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언어교수이론_기말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86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9.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접근 방법과
어휘 중심 접근 방법

1교시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접근 방법

1.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접근 방법의 개념


가. 배경
 1970년대 중반에 John Grindler와 Richard Bandler가 대안적인 치료
법의 형태로 처음 개발한 하나의 철학적 훈련

 Grindler과 Bandler
• ‘성공적인 의사소통자’들이 어떻게 그들의 성공을 달성했는가를 발견하는데 관심

• 치료 기법의 체계로서 NLP(Neuro Linguistic Programing) 개발


: 고객들과의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고객의 세상에 대해 내적 및
외적 견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고객이 목표를 달성하고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치료전문가가 사용할 수 있는 기법으로 개발

1
 Revell and Norman(1997:4)
• NLP 모형
: 효과적인 의사소통, 개인의 성장과 변화, 학습을 도와주는 기법, 방식
및 전략을 모은 것

• 이것은 우리들의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고, 사람들은 어떻게 행동하고,


상호작용을 하는가에 대한 (우리들 마음의) 기저에 놓인 일련의 가정에
근거를 두고 있음

 NLP 모형
• 치유적인 변화가 나타나도록 이끄는 이론적 구조 및 일련의 적용 원리를 제공

 NLP의 원리
• 경영 훈련, 운동선수 훈련, 판매와 시장 경영을 위한 의사소통 훈련 및
언어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어 옴

▶ NLP는 언어 교육에 적용할 것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것은 아니지만


NLP가 인생, 인간 및 자기 발견과 자기 인식을 가정하기 때문에,
언어교수 분야에서 약간의 호소력이 있었음

2
2.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접근 방법의 특징
가. 접근 방법: 언어 이론과 학습 이론
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은 신경언어학적인 과학에 근거를 두며,
또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의존하고 있는 것처럼 보임

 NLP
• neuro: 두뇌와 그 두뇌가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가를 언급

 NLP에 관한 문헌
• 신경언어학적인 이론이나 연구는 전혀 논의하지 않는다.
• ‘신경 언어학’이라는 말에서 ‘언어학’ 분야의 연구와 관련된 것도 전혀 없음
단지 이 말은 의사소통 이론을 언급하는 것으로, 이것은 언어적, 비언어적
정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

 programming
• 사고와 행동에 대해 관찰할 수 있는 유형(patterns)

 NLP 연구자
• 사람들의 행동을 정밀하게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같이 유형별로 분류
할(program) 수도 있고, 유형별로 분류하지 않을(deprogram) 수도
있다고 주장

• 효과적인 행동을 배우는 것은 기능 학습의 절차와 같음

• 그것은 통제된 단계에서 자동화된 처리 과정으로 옮겨 가는 문제로 봄

3
 표본적 행동모방(modelling)
• 어떤 기능을 모방하는 것은(modelling) 그것에 대해서 모든 것을
이해하고, 또 사람들이 그것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신념과 가치를 이해
한다는 것을 의미

• 사람들은 감정, 경험, 신념과 가치를 모방할 수도 있음

• 성공적인 행위를 모방함으로써 그 행위를 숙달할 수 있음

• 만일 어떤 사람이 무엇을 할 수 있다면, 그것을 모형으로 삼아


다른 사람에게 그 방법을 가르쳐 줄 수도 있음(O' Connor and
McDermott 1996:71).

나. 교수 설계 : 목표, 교수 요목, 학습 활동, 학습자, 교사, 교수 자료의 역할


 NLP의 핵심에 놓여 있는 네 가지 중요한 원리
1) 성과
• 목적 또는 결과이다. 당신이 원하는 것을 알라.

2) 우호적 관계
• 당신 스스로 우호적 성격을 갖고 그 후 다른 사람들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라.

3) 감각적 예민성
• 당신의 감각을 이용하라.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보고 듣고 느껴 보라.

4) 융통성
• 당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다양한 방법을 적용해 보라.

4
 Revell과 Norman(1997)
• 언어 학습이나 다른 영역에서 NLP의 적용을 안내하는 13가지의 전제조건을 제시
• 교사가 갖는 신념체계의 일부분이 되어서, 교사가 어떤 교수법을 사용하든
가르치는 방법을 형성할 수 있음

1) 마음과 몸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 체계의 일부분으로서 서로 영향을 준다.

2) 모두 이 세상에 대한 다른 개념 지도를 갖고 있다.

3) 실패는 없고, 오직 피드백만 있으며 성공을 위한 새로운 기회가 있다.

4) 당신이 진실이라고 믿는 것은 진실이거나 또는 진실로 나타날 수 있다.

5) 당신이 원하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은 당신이 그것을 얻는 데 도움을 준다.


6) 우리가 필요로 하는 자원은 우리들 내부에 있다.
7) 의사소통은 구어적일 뿐만 아니라 비구어적이다.
8) 비의식적인 마음은 도움이 된다.
9) 의사소통은 의식적임은 물론 비의식적이기도 하다.
10) 모든 행동은 긍정적인 의도를 갖고 있다.
11) 의사소통하는 목적은 응답을 얻는 것이다.
12) 훌륭한 행위를 모방하면 숙달할 수 있다.
13) 어떤 체계에서든 가장 융통성을 가진 요소가 그 체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다.

• NLP를 이용한 영어교수에 대한 Revell과 Norman(1997)은 NLP의


개개의 원리를 언어 교육과 연관시키려 함

5
 모방은 NLP 이론의 실제에서는 핵심적
• Bandler와 Grindler가 NLP 이론을 성공적인 치료사들의 치료 방법
으로부터 모방

• 교사들도 그들이 가장 존경하는 숙련된 교사들로부터 그들의


교수 방법을 모방할 수 있음

• 학습자들도 스스로 닮고자 노력하는 사람에 대한 성공적인 모형을


발견할 수 있음

 NLP 언어교사를 다른 언어교사들과 다르게 보이게 하는 점


• NLP에 의하면, 교사들이 교실 수업에서 NLP의 원리를 적용할 때
다양한 반응이 생겨나는 것

• NLP의 네 가지 중심적인 원리 중의 하나는 ‘우호적 관계’의 필요성에


중점을 둠. 따라서 어떤 상황이든 교사가 학습자들과 우호적 관계를
이루어야 함

6
3. 결론
 NLP는 언어 교수법이 아니다.
• 이것은 하나의 인본주의적 철학이요, 일반 심리학에 기초를 둔 일련의
소신이요 제안들이다.

 NLP 전문가들
• 만일 언어교사들이 NLP의 원리를 채택하여 적용한다면, 그들은 더
유능한 교사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

 NLP 이론으로 접근하는 언어 교수


• 일부 교사들에게 그것이 일련의 인본주의적 원리를 제공한다는 사실
로부터 호소력을 갖는다.

생각해 볼 문제

NLP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에 대해 논의해 보자.

7
차시 예고
어휘 중심 접근 방법

8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9.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접근 방법과
어휘 중심 접근 방법

2교시 어휘 중심 접근 방법

1. 어휘 중심 접근 방법의 개념
가. 배경
 어휘를 배운다는 것은 그 어휘의 패턴을 배우는 것이고,
문법도 함께 다루어지는 것(재인용, Hunston, 2002)

▶ 어휘 학습과 문법 학습은 따로 다루어 가르치기 보다는 통합하여


가르치는 것이 더 바람직함

 문법은 오히려 어휘적 측면에서 접근할 때 더 잘 배워질 수도 있음

9
 기존의 문법 중심의 언어교육의 대안

 언어 학습에 있어서 어휘 학습과 문법 학습의 구분을 지양하고 어휘 혹은


어휘구 중심의 언어교육을 주장하는 새로운 움직임

 어휘 선택 시 어려움을 예방하기 위해 새로운 단어를 가르칠 때, 단어의


뜻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그 단어의 쓰임과 같이 어울려 쓰이는 단어
등과 같은 그 어휘와 관련된 정보도 함께 제공된다면 이러한 어려움을
줄일 수 있음

예) ‘exam’이라는 어휘를 배운다면 가능한 한 그 어휘와 관련된 표현까지


가르치고 문맥 속에서 사용되어진 예문들을 제공해 주어야 함

 어휘 중심 접근법은 전산 언어학과 코퍼스 언어학의 발전에 힘입어 더욱


주목을 받는 분야가 되었음

2. 어휘 중심 접근 방법의 특징
가. 접근 방법: 언어 이론과 학습 이론
 Lewis는 언어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는 ‘어휘’라고 생각하고
언어는 어휘화된 문법이 아닌 문법화된 어휘로 구성되어진다고 생각

 언어라는 것은 의미를 지닌 말 덩어리로 구성되어지고, 이러한 의미


덩어리들이 결합되어 연속적인 텍스트를 형성한다고 봄

 Nattinger(재인용, 1980)
• 언어를 발화한다는 것은 이미 만들어진 의미 덩어리들을 적절한 상황에 맞게 결합
하는 것이라 보고 따라서 언어교육도 이러한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

 어휘 중심 접근법에서는 어휘와 문법 사이의 구별이 없어짐

10
 언어 학습자가 언어 표현의 정확성과 유창함을 획득하려면 그 언어의
조합과 고정적 표현을 할 줄 아느냐가 관건

 다시 말해서 어휘 덩어리를 통해서 언어 계통 자체를 이해하게 되며


그 언어를 숙달하고 사용하게 됨

 Krashen과 Lewis의 차이
 Krashen: 어휘를 가지고 모든 것을 할 수 있음
• 의미 있는 맥락이 주어지면 어휘만 가지고도 문법적이거나 담화적인 요소
들을 습득할 수 있음

 Lewis: Krashen에서 더 확장된 개념


• 연어가 언어의 중심이며 이런 덩어리 구문들을 미리 알고 있으면
유용하다고 봄

 문제점
• 어휘 단위에 초점을 맞추는 다른 접근법들과의 차이는 무엇인가?
• 무수히 많은 말들을 알고 싶다고 해서 일일이 다 가르칠 수도 없고,
그것을 어떻게 조합하고, 어떻게 언어체계의 이해로 발전할 수 있는가?

