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2

한국항공우주학회지 297

J. Korean Soc. Aeronaut. Space Sci. 50(5), 297-308(2022)


DOI:https://doi.org/10.5139/JKSAS.2022.50.5.297
ISSN 1225-1348(print), 2287-6871(online)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이용한 극초음속 외부 압축형 흡입구 성능 특성


김영진1, 이형진2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Hypersonic External Compression Inlet


Using Isentropic Compression Surface
Young Jin Kim1 and Hyoung Jin Lee2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Inha University, Incheon, Republic of Korea

ABSTRACT

Most air-breathing aircraft operated in the hypersonic region are equipped with a scramjet
engine. In a scramjet engine, a shock wave generated at an inlet acts as a compressor for a
general gas turbine engine instead, so total pressure loss caused by the shock wave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to minimize total pressure loss, a method of designing
an external compression inlet using isentropic compression surface was proposed, and an
external compression inlet with 3-deflection angles and Busemann inlet were design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fter that, through computational analysis,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t
off-design conditions were compared. Each inlet shape was trunca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3-ramp external compression inlet, and the boundary layer correction was performed. The
isentropic external compression inlet showed superior performance at the design point, but
under the off-design conditions, its performance was degraded compared to the 3-ramp external
compression inlet.

초 록

극초음속 영역에서 운용되는 대부분의 극초음속 공기흡입(Air-breathing) 비행체들에 스크램제트


엔진이 탑재되고 있다. 스크램제트(Scramjet) 엔진에서는 일반적인 가스터빈 엔진의 압축기 역할을
흡입구에서 발생하는 충격파가 대신 수행하기 때문에 충격파에 의한 전압력 손실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적용한 외부 압축
형 흡입구의 설계법을 제시하고, 동일한 조건의 Busemann 흡입구와 3개의 cone 각도를 가지는 외
부 압축형 흡입구를 설계하였다. 이후 전산해석을 통해 비설계 조건에 대한 성능 특성을 비교하였
다. 각 흡입구 형상은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의 길이에 맞춰 truncation을 진행하였으며, 경계층
보정을 수행하였다.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는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에 비해 설계점에서
는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나 일부 비설계 조건에서는 3단 외부 압축형보다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Key Words : Hypersonic Inlet(극초음속 흡입구), Off-design Condition(비설계 조건), Isentropic


Compression Surface(등엔트로피 압축면), Total Pressure Recovery(전압력 회복),
Boundary Layer Correction(경계층 보정)
†Received : February 4, 2022 Revised : March 8, 2022 Accepted : March 28, 2022
1
Graduate Student, 2 Professor
2
Corresponding author, E-mail : hyoungjin.lee@inha.ac.kr
Ⓒ 2022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298 김영진․이형진 한국항공우주학회지

