli
ght
(4,
500[
K]/10[
lx]
)의 환경에서 침을 채취하였다.실험은 24시부터 2시 30
분까지 진행되었으며 실험 시간동안은 책읽기,음악듣기,대화하기 등 공간 안에서 빛
에 영향을 받지 않는 행위는 모두 허용하였다.

실험 2와 3은 LED 조명기구의 색온도 차이에 따른 멜라토닌 분비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23시부터 2시 30분까지 진행되었다.실험 2와 3은 설정조명환경을 각

- 48 -
각 3,
000[
K]/
400[
lx]
,6,
000[
K]/
400[
lx]
로 다르게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실험 디자인
은 1시간 동안(
23:
00〜24:
00)di
mli
ght
(4,
500[
K],10[
lx]
)의 환경을 조성한 뒤,24시부

터 설정조명환경으로 변화시켜 주었다.따라서 실험 2와 3의 실험은 동일한 시간대에


서 동일한 조도아래 다른 색온도의 LED 조명에 노출되었을 때의 멜라토닌 변화를 비
교하고자 하였다.

실험 4는 실험 2와 3에서 구현한 LED 조명환경이 실제 주거공간에 적용될 것을 고


려한 실험디자인으로써 빛의 노출 시간을 저녁시간대(
21:
00〜24:
00)
로 설정하였다.또
한 피실험자를 각각 5명씩 Gr
oup1과 2로 나누어 서로 다른 조명환경에서의 멜라토닌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빛의 노출시간은 피실험자들이 작성한 일일체크를 토대로


취침하기 전 3시간으로 설정하였으며,Gr
oup1은 3시간(
21:
00〜24:
00)
동안 실험 2와
같은 환경인 3,
000[
K]/
400[
lx]
에 노출되고 Gr
oup2는 3시간(
21:
00〜24:
00)
동안 실험 3

과 같은 6,
000[
K]/
400[
lx]
의 환경에 노출되었다.따라서 모든 피실험자는 21시부터 3시
간동안 빛에 노출되었으며,24시부터 2.
5시간동안 수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수
면을 취하였다.다음 표 4-6은 4가지 실험의 조명환경을 나타낸 것이다.

- 49 -
<표 4-6>각 실험의 조명환경

실험 1 실험 2

실험 3 실험 4

- 50 -
또한 호르몬은 빛환경뿐만 아니라 온열환경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선행연구에 따
르면 온도는 29℃에서 24℃까지 온도를 하강시켰다가 피부온도 및 심부온도를 고려하

여 26℃까지 서서히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쾌면에 유리하고51)습도는 50%RH의 중


립에서 수면의 질이 좋다고 나타냈다52).따라서 수면을 대표하는 멜라토닌은 온습도
에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의 쾌적성을 고려하여 출입문

의 개폐를 통해 온도는 25∼28℃를 유지하고,습도는 25∼40% RH를 유지하였다.다


음 표 4-7은 30분 간격으로 측정한 온습도를 나타낸다.실험디자인에 따라 실험이 진
행되지 않은 시간은 ‘
-’로 나타냈다.

<표 4-7>각 실험의 온열환경

실험 1 실험 2 실험 3 실험 4
측정시간 / 온습도 온도 습도 온도 습도 온도 습도 온도 습도
21:00 - - - - - - 26.1 30
21:30 - - - - - - 26.4 31
22:00 - - - - - - 26.5 30
22:30 - - - - - - 26.7 29
23:00 25.4 31 24.7 40 25 33 27.1 29
23:30 25.6 38 25.3 42 26.5 37 27.1 28
24:00 26.2 39 25.8 43 27 37 26.8 29
24:30 26 39 26.2 43 27.1 37 - -
01:00 26.3 37 27.1 44 27.5 36 - -
01:30 26.3 37 27.3 44 27.7 36 - -
02:00 26.5 36 26.9 43 27.8 38 - -
02:30 26.6 36 26.7 43 28 35 25.4 29

51)신효준 외 4
,쾌적제어를 위한 수면 초기 실내 온도 변동이 인체 생리에 미치는 영향,한국동력기계공학회지,
200
7
52)K Tsuzukie
tal,Ef
fec
tsofhumidhe
ate
xpos
ureons
lee
p,t
her
mor
egul
ati
on,me
lat
oni
n,andmi
croc
li
mat
e
,Jour
nalofThermalBi
ol
ogy,2004

