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3

DOI:10.20988/lfp.2021.52..

447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탐색


- I.S.P Nation의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2013)를 중심으로 -

이 현 정(KDI국제정책대학원)*

1. 머리말

2001년 발간된 이래 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 분야의 주요


저작 중 하나로 다루어진 I.S.P Nation의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가 2013년 개정되었다.1) 제2언어나 외국어 교육의
연구자가 참고할 수 있는 어휘 교육 이론과 어휘 교수 현장에서의 실
제적 적용으로 구성된 이 책이 2001년에 초판된 책과 구별되는 점은,
2001년 이후에 어휘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비교적 최신의 연구 성
과들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Nation(2013)에 의하면, 책의 저작 연
도인 2013년을 기준으로 하여 대략적으로 추정하였을 때, 지난 110년
동안 이루어진 어휘 연구 가운데 약 30%가 2001년 이후 11년 동안 이
루어졌다고 한다. 이에 저자는 이 책의 약 5분의 1을 새 자료로 채웠

* KDI 국제정책대학원 초빙교수


1) 강현화(2003)에서 초판인 Nation(2001)의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에 대한 서평이 쓰여진 바 있다. 강현화(2003)는 이 책이 1990년의 Nation의 저작인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라는 책의 연속 저작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응용
언어학자나 언어교육 연구자, 외국어 교사 등을 대상으로 하여 언어교육과 관련된
주제를 중심으로 이론과 실제적인 적용을 다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Nation(2001)을 길잡이 삼아 한국어교육의 기존의 교재나 교수 현장에서 어휘 교육
에 대한 고려가 얼마나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
다.
448 이 현 정

으며, 초판에서의 오류를 수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그간의 연구 결과


와 경험 등을 통해 어휘 교수·학습에 관한 저자의 견해가 일부 바뀌
었다고도 언급하였다. 예컨대, 빈도에 기반한 단어 목록과 모어 화자
의 어휘 사이즈 측정에서 얻은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중빈도어’라는
개념을 새롭게 논의에 포함하였다. 또, 학술 텍스트에서 전문용어
(technical vocabulary)의 어휘 수가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견해 역시
최근의 여러 연구를 토대로 수정되었다.
이에 본고는 Nation(2013)이 담고 있는 외국어 어휘의 교수·학습에
관한 이론 전반과 그 적용을 탐색하면서 초판인 Nation(2001)에서 수
정되거나 보완된 부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 연구에 함의하는 바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2. 개요 및 총론

2.1. 외국어 학습의 목표와 네 가지 요소, 그리고 어휘

Nation(2013)은 어휘의 교수·학습은 외국어 발달 프로그램의 한 부


분일 뿐임을 강조하면서2), 언어 학습을 위한 목표를 “LIST”로 제시하
였다. “L”은 language를 가리키며 어휘가 포함되고, “I”는 Idea로 내용
과 주제 관련 지식, 문화 지식을 포함한다. “S”는 Skill이며, “T”는
Text로 문장들을 조직하여 더 큰 언어 단위를 형성하는 방식을 다룬
다. 그리고 이 책은 어휘의 관점에서 위의 목표들을 다루고 있다.

2) 어휘의 교수와 학습이 언어 발달의 가장 중요한 부분임을 논증하고자 했던


Nation(2001)의 견해가 상당 부분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저자는 어휘 교수의
가치에 대해 과거보다 조금 더 회의적이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탐색 449

<표 1> 언어 학습을 위한 목표


일반 목표 세부 목표
발음
Language items
어휘
(언어 항목)
문법 구문
Ideas-content 주제에 관한 지식
(개념, 내용) 문화에 관한 지식
정확성
Skills 유창성
(스킬) 전략
처리 기술이나 하위 기술
Text-discourse 대화적 담화 규칙
(텍스트, 담화) 텍스트 스키마, 또는 주제 유형 척도

그리고 Nation(2013)은 균형 잡힌 외국어 교육과정은 네 가지의 중


요한 요소(four major strands)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생각에 기반을 두
고 접근한다.
이 가운데 첫 번째 요소는 ‘이해 가능한 의미 초점의 입력
(comprehensible meaning-focused input)’을 통한 학습이다. 이는 학습자
가 듣거나 읽는 내용에 주의 집중하면서 새로운 언어 항목을 배우도
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해 가능한 의미 초점의 입력을 통한 학습은
학습자가 입력 속에 포함된 총 어휘 수의 적어도 98%3)를 알고 있을
때 가장 잘 실현될 수 있다.
두 번째는 ‘의미 초점의 산출(meaning-focused output)’이다. 이는 학습
자가 말하기와 쓰기 활동을 통해 언어 지식을 발달시키도록 하는 것으
로, 이때 학습자는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게 된
다. 말하기·쓰기는 듣기·읽기와는 다른 방식들로 학습자가 단어에 초점
을 두도록 하기 때문에 어휘 발달을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된다.

