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0

Jour. Petrol. Soc. Korea Vol. 27, No. 4, p.

185~194, 2018
https://doi.org/10.7854/JPSK.2018.27.4.185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와 뇌성산 뇌록산지의 현무암 비교 분석


김재환1·유영완1·정승호1·김태형1·문동혁2·공달용1*
1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2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Petrological Study on Basaltic Rocks of the Daljeon-ri Columnar Joint and


the Noeseongsan Noerok Site in Pohang, Korea
Kim Jae hwan1, Yu Yeong-wan1, Jung Seung-Ho1, Kim Tae-Hyeong1,
Moon Dong Hyeok2 and Kong Dal-Yong1*
1
Na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Daejeon 35204, Korea
2
Conservation Scienc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Daejeon 35204, Korea

요 약: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천연기념물 제415호)와 뇌성산 뇌록산지(천연기념물 제547호)는 중요한 지질


유산적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두 지역의 현무암체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달전리 주상절
리의 현무암은 감람석과 휘석이 반정으로 나타나며 침상의 사장석, 휘석, 불투명 광물 등이 기질을 이루는 반
상조직을 보인다. 반면 뇌록산지의 현무암은 미정질의 기질에 사장석, 감람석, 휘석 반정을 함유하고 있으며,
사장석 반정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전암대자율, XRD, XRF 분석 결과에서도 두 지역의 현무암은 서
로 뚜렷이 구분되는 특성을 가진다. 화학분석 결과를 TAS와 Zr-Ti 다이어그램에 도시 결과, 전자는 대부분
알칼리 계열의 포노테프라이트(phonotephrite)의 조성을 가지며 판내부환경(within-plate basalt)에서 형성된 것
으로 판단되며, 후자는 칼크-알칼리 계열의 현무암질 안산암 내지 안산암 조성을 가지며, 화산호(volcanic arc
basalt)의 영역에 도시된다. 따라서 두 현무암은 기원 맨틀 물질에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신생대 마이
오세의 지체구조 환경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핵심어: 천연기념물, 포항분지, 장기분지,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뇌록산지, 현무암

Abstract: The basaltic rocks of Daljeon-ri columnar joint (Natural Monuments # 415) and Noeseongsan
Noerok site (Natural Monuments # 547) were analysed in order to understand basalt types of two areas.
The basaltic rocks of the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show a typical porphyritic texture containing
phenocrysts (olivine and clinopyroxene) and groundmasses composed of clinopyroxene, plagioclase, and
opaque minerals,. In contrast, basaltic rocks of Noeseongsan Noerok are characterized by fine-grained
groundmass with large phenocrysts of plagioclase. Other analysis such as magnetic susceptibility, X-ray
diffraction and X-ray fluorescence also support the petrological differences of two basalt rocks. The
Daljeon-ri basaltic rocks are plotted on phonotephrite volcanic rocks of alkaline series in TAS(total alkali
silica), and on within plate basalt in Zr-Ti diagram. The Noeseongsan basalts, on the other hand, are
plotted on basaltic andesite to andesite of sub-alkaline series in TAS, and on volcanic arc basalt in Zr-Ti
diagra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riginal mantle materials between two basalt rocks were different
each other, which probably originated from the change of a tectonic setting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during the Miocene.
Keywords: natural monument, Pohang Basin, Janggi Basin,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Noerok source, Basalts