- 51 -
3.실험결과

3.
1실험 1의 결과

3.
1.
1멜라토닌 분비여부 및 절대량 분석

결과에 의하면 피실험자 모두 멜라토닌이 분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멜라


토닌 분비량이 일부 측정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였다.그 원인으로는 분석에 사용된
장비가 일정한 수치(
858.
5pg/
ml)이상의 값이 나오게 되면 그 수치를 측정할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실험 1에서 피실험자의 멜라토닌 절대량을 분석하였다.멜라토닌 절대량은 피실험
자마다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피실험자 중 네 번의 측정결과가 모두 10pg/
ml

이하의 값을 나타낸 경우도 있었으며,모두 70pg/


ml이상의 값을 나타낸 경우도 있었
다.따라서 절대량의 비교는 동일 피실험자인 경우에는 가능하지만 다른 피실험자와
의 비교는 의미가 없다고 판단되어 개개인의 멜라토닌 최대 분비량을 1로 하여 표

4-8에 상대그래프로 나타내었다.그리고 상대그래프 아래에 실험 스케줄(


Diml
ight
)
을 간단히 나타내었으며 일부 측정 값이 나오지 않은 피실험자를 제외하고 분석하였
다.그러나 M2와 M4의 경우는 4회 중 1회의 값이 나오지 않았으므로 전후 값을 이용

하여 선형으로 보간 한 후 점선의 형태로 그래프에 나타냈다.


멜라토닌 양은 N의료재단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호르몬 분석을 하기 위한 방법으
로 침,혈액,요검사 등이 있지만 본 연구는 침을 통한 방법을 선정하였다.본 연구에

서 선정한 ELI
SA 분석은 가이드라인에 의해 기계적오차(
CV%)
가 15%이내라고 정의
하고 있다.따라서 상대그래프에 결과 값에 대한 오차범위도 나타냈다.

- 52 -
<표 4-8> 멜라토닌 분비결과 (실험 1)

피실험자 상대 그래프 피실험자 상대그래프

M1 W1

M2 W2

M4 W4

M5 W5

- 53 -
3.
1.
2멜라토닌 분비패턴 분석
분비패턴은 피실험자에 따라 다양한 경우를 나타내었다.24시 이후로 멜라토닌이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대부분의 남성 피실험자들은 일부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이 결과는 피실험자들이 빛에 노출되고 각성상태로 유지되었기 때문에 순
간적으로 멜라토닌의 양이 감소한 것이라고 사료된다.그러나 표 4-6에서 알 수 있듯

이 여성 피실험자의 경우는 W4를 제외하고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세 번째 측정인 1시 45분 이후로는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 54 -
3.
2실험 2& 3의 결과

3.
2.
1색온도 차이에 따른 멜라토닌 억제 영향 비교
실험 2와 3은 색온도 차이에 따른 멜라토닌 분비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표 4-9와

같은 설정조명환경으로 변화시켰다.같은 시간대의 다른 조명환경으로 인한 멜라토닌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표 4-9> 실험에 따른 조명환경(실험 2 & 3)

색온도 조도 조명환경

실험 2 6,000 [K] 400 [lx]

실험 3 3,000 [K] 400 [lx]

다음 표 4-10은 실험 2와 3의 결과 값을 상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그래프 아래


에 간단한 실험 스케줄을 나타냈으며 결과 값이 나오지 않은 경우는 선형으로 보간하
여 점선으로 나타내었다.또한 W5는 실험 3에 참여하지 못하여 실험 2(
6,000[
K])

상대그래프만 나타내었다.

- 55 -
<표 4-10> 멜라토닌 분비결과(실험 2 & 3)

피실 피실
분포 그래프 분포 그래프
험자 험자

M1 W1

M2 W2

M3 W3

M4 W4

M5 W5

- 56 -
실험 2와 3은 설정조명환경으로 변화시킨 24:
00〜1:
15구간과 1:
15〜2:
30구간으로
나누어 기울기를 분석하였다.이 기울기는 시간에 따른 멜라토닌 분비의 변화정도를

알 수 있으며 기울기가 완만할수록 멜라토닌 분비가 더 많이 억제된다는 것을 나타낸


다.실험 2의 부재로 비교가 불가능한 W 5와 분비 패턴이 다른 피실험자들의 경향과
모두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는 W 2를 제외하고 8명을 비교하였다.