3) Nation(2001)에서는 이해 가능한 의미 초점의 입력을 통한 학습을 위해서 텍스트에


포함된 총 어휘 수의 95%를 알아야 한다고 기술하였으나, Nation(2013)에서는 근래
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98%로 수정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조금 더 자세
히 다루기로 한다.
450 이 현 정

세 번째 요소는 ‘언어 초점 학습(language-focused learning)’으로서,


‘형태 초점 교수(form-focused instruction)’로 불리기도 한다. 적절한 양
의 의도적인 교수·학습이 언어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많은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다. 어휘의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어휘에 관한 직
접적인 교수와 학습이 외국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함을 뜻한다.
균형 잡힌 외국어 교육과정이 갖춰야 할 네 번째 요소는 유창성의
발달(fluency development)이다. 유창성 발달을 위한 활동에서 학습자
들은 새로운 언어를 다루지 않고 대신에 이미 알고 있는 항목들을 더
유창하게 사용하게 된다.
저자는 언어 교육과정은 이 네 가지 요소에 거의 동일한 시간을 투
자해야 함을 강조하며, 책의 전반에 걸쳐 어휘를 이 네 가지 요소와
어떻게 결합할 것인가를 살펴보았다.

2.2.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

이 책은 총 1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주요 내용은 다음


과 같다.4)

1장. 어휘 학습의 목표
2장. 단어를 안다는 것
3장. 어휘 교수와 설명
4장. 어휘와 듣기·말하기
5장. 어휘와 읽기·쓰기
6장. 특수 목적의 어휘

4) 2001년에 출간된 초판은 총 1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초판의 ‘7. 어휘
학습 전략과 문맥 추론’이 개정판에서는 두 개의 장(7장과 8장)으로 분리되고, 초판
에서는 소절로 기술되었던 내용 중 일부가 개정판에서 10장, 11장, 12장의 독립된
장이 되었다.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탐색 451

7장. 어휘 학습 전략
8장. 문맥을 통한 어휘 학습
9장. 단어 구성소
10장. 사전 사용하기
11장. 단어카드를 이용한 의도적 학습
12장. 다단어 학습과 발견
13장. 어휘 지식과 어휘 사용 평가
14장. 언어 교육과정에서의 어휘 구성 요소 설계

1장에서는 빈도와 범위를 기준으로 어휘를 등급화함으로써 학습자


가 어휘를 최적의 순서로 습득하며, 따라서 학습자들이 배우는 어휘
로부터 최대의 효과를 얻는다는 것을 국내외의 이론과 실험 연구를
통해 입증하고 있다. 모어 화자가 알고 있는 단어의 수를 토대로 외국
어(제2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학습자가 알아야 할 어휘의 양을 빈도,
범위, 분산, 텍스트 커버율(text coverage) 등에 기반하여 제시하고 있
다.
2장에서는 단어를 안다는 것에 관련된 다양한 측면들과 학습자들
이 이러한 지식들을 어떻게 획득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단어
를 안다는 것은 ‘형태(form), 의미(meaning), 사용(use)’을 아는 것이라
고 설명하고 이에 대한 지식을 ‘이해적 지식(receptive knowledge)’과
‘산출적 지식(productive knowledge)’으로 구분하였다. ‘이해적’이란 외
부로부터 듣거나 읽음으로써 언어 입력을 받아들이고 그 입력을 이해
하고자 한다는 개념이고, ‘산출적’이란 메시지를 타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말하거나 씀으로써 언어 형식들을 산출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해 어휘와 산출 어휘에 관한 실험 연구 결과들을 참고하여 첫째, 듣
기·읽기보다 말하기·쓰기를 위한 어휘 학습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둘째, 이해적 사용을 위해서는 이해적 학습을, 산출적 사용
을 위해서는 산출적 학습을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제시하였다.
452 이 현 정