*Corresponding author
Tel: +82-42-610-7630
E-mail: kong.dalyong@daum.net

185
186 김재환 · 유영완 · 정승호 · 김태형 · 문동혁 · 공달용

서 론 놓은 형상을 보인다(Fig. 1b). 남한의 주상절리 분포


지역은 최소 68개 이상이며, 이 중 천연기념물로 지
한반도 남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북 포항에는 천 정된 대표적인 주상절리는 중생대에 형성된 무등산
연기념물 제415호로 지정되어 있는 포항 달전리 주 주상절리대(제465호), 신생대 마이오세의 포항 달전리
상절리와 이로부터 약 20 km 정도 떨어진 곳에 최근 주상절리(제415호), 신생대 제4기의 제주도 대포동 주
천연기념물 제547호로 지정된 뇌성산 뇌록산지가 있 상절리(제443호) 등이 있다. 한반도 남동부에 해당하
다(Fig. 1a). 과거 채석 과정에서 발견된 포항 달전리 는 포항-경주-울산 지역에는 8개 지역에서 수직 및
주상절리는 신생대 마이오세에 관입한 현무암질 마그 수평 방향의 주상절리 및 돔형, 방사상 절리가 잘 발
마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수직한 방향으로 주상절리 달하고 있다. 이들 모두는 신생대 에오세(54 Ma)에서
가 잘 발달하고 있다. 주상절리의 규모는 높이 20 m, 마이오세 말(4.6 Ma)의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암
길이 약 100 m에 달하고 있으며, 마치 병풍을 펼쳐 에 발달하고 있다(Ahn, 2014).

Fig. 1. Location and panoramic photograph of the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b), Occurrence of Noerok (c)
and Pohang Blue-velley construction site (d).

J. Petrol. Soc. Korea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와 뇌성산 뇌록산지의 현무암 비교 분석 187

또한, 우리나라 내 유일한 뇌록 산출지로 알려져 리와 뇌성산 뇌록산지는 포항분지와 장기분지에 각각


있는 경북 포항 장기면 뇌성산 동남쪽 사면 일대에는 위치하고 있어, 분지의 충전물인 두 현무암체에 대한
현무암질 내에 맥상 또는 간극 충전형태로 뇌록이 국 암석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암대자율
부적으로 확인되어 천연기념물 제547호로 지정되어 분석, 편광현미경분석, X-선 회절 분석, X-선 형광
있다(Fig. 1c). 뇌록은 조선시대 건축물의 바탕칠(가칠) 분석을 통해 광물 조합 및 지구화학적 특징을 비교하
에 사용된 광물 안료로서, 세종실록지리지를 통해 경 였다. 전암대자율 측정은 전암대자율 측정기 SM-
상도 장기현(현재 포항시 장기면), 황해도 풍천군, 평 30(GF Instruments社, Czech)을 이용하였다. X-선 형
안도 가산군 등에서 산출된 것으로 기록 되어 있다 광분석은 경상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에서 보유하고
(Lee et al., 2007; You, 2013; Lee et al., 2018). 있는 X-선형광분석기(S8 TIGER, Bruker AXS)를
최근 2016년에는 뇌성산 일대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 이용하였다. Collimator mask는 34 mm, Cu mask,
업단지’ 조성 현장에서 대량의 뇌록이 보고되었다(Fig. 최대허용 전압·전류는 30 kv, 170 mA이며, 경원소가
1d)(Jang, 2017). 이러한 포항 뇌록 산출지에 대한 연 전압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분석 순서를 Na,
구는 Do et al., (2008), Lee et al., (2018)에 의해 Ma, Al, Si, P, K, Ca, Ti, Mn, Fe 순으로 설정하
이루어진바 있으나, 주로 뇌록의 입자 특성 및 기능 였다. 또한 구성광물 동정의 경우 더욱 정밀하게 하
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기 위해 추가적으로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지질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지 X-선 회절 분석은 경상대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질유산에 대하여 보호 및 관리 뿐만 아니라 관광자원 Bruker社의 D8 Advance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조건
으로 활용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Hose, 은 40 kV, 40 mA하에서 구간은 5~90 , 스텝간격은 o