Ⅰ. 서 론 Billig[13]와 Smart[14]는 내부 압축형 흡입구의 실험


모델을 제작하여 성능 분석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
극초음속 영역에서 운용되는 공기흡입 비행체에 대 다. 또한 Busemann 흡입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미국 NASA의 경우 3차원 REST형 흡입구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흡입구
2004년 수소 연료로 작동하는 스크램제트 엔진이 적 설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41-43].
용된 X-43A를 개발하여 10초간 최대 마하수 9.7로 시 외부 압축형 흡입구의 경우에는 1~3개의 cone을
험비행에 성공하였다. 또한 미국의 국방고등연구기획 사용한 형상에 대해 전산해석 및 실험을 통한 다양
청(DARPA)과 공군연구소(AFRL)는 2013년 X-51A 스 한 연구가 수행되었다[15-25]. 외부 압축형 흡입구에
크램제트 비행체를 개발하여 210초 동안 최대 마하수 대한 시동 특성 분석 연구[15-17], bleeding을 통한
5.1로 비행하는 데 성공했으며, 2014년부터는 HAWC 성능 비교 연구[18,19], 점성 효과 및 경계층 분석에
(Hypersonic Air-breathing Weapon Concept) 프로그 관한 연구[20,21], 비설계점 조건에 대한 성능 비교
램을 통해 극초음속 순항 미사일에 적용될 스크램제 연구[22,23], cowl의 각도와 형상에 따른 성능 분석
트 엔진을 개발하고 있다. 중국은 2018년 스크램제트 연구[24,25] 등이 수행되었다.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
엔진을 사용한 Xing Kong-2 극초음속 미사일의 비행 형 흡입구에 대한 설계 및 성능 분석 연구 또한 진
시험에 성공하였으며, 2025년 정도부터 군에서 운용할 행되었다[26-29]. 등엔트로피 압축면의 설계는 모두
계획이다. 러시아는 2011년 마하 6~8 범위에서 운용 MOC(Method of Characteristic)기법을 이용해 수행
가능한 Zircon 극초음속 미사일(스크램제트)을 개발하 되었으며, 이를 외부 압축형 흡입구에 적용하여 전산
여 2017년 4월과 2018년 12월 비행시험에 성공하였으 해석 및 실험을 통해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등
며, 2023년경 군에서 운용할 예정이다[1,2]. 엔트로피 압축면을 적용한 외부 압축형 흡입구와 일
이러한 극초음속 공기흡입 비행체들에는 스크램제 반적인 충격파를 이용한 외부 압축형 흡입구와의 성
트 엔진이 주로 장착되고 있다. 스크램제트 엔진은 일 능 비교에 대한 사례가 부족하다. 국내에서도 극초음
반적으로 마하 5~6 이상의 극초음속 영역에서 운용되 속 흡입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대부분 전산
며, 별도의 압축기 없이 흡입구에서 발생하는 충격파 해석을 이용하여 외부 압축형 흡입구에 대한 성능
로 그 역할을 대신한다. 따라서 충격파에 의한 손실이 분석 연구가 수행되었으며[30-39], 등엔트로피 압축면
엔진의 성능에 직결되기 때문에 손실을 줄이기 위한 을 적용한 설계 사례는 보고된 바가 없다. Kim[30]은
극초음속 흡입구의 형상 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2차원 외부 압축형 흡입구를 설계하고 전산해석을
극초음속 흡입구는 유동의 압축 형태에 따라 크게 내 통해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Kang[31]은 가변형 축대
부 압축형과 외부 압축형으로 구분된다. 내부 압축형 칭 외부 압축형 흡입구를 설계하고 이를 전산해석을
의 경우 축대칭 형상의 Busemann 흡입구와 3차원 통해 확인하였다. Heo[32]는 Oswatitsch 기법을 분석
REST형 흡입구가 대표적이며, 외부 압축형 흡입구에 하고 마찬가지로 전산해석을 이용해 검증하였다. 이
비해 높은 전압력 회복률을 가지나 상대적으로 흡입 렇듯 기존에 수행된 연구들은 각각의 흡입구에 대한
구의 길이가 길며 제한적인 운용 조건을 가진다. 외부 설계 및 성능 분석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서로 다
압축형 흡입구의 경우 반대로 길이가 짧고 운용 조건 른 형태의 흡입구 간 성능 비교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 보다 넓지만 상대적으로 전압력 회복률이 낮다는 또한 국내에서는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에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외부 압축형 흡입 대한 연구가 수행되지 않아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적
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압력 손실이 없는 등엔 용함에 따른 성능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불가하였다.
트로피 압축면을 적용하여 이를 축대칭 외부 압축형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도 20 km, 마하수 7.0의 조
흡입구에 적용하였다. 일반적인 축대칭 외부 압축형 건에 대해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적용한 축대칭형 외
흡입구의 경우 원추 충격파를 통해 압축이 이뤄지나, 부 압축형 흡입구를 설계하고, 이와 동일한 조건의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적용한 외부 압축형 흡입구에서 Busemann 흡입구와 3개의 cone angle을 가진 외부
는 원추 충격파 대신 전압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압축형 흡입구를 설계하였다. 이후 전산해석을 통해
마하파(Mach wave)를 통한 압축이 이뤄져 전체적인 비설계 조건의 받음각 및 자유류 마하수에서의 성능
엔진의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변화에 대한 경향성을 비교 및 분석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부터 여러 형태의 극초음속 흡입구에 대 마하수 7.0 유입 유동에 대해 각 흡입구의 출구 마하
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3]. 해외 사례의 경우 내부 수는 3.2로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각 흡입구의 길
압축형 흡입구인 Busemann 흡입구에 대한 선행 연 이 역시 동일하도록 truncation을 수행하였다. 경계층
구들은 주로 전산해석을 통한 성능 비교 연구가 수 효과를 고려하여 비점성 조건에서 설계된 형상에 대
행되었다[4-14]. 비설계점 조건에서 전산 해석을 통한 해 경계층 보정을 진행하였다. 흡입구의 성능 평가는
성능 비교 연구[4-8], truncation과 같은 방법을 통해 출구에서의 전압력 회복률과 흡입구 출구에서의 유
길이 변화에 대한 성능 비교 연구가 진행되었다[8-12]. 동 왜곡률을 비교하였다.
제 50 권 제 5 호, 2022. 5.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이용한 극초음속 외부 압축형 흡입구 … 299

Ⅱ. 본 론 Table 2. Cone Angle of External Compression


Inlet with Three-deflection Angle
2.1 흡입구 형상 설계   

2.1.1 Busemann 흡입구 Cone angle 5.7° 4.9° 4.2°

각 흡입구들은 Table 1의 설계 요구 조건을 만족하


도록 설계하였다. 출구 마하수는 점성 조건에서 출구
단면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각 흡입구는
비점성 설계 후 이론식을 통해 경계층 보정을 수행
하고 전산해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압축면의 길이는
길이가 가장 짧은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를 기준으
로 하였다. Busemann 흡입구와 등엔트로피 외부 압 Fig. 2. Schematic of External Compression
Inlet with Three-deflection Angle
축형 흡입구는 압축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
성되므로 동일한 길이의 흡입구가 되도록 등엔트로 의해 발생하는 충격파 3개와 cowl에 의해 발생하는
피 흡입구 설계 후 truncation 과정을 수행하였다. 내부 충격파를 포함해 총 4개의 충격파를 통한 압축
극초음속 흡입구에서는 흡입구 내부에서 cowl shock 이 이뤄지며, 각 충격파들은 Taylor-maccoll 식을 통
과 경계층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유동 박리 현상이 해 계산하였다. 압축면의 충격파는 Oswatitsch 기법
발생한다. 유동 박리가 발생하게 되면 유입되는 유량 을 만족하도록 하였다[40]. Table 2와 Fig. 2에 최종
이 감소하고, 흡입구 unstart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적으로 설계된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를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축대칭형 외부 압축형 흡입구 설계 시 압축면의 길이는 283mm, 흡입구 내부로 들어가는
cowl shock을 팽창파가 발생하는 지점에 반사시켜 유동의 turning angle은 14.8°에 해당한다.
유동 박리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20,22,34].
2.1.3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
본 연구에서도 cowl shock이 유동의 방향이 축방향
으로 turning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흡입구 내부 높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는 원추 충격파 대
이를 설정하였다. Busemann 흡입구의 경우 cowl 신 mach wave를 이용하여 압축을 하도록 설계하였
shock 대신 내부의 conical shock의 각도를 고려하여 다. Mach wave가 발생하는 isentropic compression
흡입구 내부 높이를 결정하였다. surface를 지나 등엔트로피 압축 과정을 거친 후,
Busemann 흡입구 설계는 Taylor-maccoll 식을 통 cowl shock을 지나 흡입구 내부로 들어간다. 흡입구
해 비점성, 비회전, 축대칭, 등엔트로피 압축 과정을 유동은 Busemann 흡입구와 동일하게 비점성, 비회전,
가정하여 설계되었다[8,38]. 최종적으로 설계된 형상 축대칭, 등엔트로피 압축 과정으로 가정하였으며, 추가
은 Fig. 1에 나타냈다. Mach wave를 통한 등엔트로 적으로 mach wave는 3차원 유동 흐름에 의해 휘어지
피 압축 이후 conical shock이 나타나며, 압축면의 길 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초기 조건으로는 포획 반경
이는 410mm에 해당한다. (  )과 자유류 마하수(  ), 목 마하수(  )를 설정하였
다. 고정된 cowl로부터 초기 조건을 이용하여 첫
2.1.2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
mach wave의 각도와 cone의 시작점, 초기 질유량을
일반적인 축대칭 외부 압축형 흡입구들은 1~3개의
결정하고, Prandtl-meyer 식을 통해 shock-on-lip 조건
cone angle을 통해 발생하는 원추 충격파를 이용하
을 만족하는 mach wave들의 분포를 도출하였다. 각
여 압축이 이뤄진다. 본 연구에서는 등엔트로피 외부
cone의 위치는 유입 유량의 질량보존이 만족하도록 결
압축형 흡입구와 성능 비교를 위해 3개의 cone
정한 후 초음속 원추 유동의 특성으로 mach wave들
angle을 사용하여 설계를 진행하였다. Cone angle에
이 휘어지는 3차원 효과를 보정하였다. 3차원 효과에
Table 1. Inlet Design Requirement 대한 보정은 휘어지는 mach wave의 각도와 그에 따
른 마하수를 추가적으로 계산하여 수행하였다. 최종적
Freestream Outlet Captured Ramp 으로 설계된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는 Fig. 3
Mach Mach Radius length
에 나타내었다. 압축면 길이는 346mm로 설정되었다.
7.0 3.2 50 mm 283 mm