이 주장은 산출적 사용을 위해서는 이해적 학습만으로는 충분하지 않


은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이해 가능한 입력 가설’과 모순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또 2장에서는 어떤 단어를 안다는 것과 관련된 측면
들을 구어형과 문어형, 단어 구성소, 개념과 지시 대상, 형식과 의미
의 연결, 문법 기능, 사용 제약 등으로 구분하여 상세히 살펴보고 있
다.
그리고 3장에서는 단어를 안다는 것에 관련된 다양한 측면들을 이
용하여, 직접 교수가 이 지식을 발달시키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
가에 대해 제시한다. 직접적 어휘 교수는 목표 언어의 고빈도어를 직
접 대상으로 해야 하며, 단어의 학습은 누적적인 과정이므로 반복적
인 학습과 노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 이유는, 한 단어에 알아야
할 것들이 너무 많고(형태, 의미, 용법), 한 단어의 지식은 앞서 제시
한 네 가지 요소에 의해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들은 한 번에
제한된 정보만을 다룰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5)
4장에서는 듣기·말하기에 필요한 어휘가 무엇이며 이러한 어휘를
발달시키기 위한 교사의 역할과 다양한 활동 등을 살펴보고 있다. 듣
기는 의미 초점 입력을 통한 학습의 한 가지 유형이며, 학습자가 충분
히 이해하고 문맥으로부터의 추론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영어
의 경우 입력되는 총 어휘 수(token)의 적어도 95% 이상을 커버할 필
요가 있다고 한다. 격식적인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는 95%의 커버율
이 적합하며, 학문적 듣기를 위해서는 98%의 커버율이 필요하다는
연구가 있다. 일상 구어 연구에서는 3,000개의 단어족으로 95% 이상
의 커버율을 제공할 수 있으며, 98%의 커버율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5,000~6,000개의 단어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학문적 구어를

5) 저자는 학습 초기 단계에서는 단어를 가르칠 때 다른 관련어를 함께 가르치는 것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Bolger and Zapata, 2011). 형태가 유사하거나 의미
가 유사한 단어는 함께 학습하는 것이 따로 학습하는 것보다 더 어렵기 때문에 관련
어로부터의 간섭을 피하라고 강조한다.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탐색 453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학 강의의 4%를 커버하는 학술어휘(academic


vocabulary)에 대한 지식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5장에서는 단순화시키지 않은 읽기 자료를 통해서 의미 초점 입력
을 얻으려면 어느 정도의 어휘가 필요한지, 학습자들이 이 어휘를 어
떻게 증가시킬 수 있는지 등을 다룬다. Laufer(1989)는 텍스트를 적정
한 수준으로 읽기 위해서는 총 어휘 수의 95%를 알아야 한다고 보았
다. 그러나 Hu and Nation(2000)은 커버율 95%의 경우 일부 학습자만
이 텍스트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고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거의 텍
스트를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외부의 도움 없이 재
미를 위해 읽으려면 학습자가 텍스트 총 어휘 수의 98% 정도를 알아
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를 종합하여 95%를 최소한의 커버율로,
98%를 충분한 커버율로 부를 수 있다고 제안했다. 본질적으로 미지
어의 밀도가 낮을수록 미지어가 출현한 주변 문맥의 지원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미지어를 더 잘 처리할 수 있을 것이며 텍스트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학습 목표에 맞는 텍스트를 선택할
때는 98%의 커버율이 합리적인 목표이며, 98%의 어휘 커버율은 의미
초점 입력과 언어 초점 학습 간을 구분하는 경계로 보고 있다. 그리고
읽기 어휘를 증가시키는 방안으로 다독, 단순화시키지 않은 텍스트,
주석 등의 효용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어휘 지식이 어떻게 쓰기
를 지원하는가를 살펴보고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을 향상시키는 방안
으로 문장 완성, 바꿔 말하기, 번역, 빈칸 채우기, 사전 사용 등의 활
동을 제시하였다.
6장은 특수 목적의 어휘에 관한 장으로 학술어휘의 개념과 중요성,
학술어휘 목록의 작성 방법과 위계화, 전문용어의 개념과 학습 방법
등에 대해 다루었다. 학술 텍스트의 어휘를 ‘기초어휘, 학술어휘(준
전문용어), 전문용어’로 나누고, 학술어휘 목록에는 800개 이상의 단
어족이 포함되어 있으며 학술 텍스트의 대략 8.5% 정도를 커버한다
고 밝혔다.
454 이 현 정

그리고 학술어휘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학술어


휘는 넓은 범위의 학술 텍스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지만 비학술 텍
스트에는 그다지 공통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둘째, 학술어휘는 학
술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의 상당 비율을 차지한다. 셋째, 학술어휘는
일반적으로 전문용어보다 잘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 넷째, 학술
어휘는 외국어 교사가 학습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종의 전문화
된 어휘로, 교사가 해 줄 것이 별로 없는 전문용어와 대비된다. 전문
용어는 특정 학문 분야의 내용과 밀접히 관련된 단어들로 구성되는
데, 전문용어가 특정 분야의 전문 텍스트에 포함된 토큰의 상당 부분
을 커버하므로 빈도가 높은 전문용어의 목록을 개발하고 이들 어휘의
학습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시했다.
7장에서는 어휘 학습 전략을 다루면서 어휘 학습을 위해서 필요한
전략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전략을 강화할 수 있는 훈련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어휘 학습 전략의 범주를 ‘어휘 학습 계획하기, 단어에
대한 정보 찾기, 지식 구축하기, 지식 강화하기’로 제시하였다.
8장은 문맥 추론을 통한 어휘 학습에 대해 다룬다. 다수의 실험 연
구 결과를 토대로 문맥으로부터의 우연적 학습을 통해 실제 학습된
단어 수는 많지 않다고 제시하였다. 그러면서 문맥을 통한 어휘 학습
은 학습자가 읽기를 할 때 일어나는 다양한 학습 중의 하나일 뿐이며
만약 학습자가 다량의 읽기를 한다면 큰 습득량을 얻을 수 있다고 부
연했다. 또 어휘에 의도적 주의를 향하게 함으로써 학습률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재미있는
읽기를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하고 문맥을 통한 학습에만 온전히 의존
해서는 안 되며, 어휘의 보충을 위해 탈문맥적 학습에도 주의를 기울
일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9장에서는 어휘 학습에 있어서 접사와 어근 등의 단어 구성소(word
parts)를 이용한 어휘 학습의 효용을 강조한다. 학습자의 언어 발달의
적절한 단계에서 도입될 수 있는 비교적 매우 유용하고 습득이 용이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탐색 455