1995; Stueve et al., 2002; Hose, 2003; Koh et 0.02 , 주사시간은 0.3초로 설정하였다.
o

al., 2005; Dowling and Newsome, 2006, Dowling


and Newsome, 2008), 특히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지질 개요
지속적으로 포항 인근에 발생하고 있는 지진 발생 등
으로 인하여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포항 달전 한반도 남동부 지역에는 올리고세 말부터 마이오세
리 주상절리와 뇌성산 뇌록산지에 대해 ‘중점관리대 동안 동해의 확장에 따른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우수
상’으로 지정하여 정기적으로 보존 관리를 위한 모니 향 주향이동단층운동에 기인한 다수의 신생대 마이오
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 천연기념 세 분지들이 발달한다(Fig. 2a). 이러한 퇴적분지들은
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생대 마이오세 퇴적분지 지리적 위치와 퇴적물의 특징에 따라 포항, 장기, 와
인 포항분지와 장기분지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신생 읍, 어일, 하서, 정자, 울산분지 등으로 구분되며, 포
대 마이오세 퇴적분지에 대한 층서 관계를 살펴보았 항분지와 장기분지는 오천단층을 경계로 인접해 있고,
으며,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와 뇌성산 뇌록산지를 구 장기분지 남쪽으로는 와읍, 어일분지와 기반암으로 분
성하고 있는 두 현무암질암에 대해 암석학적 특징을 리되어 있다(Kim, 1970; Lee et al., 1992; Son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경관적으로 and Kim, 1994; Son, 1998; Son et al., 2000, 2005;
뛰어난 다양한 지질유산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더 Kim et al., 2011). 이 중 장기분지는 전기 마이오세
욱 증대시켜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 분지 중 가장 큰 분지로, 기반암은 백악기부터 고신
대된다. 생기의 유문암질 또는 데사이트질 화산암 및 관입암
으로 구성되어 있다(Kim et al., 2011; Jung et al.,
연구방법 2012). 전기 마이오세 동안 이원성 화산 활동이 발생
하였으며, 분지충전물은 하위의 장기역암과 상위의 성
이번 연구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포항 달전리 동리층으로 나누어지며, 후기의 뇌성산현무암질암으
주상절리와 뇌성산 뇌록산지에 분포하는 두 현무암체 로 구분된다(Fig. 2c). 장기분지 최하부 지층인 장기
에 대한 암석학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한 역암은 역암과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사이트
반도 남동부에 대한 지질구조에 대해 문헌조사 및 광 질 응회질 사암이 협재되어 있다. 성동리층은 주로
역적인 지질조사를 실시하였다. 포항 달전리 주상절 데사이트질 응회암 또는 응회질 사암으로 구성되며,

Vol. 27, No. 4, 2018


188 김재환 · 유영완 · 정승호 · 김태형 · 문동혁 · 공달용

Fig. 2. Regional geologic and structural map of the Miocene basin province in southeast Korea (a) and geological
map of the Pohang (b) and Janggi (c) basins with sampling site (●).

최상부층인 뇌성산현무암질암은 하위의 암석을 분출 야외기재학적 특성


또는 관입한 용암류와 응회질각력암, 맥암류로 야외 포항분지 내 달전저수지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포
산상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뇌성산 현무암질 항 달전리 주상절리의 높이는 약 20 m이며, 길이는
암의 다양한 야외산상은 복잡한 퇴적 환경을 반영하 100 m로 신생대 마이오세 현무암질 마그마의 관입에
며, 동시기의 일련의 화산활동의 결과라 보고하였다 의해 형성되어 있다. 관입한 현무암질 마그마는 온도
(Kim et al., 2011, 2015). 반면 포항분지는 전기 마 차에 의해 냉각·수축 되어 암체의 외부에서부터 절리
이오세 말(17 Ma)부터 중기 마이오세에 걸쳐 퇴적물 가 형성되어 내부로 전파됨에 따라 주상절리가 잘 발
이 충전된 분지로서, 대규모 단층운동에 따라 빠른 달하고 있다(Fig. 3a). 주상절리는 전체적으로 북동
분지의 침강으로 분지 서쪽 경계를 따라 선상지-삼각 주향에 남동쪽 방향으로 70 이상 경사져 있으나, 북
o

주계 퇴적물이 먼저 퇴적한 후 분지 동쪽이 깊어짐에 동 경계부에서는 수평에 가까운 경사를 보이기도 한


따라 해침이 발생하여 해양성 부유 퇴적물이 그 상부 다(Fig. 3b, c). Song et al. (2015)에 의하면 달전현
를 덮게 두껍게 피복하였다(Fig. 2b). 포항분지 충전 무암은 분출한 용암류가 아닌 마그마가 연일층군 퇴
물은 전체적으로 화산물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적암류의 층리면을 관입한 암상(sill)으로 해석 한 바
초기의 일부 육성 퇴적물을 피복하는 다량의 천해성 있다.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의 단면의 형태는 대체로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어 전기 마이오세 분지의 충전 5~6각형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주상절리의 형태는 냉
물과는 뚜렷이 구별된다(Song et al., 2015). 각속도가 빠른 표면 부근에서는 오각형 이하인 반면

J. Petrol. Soc. Korea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와 뇌성산 뇌록산지의 현무암 비교 분석 189

Fig. 3. Outcrop photographs of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and around the Noeseongsan. (a~d) Pohang
Daljeon columnar joint (e, f) Occurrence of Noerok in Noeseongsan (g) Noerok in Pohang Blue-velley construction
site (h) dacitic tuff in the Janggi Basin.