높은 색온도일수록 멜라토닌의 분비가 억제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높은


색온도인 6,
000[
K]의 기울기가 3,
000[
K]의 기울기보다 더 완만할 것이라고 예상하였
다.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24:
00〜1:
15구간에서는 피실험자의 75%,1:
15〜

2:
30분 구간에서는 피실험자의 50%가 6,
000[
K]의 기울기에서 3,
000[
K]의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한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대다수의 피실험자는 6,
000[
K]조명환경
에서 3,
000[
K]에 비해 멜라토닌의 억제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2.
2실험 1vs
.실험 2& 3의 결과 비교
실험 1은 di
mli
ght
의 환경에서 진행된 실험으로 실험 2와 3의 대조군으로 사용될

수 있다.따라서 실험 1,2,3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실험 1과 실험 2,3의 멜라토닌 절


대 값을 비교하였다.실험 1과 비교하여 실험 2와 3은 조도 차이가 존재하므로 빛으로
인한 멜라토닌의 영향을 알 수 있다.실험 1의 결과 값이 나오지 않은 2명(
M 3,W 3)

과 실험 3의 부재로 비교가 불가한 1명(


W5)
을 제외한 7명의 멜라토닌 절대 값을 비교
하였으며,그 결과를 다음 표 4-11에 대소 관계로 나타냈다.

<표 4-11> 멜라토닌 절대값 비교(실험 1 vs. 실험 2, 3)

대소 관계 피실험자 수
실험 1 > 실험 2, 3 5명(M1, M2, M4, M5, W2)
실험 3 > 실험 1 > 실험 2 2명(W1, W4)

- 57 -
2시 30분에 측정된 멜라토닌 절대 값을 비교한 결과,7명 중 5명은 실험 1의 멜라토
닌 양이 실험 2와 3의 값보다 높았고 나머지 2명은 실험 2와 3의 중간 값을 나타내었

다.이 결과는 7명 중 약 71.


4%에 속하는 5명이 빛에 의해서 멜라토닌의 양이 억제된
것을 알 수 있다.

- 58 -
3.
3실험 4의 결과

3.
3.
1수면시간 동안의 멜라토닌 분비변화분석
실험 4는 3시간(
21:
00〜24:
00)
동안 그룹별로 서로 다른 조명환경에 노출시킨 뒤 2.
5
시간(
24:
00〜02:
30)
동안 수면을 취하게 하여 수면시간 동안에 멜라토닌의 변화를 비교

하고자 하였다.다음 표 4-12는 실험 4의 조명환경을 나타내었으며,표 4-13은 실험 4


의 멜라토닌 결과 값을 Gr
oup1과 2로 나누어 24시와 2시 30분 사이의 증가량을 계산
하였다.

<표 4-12> 실험 4의 조명환경

실험 4 색온도 조도 조명환경

그룹 1 3000 [K] 400 [lx]

그룹 2 6000 [K] 400 [lx]

- 59 -
<표 4-13> 멜라토닌 분비결과(실험 4)

멜라토닌 절대값(pg/ml) 증가 비율
   
실험 4 피실험자 24 : 00 am 02 : 30 am 
  
M1 51.6 74.2 1.44
M4 15.7 24.8 1.58
G1 W1 65.5 65.5 1
3,000[K] W2 41.4 75.9 1.83
W4 56.2 46.5 0.82
평균 - - 1.46
M2 46.6 46.6 1
M3 1.8 30.5 16.94
G2 M5 32.2 45.2 1.40
6,000[K] W3 75.5 100.1 1.33
W5 20.2 34.8 1.72
평균 - - 1.36

평균적인 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피실험자 2명(


M3,W4)
을 제외하고 수면시간
(
24:
00〜02:
30)
동안의 멜라토닌 증가량을 분석하였다.Gr
oup1의 경우는 평균적으로
24시의 결과 값보다 2시 30분의 결과 값이 약 46%정도 증가하였고,Gr
oup2의 경우