한 소수의 접사가 있다. 따라서 교사는 자신의 학습자들이 어떤 접사


를 알아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어야 하고, 학습자들의 접사 지식을 평
가할 수 있어야 하며, 접사 학습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활동들을 설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10장에서는 사전의 사용을 어휘 학습의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그
리고 학습자가 사전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좋은 사전의 기준,
사전을 평가하는 방법, 사전의 사용과 어휘 학습 등에 대해 자세히 살
펴본다.
11장은 단어 카드를 이용한 학습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단어 카드를
활용한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상세히 제공하고 있다.
12장에서는 다단어를 (1) take a chance처럼 보통 함께 출현하는 단
어 그룹, (2) by and large나 be taken in처럼 부분의 의미만으로는 전체
의 의미가 드러나지 않는 단어 그룹, (3) 높은 빈도이든 아니든, 결합
도가 높든 아니든, 특정 단어나 단어 유형이 단순히 조합된 단어 그
룹, (4) 직관적으로 정형화된 순서로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는 단어 그
룹, 즉 단일 선택처럼 기억되는 항목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했다. 그
리고 다단어 항목이 텍스트 이해에 있어 아주 큰 역할을 하므로 다단
어 항목에 대한 교수가 필요하며, 다단어 항목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방안과 교수·학습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13장에서는 어휘 교수·학습에 관련된 어휘 평가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어휘 평가는 잘 설계된 어휘 프로그램의 중요한 부분이며, 어휘
학습자가 어떤 어휘에 집중해야 하는지와 얼마나 어휘 학습이 필요한
지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필수적이
라 하였다. 또, 어휘 평가는 동기 부여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14장은 외국어 교육과정에서 어휘 구성 요소에 관한 것
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한다.
456 이 현 정

3. 고빈도어, 중빈도어, 저빈도어

Nation(2013)에서 수정된 내용 중에서 가장 특기할 만한 것은 학습


자가 목표 언어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어휘량을 셈함에 있어서 ‘중빈
도어’의 개념을 도입하였다는 것이다. 초판인 Nation(2001)에서는 외
국어 어휘의 유형을 ‘고빈도어, 학술어휘, 전문용어, 저빈도어’로 구분
하고 이들 어휘가 다양한 장르의 텍스트에서 몇 %를 차지하는지를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1st 1000’은 최상위 빈도 1,000 단어족
을 가리키고, ‘2nd 1000’은 차상위 빈도의 1,000 단어족인데,
Nation(2001)은 이 둘을 합하여 2천 단어족의 고빈도어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술어휘는 구어와 소설에 등장하는 어휘의 약 2% 미만을 커
버하고, 신문에서 4%의 커버율을 보이며, 학술 텍스트에 등장하는 총
어휘의 약 8.5%를 커버한다고 보았다.

<표 2> 텍스트의 종류와 텍스트 커버율(Nation, 2001:17)

레벨 구어 소설 신문 학술 텍스트

1st 1000 84.3% 82.3% 75.6% 73.5%


2nd 1000 6.0% 5.1% 4.7% 4.6%
학술어휘 1.9% 1.7% 3.9% 8.5%
기타 7.8% 10.9% 15.7% 13.3%

그러나 Nation(2013)에서는 최신의 연구와 대규모 코퍼스에 대한 분


석 결과에 기초하여, 일반 목적 어휘 목록과 특수 목적 어휘의 목록에
속하는 어휘의 유형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약 1억 단어 규모의
British National Corpus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일반 목적의 텍스트
에 등장하는 어휘를 빈도와 범위, 텍스트 커버율 등에 기반하여 ‘고빈
도어, 중빈도어, 저빈도어’로 위계화하였다. 그리고 약 2천 단어족의
고빈도어가 전체 텍스트의 86%를 차지하며, 다음 7천 단어족의 중빈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탐색 457

도어가 약 9%의 텍스트 커버율을 나타내고, 약 50,000여 개의 저빈도


어가 텍스트의 1-2%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표 3> Brithish National Corpus에서