11
나. 교수 설계 : 목표, 교수 요목, 학습 활동, 학습자, 교사, 교수 자료의 역할
 어휘 빈출도에 따라 교과 과정의 목차를 결정

 어휘 교수 요목은 구조적 교수 요목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어휘적 교수


요목을 구성하는 구조가 단어를 어떻게 예시하고 있는지를 보여주어야 함

 어휘 자료를 어떻게 엮을 것인가가 문제

 어휘 배열이나 어휘 결합체들을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어휘 배열을


가르치는 순서를 제시

 교사의 말이 학습자의 주요한 입력원이 됨

 교재 자료를 분석할 때 컴퓨터를 이용해 검색함으로써 기술적인 체계를


조직 할 수 있음

 교수 자료의 4가지 분류
1) 교재, 테이프, 교사용 지침서

2) 어휘 지도에 필요한 활동을 수집

3) 컴퓨터 자료를 출력해 교재로 묶음

4) 컴퓨터의 어휘 용법 검색 프로그램에 학습자들이 직접 자신의 분석 방법을


설정하고 실행하도록 해서 자료를 첨가
옥스퍼드 마이크로 어휘 용법 검색 도구, 인터넷 사이트 이용 가능

예) 예견하다. 예언하다 의 뜻을 가진 단어
• ‘predict'와’ ‘forecast'의 제시 방법
• 두 어휘의 차이와 사용 문맥을 보여주기 위해 제한된 형태 내에서 제시함

12
다. 교수 절차
 교수 절차는 4가지 유형의 자료와 활동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짐

 어휘 배열에 주의를 기울이는 활동

 어휘 배열의 기억과 사용을 강화하는데 노력

 어휘 구에 명시적으로 초점을 맞춘 연습

3. 결론
 언어를 가르치는 데 있어서 어휘의 지위는 어휘 및 언어 이론의 개발,
어휘 자료 분석, 언어 학습과 의사소통에서 다중단어의 역할을 인식함으
로써 강화되었음

 따라서 어휘에 근거한 어휘 중심 접근법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진 것

 이것은 또한 아직 이론적 근거나 교수법으로서의 특성을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에 앞으로 이 이론이 교수 설계 및 교수 절차의 단계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연구되어야 함

13
생각해 볼 문제

‘감사하다. 고맙다.’, ‘미세하다, 미묘하다’ 등, 한국어 유의어 하나를


선택하여 가르치는 방법을 생각해 보자.

차시 예고
능력 중심 접근 방법

14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10. 능력중심 접근방법과
의사소통 중심 접근방법

1교시 능력 중심 접근 방법

1. 능력 중심 접근 방법의 개념
가. 배경
 언어 프로그램 개발에서 학습의 성과 또는 결과에 초점을 둠.

 학습에서 언어 입력보다는 언어 출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능력 중심


교육 관점의 핵심임.

 Schneck(1978:vi)은 실생활에서 특별히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과업의


분석을 통하여 나타나는 일련의 결과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기술함.

15
 CBLT은 능력 중심 교육의 원리를 언어 교육에 적용한 것.

 1990년대까지 CBLT는 ‘국가 정책 입안자와 교육과정 개발 책임자들에게


최신의 성인 ESL 프로그램’으로 받아들여짐.

 1986년까지 미국에서 망명하여 미연방보조금을 받고자 원했던 사람들은


능력 중심 프로그램에 등록해야만 함. CBLT의 옹호자들은 그것을 언어교육
변화의 강력하고 적극적인 요인으로 봄.

 미국에서 능력 중심 관점을 실현한 가장 최근의 일은 ‘수행 기준’운동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것은 1990년 이래 교육계의 지배적인 토론의 문제였음,
미국에서 제2언어 교육, 특히 ESL은 이 수행 기준 운동에 늦게 참여함.

 CBLT는 1980년대 영국에서 외국어 교육계획을 설정하는 데 그 골격으로


제안된 바 있는 등급화 된 목표달성 운동의 특색을 공유하고 있음.

2. 능력 중심 접근 방법의 특징
가. 접근 방법: 언어 이론과 학습 이론
 CBLT
• 언어 본질에서 기능적이고 상호작용적인 견해에 근거를 두고 있음.

•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적인 문맥과 관련지어 언어를 가르치려고 하는 것.

• 학습자가 언어 학습에 대한 특별한 필요성을 갖고 특별한 역할을 갖는


상황과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언어기능을 아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거나 또는 결정할 수 있는 상황에서 언어 교수를 위한 틀로 자주 사용
되어 옴.

16
 CBLT는 전체 의사소통능력을 정확하게 조합할 수 있는 보다 더 작은
부분에서부터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언어학습의 ‘모자이크’ 접근 방
법을 취하고 있음.

 CBLT는 또한 학습자에게 기능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과 어느 정도의 특성을 공유하고 있음.

나. 교수 설계 : 목표, 교수 요목, 학습 활동, 학습자, 교사, 교수 자료의 역할


 CBLT능력의 개념에 따라 설계된 것.

 CBLT는 학생들이 언어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떠나 그 알고 있는 지식을


가지고 무엇을 할 것인가로 초점이 옮겨져 있음.

 19세기 중반부터 교수 목적을 개발하기 위해서 성인에게 요구되는 기능


능력을 분석하고 그 분석에 따라 교육과정 목표를 개발하여 1960년대 이후
CBLT 개발의 기초로 채택되어 정교해짐.

17
 학습자들의 관점에서 능력 중심 접근 방법의 4가지 이점
1) 능력이 세부적이고 실용적이어서, 학습자의 필요와 흥미에 연관지을 수 있다.

2) 학습자는 그 능력들이 학습자에게 관련이 있고 유용한지 어떤지를 판단할 수 있다.

3) 배워서 평가를 받는 이 능력들은 세부적이고 일반 대중들에게 알려진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정확하게 무엇 때문에 배울 필요가 있는지 알게 된다.

4) 능력들은 한 번에 하나씩 완전히 학습할 수 있다. 그러면 학습자들은


무엇을 배웠는지 알게 되고 아직 무엇을 더 배워야 하는지도 알게 된다.

다. 교수 절차
 1993년에는 능력 중심 교육과정이 말하기와 쓰기 자격증을 부여하는 틀로서
도입됨.

• 학습 결과
: 이 능력 중심 프로그램의 틀 내에서 3단계로 나타나게 되었고 4단계에서는
말하기와 쓰기의 고급 자격증을 부여하게 함.

 Hagan(1994)
• 능력 중심 프로그램의 전체 체계가 운영 기술함.

• 최초 평가 후 학생들의 현재 숙달 수준, 학습 진도, 학습의 필요성,


사회적 목적을 토대로 해서 이 교육과정 내의 적절한 반에 배정됨.

18
• 학습자들은 그들의 학습 목적에 따라 집단을 형성하게 되고, 능력은 고급학습,
직업영어, 지역사회 등 지식과 학습 능력, 구술 능력, 읽기 능력, 쓰기 능력
세 가지 교수요목에 따라 정의

• 능력은 더 작은 성분으로 분해되는 요소들이며, 교재의 기본적인 언어 자질을


언급하는 요소

• 언어 능력을 달성하는 데 요구되는 최소의 언어 수행을 명시한 수행 기준

• 능력 수행의 한계를 설정하는 변인의 범위

• 능력과 관계되는 교재와 평가 과업의 예를 제공하는 예시 교재와 평가 과업

3. 결론
 CBLT가 ESL 교육 여러 분야에서 열렬한 환영을 받았지만 실용적인 것과
철학적인 것 두 가지 면에 대해 비판이 있음.
• Tollefson(1986)은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능력 목록’을 개발할 수 있는
타당한 절차가 사실은 없다고 주장함.