는 평균적으로 약 36% 증가하였다.피실험자들은 빛이 없는 공간에서 취침을 하였기


때문에 두 그룹 모두 멜라토닌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멜라토닌의 증가량은
Gr
oup1이 Gr
oup2보다 약 10% 크게 나타났다.따라서 각성상태일 때(
21:
00〜24:
00)

의 빛의 노출은 색온도가 높을수록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3.
2실험 2& 3vs
.실험 4의 결과 비교

실험 2와 실험 4의 Gr
oup2,실험 3과 실험 4의 Gr
oup1의 결과 값을 비교하여 같은
조명환경이지만 다른 시간대에 노출된 실험을 비교하고자 한다.다음 표 4-14는 비교
되는 실험의 개요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 60 -
<표 4-14> 실험에 따른 조명환경(실험 2, 3 vs. 실험 4)

색온도 조도 조명환경

실험 2
vs.
6,000 [K] 400 [lx] vs.
실험 4
(그룹 2)

실험 3
vs.
3,000 [K] 400 [lx] vs.
실험 4
(그룹 1)

실험 2와 실험 4의 Gr
oup2,실험 3과 실험 4의 Gr
oup1의 결과 값을 비교하여 표
4-15에 나타냈다.결과 값이 없어 비교가 불가능한 피실험자(
M2,W1,W5)
를 제외하
고 분석하였다.실험 2와 실험 4의 Gr
oup2의 경우,2시 30분 일 때 멜라토닌의 양은

모두 실험 2의 값이 크게 나왔다.그리고 실험 3과 실험 4의 Gr
oup1의 경우,피실험
자의 75%가 실험 4의 Gr
oup2의 값이 크게 나왔다.
즉,색온도가 6,
000[
K]인 환경에서 새벽시간대(
24:
00〜02:
30)
에 각성상태로 직접 빛

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보다 저녁시간대(


21:
00〜24:
00)
의 빛의 노출이 멜라토닌 억제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또한 색온도가 비교적 낮은 3,
000[
K]인 환경에
서는 수면 중의 멜라토닌 분비에 영향이 크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15> 멜라토닌 절대값 비교 (실험 4 vs. 실험 2, 3)

대소 관계 피실험자 수
실험 2 > 실험 4 (Group 2) 3명 (전체 3명)
실험 4 (Group 1) > 실험 3 3명 (전체 4명)

- 61 -
V.결 론

1.연구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일주리듬을 고려한 LED 조명환경의 구현을 위하여 LED 조명기구

기초연구와 임상실험을 통한 적용성 평가로 구분하여 각각 실험을 수행하였다.LED


조명기구 기초연구에서는 일주리듬에 영향을 주는 단파장영역을 중심으로 색온도에
따른 단파장 비율을 분석하였다.임상실험을 통한 적용성 평가에서는 LED 조명의 색

온도 별 멜라토닌 분비영향을 비교하는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1.
1일주리듬을 고려하기 위한 LED 조명기구 연구의 결론

-Whi
teLED 소자에 RGB LED 소자를 조합할 경우,기존의 색온도 구현범위보다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조도를 400l
x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을 때,측정된 분광분포의 전체 면적 에너지

(
W/ )
는 유사한 값을 나타냈으나 색온도 별 단파장 면적 비율은 색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단파장 면적비율이 10%이상 변화되면 일주리듬의 이동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
구 결과를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본 실험의 구현색온도인 2,
500K와 6,
900K은 단파장

의 비율이 각각 14.
4%,35.
8%로 약 21.
4%차이를 보여 일주리듬을 고려한 LED 조명
기구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Whi
te와 RGB가 조합된 LED 조명기구를 대상으로 LED 소자 조합에 따른 단파

- 62 -
장 비율을 기존조명환경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분석 결과,기존 4,
500K에 비교하여
모두 10%이상의 변화율을 보였다.이는 Whi
te와 RGB LED의 조합을 통해 구현한

2,
500K와 6,
900K이 인간의 일주리듬을 고려할 수 있는 백색광 조명환경이라고 제시
할 수 있다.
-Whi
te와 RGB가 조합된 LED 조명기구의 개발은 일몰 후 주거공간에서는 단파장