Fig. 3. Schematic of Isentropic External


Fig. 1. Schematic of Full Busemann Inlet Compression Inlet
300 김영진․이형진 한국항공우주학회지

2.1.4 흡입구 truncation 2.1.5 흡입구 내부 높이


각 흡입구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설계 제한 조건 흡입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동 박리 현상이 최소
으로 압축면 길이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압축면 길 화되도록 흡입구 내부 높이를 조절하였다. 흡입구 내
이는 가장 길이가 짧은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의 부 높이를 조절하여 유동의 방향이 축방향으로 전환
길이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길이가 긴 등엔트로피 외 되는 지점에 cowl shock이 떨어지도록 하였다[20,22,
부 압축형 흡입구와 Busemann 흡입구는 길이를 줄 34]. 본 연구에서는 흡입구 압축면의 성능 비교에 중
이기 위한 truncation 과정을 수행하였다. 점을 두기 위해 cowl과 흡입구 내부 형상 설계는 고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의 경우 3단 외부 려하지 않았다. 흡입구들의 cowl shock의 각도는 축
압축형 흡입구의 첫번째 원추 충격파와 동일한 충격 을 기준으로 Busemann 흡입구는 12.5°, 3단 외부 압
파를 전단에 위치시켜 truncation을 수행하였다. 첫 축형 흡입구는 8.7°,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
mach wave 이후의 물성치를 계산하는 대신 Taylor- 는 8.6°로 형성되었으며, 이에 따라 각 흡입구의 내
maccoll 식을 통해 3단 외부 압축형의 첫 conical 부 높이는 Busemann 흡입구의 경우 14.6mm, 3단
shock 이후의 물성치를 계산하여 설계를 진행하였다. 외부 압축형 흡입구는 2.8mm,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
결과적으로 truncation을 진행한 등엔트로피 외부 압 형 흡입구는 2.6mm로 결정되었다. 이후 결정된 흡입
축형 흡입구는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의 두 번째, 구 내부 높이는 유입유동이 질식되지 않는 시동 조
세 번째 원추 충격파 대신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사 건임을 확인하였다.
용한 형상을 갖는 것과 동일하다. 압축면의 길이는 3 외부 압축형 흡입구들의 내부 높이 차이는 압축면
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와 동일한 283mm로 형성되었 의 높이 차이에 의해 발생하였다. Fig. 5에 나타난 바
으며 기존 압축면 길이 대비 17.5% 감소하였다. 와 같이 충격파에 비해 mach wave의 각도가 작게 형
Busemann 흡입구는 일반적으로는 흡입구 leading 성되기 때문에 mach wave를 사용한 압축 시 유동의
edge의 각도를 설정하여 truncation을 진행하나, 본 turning이 보다 앞에서부터 발생한다. 또한 충격파에
연구에서는 원하는 길이와 포획 반경을 만족하기 위 비해 mach wave에서 유동의 turning이 천천히 나타
해 압축면의 길이와 포획 반경의 비를 이용하여 나 압축면의 끝단이 더 뒤에서 형성된다. 이로 인해
truncation을 진행하였다. 압축면의 길이와 포획 반
최종적인 유동의 turning angle은 유사하게 형성됨에
경의 비가 설계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자른 후 포
도 불구하고 유동의 turning이 먼저 시작되어 압축이
획 반경이 기존과 동일하도록 다시 크기를 키우는
끝나는 지점이 높아지기 때문에 흡입구 내부 높이가
방식으로 truncation을 진행하였다. Truncation 수행
감소하게 된다.
후 압축면의 길이는 기존 대비 31% 감소하였으며,
leading edge 각도는 2.8°로 형성되었다. 각 흡입구의 2.1.6 경계층 보정
최종적인 형상은 Fig. 4와 같다. 최종 형상을 결정하기 위해 비점성 과정을 통해 수
행된 형상에 점성 효과를 보정하였다. 극초음속 흡입
구에서는 경계층이 발생함에 따라 전압력 손실이 크게
발생하고 흡입구 내부로 유입되는 질유량이 감소한
다. 따라서 각 흡입구에 대한 경계층 보정 과정이 필
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흡입구 벽면에서
생성되는 경계층의 두께를 예측하여 이를 비점성 조건
으로 설계된 형상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경계층 보정을
수행하였다[12]. 식 (1)을 통해 Displacement thickness
를 이용하여 보정하였다[38].