• 능력은 학생들이 사회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Tollefson과 다른 사람들은 이 능력이 그와 같은 사회참여에 대한 가치판단을
제시해 준다고 지적함.

 CBLT는 국제적으로 그 힘을 증가시키고 있음.


• 결과중심 접근 방법은 특히 교육 투자에 대한 ‘책임성’을 추구하는 점에서
많은 정치 관계자들을 끌어들임.

19
생각해 볼 문제

언어 학습에서 ‘능력’의 개념을 생각해 보자.

차시 예고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

20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10. 능력중심 접근방법과
의사소통 중심 접근방법

2교시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

1.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
가. 배경
 영국의 응용 언어학자들
• 언어의 기능적 및 의사소통적 잠재성을 강조함.
• 의사소통 능력 숙달에 언어 교수의 초점을 맞추어야 함.

 유럽의 변화하는 교육 현실
• 유럽 국가들 간의 상호 의존성이 증가함.
→ 유럽공동시장의 주요 언어들을 성인에게 가르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성이 대두.

21
 Wilkins
• 자신의 1972년 글을 수정하고 확장하여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의
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Notional Syllabuses(Wilkins 1976)라는
책을 펴냄.

 Littlewood(19811:1)
•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그것이
언어의 구조적 면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면에 체계적으로 관심을 기울인
다는 것임.

 피노키아로(Finnocchiaro)와 브럼핏(Brumfit)-1983
• 자신들의 해석에 따라 청화식 교수법과 의사소통적 접근 방법의 주된 뚜렷한
특징을 다음과 같이 22개 쌍으로 대조시킴.

청화식 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접근방법

1. 의미보다는 구조와 형태에 관심을 의미가 가장 중요하다.


기울인다.

2. 배울 구조가 포함된 대화의 암기를 요구 대화가 사용된다면 의사소통 기능에 중


한다. 점을 두며,대개 암기하도록 하지 않는다.

3. 언어 항목을 반드시 문맥화할 필요는 없


문맥화는 기본적 전제이다.
다.

4. 언어학습은 구조,소리, 단어학습이다. 언어 학습은 의사소통 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22
(2/5)

청화식 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접근방법

숙달 즉, ‘자동적 학습(over learning)’이


5.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추구된다.
추구된다.

반복 훈련을 할 수 있으나, 주된 활동은


6. 반복 연습이 주된 교수 기법이다.
아니다.

7. 원어민 화자와 같은 발음이 추구된다. 이해 가능한 발음이 추구된다.

학습자의 나이,관심 등에 따라서


8. 문법적 설명은 피한다. 학습자를 도와주는 어떠한 보조자료도
수용한다.

의사소통 활동은 엄격한 반복 연습과 활 학습의 초기부터 의사소통을 위한


9.
동을 장기간 한 후에만 나타난다. 시도를 격려할 수 있다.

(3/5)

청화식 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접근방법

적절한 때에는 모국어 사용을 신중히


10. 학습자의 모국어 사용은 금지된다. 허용한다.

학습자가 필요로 하거나 학습자에게


초기 단계에서는 번역이 금지된다.
11. 도움이 될 때는 번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읽기와 쓰기는 말하기가 숙달될 때까지 학습자들이 원한다면 읽기와 쓰기는


지연된다. 첫날부터 시작할 수 있다.
12.
목표어의 언어적 체계는 의사소통을
목표어 언어적 체계는 문형을 명시적으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가장 잘
13. 로 다룸으로써 학습될 것이다. 학습될 것이다.

추구하는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 즉,언어


14. 추구하는 목적은 언어 능력이다. 체계를 효과적으로 적절하게 사용하는
능력이다.

23
(4/5)

청화식 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접근방법

언어의 다양성을 인정하지만 강조하지 언어적 다양성이 교수 자료와 교수법의


15.
는 않는다. 주요 개념이다.

언어 자료의 제시 순서는 흥미를 유지


단원의 순서는 언어의 복잡성 원칙에
16. 시키는 내용,기능,의미를 고려하여 결정
의해서만 결정된다.
된다.
교사는 학습자를 통제하여 그들이
교사는 언어를 학습하도록 학습자에게
17. 이론과 갈등을 일으키는 어떤 일도 하지
동기를 불러 일으킨다.
못하도록 한다.

‘언어는 습관이다.’ 그러므로 오류는 학습자는 흔히 시행착오를 통해 언어를


18.
어떻게 해서든지 막아야 한다. 생성한다.

유창성과 수용 가능한 언어가 일차적 목


19. 언어의 정확성이 일차적 목표이다
표이며,정확성은 문맥에 따라 판정된다.

(5/5)

청화식 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접근방법

학생들은 기계 또는 통제 학습 자료에 학습자들은 쌍이나 집단으로, 직접 혹은


20. 의해 구체화된 언어와 상호작용을 글로써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도록
하도록 기대된다. 기대된다.

21. 교사는 학습자들이 사용할 언어를 교사는 학습자가 어떤 언어를 사용할지


상세화하도록 기대된다. 정확히 알 수 없다.

내재적 동기는 언어 구조에 대한 관심에 내재적 동기는 언어를 통해 의사 소통되


22.
서 나올 것이다. 는 것에 관심을 가질 때 생겨날 것이다.

24
2.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의 특징
가. 접근 방법: 언어 이론과 학습 이론
 의사소통적 접근 방법은 언어는 의사소통이라는 이론에서 출발

나. 학습 이론
1) 의사소통 원칙
• 실제적 의사소통을 포함하는 활동은 학습을 촉진

2) 유의미한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활동은 학습을 촉진

3)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언어는 학습 과정에 도움이 된다는 원칙

다. 교수설계
 피에포(Piepho,1981)는 의사소통적 접근 방법의 다음과 같은 목적의 단계를 논의
1) 통합적 및 내용 단계
2) 언어적 및 도구적 단계
3) 개인 간의 관계와 행동의 정의적 단계
4) 개인적 학습 필요의 단계
5) 언어 외적 목적의 일반 교육적 단계

25
라. 교사 역할
 브린(Breen)과 캔들린(Candlin)은 교사의 역할을 기술

 교사의 역할
1) 학급의 모든 참가자 사이, 그리고 이 참가자들과 다양한 활동과 텍스트
사이의 의사소통 과정을 조정하는 것

2) 학습 교수 집단 속에서 참가자로 활동하는 것

3. 결론
 CLT 는 교수법이라기보다 하나의 접근 방법
 CLT 는 언어와 언어 학습에 대한 의사소통적 견해를 반영

26
생각해 볼 문제

청화식 교수법과 관련하여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의 가장 큰 특징을


생각해 보자.

차시 예고
자연적 접근 방법

27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11. 자연적 접근 방법과
협력 학습 접근 방법

1교시 자연적 접근 방법

1. 자연적 접근 방법의 학습 이론
가. 배경
1) 크라센(Krashen)의 제2언어 습득 이론 + 테렐(Terrell)의 교수 관행과
수업 절차

2) ‘자연적Natural’ 이란
• 외국어 학습 방법도 모국어 습득과 같이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

3) 그래서 사람들은 자연적 접근 방법 (The Natural Approach)와


자연적 교수법(Natural Method)를 동일하게 생각함

28
자연적 교수법
자연적 접근 방법
(Natural Method)
(The Natural Approach)
=직접식 교수법

교사의 독백, ★ 입력, 학습에 대한 정서적


직접적인 반복, 준비, 언어 표현을 하기 전에 들은
형식적 질문과 대답, 것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는 기간
정확성 의 연장, 이해 가능한 언어 자료

나. 언어 이론
1) 크라센과 테렐은 언어 이론에 거의 주의를 기울지 않음.

2) 단지 그들은 의미를 최우선시할 것을 강조함.


⇒ ‘언어 습득은 사람들이 목표어로 전달 내용을 이해할 때에만 일어날
수 있다.’ (어휘의 중요성을 강조)

29
다. 학습이론
1) 습득/ 학습 가설 (The acquisition/ learning Hypothesis)
• 습득: 언어를 자연스럽게 숙달할 때 일어나는 무의식적인 과정
• 학습 : 언어에 대한 의식적인 규칙들이 발전되는 과정
▶ 학습은 습득으로 전이 될 수 없다.

2) 감시 장치 가설 (The Monitor Hypothesis)


• 의식적으로 학습된 것은 습득된 체계의 출력을 점검하거나 고치는
조정자 또는 편집자로서만 기능함.

 감시 장치의 성공적인 이용
가) 시간(Time)
: 학습된 규칙을 선택하고 응용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있어야 함.

나) 형태에 초점(Focus on Form)


: 정확성이나 출력의 정확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다) 규칙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Rules)


: 감시 장치 사용자는 규칙을 알아야 하며 규칙은 단순해야 함.

30
3) 자연순서가설( The Natural Order Hypothesis)
가) 문법 구조의 습득은 예견할 수 있는 순서로 진행됨.

나) 오류는 자연스러운 발전 과정의 하나임. 모국어가 달라도 습득하는


도중에 언어발달에 따른 유사한 오류가 나타남.