의 비율을 낮게 하여 빛으로 인한 일주리듬 영향을 최소화하며,교대 근무가 일어나는


일몰 후의 의료공간 및 상업공간에서는 단파장 비율을 높게 하여 일주리듬을 이동시
킬 수 있는 조명시스템계획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사료된다.추후 연구에는 실제조명

환경 구현을 위한 적용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63 -
1.
2일주리듬이 고려된 LED 조명기구 적용성 평가의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재실자의 일주리듬을 고려한 LED 조명환경 구현을 위하여 임상실


험을 수행하였다.비슷한 연령대의 대학원생 10명을 대상으로 LED 조명환경의 노출
시간과 색온도가 다른 조명환경에 따른 멜라토닌 분비변화를 분석하였다.멜라토닌은

일주리듬을 나타내는 호르몬 중하나로써 일주리듬을 대표한다는 이론을 적용한 것이


다.일부 선행연구에서는 형광등을 대상으로 색온도별 멜라토닌의 분비변화를 연구하
였으나,일주리듬을 고려한 LED 조명계획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LED 조명기구를 대

상으로 적용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실험 1의 결과를 통하여 모든 피실험자들은 멜라토닌이 분비되었으며 측정된 멜
라토닌의 절대량과 분비패턴은 피실험자에 따라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호르몬

의 절대량은 개개인마다 차이가 존재하고 피실험자의 고유생활패턴에 따라 호르몬의


주기도 변화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온것이라 사료된다.
-피실험자의 71.
4%는 빛의 노출이 있는 실험 2와 3의 멜라토닌 절대값보다 실험 1

의 절대 값이 더 크게 나타났는데,이 결과는 빛의 노출에 의한 멜라토닌 억제를 알


수 있었다.
-실험 2와 3의 멜라토닌 증가량을 분석한 결과,대다수의 피실험자는 6,
000[
K]조

명환경 일 때 3,
000[
K]에 비해 멜라토닌의 억제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높은 색온도일 때 멜라토닌 억제가 더 크다는 선행논문들의 결과와 동일하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4의 결과를 통하여 6,


000[
K]에 노출된 Gr
oup2가 3,
000[
K]에 노출된 Gr
oup1
보다 수면 중에 멜라토닌 분비량이 약 10% 더 억제되었으므로 저녁시간대의 높은 색
온도 조명의 노출은 수면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2,3,4의 비교를 통하여 높은 색온도(


6,000[
K])
의 경우에는 새벽시간대(
24:
00
〜02:
30)
에 각성상태로 직접 빛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보다 저녁시간대(
21:
00〜24:
00)

- 64 -
에 빛에 노출된 경우가 멜라토닌 억제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저녁시간대의 빛의 노출은 멜라토닌 분비량에 억제요소로 작용하며 수면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높은 색온도의 환경이 낮은 색온도의 환경보다 피실험자의 멜라토닌 억제가 더 크
게 나타난 본 실험의 결과는 형광등이나 LED 특수조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논문

들의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그러나 경향성은 동일하게 나왔지만 램프의 종류에


따라 분광분포가 다르므로 피실험자의 멜라토닌 분비에 영향을 주는 정도는 다를 것
으로 사료된다.따라서 본 연구는 적용성이 증가하고 있는 LED 조명을 대상으로 실

험을 함으로써 생체리듬을 고려한 LED 조명계획에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추후의 연구에는 실제 주거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세분화된 멜라토닌 분석과 조명시스
템제안이 필요할 것이다.

- 65 -
2.향후 연구과제

본 연구는 기존광원인 형광램프를 사용한 적용성 평가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대체광


원인 LED를 적용한 연구와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LED는 기존광원과는 다른 광학
적 특성과 파장분포를 가지고 있으므로 LED를 대상으로 한 적용성 평가는 의미가 있

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본 연구는 일주리듬을 고려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광범위한


실험 디자인과 소수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결과의 타
당성에 한계를 가진다.