 
  (1)
   

Fig. 4. Schematic of Hypersonic Inlet :


(a) Busemann Inlet, (b) External
Compression Inlet with 3-deflections,
(c) External Compression Inlet Using
Isentropic Compression Surface Fig. 5. Schematic of External Compression Inlet
제 50 권 제 5 호, 2022. 5.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이용한 극초음속 외부 압축형 흡입구 … 301

2.2 전산해석 조건 및 성능 변수
2.2.1 전산해석 기법
전산해석은 밀도 기반 압축성 솔버를 이용하여 정
상 상태의 RANS(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 해석을 수행하였다. 비점성 플럭스 계산은
ASUM+ FVS를 이용하고 3차 정확도를 유지하며
MUSCL 기법을 적용하였다. 비점성 조건으로 설계된
형상의 검증에는 2차원 축대칭 해석을 이용하였으며
이외에는 비설계점 조건에서의 성능 분석을 위해 3
차원 해석을 수행하였다. 난류 모델로는 k-w SST 모
델을 적용하였으며 작동 유체는 이상 기체로 설정하
였다.
2차원 및 3차원 격자 형상을 Figs. 6, 7에 나타냈
다. 3차원 해석의 경우 계산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대
칭 조건을 적용한 형상의 절반만을 해석하였다. 격자
의 크기는 격자 의존성을 분석하여 결정하였다. Fig. Fig. 8. Static Pressure of the Spike Wall
8은 설계점 조건에서 수행한 전산해석 결과로, 격자 by Mesh Size (Viscous)
크기에 따른 spike 벽면의 static pressure를 자유류
에서는 2mm 격자의 경우 다른 격자 크기에 비해 진
압력으로 나눠준 값을 나타내었다. 충격파 이전의 비
동이 크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계산의 효율성을 고려
점성 영역은 동일한 격자 크기를 유지하고, 충격파
해 격자의 크기는 1mm로 설정하였으며, 전체 격자
이후 조밀한 영역의 격자에 대해 0.5mm, 1mm, 2mm
수는 외부 압축형 흡입구는 280만 개, 내부 압축형 흡
크기의 격자를 비교하였다. 모든 크기의 격자에 대해
입구는 80만 개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벽면 격자의
압축면에서는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cowl 근처
크기는 y+=~1을 만족하도록 계산하여 적용하였다.
유동의 조건은 비행 마하수 7.0, 고도 20km를 기준
으로 설정하였으며, 유동 유입면의 경우 자유류 조건
을, 출구면에서는 모든 변수에 대해 외삽 조건을 적
용하였다.
2.2.2 성능 변수
흡입구의 성능 비교는 출구에서의 전압력 회복률
(Total Pressure Recovery, TPR)과 유입 유동 균일도
(Distortion Parameter)를 비교하여 수행하였다. 전압
력 회복률(2)은 자유류의 전압력 대비 출구에서의 전
Fig. 6. Busemann Inlet Computational Domain :
압력의 비를 나타내며, 유입 유동 균일도(3)는 평균
(a) 2-Dimensional, (b) Surface Grid for
동압력에 대한 편차의 크기를 의미한다. 전압력 회복
3-Dimensional
률은 100%에 가까울수록, 유입 유동 균일도의 경우
0에 가까울수록 높은 성능을 나타낸다. 각 요소는 출
구면의 면적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 
   
 ×  (2)
 


    

 

(3)


 

2.3 전산해석 결과
Fig. 7. Isentropic Model Computational Domain :
(a) 2-Dimensional, (b) Surface Grid for 2.3.1 설계점 성능 특성
3-Dimensional 비점성 설계 기법에 대한 검증을 위해 설계점
302 김영진․이형진 한국항공우주학회지

(M=7.0)에서 2차원 비점성 축대칭 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Table 3과 Fig. 9에 나타냈다. Busemann
흡입구의 경우 conical shock이 압축면 끝단에 모이
고, 외부 압축형 흡입구의 경우 압축면에서 발생한 충
격파와 마하파들이 모두 cowl에 모이는 shock-on-lip
조건이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설계점에서 출구 전압
력 회복률은 Busemann 흡입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외부 압축형 흡입구의 경우 등엔트로피 압축면
을 적용함에 따라 출구의 성능이 3.4% 상승함을 보
였다. 유입 유동 균일도의 경우 모두 0.004 이하로
매우 작게 나타났다.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
의 유입 유동 균일도가 가장 작게 형성되었으나 각
흡입구 간 차이가 매우 작아 성능에는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비점성 해석 결과를 통해 등엔트로피 압축면의 설
계가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이론적으로
등엔트로피 압축면에서는 전압력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를 검증하기 위해 Fig. 10에 유선을 따
른 전압력 회복률을 나타냈다. 첫 원추 충격파에 의 Fig. 10. TPR along the Streamline of Isentropic
한 전압력 손실을 제외하면 압축면에서의 전압력 회 Model
복률은 일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점성 조건으로 설계된 각 흡입구에 대해 경계층 Table 4. Outlet Performance of Intakes (Viscous)
보정 과정을 거쳐 점성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3차 Busemann 3-ramp Isentropic
원 점성 전산해석 결과는 Table 4와 Fig. 11에 제시
TPR(%) 65.12 42.13 43.13
하였다. 각 흡입구의 shock-on-lip 조건이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확대된 흡입구 내부 영역에서 보 Mach 3.2 3.2 3.2
이는 것과 같이 비점성 결과와 마찬가지로 cowl D 0.25 0.26 0.25
shock이 유동이 축방향으로 turning되는 지점에 위
치하여 흡입구 내부에서 반사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