고빈도어, 중빈도어, 저빈도어의 텍스트 커버율
어휘 유형 커버율(%)
고빈도어(2,000 단어족) 86%
중빈도어(7,000 단어족) 9%
저빈도어(약 50,000 단어) 1-2%
고유명사, 감탄사 등 3-4%
전체 100%

학술 텍스트에 등장하는 어휘는 (1) 일반/기초 어휘, (2) 학술어휘


(준 전문용어), (3) 전문용어로 구분하였다. 학술어휘와 전문용어에 대
해서는 4장에서 더 상세히 살피기로 하고, 3장에서는 고빈도어, 중빈
도어, 저빈도어의 개념과 텍스트 커버율, 그리고 중빈도어의 설정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3.1. 고빈도어

Nation(2013)에 의하면, 고빈도어 그룹에 속하는 단어의 수는 많지


않지만, 이 단어들은 구어와 문어 텍스트 총 어휘 수의 매우 큰 부분
을 차지하고, 모든 종류의 언어 사용에서 출현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
요하다. 이들 고빈도어는 연속적인 빈도순으로 정렬된 단어들의 텍스
트 커버율에 의해 결정된다. 저자에 따르면 특정 단어의 빈도 순위가
빈도 목록 간에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는 있지만, 그 목록이 잘 설계
된 코퍼스에 기반하고 있다면 특정 단어가 고빈도어 리스트에 포함되
어 있을 가능성은 대략 80% 정도라고 한다. 또한, 고빈도어 목록을
작성할 때는 범위가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데, 범위는 각각의 개별 단
어가 얼마나 다양한 텍스트나 서브 코퍼스(sub-corpus)에서 출현하는
458 이 현 정

지를 조사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저자는 목표 언어에서 고빈도어의 중요성이 크기 때문에 고빈도어
의 지도 및 학습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기 외
국어 프로그램의 전 기간에 걸쳐 고빈도어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의미 초점 입력, 의미 초점 산출, 형태 초점 학습, 유창성 개발의 네
가지 요소 모두를 통해 고빈도어를 경험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고빈도어를 의도적으로 교수·학습해야 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이 단어들은 구어와 문어 텍스트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지만,
적절한 양의 고빈도어를 익히기 전까지는 그러한 텍스트에 접근할 수
없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빨리 고빈도어를 학습해야 한다.
둘째, 학습자가 고빈도어에 어느 정도 유창하게 접근할 수 없다면
텍스트 이해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고빈도어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학습자는 구어나 문어 텍스
트를 산출할 수 없을 것이다.

3.2. 중빈도어

Nation(2013)은 텍스트 커버율 98%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약 9,000


단어족에 고유명사를 더한 정도의 어휘가 필요하다는 Nation(2006)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빈도어와 저빈도어의 변별이 중요해졌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중빈도어라는 범주를 따로 설정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1) 범위와 빈도
: 약 13세 이상의 영어 모어 화자는 약 9천 단어족 정도의 지식
을 가지고 있고, 빈도 순위 9,000 이후의 단어부터는 모어 화자
간에 어휘 지식을 덜 공유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빈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탐색 459

도 상위의 9,000 단어족 정도면, 구어 텍스트와 문어 텍스트를


거의 동일하게 다룰 수 있는 단어로 간주하였다.
이에 따라 최상위 빈도 2,000 단어족을 고빈도어로, 차상위 빈
도의 7,000 단어족을 중빈도어로 제시하였다.
2) 커버율
: 9천 개 단어족에 고유명사를 더하면 소설 텍스트 총 어휘 수
의 98%를 커버할 수 있고, 8천 개 단어족에 고유명사를 더하면
신문 텍스트의 98%를 커버한다. 진정한 저빈도어는 총 어휘 수
의 2% 미만을 커버한다.
3) 친숙성
: 청소년과 성인 모어 화자들은 적어도 이해적인 측면에서는
대략 상위 빈도의 9천 단어족 수준을 친숙하게 느끼며 여기에
속한 단어 대부분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4) 학습 목표
: 고빈도어로 구성된 어휘만으로는 단순화시키지 않은 텍스트
를 자력으로 읽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충분한 텍스트 커버율을
갖출 때까지라도 학습자들은 체계적인 방식으로 어휘 사이즈
를 계속 늘려 가는 것이 중요하다.
고빈도어와 중빈도어의 경계는 빈도 순위 및 범위에 의해 마음
대로 결정된다. 그러나 고빈도어와 중빈도어, 고유명사를 합하
면 거의 모든 텍스트의 98%를 커버하게 된다.