4) 입력 가설 (The Input Hypothesis)

가) 사람들은 그들의 현재의 언어 능력 수준을 약간 초과하는 입력을


이해함으로써 언어를 가장 잘 습득할 수 있음. ⇒ I+1

나) 충분한 양의 이해 가능한 언어자료 (Comprehensible Input)가


있다면 I+1은 보통 자동적으로 제공될 것.

라. 교수설계
1) 목표
가) 자연식 접근 방법은 초급자를 위한 것으로 이들이 중급 수준의 언어
능력을 갖추는 것을 돕기 위해 고안됨.

나)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의 원리를 따르고 있음.


① 크게는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함양에 목표를 둠.

② 세부적 목표는 학습자의 필요, 기능(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과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짐.

31
2) 교수요목
가)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따라 이해 능력과 표현 능력을 개발

나) 개인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본 기술(Basic personal


communication skills)과 학문적 연구를 위한 기술 (Academic
learning skills)을 개발하는데 둘 수 있다.

개인적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기본기술 학문적 연구를 위한 기술

구술 문자 구술 문자
: 듣기와 말하기 : 읽기와 쓰기 : 듣기와 말하기 : 읽기와 쓰기
•대화에 참여하여 •짧은 편지나 개인 •교실에서 보고를 •교재를 읽을 수
들을 수 있다. 적인 서신을 읽고 할 수 있다. 있다.
쓸 수 있다.
•공고를 듣고 •강의, 영화, 기타 •보고서와 논문을
•표지판과 광고문 시청각 자료의 쓸 수 있다.
공공장소에서
을 읽을 수 있다. 내용을 들을 수
정보를 물을 수 있다. •문학 작품을 읽고
있다. •서식을 읽고 토론할 수 있다.
완성할 수 있다. •토론과 학급 토의
•라디오, 텔레비전, 를 듣고 발표할 •시험 답안을 작성
영화, 음악을 •취미로 글을 읽을 수 있다. 할 수 있다.
들을 수 있다. 수 있다.
•강의를 듣고 필기
할 수 있다.

32
3) 교수활동 유형
• 자연적 접근 방법을 따르는 수업에서는 중점을 목표어로 이해 가능한
입력을 제시하는 데 두고 있으며 긴장감을 줄여 주기 위해서 학습자들이
말할 준비가 될 때 까지 듣기 위주의 활동

가) 이해 가능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


• 질문하고 한 단어로 이루어진 대답 활동

나) 현재 현 위치에 존재하는 것들에 관한 활동


• Yes/no 질문, Either-or 질문

다) 행태가 아니라 의미에 초점을 두는 활동-도표, 그림, 광고, 다른 실물


자료를 사용하여 학급 구성원들간의 말하기 활동(짝활동, 집단활동)

4) 학습자의 역할
가) 발화 전 단계(Pre-production stage)
• 목표어로 반응할 필요 없이 언어 활동에 참여한다.

나) 초기 발화 단계(Early-production stage)
• 질문에 짧게 대답하고 , 낱말과 어구를 사용하고, 도표를 완성하고,
간단한 대화를 한다.

다) 말이 나타나는 단계(Speech-emergent phase)


• 스스로 놀이와 게임에 몰두하고 개인적 정보와 의견을 제시하며,
집단 문제 해결에 참여한다.

33
5) 교사의 역할
• 교사는 목표어에 있어서 이해 가능한 입력의 주요 원천이다.
• 교사는 흥미롭고 우호적인 수업 분위기를 창출해야 한다.

2. 자연적 접근 방법의 교수 절차의 특징


가. 전시간에 학습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사가 명령을 하면 학습자들이 행동으로
나타낸다. -TPR적용

나. 학습할 내용을 중심으로 교사가 교실에 있는 사람, 사물 등을 이용하여 명령


을 하면 학습자들이 행동 반응한다. -TPR적용

다. 잡지나 교재에 있는 사진이나 시각자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어휘를 도입한다.

라. 그림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1~5개 정도의 새로운 어휘를 구두로 제시한다.

마.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그림을 주고 그 그림에 관하여 목표어로 이야기해 준다.

34
바. 교사는 그 그림에 관하여 학습자들에게 묻고 대답하게 한다.

사. 여러 개의 그림을 보고 난 후에 명령을 듣고 반응하게 한다.

아. 교사가 목표어로 어떤 그림을 묘사하는 말을 해주면 학습자들이 그에 해당


하는 그림을 가리키게 한다.

자. 교사가 반복하여 명령을 하거나 쉬운 말로 풀이하여 의미를 이해시킨다.

차. 교사가 그림을 보여주면서 설명한 후에 질문을 하고 학습자들에게 대답하게


한다.

생각해 볼 문제

자연적 접근 방법과 자연적 교수법을 비교하여 자연적 접근 방법의


특성을 생각해 보자.

35
차시 예고
협력 학습 접근 방법

36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11. 자연적 접근 방법과
협력 학습 접근 방법

2교시 협력 학습 접근 방법

1. 협력학습 접근 방법의 학습 개념
가. 배경
1) 전통적인 교실 학습
• 교사가 학습자들에게 협력 보다는 경쟁을 유발시키고 다수의 학습자들
을 위주로 하는 교육

2) 이런 학습 환경에서는 학업에 뒤진 소수 학습자들은 우수 학습자들에게


뒤떨어질 수 밖에 없다.

3)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학급에서 짝이나 소집단을 구성하여 학습자가


협력활동을 최대한으로 이용하는 접근 방법 등장

37
나. 접근방법
1) 언어 이론
 언어에서의 상호적이고 협력적인 언어와 언어 학습의 전제 조건
가) 인간은 말하기 위해 태어난다.

나) 대부분의 말들은 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다) 대화는 청자와 화자 간의 일련의 협력 규칙에 따라 이루어진다.

라) 사람은 격식 없는, 일상생활의 상호작용을 통해 모국어로 이 협력


규칙을 배운다.

마) 사람은 협력적으로 이루어진 상호 작용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이 협력 규칙이 제 2언어에서도 어떻게 실현되는지 배운다.

2) 학습 이론
가) 바탕
① 피아제(Piaget)와 비고츠키(Vygotsky)의 학습 이론에 바탕을 둠
② 학습에서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중시함.

나) 상호작용적 구조(interactive structure)


• 새로운 언어로 대화하면서 적절한 규칙과 관행을 배우는 것.

다)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언어의 기본 기능을 개발.

라) 협력적(cooperative): 학습에서 경쟁보다는 협력을 장려.

38
2. 협력 학습 접근 방법의 특징
가. 교수설계
1) 목표
가) 경쟁보다는 협력 조성

나) 비판적 사고 기능 개발

다) 상호 협력적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개발

나. 교수요목
가) 특정한 언어 교수요목은 없다.

나) 언어의 4기능 지도, 문법, 발음 , 어휘 등의 학습 요소를 사용한다.

다) 교사 중심의 수업의 대안으로서, 체계적이고 주의 깊게 계획된


집단 중심 교수 절차를 사용한다.

39
다. 교수활동유형
1) 집단학습의 성공 요소 (Olsen 과 Kangan)
가) 긍정적인 상호의존(Positive interdependence)
• 그룹 멤버 중 한 명에게 도움이 되는 것은 모두에게 도움이 되고
해가 되는 것은 모두에게 해가 된다고 여기는 것.

• 이것을 이용해서 그룹별 에세이(essay)를 쓰거나 그룹별 평가에 이용


가능함.

나) 집단 형성(Group formation)
• 2-4명으로 결정, 비 동질적 그룹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짜는
것이 좋으나 그 외에 학생에게 선택권 주는 것도 가능함.

• 개별 학생들은 그룹에서 맡은 역할이 있음.

다) 개별적 책임(Individual accountability)


• 개별학생에게 개인 점수를 주는 것과 팀별 점수를 주는 것 모두 가능.
• 학생들은 자기 그룹, 다른 그룹, 학급 전체에 책임감을 지녀야 함.

라) 사교적 기능(Social skills)


• 학습자들은 다른 멤버들과 상호작용 하는 방법을 배우고 수행.

마) 상호작용 활동의 조직과 구조


• 학습자들의 상호 작용을 조직하는 방법.

40
2) 협력학습 과업의 유형
가) 팀 연습 활동(Team practice)
• 교사가 제공한 동일한 자료를 가지고 멤버들은 답을 찾기 위해 노력
하면서 상호 작용을 하고 협동학습을 하게 된다.

나) 짜맞추기 활동(Jigsaw)
• 학생들은 다른 정보를 받음

• 같은 정보를 가진 학생끼리 모여서 주어진 자료를 충분히 학습해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칠 준비를 함.

• 본래의 자신의 집단(Jigsaw group)으로 돌아온 학생들은 다른 멤버들과


정보를 공유함.

• 토의를 통해서 정보를 종합함.