임상실험을 통한 적용성 평가실험은 실제 공간에 적용된 LED 조명환경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그러나 4번의 실험디자인으로 구성이 되어있지만 대조군 및 실제 공간에
적용될 것을 고려한 실험디자인도 포함되어 있어 세분화된 디자인이 설계되지 않았

다.따라서 멜라토닌 측정결과는 경향성을 나타내었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세분화


된 분석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비슷한 연령대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이는 연령대 별로

멜라토닌 분비 및 생활패턴이 다를 것이라고 사료되어 비슷한 연령대로 선정한 것이


다.그러나 실제 생활공간에 일주리듬을 고려한 조명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
한 연령대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밖에도 피실험자 생활패턴의 안정화 및 검체처리방법 등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고려해야한다.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피실험자의 생활패턴 및 컨디션제어 하에 다
양한 색온도에 따른 세분화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공간에 따른 재실자

의 생활 스케줄 및 연령대를 고려한 조명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66 -
참 고 문 헌

1) Hugh J. Foley, Margaret W. Matlin, Sensation and Perception, Pearson, 2010


2) FH Zaidi et al, Short-wavelength light sensitivity of circadian, pupillary, and visual awareness in
humans lacking an outer retina, Current Biology, 2007
3) SA Jasser, Dim light adaptation attenuates acute melatonin suppression in humans, British J Biol
Rhythms, 2006
4) K Thapan, An action spectrum for melatonin suppression: evidence for a novel non-rod, non-cone
photoreceptor system in humans, J Physiol., 2001
5) RJ Lucas, characterization of an ocular photopigment capable of driving pupillary construction in mice,
Nature Neuroscience, 2001
6) SB Khalsa, A phase response curve to single bright light pulses in human subjects, The Jounal of
Physiology, 2003
7) DW Rimmer, Dynamic resetting of the human circadian pacemaker by intermittent bright light,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000
8) P L Turner, Circadian Photoreception: Ageing and the Eye's Important Role in Systemic Health,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2008
9) RN Golden, The efficacy of light therapy in the treatment of mood disorders: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videnc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5
10) Y Ohashi, Daily rhythm of serum melatonin levels and effect of light exposure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Biological Psychiatry, 1999
11) S Ancoli-Israel, Effect of light on agitation in institutionalized patients with severe Alzheimer disease,
Am J Geriatr Psychiatry, 2003
12) JS Terman, Circadian time of morning light administration and therapeutic response in winter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2001
13) Y Meesters, Low-intensity blue-enriched white light (750 lux) and standard bright light (10,000 lux)
are equally effective in treating SAD, BMC Psychiatry, 2011
14) G Glickman, Light therapy for seasonal affective disorder with blue narrow-band light-emitting diodes
(LEDs), Biological Psychiatry, 2006
15) S Dallaspezia, Optimized light therapy for non-seasonal major depressive disorder: Effects of timing
and seas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2
16) V Gumenyuk, Circadian phase, sleepiness, and light exposure assessment in night workers with and
without shift work disorder, Chronobiology International, 2012

- 67 -
17) MR Smith, Shaping the light/dark pattern for circadian adaptation to night shift work, Physiol Behav,
2008
18) IY Yoon, Bright light exposure at night and light attenuation in the morning improve adaptation of
night shift workers., Sleep, 2002
19) 방상식, 국내 및 외국현지 시차적응훈련이 선수 컨디션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0
20) Z Boulos, Light visor treatment for jet lag after westward travel across six time zones, Aviation,
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2
21) JF Duffy, Entrainment of the human circadian system by light, Journal of Biological Rhythms, 2005
22) RW Corbett, An hour of bright white light in the early morning improves performance and advances
sleep and circadian phase during the Antarctic winter, Neuroscience Letters, 2012
23) Aoki H, Minimum light intensity required to suppress nocturnal melatonin concentration in human
saliva, Neuroscience letters, 1998
24) GC Brainard, Action spectrum for melatonin regulation in human : Evidence for a novel circadian
photoreceptor, The tournal of neuroscience, 2001
25) M Hebert, The effects of prior light history on the suppression of melatonin by light in humans,
Journal of Pineal Research, 2002
26) GC Brainard, Sensitivity of the human circadian system to short-wavelength(420-nm) Light, Journal
of biological rhythms, 2008
27) MG Figueiro, Circadian effectiveness of two polychromatic lights in suppressing human nocturnal
melatonin, Neuroscience letters, 2006
28) PR Mills, The effect of high correlated colour temperature office lighting on employee wellbeing and
work performance, Journal of Circadian Rhythms, 2007
29) Kozaki T, Effects of short wavelength control in polychromatic light sources on nocturnal melatonin
secretion, Neuroscience letters, 2008
30) SL Chellappa, Non-visual effects of light on melatonin, alertness and cognitive performance : can
blue-enriched light keep us alert?, PLoS one, 2011
31) CA Czeisler, Bright light resets the human circadian pacemaker independent of the timing of the
sleep-wake cycle, Science, 1986
32) SM Rajaratnam, Health in a 24-h society Science, Lancet, 2001
33) C Cajochen et al, High sensitivity of human melatonin, alertness, thermoregulation, and heart rate to
short wavelength light, J Clin Endocrinol Metab, 2005
34) SW Lockley et al., High sensitivity of the human circadian melatonin rhythm to resetting by short
wavelength light, J Clin Endocrinol Metab, 2003