Table 3. Outlet Performance of Intakes(Inviscid)

Busemann 3-ramp Isentropic


TPR(%) 89.75 70.07 73.48
Mach 3.7 3.7 3.7
D 0.0037 0.0035 0.0022

Fig. 9. Mach Number Contour of Intakes Fig. 11. Mach Number Contours and Numerical
(Inviscid Results) Schlieren Images (Viscous Results)
제 50 권 제 5 호, 2022. 5.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이용한 극초음속 외부 압축형 흡입구 … 303

되었다. 이로써 경계층 보정이 제대로 수행됐음을 확


인하였다. 각 흡입구의 출구 마하수 또한 설계 요구
조건인 3.2를 만족하였다. 세부적인 성능을 살펴보면
경계층이 생성됨에 따라 각 흡입구의 전압력 회복률
이 비점성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며, 경계층이 발생하
는 벽면이 많은 외부 압축형 흡입구들의 성능 감소가
더 크게 발생했다. 또한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와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 간 출구 전압력 회복
률의 차이가 비점성 해석 결과보다 더 좁혀졌다. 이
는 흡입구 내부의 높이가 작을수록 출구면에서의 경
계층 비율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압력 회복
률의 감소가 더욱 크게 일어난 결과이다. 유입 유동
균일도의 경우 경계층이 발생함에 따라 모든 흡입구
에서 비점성 결과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나 각 흡입구
간 차이는 크게 발생하지 않았다.
2.3.2 비설계점 성능 특성
받음각 영향
Fig. 13. Mach Number Contour of 3-ramp
받음각에 대한 각 흡입구의 마하수 분포를 Figs. Model with Angle of Attack (M=7.0)
12-14에 나타내었다. 내부 압축형 흡입구의 경우 받
음각이 존재함에 따라 각도가 변한 압축면의 충격파
가 모두 내부로 반사되어 유동의 박리를 유발하고
출구에서의 흡입구 성능을 크게 감소시킨다. 외부 압
축형 흡입구는 windward의 경우 내부 압축형 흡입
구와 유사하게 압축면의 충격파들이 내부로 반사되
어 출구 성능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leeward의 경우
압축면에서 발생한 충격파들이 내부로 반사되지 않
고 cowl 위로 형성되어 출구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받음각에 대한 성능 감소가 내부 압축
형 흡입구보다 적게 나타난다.
Table 5와 Fig. 15는 받음각에 따른 출구 성능 비
교를 통해 각 흡입구의 성능 특성을 나타내었다.
Busemann 흡입구의 경우 일정 받음각 이상에서는
흡입구 unstart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받음각이 주어지게 되면 각도가 달라진 내부의 충격
파와 경계층 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유동 박리가 발

Fig. 14. Mach Number Contour of Isentropic


Model with Angle of Attack (M=7.0)

생한다. 박리된 유동이 흡입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며 일정 크기에 도달하면 유동이 내부로 충분
히 유입되지 못해 unstart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소실을 고려하지 않고 흡입구만을 분석
하였기 때문에 흡입구 내부의 shock이 전단까지 밀려
나오는 경우를 unstart의 기준으로 하였다. Busemann
흡입구는 설계점에서는 전압력 회복률이 가장 높게
계산되나, 받음각 4°에서는 외부 압축형 흡입구들과
전압력 회복률이 유사해지고, 받음각이 6° 이상부터
Fig. 12. Mach Number Contour of Busemann 는 흡입구 unstart 현상이 발생하였다. 유입 유동 균
Inlet with Angle of Attack (M=7.0) 일도 또한 받음각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304 김영진․이형진 한국항공우주학회지

Table 5. Outlet Performance of Hypersonic 마하수의 영향


Inlets with Angle of Attack(M=7.0)
자유류 마하수에 대한 마하수 분포를 Figs. 16-18에
AOA 0° 2° 4° 6° 8° 나타내었다. 외부 압축형 흡입구들의 경우 흡입구 내
TPR(%) 65.12 60.55 40.00 부에서 반사되는 충격파를 보기 위해 내부 영역을 확
Busemann Mach 3.21 3.11 2.70 Unstart
대하여 나타내었다. 자유류 마하수가 설계점보다 낮아
지면 압축면에서 발생하는 충격파의 각도가 커지고,
D 0.25 0.27 0.34
반대로 자유류 마하수가 설계점보다 클 경우 충격파의
TPR(%) 42.13 40.48 37.81 34.67 30.78
각도가 작아지게 된다. Busemann 흡입구는 각도가 변
3-ramp Mach 3.20 3.17 3.13 3.06 2.97
한 충격파들이 모두 내부로 반사되나, 외부 압축형 흡
D 0.26 0.26 0.27 0.28 0.30
입구들은 자유류 마하수가 설계점보다 낮을 경우 cowl
TPR(%) 43.13 41.27 38.42 34.99 30.53 바깥으로 충격파가 형성되어 내부로 반사되지 않는다.
Isentropic Mach 3.20 3.17 3.12 3.05 2.94
D 0.25 0.26 0.27 0.29 0.31

Fig. 16. Mach Number Contour of Busemann


Fig. 15. Outlet Performance of Hypersonic Inlet with  (AOA=0°)
Inlets with Angle of Attack (M=7.0)