3) CLL의 활동
가) 3단계 면접
• 멤버 중 두 명씩 인터뷰 역할을 수행함-역할을
바꿈-다른 멤버들에게 무엇을 했는지 발표함.

나) 원탁테이블 협의
• 각 팀에 펜과 종이 한 장이 제공됨-각 학생들은 종이에 자신이 할 수
있는 만큼 기여하고 다음 학생에게 넘김.

다) 생각을 함께하는 짝(Think-Pair-Share)


• 교사가 토론의 여지가 있는 쟁점 제시-학생들은 답을 생각하고 멤버
들의 의견을 들음-발표자는 자기 파트너의 의견을 학급을 대상으로
발표함.

41
라) 해결을 함께 하는 짝(Solve-Pair-Share)
• 교사가 쟁점 제시-학생들은 개별적으로 문제 해결 고민해 보기-각자
자기가 문제 해결한 방법을 다른 멤버들에게 설명하기.

마) 번호가 부여된 학생(Numbered Heads)


• 개별학생들은 자신의 번호를 받음-교사가 질문을 제시-학생들은 함께
답을 고민하며 모든 사람이 답을 이해하도록 함-교사가 무작위로 지적
한 번호의 학생이 답을 말하기.

라. 학습자의 역할
1)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학습 과업을 공동으로 수행해야 한다.
2) 협동학습(teamwork)의 기능을 배워야 한다.
3) 학습에 대한 방향을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

42
마. 교사의 역할
1)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
2) 학습 목표를 설정한다.
3) 학습 과업을 계획하고 조정한다.
4) 교실 환경을 배열하고 학습자들을 집단에 배정한다.
5) 교수 자료와 시간을 선택한다.
6) 학습의 촉진자(facilitator) 역할을 한다.
7) 훈육을 위한 약간의 통제 외에는 거의 명령을 하지 않는다.
8) 단원의 내용을 재구성하는 일을 한다.

생각해 볼 문제

협력 학습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한국어 수업을 하고자 할 때,


고려할 소집단 구성에 대해 생각해 보자.

43
차시 예고
내용 중심 접근 방법

44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12. 내용 중심 접근 방법

1교시 내용 중심 접근 방법(1)

1. 내용 중심 접근 방법의 개념
가. 배경
 내용 중심 접근 방법(Content-Based Instruction) 학생들이 습득할
내용 혹은 지식 중심으로 조직

 언어교수에서 ‘Content(내용, 의미)’


• 언어를 통해서 우리가 배우거나 의사소통을 하는 실체(substance)
또는 주제(主題:subject matter)를 지칭

• 실체 또는 주제를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언어를 지칭하지 않음

45
 내용 중심 접근 방법은 1980년대에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의 원리에
똑같이 의존

• 만일 언어학습 교실이 전정한 의사소통과 정보교환에 초점을 맞춘다면,


제 2언어 학습을 위한 이상적인 상황은 언어교수의 내용이 문법, 기능,
어떤 다른 언어에 바탕을 둔 구조의 단위가 아니라, 내용(content)
즉, 언어영역 밖에 존재하는 주제를 제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학생들은 실생활과 연관된 내용을 학습하는 부산물로 언어를 배우게
됨.(Widdowson의 논평)

 1970년 후반 언어를 통해서 내용을 습득하는 원리를 강조


• 이와 같은 유형의 언어교수법
: 전체 교육과정을 통한 언어교육, 몰입(沒入) 교육, 이민자 영어교육
프로그램, 부진아를 위한 영어교육 프로그램, 특수 목적을 위한 언어
교육 등

 다른 교육과정 설계에서 본 내용의 역할


• 전체 교육과정을 통한 언어교육은 모국어 교육을 위한 하나의 제언으로,
1970년 중반 한 영국 정부 위원회의 추천에서부터 나온 것

• 언어기능은 여러 교과목 내용에서도 가르쳐야 하며, 영어교사에게만 전적


으로 맡겨 두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일반 교과를 가르치는 교사와
영어교수 간 협력의 목표를 통합시킨 교육과정의 자료가 개발되기도 함

46
 몰입 교육
• 정규 학교 교육과정을 외국어로 가르치는 외국어 교육의 유형

 몰입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의 목표


1) 높은 수준의 외국어 숙달도를 개발

2) 외국어를 말하는 사람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개발

3) 학생의 나이와 능력에 따른 요구에 상응하는 영어 기능 개발

4) ‘내용 교과 영역(content areas)’에서 명시된 기술과


지식을 얻음

 이민자 영어교육 프로그램


• 어떤 나라에 바로 도착한 이민자들이 그 사회에서 살아가도록 하기
위한 언어 교육에서 초점을 맞추고 있음

• 이민국의 관료제도, 편의시설 찾기, 시장보기, 구직 등

 부진아를 위한 프로그램
• 이민자 프로그램에서 교육을 받은 후 부모를 둔 아동을 위해 정부로
부터 위임 받아 만든 언어교육 프로그램

• 제 2언어로 학문적 내용을 이해하고 학문적 과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중심을 두고 있음

47
 특수 목적을 위한 언어교육
• 제 2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업무 내용 및 실생활과 연관된 기능을 습득
할 필요가 있음

• ‘과학기술 영어(English for Science and Technology)’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과학기술 영어과정을 제공하는 학원은 컴퓨터과학 분야의 전문 논문을


읽거나 화학공학 분야에서 학문적인 논문을 쓰고자 할 때,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해 특별 영어과정을 개설할 것

나. 접근방법
 내용 중심 접근 방법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중요한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음
1) 언어 그 자체를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오히려 정보를 얻는
수단으로 언어를 사용할 때, 제 2언어를 더 성공적으로 배움.

2) 내용 중심 접근 방법은 제2 언어를 배우기 위한 학습자의 필요성을


더 잘 반영한 것임, 내용 중심 프로그램이 ESL 학습자에게 학문적 연구나
정규반에 들어갈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믿음.

48
2. 내용 중심 접근 방법의 언어 이론
가. 언어 이론
 언어의 본질에 대한 몇 가지 가정이 내용 중심 접근 방법의 바탕
1) 언어는 글과 담화에 근거를 둔다.
• CBI는 언어의 역할이란 학습내용을 위한 도구

• 언어 실체의 중심점은 단일 문장들보다 더 긴 문장들의 결합임.

• 길게 말을 사용한 발화 사건과 글의 유형

• 편지, 보고서, 수필 등의 내용과 같은 쓰인 글, 또는 회의, 강의 및 토론과


같은 발화 사건(speech event)이 쓰인 글에 대한 글의 구조와 담화구조
(discourse structure)에 대한 연구

2) 언어의 사용은 기능의 통합에 의존한다.


• 내용 중심 수업에서 언어 기능들을 연관 짓는 활동을 함.
학생들은 읽고 메모하고 듣고 요약하거나, 또는 그들이 읽고 쓴 것에
대해서 구두로 응답할 수 있음.

• CBI에서는 문법을 언어에서 분리된 것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언어 기능의 다른 한 구성 요소로 간주함.

• 화제 또는 주제 중심 언어 과정은 언어 기능을 통합시킨 접근방법으로


담화 내에서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춤.

49
3) 언어 사용은 목적이 있다.
• 그 목적은 학문적일 수도 있고 직업적, 사회적, 오락적일 수 있으나
목적은 담화와 글에 방향, 형태, 그리고 궁극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것임.

• 학습자들이 CBI로부터 최대 이점을 얻기 위해서는, CBI의 목적과 이들


목적을 표현해 주고 서로 연결해 주는 언어와 조화를 맞출 필요가 있음.

• 내용을 조정하고 단순화할 필요가 있음.


단순화, 절을 사용, 문법에 맞는 문장 사용, 규칙성, 잉여적 표현의
사용 등

나. 학습 이론
 CBI는 목표어의 자료로부터 정부를 습득하는 데 일차적인 초점을 맞추어,
이 자료가 유의미한 문맥 속에 나타나도록 학습자들에게 제시되었을 때,
성공적인 언어 학습이 나타난다는 공통된 가정에서 나옴.
(Brinton et al., Wesche, 1989:17).

50
 논의한 CBI의 핵심적인 원리로부터 나온 많은 추가적인 가정
1) “사람들은 그들이 습득하려고 하는 정보가 흥미 있고, 유용하고, 소망
하는 목적으로 이끌 수 있다고 느낄 때 제 2언어를 가장 성공적으로
배운다.”

→ 언어 학습은 학습자가 언어보다는 여러 가지 생각, 문제, 의견에


초점을 맞추게 될 때 동기가 더 많이 부여됨.

2) CBI는 학생들의 지식과 이전 경험의 토대 위에 바탕을 둠.


• 학생들은 백지의 상태가 아니라, 수업을 위한 중요한 지식을 스스로
끌어와서 학습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존재를 간주됨.

생각해 볼 문제

내용 중심 접근 방법이 근거로 두고 있는 원리에 얼마나 동의할 수 있


는가?