Vol. 27, No. 4, 2018


190 김재환 · 유영완 · 정승호 · 김태형 · 문동혁 · 공달용

천천히 냉각하는 내부로 갈수록 육각형의 모양을 띤 추정 연구에 있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Jwa et al.,
다고 보고하였다(Toramaru and Matsumoto, 2004). 2006; Uchida et al., 2007; Kim and Jwa, 2010).
주상절리가 노출된 사면의 동측의 경우 대부분 붕괴 이에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와 뇌성산 뇌록 산출지 일
되었으며, 최근까지도 낙석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대에 분포하는 현무암질암에 대하여 전암 대자율을
(Fig. 3d). 절리면은 주상절리의 형성 과정에 있어서 측정한 후 비교하였다.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의 경우
냉각면에서부터 내부로 진행되는 일련의 단속적인 전 전체적인 전암대자율 값을 알아보기 위해 주상절리가
파에 의해 형성된다(DeGraff and Aydin, 1984). 따 노출된 사면의 서측에서 동측에 이르기까지 크게 세
라서 주상절리 내부에는 열전도에 의한 상대적 약대 부분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포항 달전리
가 형성되고 이러한 약대를 따라 풍화가 진행되어 나 주상절리 구성하고 있는 현무암의 경우 북서쪽 지점
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은 14.5~21.5(×10 SI), 북쪽지점은 10.7~14.6(×10 SI),
-3 -3

포항분지 이남의 장기분지 내에는 과거 우리나라 북동쪽 지점은 10.6~16.8(×10 SI)의 범위를 보인다.
-3

내 유일한 뇌록 산출지로 알려진 뇌성산 뇌록 산출지 대체적으로 측정지점에 따라 유사한 값을 보이나 일


가 있으며, 뇌성산 현무암질암 내에 맥상 또는 간극 부분은 낮은 값을 보인다. 또한 포항 뇌성산 일대 뇌
충전형태로 뇌록이 관찰되며, 채굴 흔적으로 보아 과 록 산출지의 현무암의 경우 8.20~17.8(×10 SI)로 포 -3

거 수차례 채굴한 것으로 판단된다(Fig. 3e, f). 뇌성 항 달전리 주상절리와 유사한 값을 보이나, 포항 블
산 일대 성동리층의 데사이트질 응회암에서는 뇌록이 루벨리 일대 현무암의 경우 28.5~45.8(×10 SI)로 포 -3

관찰되지 않지만, 최근 뇌성산과 광정산 사이 포항 항 달전리 주상절리에 비해 다소 높은 값을 보인다


블루밸리 조성 단지 내에서 현무암 단열을 암맥상으 (Fig. 4).
로 충전하고 있는 뇌록이 발견되었다(Fig. 3g, h).
광물학적 분석 결과
전암대자율 분석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및 뇌록 산출지 일대에 분포
대자율은 암석의 외부자기장에 대한 자화강도를 측 하는 암석에 대해 광물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광
정하는 것으로, 육안으로 판단하기 힘든 암석 시료들 역적인 지질조사를 바탕으로 지질 시료를 확보하였다.
을 구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전암 이를 편광현미경분석 및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여
대자율 측정 방법은 암석의 성인 연구뿐만 아니라 최 구성광물을 파악하였다. 편광현미경 분석 결과, 포항
근에는 암석의 동질성을 파악하여 석조문화재의 산지 달전리 현무암의 경우 감람석과 휘석을 반정으로 하

Fig. 4. Comparison of magnetic susceptibility for the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and the Noeseongsan
Basaltic rock.

J. Petrol. Soc. Korea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와 뇌성산 뇌록산지의 현무암 비교 분석 191

Fig. 5. Microscope photograph of the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and basaltic rocks. (a)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b) Occurrence of the Noerok in Noeseongsan, (c) Pohang Blue-velley construction site.