이에 반해 외부 압축형 흡입구들은 설계점에서의 전


압력 회복률은 다소 낮으나 받음각에 따른 감소량이
적고 흡입구 unstart 현상 또한 받음각 8°까지는 발
생하지 않았다.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와 등엔트로
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의 성능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
났다. 설계점의 전압력 회복률은 등엔트로피 외부 압
축형 흡입구가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에 비해 소폭
높게 형성되었으나 받음각에 따른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나 받음각 8°에서는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가
더 높은 출구 전압력 회복률을 나타냈다. 유입 유동
균일도도 설계점에서는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
구가 더 낮게 형성되었으나 받음각에 따른 증가율이
크게 나타나 받음각 6° 이상부터는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등엔트로피 외부 압
축형 흡입구의 내부 높이가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
에 비해 작아 받음각 증가에 따른 cowl shock의 반
사 횟수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고, 이로 인해 출구 Fig. 17. Mach Number Contour of 3-ramp Model
의 성능 감소 또한 더욱 크게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with  (AOA=0°)
제 50 권 제 5 호, 2022. 5.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이용한 극초음속 외부 압축형 흡입구 … 305

Table 6. Outlet Performance of Hypersonic


Inlets with  (AOA=0°)

   5 6 7 8 9

TPR(%) 69.20 70.50 65.12 58.88 52.35

Busemann Mach 1.83 2.64 3.21 3.75 4.24

D 0.31 0.24 0.25 0.29 0.28

TPR(%) 52.55 48.89 42.13 30.13 21.68

3-ramp Mach 2.42 2.91 3.20 3.48 3.72

D 0.27 0.26 0.26 0.36 0.32

TPR(%) 48.75 47.09 43.13 32.52 21.41

Isentropic Mach 2.27 2.79 3.20 3.44 3.58

D 0.32 0.28 0.25 0.30 0.35

Fig. 18. Mach Number Contour of Isentropic


Model with  (AOA=0°)

Table 6과 Fig. 19는 자유류 마하수에 따른 출구


성능 비교를 통해 각 흡입구의 성능 특성을 나타내
었다. 모든 비설계 자유류 마하수에서 Busemann 흡
입구의 출구 전압력 회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유류 마하수가 낮아질수록 출구 전압력 회
복률이 상승하는 외부 압축형 흡입구들과 달리 자유
류 마하수 5에서는 출구 전압력 회복률이 감소하였
다. 이는 내부에서 반사되는 충격파의 각도가 커짐에
따라 반사 횟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충격파에 의
한 손실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출구 마하수는 변화
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충격파 각도에 따른 반
Fig. 19. Outlet Performance of Hypersonic Inlets
사 횟수와 비례하였다. 유입 유동 균일도는 자유류 with  (AOA=0°)
마하수 5에서는 충격파의 내부 반사 횟수 증가로 인
해 설계점보다 증가하였으나 자유류 마하수 6에서는 균일도는 증가하고 전압력 회복률은 낮아지는데, 이
설계점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자유류 마하수 8과 9에 는 다른 흡입구에 비해 내부 높이가 작게 형성되어
서는 압축면의 충격파들이 내부로 반사됨에 따라 설 충격파의 내부 반사 횟수에 의한 영향이 보다 크게
계점에 비해 유입 유동 균일도가 증가하였다.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유류 마하수 8에서는
외부 압축형 흡입구의 경우 설계점 및 자유류 마 다른 비설계 자유류 마하수에 비해 충격파 각도 변
하수 8에서는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적용한 외부 압 화량이 적어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와 압축면에서
축형 흡입구의 전압력 회복률과 유입 유동 균일도가 의 성능 차이가 설계점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흡입구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보다 우수하였으나, 이외의 내부에서는 작아진 충격파 각도로 인해 반사 횟수가
비설계 자유류 마하수에서는 3단 외부 압축형 흡입 적어져 내부에서의 성능 감소율이 낮게 나타난다. 이
구가 더 높은 성능을 보였다. 비설계 자유류 마하수 로 인해 흡입구 내부에서의 성능 감소가 크게 나타
에서는 두 모델 간 압축면에서의 전압력 회복률 차 났던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의 출구 전압력
이가 적어지고, cowl shock에 의한 손실 또한 등엔 회복률과 유입 유동 균일도가 3단 외부 압축형 흡입
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에서 더 크게 나타나 3단 구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자유류 마하수 9에서
외부 압축형 흡입구의 출구 성능이 역전하게 된다. 는 압축면에서의 성능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 cowl
자유류 마하수 6에서는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 shock에 의한 손실이 적은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
입구의 경우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보다 유입 유동 의 출구 성능이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306 김영진․이형진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출구 마하수의 경우 모든 비설계 자유류 마하수에 References