51
차시 예고
내용 중심 접근 방법(2)

52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12. 내용 중심 접근 방법

2교시 내용 중심 접근 방법(2)

1. 내용 중심 접근 방법의 교수 설계
가. 교수 설계
1) 교수 목표
 CBI 과정은 내용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 내용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곧 언어 학습의 목표를 달성하는 필요
충분의 증거로 간주되고 있음.

 CBI는 주제 중심(theme based) 지도 모형이다.


• 이 교육과정에서는 흔히 정해진 언어 학습 목표가 있으며, 주제 모형
단위(module)가 이들 목표를 구현하는 조화될 수 있는 문맥을 제공
하는 정도에 따라 선택됨.

53
 CBI 교육 목표의 예시
• Free University of Berlin의 제공된 주제 중심 집중 언어과정
(Intensive Language Course:ILC)에서 찾아볼 수 있음

 이 목표들은 언어적, 전략적 및 문화적 목표


가) 현재의 영어 가능을 활성화하고 개발

나) 미래에 언어를 발전시킬 기회가 오면, 적용시킬 수 있는 학습기능과


전략을 습득

다) 대학의 모든 교과목 영역의 공부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학업


기능을 개발

라) 학생들의 영어 사용은 국민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으로


간주(Brinton et al., 1989:32)

나. 교수 요목
 대부분의 CBI 과정에서는 교수 요목의 세부사항이나 형식이 매우 다양함.

 주제 중심 모형에서는 내용과 가르칠 순서가 언어의 학습 목표에 따라


선택됨.

 주제 중심 모형은 ‘화제적 교수 요목(topical syllabus)’을 사용하는데,


이 교수 요목은 그 이름이 암시하는 것처럼 특수한 화제(topics)나
부주제(subtopics)를 중심으로 구성됨.

 모든 단위들은 ‘어떤 기능이나 어휘, 언어 구조 및 개념들이 응집성 있게


바뀔 수 있도록 서로 관련 지어’ 설계되어 배열됨

54
다. 교수 학습 활동 유형
 CBI는 많은 학습활동 유형을 기술하고 있음

 Stoller(1997)
: 지도 초점에 따라 분류한 활동 목록을 제시
• 언어 기능 향상 - 의사소통적 상호작용
• 어휘력 증대 - 학습기능
• 담화 구조 - 내용 자료(content materials)와 문법의 통합

라. 학습자의 역할
 CBI의 한 목표는 학습자들이 자율성을 갖게 하여 “그들 자신의 학습과정
을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처음부터 그들 자신의 학습에 책임을 지게 한다.”
(Stryker and Leaver 1993:286).

 학습자들은 언어학습의 새로운 접근방법에 따라갈 마음의 다짐이나


각오를 할 필요가 있다.

55
마. 교사의 역할
 스트라이커(Stryker)와 리버(Leaver)
: CBI 교사들은 누구나 다음과 같은 기본 기능을 해줄 것을 제안

1) 교실 수업의 형식을 다양하게 변형시키기


2) 집단학습과 팀 구성 기법을 이용하기
3) 짜맞추기(jigsaw) 읽기 활동의 절차를 조직하기
4) 학생들의 성공에 필요한 배경지식과 언어기능을 정의하기
5) 학생들이 대응전략을 개발하도록 도와주기
6) 과정적 쓰기 접근 방법 (process approach)을 이용하기
7) 적절한 오류수정 기법을 사용하기
8) 높은 수준의 학생 존중 태도를 개발하고 유지하기

바. 교수 자료의 역할
 언어 학습을 용이하게 하는 교수 자료
• ‘내용 중심 교과목’의 주제를 사용하는 자료
•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찾아냄
• 자료들은 ‘실생활과 연관된다(authentic)’ 것에 유의해 사용할 것을 권고
예) 여행 안내 책자, 기술적인 전문잡지, 기차시간표, 신문광고 등과 같은
실물 자료 사용할 것을 추천

 이해 가능성도 실생활 연관성과 마찬가지로 중요


• 실생활 연관성이 중요하다 하더라도, 교수 자료들도 이해에 최대한 도움
을 줄 수 있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음

▶ 언어 표현을 단순화하거나 교수 자료에 잉여성을 추가할 수 있음을 의미

56
2. 내용 중심 접근 방법의 최근 모형
 CBI 원리는 모든 언어학습 단계의 학습자를 위한 교과과정 설계에 적용
될 수 있다.
주제 중심 언어 수업
보호된 내용수업
대학 수준의 교과과정 부가적 언어수업
팀 교수접근 방법
기능 중심 접근 방법
주제 중심 접근방법
초등·중등 수준의 교과과정
부가적 접근방법
공립학교나 대학 외부에 있는 사설 언어학원들이 운영
사설 언어학원의 교육과정 하는 많은 어학 프로그램의 교과과정과 교수 자료의
구성에 주제 중심 과정이 기본틀을 제공하고 있다.

 교수 절차
EL Norte(The North)라는 영화를 관람하고 그것을 내용으로 한 스페인어 수업
1) 언어학적 분석
• 그 전날 학생들이 구두로 발표한 언어분석을 기초로 문법과 어휘에 대해 토의

2) 영화에 대한 준비
• 어휘 연습문제를 포함해서, 영화에 나타난 어휘를 사전에 살펴보는 활동

3) 영화의 한 부분을 시사

4) 영화에 대한 토의
• 교사가 영화를 주제로 토의를 선도

5) 미국 이민국 법률을 읽고 그것에 대해 토의

57
6) 비디오에 담긴 면접 장면
• 학생들은 이민 문제를 논의하는 짧은 면접 장면
7) 토의
• 이민문제의 개혁을 위한 토의를 진행

8) 기사문 준비
• 학생들에게 관련된 기사들을 읽을 시간을 주고, 학습에서 발표

9) 기사문 발표
• 몇 학생에게 기사문을 발표하게 하고, 이를 녹음해 두었다가 그들이
후에 발표 내용에서 잘못된 것을 스스로 수정

10) 마무리 토의

3. 결론
 언어교수에서 내용 중심 접근 방법은 1980년대 이후 다양한 학습활동
에서 널리 사용되어 옴

 옹호하는 사람들
• 이 접근 방법이 다른 대안적인 언어교육 접근 방법보다 성공적인 결과로
이끈다고 주장

 교사가 학생들의 관심과 필요에 부응할 수 있는 무제한의 기회를 흥미


있고 유의미한 내용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이 접근방법은 교사와 교육과정
설계자에게 많은 실용적인 이점을 제공

58
생각해 볼 문제

내용 중심 접근 방법의 특성에 근거한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방법을 생각해 보자.

차시 예고
과업 중심 접근 방법

59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13. 과업 중심 접근 방법

1교시 과업 중심 접근 방법(1)

1. 과업 중심 접근 방법의 개념
 TBLT는 1950년대 직업적인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그 당시 새로운 군사적
기술 및 직업적 전문 기술과 관련하여 군의 훈련계획에 처음으로 도입된,
의사소통이나 상호협력이 없는 ‘단독 정신운동 과업’에서 ‘팀 과업’으로
바뀌고, 1970년 초기 이후 일반 교육계에서 학문적 과업에 초점이 맞추어짐.

60
가. 배경
1) 언어교수의 계획과 지도의 핵심 단위로 과업(Tasks)을 이용하는 데
기초를 둔 하나의 접근 방법

2) TBLT는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CLT)의 논리적 발전이라 봄


• 의사소통적 언어교육의 원리에 의존
• 실생활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활동들이 언어학습에 필수적
• 유의미한 과업을 수행하는 데 이용된 언어활동은 학습을 증진시킴
•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언어는 학습과정을 도와줌

▶ TBLT의 과업들은 이 의사소통 원리를 적용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제안


되고 있으며, 언어교수를 위한 의사소통적 기본틀 안에서 과업 중심
접근 방법을 적용시킨 초기의 예는 ‘말레이시아의 의사소통적 교수 요목
(1975)’과 ‘방갈로아 계획(1985)’이다.

3) 제2언어 습득을 연구하는 몇몇 학자들로부터 지지


• 문법 중심의 교수활동이 교실 밖의 자연적인 언어학습 상황에서 사용
되는 인지적 학습과정을 반영하고 있다는 증거가 없다고 주장

• 학습자들이 과업(Tasks)을 통하여 더 좋은 언어학습의 기회 제공

61
4)피즈( Feez 1998:17)의 과업 중심 접근 방법의 기본 가정
• 결과 < 과정

• 의사소통과 의미 강조

• 학습자들은 활동과 과업에 참여하는 동안 의사소통적·의도적으로


상호작용을 하여 언어를 배움

• 활동과 과업은 난이도에 따라 배열

• 과업의 난이도는 학습자의 이전 경험, 과업의 복잡성, 과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언어, 이용 가능한 지원 정도 등의 요소에 의해 결정

5) 과업은 언어를 사용해 해결책을 찾아내는 활동이나 목표


예) 수수께끼 문제 해결, 지도보고 길 안내하기, 전화 걸기, 편지쓰기,
일련의 지시문을 읽고 장난감 조립하기

6) 스케한(Skehan 1996b:20)의 TBLT에 관한 견해


• 과업의 일차적인 초점은 의미 있는 활동

• 과업의 성공은 결과의 달성 여부에 따라 평가됨

• 실생활의 언어 사용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가짐

• 따라서 CLT의 입장을 받아들이고 있음

62
7) 누난(Nunan 1989:10)의 과업에 대한 정의
• 의사소통적 과업은 학습자들이 목표어로 이해·조작·발화하거나 또는
상호작용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활동

• 언어 형태보다는 의미에 초점을 맞춤

• 과업을 마쳤을 때 완성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어야 함

 언어관의 특징
1. 언어는 의미를 표현하는 체계이다.