- 68 -
35) Helen R. Wright et al., Differential effects of light wavelength in phase advancing the melatonin
rhythm, Journal of Pineal Research, 2004
36) 김홍범, 전시조명, 현대건축사, 2004
37) 기유경, 조명, 기다리출판사, 2009
38)광용어사전편찬회, 광용어사전, 일진사, 2005
39) 채범식, 김을상, 영양학사전, 아카데미서적, 1998
40) Walter Pierpaoli, William Regelson, 기적의 멜라토닌 요법, 세종서적, 1996
41) Cajochen, C, ,EEG and ocular correlates of circadian melatonin phase and human performance
decrements during sleep los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1999
42) 한상진, 인위적인 계절적 광주기에서 쥐에 나타나는 멜라토닌 분비양상과 정소크기변화 조사,
Environmental Toxicology, 2003
43) 김지웅, 김찬형, 멜라토닌과 정신분열증, 생물치료 정신의학, 1997
44) 김동엽, 정맹준, 이철재, 멜라토닌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 한국산업응용학회 논문집, 2012
45) 김성진, 뇌를 보호하는 암흑호르몬 멜라토닌, 브레인, 2008
46) 이강우, 박제영, 장기간의 농구 훈련이 여자 대학 농구선수들의 포지션별 신체조성, 혈중렙틴, 멜라토닌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2007
47) 류경선, 강창원, 혈중 멜라토닌 혹은 에스트로겐과 광주기의 상호작용이 재래닭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1997
48) 정경숙, 안연순, 야간 교대근무 전후 소변 멜라토닌 대사산물 비교,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1
49) Smith MR et al, Phase advancing the human circadian clock with blue-enriched polychromatic light,
Sleep Medicine, 2008
50) PL Turner et al, Circadian Photoreception: Ageing and the Eye's Important Role in Systemic Health,
British Medical Journal, 2008
51) 신효준 외 4, 쾌적제어를 위한 수면 초기 실내 온도 변동이 인체 생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력기계공학회
지, 2007
52) K Tsuzuki et al, Effects of humid heat exposure on sleep, thermoregulation, melatonin, and
microclimate, Journal of Thermal Biology, 2004

- 69 -
ABSTRACT

Anal
ysi
sofMel
atoni
n Suppr
essi
on

accor
ding t
oDi
ffer
entCol
orTemper
atur
e
i
n Whi
teLED Li
ght

Ki
m KyoungSi
l

De
par
tme
ntofAr
chi
tec
tur
e
Se
jongUni
ver
sit
y

Li
ghts
uppor
tshuman pe
rce
pti
on and i
nfl
uenc
est
hec
irc
adi
an r
hyt
hm aswe
ll.

Ci
rcadi
an r
hyt
hm r
efe
rst
odai
ly bi
ologi
calr
hyt
hm.I
fthec
irc
adi
an r
hyt
hm l
ose
s

i
tsbal
anc
e,pe
opl
ege
tde
pre
sse
d and l
oset
hei
rvi
gor
.Tohe
alt
hes
esympt
oms
,
l
ighthasbe
en us
ed.I
nfac
t,avar
iet
y ofr
elat
eds
tudi
esi
ncl
udi
ng l
ightt
her
apy
havebe
enpe
rfor
med.