대해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가 등엔트로피 외부 압
축형 흡입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또한 3단 외 1) Lee, Y. J., Kang, S. H. and Yang, S. S.,
부 압축형 흡입구의 내부 높이가 더 크게 형성되어 “Current Technological Trends in Hypersonic Flight
cowl shock의 반사에 횟수가 감소하였기 때문에 출
with Air-Breathing Propulsion System,” Current
구 마하수 또한 높게 형성되었다.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Vol.
7, No. 1, 2009, pp. 43~55.
Ⅲ. 결 론 2) Hwang, K. Y. and Huh, H. I.,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of a Hypersonic Glide
본 연구에서는 자유류 마하수 7.0에 대해 내부 압 Vehi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축형인 Busemann 흡입구와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적 and Space Sciences, Vol. 48, No. 9, 2020, pp. 731~743.
용한 외부 압축형 흡입구, 3단 꺽임각을 갖는 외부 3) Smart, M. K., “Scramjet Inlets,” NATO Report
압축형 흡입구를 설계하고, 각 흡입구의 길이가 동일 RTO-EN-AVT-185 Lecture, 2010, pp. 9-1~24.
하도록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의 길이를 기준으로 4) Van Wie, D. M. and Molder, S., “Applications
Busemann 흡입구와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 of Busemann Inlet Design for Flight at Hypersonic
에 truncation을 적용하였다. 전산해석을 통해 각 흡 Speeds,” 1992 Aerospace Design Conference, February
입구 설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후 비설계점 조건 1992, pp. 1210~1221.
에서의 성능 특성을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5) Smart, M. K., “Design of Three-Dimensional
설계점에서의 전압력 회복률은 Busemann 흡입구 Hypersonic Inlets with Rectangular-to-Elliptical
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외부 압축형 흡입구 중에 Shape Transition,” Journal of Propulsion and Power,
서는 등엔트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가 3단 외부 압 Vol. 15, No. 3, 1999, pp. 408~416.
축형 흡입구에 비해 높은 출구 전압력 회복률을 보였 6) Tahir, R. B., Molder, S. and Timofeev, E. V.,
다. 유입 유동 균일도의 경우에는 모든 흡입구에서 “Unsteady Starting of High Mach Number Air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받음각이 존재할 경우 Inlets – A CFD Study,” 39th AIAA/ASME/SAE/ASEE
Busemann 흡입구는 성능이 크게 감소하여 받음각 6° Joint Propulsion Conference and Exhibit, July 2003,
부터는 흡입구 unstart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등엔트 pp. 5191~5200.
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는 받음각이 6° 이하일 경우 7) Ramasubramanian, V., Starkey, R. and Lewis,
에는 3단 외부 압축형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였으나 R., “Numerical Simulations of Busemann Hypersonic
받음각 8°에서는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에 비해 낮 Inlets at Finite Flight Angles,” 26th AIAA Applied
은 성능을 보였다. 비설계 마하수 조건에서도 등엔트 Aerodynamics Conference, August 2008, pp. 7497~
로피 외부 압축형 흡입구가 3단 외부 압축형 흡입구 7507.
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구간이 발생했다. 이는 등 8) Billig, F. S., Baurle, R. A., Tam, C. J. and
엔트로피 압축면을 적용함에 따라 유동의 turning이 Wornom, S. F., “Design and Analysis of Streamline
보다 전단에서부터 발생하여 흡입구 내부의 높이가 Traced Hypersonic Inlets,” 9th International Space
다소 작게 설계되고, 이로 인해 비설계점에서 충격파 Planes and Hypersonic Systems and Technologies
의 반사 횟수가 증가하여 출구에서의 흡입구 성능 감 Conference, November 1999, pp. 4974~4991.
소율이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설계점에서는 등엔 9) Ramasubramanian, V., Lewis, R. and Starkey,
트로피 압축면을 적용하였을 때의 성능이 우수하게 R., “Performance of Various Truncation Strategies
나타나나, 비설계 조건에서는 큰 성능 차이를 보이지 Employed on Hypersonic Busemann Inlets,” 16th
않았다. 압축면에서의 압축비가 낮아 기본적인 성능 AIAA/DLR/DGLR International Space Planes and
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흡입구 내부 높 Hypersonic Systems and Technologies Conference,
이에 따른 cowl shock의 반사 횟수가 흡입구 출구에 October 2009, pp. 7249~7263.
서의 성능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Ogawa, H., Russell, R. and Boyce, R.,
“Physical Insight into Scramjet Inlet Behavior via
후 기 Multi-Objective Design Optimization,” AIAA Journal,
Vol. 50, No. 8, 2012, pp. 1773~1783.
본 연구는 ‘복합 흡입공기 유입장치 및 모드전환 기 11) Ogawa, H., Boyce, R. and Molder, S.,
술 개발’ 사업(UD210034SD)의 일환으로 방위사업청과 “Effects of Leading-Edge Truncation and Stunting
국방과학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on Drag and Efficiency of Busemann Intakes for
제 50 권 제 5 호, 2022. 5. 등엔트로피 압축면을 이용한 극초음속 외부 압축형 흡입구 … 307