2. 언어의 일차적 기능은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다.

3. 언어의 구조는 그것의 기능적이고 의사소통적 사용을 반영한다.

4. 언어의 일차적 단위는 단지 그 문법적 및 구조적 특징뿐만 아니라,


담화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기능적 및 의사소통적 의미의 범주이다.

63
2. 과업 중심 접근 방법의 언어 이론
가. 언어이론
1) 언어는 일차적으로 의미를 표현하는 수단이다.

2) 과업 중심 교수는 다양한 언어 모형에 토대를 두고 있다.

3) 어휘적 단위가 언어 사용과 언어 습득에 중요하다.

4) ‘대화’는 언어의 중심적 초점이고 언어 습득의 주춧돌이다.

나. 학습 이론
 TBI는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의 언어학습 외에 학습원리가 추가됨
1) 과업은 언어 습득에 필요한 입력 및 출력 자료의 처리 과정을 제공한다.

2) 과업 활동과 목적 달성은 동기를 부여한다.

3) 학습의 어려움은 특정한 교육 목적을 위해 협상을 하여 조정될 수 있다.

64
생각해 볼 문제

과업 중심 접근 방법에서 의미하는 과업이란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차시 예고
과업 중심 접근 방법(2)

65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13. 과업 중심 접근 방법

2교시 과업 중심 접근 방법(2)

1. 과업 중심 접근 방법의 교수 설계
가. 목표
 TBLT는 주로 과업 중심 활동의 예를 기술하고 있으나 다른 의사소통적
접근 방법과 마찬가지로 개별 학습자의 특수한 필요에 의해서 가장
이상적으로 결정
→ 롱(Long)과 크룩스(Crookes)는 과업의 선택은 실생활에서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것을 주의 깊게 분석하고 그 분석에 근거를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66
나. 교수요목
1) 전통적 교수요목과 과업 중심 교수요목의 차이

전통적 교수요목 TBLT의 교수요목


•습득 가능한 내용과 기능 중심 •전통적인 교수요목을 포괄함과
으로 설정 동시에 학습의 과정적 차원
•언어구조/기능/화제와 주제 (Process dimension of
learning)을 더 중시
•거시적 기능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 어떤 프로그램 내에서 학습자
들이 수행해야 하는 과업을
•능력/교재 유형
명시
•목표로 제시된 어휘

2) 누난(Nunan 1989): 교수요목의 기초로서의 과업 선택

실생활과 연관된 과업 교육적 과업

요구분석에서 중요하다고 나타나 제2언어 습득이론과 연구에서


고, 실생활에서도 중요하고 유익 심리언어학적 근거를 갖고 있지만
하게 보이는 과업들을 연습하거나 실생활과 연관되지 않을 수 있는
예행연습을 하도록 설계된 과업 과업

→ 실생활과 관련된 과업에 초점을 맞추고 요구분석을 통해 과업을


확인하고 그 정보를 교수계획과 교수실제의 기초로 사용하는 것은
능력 중심 접근 방법의 절차와 동일

67
가) 인도의 방갈로아 계획

과업유형 예시
지시에 따라 숫자와 알파벳 글자를 사용하여 도표의 각 부분에
1. 도표와 도표구성
이름을 부여하기

2. 그리기 기하학적 모형이나 형태를 일련의 구두 지시에 따라 그리기

3. 시계의 앞면 시계의 바늘을 돌려 가면서 주어진 시간을 나타내기

4. 월별 일정 여행, 휴가 등의 상황에서 날짜와 주로 그 기간을 계산하기

5. 지도 집의 평면도를 시술된 내용대로 구성하기

6. 학교 수업시간표 교사를 위해서 특별한 과목의 시간표 자기

7. 여행프로그램과 일정 여행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여행 일정 짜기

나) 주제에 따라 묶은 대표적인 실생활 관련 과업의 예


[Norris, Brown, Hudson, Yoshioka(1998)]

주제 휴가계획 대학지원
과제들 • 비행기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 대학에 지원서 제출
갈 수 있는 장소 결정하기 • 학과장과 서신 교환
• 비행기표 예약 • 재정 지원에 대한 문의
• 호텔 선택 • 지도교수의 충고에 따라 원하는
• 방 예약 수강 가능한 과목 선택
• 전화로 수강 신청
• 등록금 계산과 지불

68
2. 교수 학습 활동의 유형
가. ‘과업’의 정의
 브린(Breen 1987:26)
• 과업
: 의사소통 중에 새로운 언어와 그 언어 사용에 있는 언어지식과
언어능력을 세련시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짜놓은 학습계획

• 단순하고 간단한 연습문제도 하나의 과업이 될 수 있음

• 어떤 유형의 언어 평가도 이 과업의 연속체 내에 포함될 수 있음

 프라부(Prabhu 1987:17)
• 학습자가 사고 과정을 통해서 주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도달할 것을
요구하는 하나의 활동인데, 이 활동을 교사가 통제하고 그 과정을 규제
하도록 허용함

 크룩스(Crookes 1986:1)
• 일반적으로 명시된 목적을 갖고 교육과정의 한 부분으로서 시행하는,
또는 연구를 위해서 자료를 이끌어내는 데 사용되는, 학습 또는 하나의
활동

• 요약하기, 수필쓰기, 수업시간에 메모하기, 언어수업에서 실시 할 수


있는 연습, 대화 읽기, 가르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사가
사용하는 어떤 활동도 과업이 될 수 있음

69
나. 범주별 과업: 과업의 설계와 과업기술의 근거
 윌리스(Willis 1996): 전통적인 지식의 위계에 근거
1. 열거하기
2. 순서를 정하고 종류별로 분류하기
3. 비교하기
4. 문제해결하기
5. 개인적인 경험 공유하기
6. 창의적인 과업

 피카(Pica), 카나기(Kanagy),퍼로둔( Falodun 1993)


: 상호작용의 유형에 따른 과업

1. 짜맞추기 과업
2. 정보차이 과업
3. 문제해결 과업
4. 결정을 내리는 과업
5. 의견 교환 과업

70
다. 학습자의 역할
1) 집단 참여자(Group participants)
• 많은 과업들이 짝 또는 작은 집단으로 시행됨
• 개별적인 학습에 익숙해진 학생들은 이 집단 참여의 역할에 적응하는
노력이 필요

2) 모니터(Monitor)
• 학습자들은 과업에서 사용된 내용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을 표현하는 언어 형태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

3) 모험감수자와 개혁자(Risk-taker and innovator)


• 언어적, 문맥적 단서로부터 추측하기,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서 물어
보기, 그리고 다른 학습자들과 상의하기와 같은 기술 또한 개발할
필요가 있음.

71
라. 교사의 역할
학습자들에게 과업을
과업을 선택하고 배열하는 역할
준비시키는 역할

• 과업을 선택·조정·만드는 역할 • 어떤 ‘과업 전 준비’ 또는 과업에


• 과업을 학습자의 필요·관심·언어 필요한 단서를 준다.
능력 수준에 맞추어 가르칠 순서 • 소개하기, 과업의 지시문을 명확
결정 히 설명하기, 과업을 쉽게 완수할
수 있도록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단어와 구를 배우고 기억하도록
도와주기, 과업 수행절차를 부분
적으로 제시하는 것 등

생각해 볼 문제

과업 중심 접근 방법의 특성에 맞는 한국어교육의 교실 활동을


고안해 보자.