De
pendi
ngont
hei
nte
nsi
tyandwave
lengt
hofl
ight
,it
sinf
lue
nceont
hec
irc
adi
an
r
hyt
hm di
ff
ers
,whi
ch me
ans t
hati
nthe i
ndoore
nvi
ronme
nt,t
he i
nfl
uenc
e of
c
irc
adi
anr
hyt
hm di
ff
ersde
pendi
ngont
hel
ighti
nte
nsi
tyandc
olort
empe
rat
ure
.In

pr
evi
ousr
elat
eds
tudi
es,me
lat
oni
nchange
sbyme
ansoft
hec
olort
empe
rat
ureof
f
luor
esc
entl
ampshavebe
enanal
yze
dagai
nst
.Asar
esul
t,i
thasbe
enc
onf
irme
d
t
hatt
hes
uppr
ess
ion ofme
lat
oni
n di
ff
ersde
pendi
ng on t
hec
olort
empe
rat
ureof

f
luor
esc
ent l
amps
.Howe
ver
,mos
t pr
evi
ous s
tudi
es as
soc
iat
ed wi
thc
irc
adi
an

- 70 -
r
hyt
hm we
repe
rfor
medagai
nsts
pec
ialLED l
ight
ingwhi
chc
oul
dnotbeappl
iedt
o
ge
ner
all
ighte
nvi
ronme
ntorf
luor
esc
entl
amps
.

Thepur
pos
eoft
hiss
tudyi
stof
indoutme
lat
oni
nchange
sbydi
ff
ere
ncei
ncol
or
t
empe
rat
urewi
thi
nthes
copewhi
chi
sappl
icabl
etoan ac
tuals
pac
eus
ing LED
whi
chc
an s
ubs
tit
utec
onve
nti
onall
ight s
our
ce.Thi
sst
udy has at
tempt
edt
o

anal
yzet
hatme
lat
oni
n var
iat
ions c
aus
edc
hange
sinc
olort
empe
rat
ure ofl
ight
(
LEDswi
thl
ightof3000K and6000K at400l
x)unde
rac
ert
aini
nte
nsi
tyf
ocus
ing
ont
hewave
lengt
hofl
ight
.

[
Ther
esul
tofe
xpe
rime
nt]
- The f
irs
t anal
ysi
s was t
ofi
gur
e out a t
est
ee’
s me
lat
oni
nconc
ent
rat
ion.

Ac
cor
dingt
otheanal
ysi
sins
tit
ute
,theTe
st1wasobs
erve
din8t
est
eesamonga
t
otalof10.
-Theabs
olut
eval
ueofme
lat
oni
nwasanal
yze
d.Asar
esul
t,awi
der
angeof

val
uesoc
cur
redi
neac
hte
ste
ebe
caus
etheamountofme
lat
oni
nse
cre
teddi
ff
ersby
i
ndi
vidual
.
-at
est
ee’
sme
lat
oni
nconc
ent
rat
ionpat
ter
nswe
reanal
yze
d.The
yal
sodi
ff
ere
d

gr
eat
lybyt
est
ee.
- Te
st2 and Te
st3,t
he ove
ral
lte
stde
sign was t
he s
ame butt
hey we
re
c
onduc
tedwi
thdi
ff
ere
ntl
ighte
nvi
ronme
nt(
3,000[
K]/
400[
lx]
,6,
000[
K]/
400[
lx]
).The

r
esul
tofe
xpe
rime
nti
sthatTe
st2(
6,000[
K]/
400[
lx]
)ar
e mor
econc
ent
rat
ed on
me
lat
oni
nthanTe
st3(
3,000[
K]/
400[
lx]
).
-I
nTe
st4,t
het
estwasde
signe
dinc
ons
ide
rat
ionofappl
icat
iont
oanac
tual

l
ivi
ng s
pac
e.Af
terdi
vidi
ng t
het
est
eesi
nto Gr
oup 1and Gr
oup 2 (
fivet
est
ees
e
ach)
, me
lat
oni
n c
hange
s unde
r di
ff
ere
nt l
ight e
nvi
ronme
nt we
ree
xami
ned.

- 71 -
Compar
isoni
ndi
cat
edai
ncr
eme
ntonme
lat
oni
nse
cre
tiondur
ingt
he3,
000[
K]l
ight
e
nvi
ronme
ntc
ompar
edwi
tht
hatat6,
000[
K]l
ighte
xpos
ure
.

- 7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