저자는 학습자들의 고빈도어를 익힌 후에 중빈도어로 넘어가게 되


면 교사가 어휘를 설명하고 가르치는 데 시간을 많이 할애하기보다는
중빈도어를 다루는 전략을 학습자에게 훈련시키는 것이 더욱 중요하
다고 설명한다. 이런 전략에는 문맥 단서를 이용한 추측하기, 단어 카
드나 플래시 카드를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학습하기, 단어 암기를 돕
기 위한 단어 구성소 이용하기, 사전 활용하기 등이 포함된다.
460 이 현 정

3.3. 저빈도어

저빈도어는 텍스트의 종류와 관계없이 매우 낮은 빈도로 출현하고


텍스트의 아주 적은 부분만을 커버한다. 영어에서 저빈도어는 빈도
순위 9,000 이후의 단어들이다. 교사들은 저빈도어가 텍스트를 이해
하는 데 필수적이거나 그 단어들이 관련 있는 전문용어인 경우에만
가르쳐야 하며, 읽기나 듣기를 통한 우연적 학습(incidental learning)이
저빈도어를 학습하는 좋은 방법일 수 있다.

4. 특수 목적의 어휘

특정 장르의 텍스트에 높은 커버율을 제공하는 특수한 어휘 목록을


작성할 수도 있다. 이 목록은 특수 목적을 위한 고빈도어를 확장시키
는 한 방법이다.

4.1. 학술어휘

특수 목적 어휘의 대표적인 예로 외국어로 학술 연구를 하려고 하


는 학습자를 위해 작성된 학술어휘 목록이 있겠다. 영어의 학술어휘
목록인 Academic Word List는 영어의 고빈도어 2천 어족에는 없지만,
다양한 학술 텍스트에 걸쳐 상당히 높은 빈도로 출현하는 570 어족으
로 구성되어 있다. 학술어휘는 전문용어와는 구별되며, 상당히 형식
적인 어휘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이유로 준 전문용어(semi-technical
word)라고 불리기도 한다. 고빈도어에 학술어휘를 더하면 학술 텍스
트에 대한 커버율이 76.1%에서 86.1%로 높아질 수 있다.
학술어휘가 학문 목적의 외국어 학습자에게 유용한 학습 목표인 이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탐색 461

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어휘는 넓은 범위의 학술 텍스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
지만, 비학술텍스트에서는 그다지 공통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둘째, 학술어휘는 학술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의 상당 비율을 차지
한다. Coxhead(2000)는 자신이 작성한 학술어휘 목록(AWL)이 총 어휘
수 3,500,000개의 학술 코퍼스 토큰의 10%를 차지하고, 특정 독립 코
퍼스의 8.5% 정도를 커버한다고 밝혔다.
셋째, 학술어휘는 일반적으로 전문용어보다 잘 알려지지 않은 경우
가 많다.
넷째, 학술어휘는 교사가 학습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종의 전
문화된 어휘이다. 이 어휘는 교사가 해 줄 것이 별로 없는 전문용어와
대조적이다.
따라서 학술어휘를 아는 것을 학문 목적의 학습자에게는 최우선 목
표이다. 고빈도어 2,000개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후, 학습자는
학술어휘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영어의 경우, 고빈도어 2,000 어족과
AWL을 안다면 대부분의 학술 텍스트에 등장하는 어휘의 약 90% 커
버율에 근접할 수 있다.
저자는 학문 목적의 학습자에게 있어 학술어휘는 일종의 고빈도어
이기 때문에 이 어휘를 학습하는 데 시간을 들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
한다. 언어 교육과정의 중요한 네 가지 요소(의미 초점 입력, 언어 초
점 산출, 언어 초점 학습, 유창성 개발)가 모두 학술어휘 지식을 발달
시키기 위한 기회로 여겨져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학술어휘의
학습을 촉진시키는 듣기 및 읽기 활동이 있어야 하고, 직접 교수와 단
어 카드 학습, 단어 구성소 분석과 같은 언어 초점 활동 등이 있어야
한다.
462 이 현 정

4.2. 전문용어

전문용어는 다른 주제 영역에서는 보통 잘 출현하지 않는 단어에서


부터 형식적으로는 고빈도어와 유사하지만 특수한 의미를 가지는 단
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이 포함된다. 전문용어는 전문적 텍스트
내 어휘의 상당히 큰 비율을 차지하며, 전문용어의 크기는 주제 분야
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초판에서는 전문 텍스트에 포함된 어휘
의 약 5%가 전문용어일 것으로 보았으나, Nation(2013)에서 실제 전문
용어의 비율이 20-30% 근접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Chung and
Nation(2004)에서는 응용언어학 텍스트에 포함된 총 어휘 수의 20%가
전문용어이고, 해부학 텍스트에서는 약 30% 정도가 전문용어인 것으
로 나타난 것이다.
전문용어 목록은 전문적인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의 빈도와 일반 코
퍼스에서 그 단어가 가지는 빈도를 비교하여 작성할 수 있는데, 전문
적인 텍스트에서 월등히 높은 비율로 출현하거나, 전문적 텍스트에서
만 출현하는 단어들은 전문용어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Nation(2013)은 많은 전문용어는 전문 분야의 주제 영역을 학습하는
문맥 내에서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전문용어가 해당 분야의 전문가적
지식을 요구하는 한, 교사는 그 단어들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데 도움
이 되는 전략들을 학습자에게 가르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5. 한국어교육적 함의