72
차시 예고
내용 교수법

73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14. 내용 교수법과
교수법 후기 시대

1교시 내용 교수법

1. 내용 교수법의 개념
가. 목표
 ‘내용교수법’은 슐만(Shulman 1986)이 제안
•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번역한 용어

 정의
• 특정 내용을 특정 학생들의 이해를 촉진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교사의 지식

 슐만(Shulman 1986,1987)
• 교사들이 교과 내용 지식을 알고 이해해야 할 뿐만 아니라, 특정 내용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방법도 알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함

74
 수업을 위한 6가지 지식
• 내용 지식
• 일반적인 교수방법 지식
• 교육과정 지식
• 학생에 대한 지식
• 교육 상황에 대한 지식
• 교육의 철학적·역사적 목적에 대한 지식

가. 통합 모델(Integrative Model)
 ‘교과내용, 교수법, 상황’이라는 세 가지 구인의 통합

 교사의 역할
: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학습 기회를 구성하기 위해 세 가지 구인을
각각 선택적으로 이끌어내어 통합해야 함

75
 한계점
: 교사가 세 가지 지식의 통합에 대한 중요성을 알지 못하고 각각의 내용
만을 강조할 경우, 지식을 따로따로 전달하는 방식의 수업이 될 수 있음

교과 내용에 교수법
대한 지식 관련지식

상황에
대한지식

나. 변형 생성 모델(Transformative Model)
 ‘교과내용, 교수법, 상황’이 합성되어 새로운 지식의 형태로 변형

 교사의 역할
: 필요한 모든 지식을 합성하여 새로운 지식을 생성해 내어야 함

 한계점
: 수업 관련 요인에서 외적인 것만을 고려해 효과적으로 정형화된 교육 내용
만을 끌어내고자 할 때는 교수 기법만을 소개하는 것에 그칠 수 있음

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 교수법 관련 지식

내용 교수에 대한 지식

상황에 대한 지식

76
 두 이론이 공통적으로 전제
•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

• 즉, 교사가 ‘교과 내용’과 ‘교수법’ 그리고 ‘상황’에 대한 지식 등을 고려해


통합한 지식 또는 합성한 지식을 의미

• 교사만의 고유하고도 전문적인 영역이 있다는 점을 전제한다는 것

 슐만과 동료 연구자들
• 교사가 지니고 있는 전문적 영역으로서의 교사 지식에 대하여 교사
지식의 본질, 형태, 조직 및 내용을 망라하여 ‘교사들이 마음 속에 가지
고 있는 내용 지식(content knowledge in the minds of teachers)’
을 재정의하였고 후속 연구의 촉매 역할을 함

 내용교수법
• 교사 ‘전문 지식’의 고유한 형태로서 교사들만의 고유의 영역으로 내용
과 교수법의 혼합물

• 교수활동을 위한 고유한 지식체로 간주

• 교육의 내용과 교수법이 특정 주제, 문제 및 특정 사항들이 관심과


능력 수준이 다양한 학습자들에 맞추어 조직되고 표현되며 변화되어서,
수업에서 제시되는 방법에 대한 지식으로 조화롭게 혼합되는 것을
나타냄

• 내용교수법은 내용 영역 전문가와 교사의 지식을 가장 잘 구분해 주는


범주(Shulman, 1987)

77
2. 내용 교수법과 일반 교수법의 차이

일반적 교수법적 지식
교과 내용 지식
- 학습자 및 학습
: 구문론적 구조,
- 교실관리
실체론적 구조, 내용
- 교육과정 및 수업

내용 교수법
: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지식,
교육 과정 지식,
수업 전략에 대한 지식

상황에 대한 지식
: 학생, 공동체, 지역사회, 학교

교육목적, 목표 및 가치

평가 절차/ 학습 성과 평가

교실의 의사소통 및
학습자에 대한 지식 일반 교수법
담론

수업 모델 및 전략 교실의 관리 및 조직

78
 내용교수법
• 교사 지식을 구성하는 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 일반 교수법적 지식 및
상황 지식 영역의 영향을 받아서 재구성되는 영역

 일반 교수법
• 다시 다양한 영역들과 상호작용

생각해 볼 문제

내용 교수법은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에 초점이 있다.


교사가 갖추어야 할 내용 지식에는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79
차시 예고
교수법 후기 시대

80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수이론
14. 내용 교수법과
교수법 후기 시대

2교시 교수법 후기 시대

1. 하향식 비평
 전통적인 교수법은 학습자 중심 및 교사의 창의력 개념이 결여

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학습자들과 함께 상의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법은 학습자의 필요와 흥미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응될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

 동시에 교사도 자신의 개인적인 창의성과 교수 유형을 제시할 여지가


거의 없음

 교사는 그 자신을 교수법에 복종시켜야 함

81
2. 상황적 요인의 역할
 접근 방법이나 교수법은 ‘다목적 해결책’으로 가정되고 있음
• 그러나 접근 방법이나 교수법을 적용할 때 교사는 종종 언어 프로그램
설계에서 출발점으로 가정해 둔 것 즉, 문화적 상황, 정치적 상황, 지방
교육단체의 상황, 그리고 교실에서 교사와 학습자들 사이에 형성된
상황과 같은, 교수 학습이 일어나는 상황을 주의 깊게 고려하지 못함

예)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이 개발된 국가와 전혀 다른 교육 전통을 가진


나라에서는 CLT를 시도하는 것이 ‘문화적 제국주의’로 비칠 수 있음.
이슬람 국가에서는 남녀가 서로 말을 주고 받고 이야기하는 것이 일반적
이지 않은데 상담학습이나 협력학습에서는 이를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

3. 교육과정 개발 절차에 교수법을 관련시켜야 할 필요성


 교육과정 설계자는 폭 넓은 교육계획 결정의 한 분야로 봄
가. 특별한 교과목 과정이나 교육과정 전체에서 모든 이용지식과 판단에 의존
하여 교수 목표를 주의 깊게 살펴봄.

나. 교사들이 합의를 본 목표들을 가장 잘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교수법과 교수 자료들을 학교에서 개발하고 시험적으로 사용함.

다. 교수법과 교수 자료의 개발 작업이 실제로 그것의 목적을 달성할 정도를


평가한다. 이와 같은 평가 절차를 통해 새로운 목표를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라. 마지막 요소는 후속 연구를 위한 출발점을 제공하기 위해 습득한 모든


경험을 피드백 하는 것(Nicholls and Nocholls 1972:4).

82
4. 연구 기반의 결여
 접근 방법과 교수법은 종종 제2 언어 학습과정을 완전히 이해하고 있다
는 가정에 근거를 두고 있음.

 교수법 권위자들이 쓴 많은 책에는 인간이 어떻게 언어를 학습하는가에


대한 주장과 단어들로 가득 차 있음.

 그러나 이 책들 중에서 제2 언어 습득 연구에 근거를 두거나 경험적으로


입증된 책들은 거의 없음.

5. 교실수업 실제의 유사성


 교사가 어떤 교수법의 기저 원리를 정확하게 반영하면서 접근 방법이나
교수법을 사용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움.

 스와퍼(Swaffar)와 그녀의 동료
• 다양한 교수법을 사용하는 교사들이 그들의 교실 수업에서 교수법을
어떻게 실행에 옮기는가를 연구한 결과 개개의 교수법을 대조하기 위해
사용된 특징적인 방법들, 특히 교실활동에 근거를 둔 많은 특징들이
실제 교실 상황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함.

 Brown(1997:3)도 비슷한 점을 지적
• 일반적으로 교수법들은 언어과정의 초보 시작단계에서는 분명한 차이점을
보이나 후기 단계에 가면 서로를 구별할 수 없게 됨.

83
6. 접근 방법과 교수법을 넘어서
 접근 방법과 교수법을 다음과 같이 유용하게 선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우고 준비해 두어야 함.

• 다양한 접근 방법과 교수법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고, 이들이 필요할


때를 미리 이해함.

• 언어교수의 역사를 특징지어온 문제들과 논쟁점을 어느 정도 이해함.

• 반성과 비교의 바탕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접근 방법과 교수법을


근거로 한 언어 학습 경험을 해보도록 함.

• 상상력이 풍부한 교사가 이용할 수 있는 많은 활동 자원을 알아 둠.

• 이론과 실제를 다양한 견해와 어떻게 연관시킬 수 있는지 평가해 봄.

 교수에 대한 개인적인 접근 방법을 개발할 때 교사가 일차적으로 참고할


점은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과 원리들임.

• 교실에서 교사의 역할

• 효율적인 교수 학습의 성격

• 학습자들이 당면한 어려움과 이 문제들을 다루는 방법

• 성공적인 학습활동

• 효율적인 수업의 구조

84
▶ 교실 수업의 모든 실제는 교사들이 여러 가지 다양한 접근 방법이나
‘교사 개발’에 더 큰 의미가 있음

그러나 여러 가지 접근 방법과 교수법에 대한 경험은 교수를 위한 최초의


실용적인 지식의 바탕을 교사들에게 제공할 수 있고 교사 자신의 신념,
원칙, 교수 실제를 탐색하고 개발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음.

 앞을 내다보며
과거 언어교육 동향에 영향을 미쳤던 몇 가지 요인들과 미래에도 계속
동향에 영향을 미칠 기대되는 몇 가지 요인

• 정부의 정책적 지시
• 교육계에 나타나는 경향
• 교육 권위자가 유도하는 개혁
• 과학 기술의 영향, 인터넷의 잠재력
• 여러 학문 분야로부터의 영향
• 연구의 영향
• 학습자 중심의 개혁
• 교차 교육적 경향
• 다른 학문분야와의 교차현상

85
생각해 볼 문제

교수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교사의 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차시 예고
기말고사

8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