Axisymmetric Scramjet Engines,” Journal of Fluid Engine Inlet Operating from Mach 5 to Mach 10,”
Science and Technology, Vol. 8, No. 2, 2013, pp.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186~199. Applications, Vol. 4, No. 1, 2016, pp. 11~23.
12) Flock, A. K. and Gulhan, A., “Viscous Effects 24) Rajashree, V., Manivannan, P. and Kumar, G.
and Truncation Effects in Axisymmetric Busemann D., “Computational Analysis of Scramjet Inlet,”
Scramjet Intakes,” AIAA Journal, Vol. 54, No. 6,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ons in
2016, pp. 1881~1891.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rch 2014, pp. 2730~
13) Billig, F. S. and Kothari, A. P., “Streamline 2734.
Tracing: Technique for Designing Hypersonic 25) John, B. and Senthilkumar, P., “Alterations of
Vehicles,” Journal of Propulsion and Power, Vol. 16, Cowl Lip for the Improvement of Supersonic-
No. 3, 2000, pp. 465~471. Intake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Fluid
14) Smart, M. K., “Experimental Testing of a Mechanics, Vol. 11, No. 1, 2018, pp. 31~41.
Hypersonic Inlet with Rectangular-to-Elliptical Shape 26) Matthews, A. J., Jones, T. V. and Cain, T. M.,
Transition,” Journal of Propulsion and Power, Vol. 17, “Design and Test of a Hypersonic Isentropic- Spike
No. 2, 2001, pp. 276~283. Intake with Aligned Cowl,” Journal of Propulsion
15) Tan, H. and Guo, R., “Experimental Study of and Power, Vol. 21, No. 5, 2005, pp. 838~843.
the Unstable–Unstarted Condition of a Hypersonic 27) Slater, J. W., “Design and Analysis Tool for
Inlet at Mach 6,” Journal of Propulsion and Power, External-Compression Supersonic Inlets,” 50th AIAA
Vol. 23, No. 4, 2007, pp. 783~788. Aerospace Sciences Meeting including the New
16) Li, N., Chang, J., Jiang, C., Yu, D., Bao, W., Horizons Forum and Aerospace Exposition, January
Song, Y. and Jiao, X., “Unstart/Restart Hysteresis 2012, pp. 0016~0028.
Characteristics Analysis of An Over–Under TBCC 28) Zvegintsev, V. I. and Safonov, V. A.,
Inlet caused by Backpressure and Splitter,” Aerospace “Research of Characteristics of Isentropic Air
Science and Technology, Vol. 72, 2018, pp. 418~425. Intake and Ducted Isentropic Air Intake,” Frontiers
17) Saravanan, R., Desikan, S. L. N., Francise, K. in Aerospace Engineering, Vol. 4, No. 2, 2015, pp.
J. and Kalimuthu, R., “Experimental Investigation 49~55.
of Start/Unstart Process during Hypersonic Intake 29) Chen, H., Tan, H. J., Chang, Q. F. and
at Mach 6 and its Control,” Aerospace Science and Zhang, Y., “Buzz Flows in an External-Compression
Technology, Vol. 113, 2021, 106688. Inlet with Partially Isentropic Compression,” AIAA
18) Häberle, J. and Gülhan, A., “Internal Journal, Vol. 55, No. 12, 2017, pp. 4286~4295.
Flowfield Investigation of a Hypersonic Inlet at 30) Kim, C. H. and Jeung, I. S., “Optimal Design
Mach 6 with Bleed,” Journal of Propulsion and of Two-Dimensional Hypersonic Intake Geometry,”
Power, Vol. 23, No. 5, 2007, pp. 1007~1017.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19) Reinartz, B. U., “Performance Anaysis of a Vol. 18, No. 6, 2014, pp. 1~10.
3D Scramjet Intake,” 26th International Congress of 31) Kang, S. H., “Variable Inlet Design for
the Aeronautical Science, September 2008. Hypersonic Engines with a Wide Range of Flight
20) Raj, N. O. P. and Venkatasubbaiah, K., “A Mach Numb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w Approach for the Design of Hypersonic Propulsion Engineers, Vol. 19, No. 3, 2015, pp.
Scramjet Inlets,” Physics of Fluids, Vol. 24, No. 8, 65~72.
2012, pp. 086103-1~15. 32) Heo, Y., Moon, K. H. and Sung, H. G.,
21) Ding, F., Liu, J., Huang, W., Zhou, Y. and “Investigation of Oswatitsch Scheme for Maximum
Guo, S., “Boundary-layer Viscous Correction Total Pressure Recovery of Hypersonic Wedge-type
Method for Hypersonic Forebody/Inlet Integration,” Intak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cta Astronautica, Vol. 189, 2021, pp. 638~657. and Space Sciences, Vol. 45, No. 12, 2017, pp.
22) Saha, S. and Chakraborty, D., “Hypersonic 1031~1038.
Intake Starting Characteristics–A CFD Validation 33) Lee, K. J., Kang, S. H., Yang, S. S. and Park,
Study,” Defence Science Journal, Vol. 62, No. 3, C., “Conceptual Design Study of Two-Stage
2012, pp. 147~152. Hypersonic Scramjet Vehicle,” Journal of The Korean
23) Quan, L. H., Hung, N. P., Quang, L. D. and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ol. 16, No. 1, 2012,
Long, V. L., “Anaysis and Design of a Scramjet pp. 16~24.
308 김영진․이형진 한국항공우주학회지

34) Choi, J. H., Cheon, S. M., Choe, Y. H.,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47, No. 3, 2019,
Hong, W. R. and Kim, C. A., “Study on Concept pp. 195~203.
Design of Supersonic Inlet and Flow Control of 39) Han, S. E., Shin, H. C. and Park, S. H.,
Bleeding under Operating Condition,” Journal of “Aerodynamic Model Development for Three-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dimensional Scramjet Model Based on Two-
Sciences, Vol. 40, No. 12, 2012, pp. 1025~1031. dimensional CFD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35) Yang, I. Y., Lee, Y. J., Kim, Y. M. and Lee,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ol. 24, No. 5, 2020,
K. J., “Combustion Test of a Mach 5 Scramjet pp. 65~76.
Engin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40) Oswatitsch, K.,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Propulsion Engineers, Vol. 17, No. 3, 2013, pp. 9~14. of Gasdynamics, Vieweg+Teubner Verlag, Wiesbaden,
36) Park, J. W., Park, I. S., Jin, S. W., Park, K. 1980, pp. 290~323.
H. and Hwang, K. Y., “Investigation of the Intake 41) Sarah, F., Birgit, U. R., Siegfried, M. and
Stability of Bank-to-Turn Supersonic Missile under Marek, B., “Transition Prediction for Scramjets
Sideslip Angle Based on CFD Analysis,” Journal of Using the     Model Coupled to Two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ol. 18, Turbulence Models,” Journal of Propulsion and
No. 3, 2014, pp. 8~16. Power, Vol. 31, No. 5, 2015, pp. 1~19.
37) Jung, S. Y., Lee, J. H. and Kim, M. G., 42) Samuel, E. O., Charles, J. T. and John, W. S.,
“Additive Drag Computation of Supersonic Inlet “Inward-Turning Streamline-Tracing Inlet Design
by Numerical Analysis on Inviscid Flow,” Journal Method for Low-Boom, Low-Drag Applica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Journal of Propulsion and Power, Vol. 32, No. 5,
Sciences, Vol. 43, No. 5, 2015, pp. 387~395. 2016, pp. 1178~1189.
38) Cha, S. W., Roh, T. S. and Lee, H. J., 43) Li, Y., Zheng, X., Shi, C. and You, Y.,
“Comparison of Performance on Hypersonic “Integration of Inward-Turning Inlet with Airframe
Intakes in Off-Design Conditions Through Numerical based on Dual-Waverider Concept,” Aerospace
Simul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Vol. 107, 2020, pp. 1~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