5.1. 한국어 사용을 위해 필요한 어휘의 양

Nation(2013)은 모든 단어가 동일한 가치를 가지지 않으므로 상대적


으로 적은 양의 잘 선별된 어휘를 통한 효율적인 어휘 교수·학습을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탐색 463

도모해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서 약 3억 5천 개의 영어 단어로 구


성된 대규모 코퍼스를 분석하여 고유명사와 함께 텍스트의 약 90%를
차지하는 약 2,000 단어족을 고빈도어로 제시하고, 텍스트에 등장하
는 어휘의 약 9%를 커버하는 7,000 단어족을 중빈도어로 선정하였다.
대다수의 영어 학습자가 외부의 지원 없이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텍스에 등장하는 어휘의 98%를 알아야 하며, 98%이
텍스트 커버율은 고빈도어와 중빈도어를 학습으로 달성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렇다면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로 읽기나 듣기를 성공적으로 수
행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어휘가 필요하며, 이들 어휘를 어떻게
선별해 낼 수 있는가?
첫째, 각 장르의 코퍼스가 균형적으로 구성된 대규모의 코퍼스를
바탕으로 한 빈도 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국립국어원은 1998
년~2007년에 추진한‘21세기 세종계획’을 통해 약 2억 어절의 코퍼스
자료를 구축하여 배포한 바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해 최근 10년간의 신
문기사와 책, 음성 대화와 메신저 대화, 방송 자료, 대본, 블로그 및
게시판 자료 등으로 구축된 약 18억 어절 규모의 ‘모두의 말뭉치’가
2020년에 공개되었다. 따라서 이들 대규모 코퍼스를 바탕으로 한 면
밀한 빈도 및 범위 조사를 통해, 여러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어휘를 선별하여 빈도 순위를 자료를 마련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 잘 설계된 실험 연구를 통해서 학습자들이 텍스트에 등장하
는 어휘의 몇 %를 알고 있을 때 의사소통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요긴하다. 영어교육에서는 98%를 외국어
학습자의 성공적 읽기를 위한 충분한 커버율로 보고 있다. 그러나 영
어교육의 연구 결과를 한국어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므
로 목표 언어인 한국어 읽기나 듣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텍
스트 커버율을 연구를 통해 밝혀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효율적인 어휘 교수·학습
464 이 현 정

을 위한 한국어교육용 어휘 목록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강현화 외


(2012, 2013, 2014)에서 한국어 어휘교육을 위한 초, 중, 고급 단계의
어휘를 선정하여 제시한 바 있지만, 한국어 교재와 TOPIK을 통해 수
집한 코퍼스를 토대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 모어 화자의 코퍼스를
분석하고 성공적인 의사소통 수행을 위한 텍스트 커버율을 연구하여
외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사용하기 위해 익혀야 할 어휘의 양을 정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빈도와 범위, 텍스트 커버율 등에 기반하여
고빈도어와 중빈도어를 선정한 후, 어휘의 형태, 의미, 사용에 대한
지식과 어휘 습득을 위한 전략 등을 교수해야 할 것이다.

5.2.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학술어휘 및 전공어휘 선정 연구

한국어 학술어휘 목록과 각 전공의 기본어휘 목록을 선정하여 외국


인 학습자들이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학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
도록 지원해야 한다. 교육부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국내 고등교육 기
관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수는 약 16만 명이며, 지난 십 년간 약
211% 증가하였다. Nation(2013)은 각 전공 분야의 전문용어가 해당 분
야 텍스트에 등장하는 어휘 수의 20-30%를 차지할 만큼 높은 커버율
을 보인다고 밝혔다. 따라서 학업 수행을 위해서는 전공어휘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대학의 교재나 강의 등 학술 텍스트를
분석하여 각 전공에서 고빈도로 등장하는 전공 기본어휘를 선정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전공 분야를 막론하고 다양한 학술 텍스트에 걸
쳐 고빈도로 출현하는 단어인 학술어휘의 경우, 신명선(2004)에서 학
문 텍스트로 340어절의 코퍼스를 구축하여 926 단어족을 선정하여 제
시한 바 있다. 이에 학문 목적의 어휘 선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신명
선(2004)의 학술어휘 목록을 참고하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의 한국어교육학 분야에서는 계열공통의 어휘나
각 전공의 기본어휘 선정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학문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탐색 465

목적의 전공어휘 선정 연구 초기에는 주로 한국어교육학이나 경영학


분야의 어휘 선정에 집중된 면이 있으나, 근래에는 정치외교학 전공
어휘나 음악계열의 전공어휘와 같이 연구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
세이다(남신혜, 2019:433). 이러한 연구의 성과들이 누적되고 정교화
되어, 증가하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학술어휘 및 세부 전공별 기
본어휘 자료집과 교재가 개발되고, 내용 중심의 접근법을 통해 교수
되어 학문 목적의 학습자들이 학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어휘
지식과 전략이 미리 준비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6. 맺음말

본고는 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 이론과 실제 어휘 교수 현


장에서의 적용을 다룬 Nation(2013)을 개괄하고, 개정판에서 새롭게
도입되거나 수정된 내용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중빈도어의
개념과 필요성, 그리고 학술어휘와 전문용어의 중요성과 그 효용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런 논의가 한국어교육에서의
어휘 교육 연구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언어정보처리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대규모의 한국어 코퍼
스가 구축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연
구 역시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 모두에서 발전해 가고 있다. 그러
나 영어교육 등, 여타의 언어교육 분야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
의 양이나 깊이와 비교해 볼 때, 아직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많다고
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최근의 언어교육 분야의 연구 성과를 집대성
한 Nation(2013)의 논의는 한국어교육의 어휘 교수와 학습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좋은 안내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Nation(2013)
이 개정판이지만 발간된 지 수년이 되었기 때문에 영어 어휘 교육 연
구에도 변화가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외국의 어휘 교육과
466 이 현 정

관련한 최신의 연구 동향을 참고하면서 한국어라는 언어의 특성을 고


려한 어휘 교육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탐색 467

참고문헌

강현화(2003). 서평: I.S.P. Nation(2001)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28.
강현화 외(2012).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계발(1단계), 국립국어원.
강현화 외(2013).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계발(2단계), 국립국어원.
강현화 외(2014).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계발(3단계), 국립국어원.
남신혜(2019). “내용 중심 학문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육용 어휘의 선정 - 문
화예술경영 전공 대학원 학습자를 중심으로 -”, 어문연구(한국어문교
육연구회)47-4, 431-450.
신명선(2004). 국어 사고도구어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삼형(2017). 국어 기초 어휘 선정 및 어휘 등급화를 위한 기초 연구, 국립국어
원.
이현정(2013). “경영학 전공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전공 기본어휘 선정 연구 -
어휘의 공기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연세대학교 언
어정보연구원)32, 201-236.
Nation I.S.P. (2013)/김창구·손옥현·이정민(역)(2018).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
소통.
Bolger, P. and Zapata, G. (2011), “Semantic categories and context in L2 vocabulary
learning”, in Language Learning 61, 2, 614-46.
Chung, T. M., and Nation, P. (2004), “Identifying technical vocabulary”, in System,
32, 2, 251-63.
Coxhead, A. (2000), “A New Academic Word List”, in TESOL Quarterly, 34, 2,
213-238.
Hu, M. and Nation, I.S.P. (2000), “Vocabulary dens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in a Foreign Language”, in 13-1, 403-430.
Laufer, B. (1989), What percentage of text-lexis is essential for comprehension?,
Special Language: From Humans to Thinking Machines,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Nation, I.S.P. (2001),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in Cambridge
Applied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ation, I.S.P. (2006), “How large a vocabulary is needed for reading and listening?”,
in Canadian Modern Language Review 63-1, 59-82.
Nation I.S.P. (2013),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in Cambridge
Applied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8 이 현 정

이현정(Lee, Hyun Jung)


KDI 국제정책대학원 초빙교수
세종특별자치시 남세종로 263 KDI국제정책대학원
전자우편: hj_lee@kdischool.ac.kr

원고 접수일 : 2021년 1월 10일


원고 수정일 : 2021년 2월 7일
게재 확정일 : 2021년 2월 10일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에 대한 탐색 469

Abstract

The Exploration of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for Foreign Learners
- Based on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Nation, 2013)

Lee, Hyunjung
(KDI School)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I.S.P Nation’s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to examine its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vocabular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Book, Nation(2013), which consists of lexic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of vocabulary teaching, is
distinct from the book first published in 2001, since it is reflecting relatively
recent research in vocabulary education. According to the Nation (2013),
approximately 30% of vocabulary studies conducted over the past 110 years have
taken place from 2002 to 2012. The author said that about one-fifth of the book
was filled with new material and corrected the errors in the first edition. He also
mentioned that the author’s views on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have
changed in part through his research results and experiences.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y on teaching and learning foreign
vocabulary and its implication in Nation (2013), focusing on the revised parts
from the first edition of Nation (2001).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his book for vocabulary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Key word: vocabulary education, frequency, text coverage, range, academic

vocabulary, technical vocabulary

핵 심 어: 어휘교육, 빈도, 텍스트 커버율, 범위, 고빈도어, 중빈도어, 저빈도어, 학


술어휘, 전문용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