는 반상조직을 가지며, 사장석 반정은 거의 나타나지 일대 현무암은 안데신, 단사휘석, 몬모릴로나이트 등


않는다. 기질은 미정질로서 감람석, 휘석, 사장석, 불 이 동정되었다(Fig. 6).
투명광물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광물 조합은
전형적인 알칼리 현무암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반면 지구화학적 특성
뇌성산 현무암질암의 경우 미정질의 기질에 사장석,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와 뇌성산 뇌록산출지 일대에
감람석, 휘석 반정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징적으로 사 분포하는 두 현무암체에 대해 지구화학적 특성을 비
장석 반정이 나타난다. 사장석의 경우 알바이트-칼스 교하였다(Table 1).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를 구성하고
바드 쌍정으로 나타난다. 두 암석의 광물조합 및 조 있는 암석의 경우 SiO 의 함량은 51.80~52.1 wt.%,
2

직은 전혀 다른 특징을 보인다(Fig. 5). 두 현무암의 Na O는 5.46~6.32 wt.%, K O는 3.39~3.54 wt.%의


2 2

기질은 미정질로 편광현미경하에서 동정이 어려워 X- 분포를 보이는 반면 뇌성산 일대 현무암질암의 경우


선 회절 분석을 통해 추가적으로 구성광물을 동정하 SiO 의 함량은 55.20~57.47wt.%, Na O는 3.29~
2 2

였다.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의 구성 광물은 방비석 3.61 wt.%, K O는 1.59~1.61 wt%로 측정되었다. SiO
2 2

(analcime), 단사휘석, 알칼리장석, 몬모릴로나이트 의 함량은 뇌성산 현무암질에서 다소 높게 측정된 반


(montmorillonite), 흑운모, 녹니석, 뇌성산 뇌록산지 면 Na O, K O의 함량은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에서
2 2

Vol. 27, No. 4, 2018


192 김재환 · 유영완 · 정승호 · 김태형 · 문동혁 · 공달용

Table 1.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and Noeseongsan basaltic rock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뇌성산 현무암질암
PDC-1 PDC-2 PDC-3 PDC-4 PDC-5 PBB-1 PBB-2 PBB-3
SiO2 51.80 51.6 52.1 51.9 51.4 57.47 55.2 56.30
TiO2 1.717 1.634 1.79 1.69 1.775 0.862 0.856 0.857
Al2O3 17.55 17.67 17.5 17.2 17.33 18.38 17.3 17.50
Fe2O3 6.390 6.30 6.81 6.70 6.749 7.024 7.07 7.05
MgO 6.163 5.929 6.55 6.32 6.346 3.060 3.29 3.170
MnO 0.104 0.110 0.113 0.122 0.115 0.081 0.080 0.080
CaO 4.334 4.882 4.45 5.10 4.768 7.322 7.14 7.28
Na2O 6.320 5.960 5.99 5.46 5.76 3.610 3.29 3.59
K2O 3.392 3.541 3.37 3.52 3.44 1.603 1.59 1.611
P2O5 1.810 1.930 1.78 2.06 1.920 0.344 0.339 0.337

Fig. 6. X-Ray analysis results of the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a) and the Noeseongsan Basaltic rocks (b).
Ac: analcime, Py: clinopyroxene, Cc: Clinochlorite, A-f: akali-feldspar, Bt: biotite, Mo: montmorillonite, An: andesine.

Fig. 7. Plot of Na2O+K2O vs. SiO2 (a) and tectonomagmatic discrimination of the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and Noeseongsan basaltic rock (b).

J. Petrol. Soc. Korea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와 뇌성산 뇌록산지의 현무암 비교 분석 193

높게 측정 되어 구분되어진다. 주원소 분석 결과를 절리는 판 내부 환경 현무암(within-plate basalt), 뇌


TAS(total alkaline silica)도에 도시해보면 포항 달전 성산 현무암질암은 화산호 현무암(volcanic arc basalt)
리 주상절리는 알칼리 계열의 포노테프라이트 영역에 해당한다. 이러한 차이는 신생대 마이오세의
(phonotephrite)에 도시된 반면 뇌성산현무암질암은 비 지체구조 환경 변화에 기인한 것이다.
알칼리암(sub-alkaline) 계열의 현무암질 안산암 내지
안산암 영역에 도시된다(Fig. 7a). 포항 달전리 주상 사 사
절리는 포항분지 내에 분포하는 달전현무암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와 잘 부합한다(Song et al., 1998). 이 연구를 위해 현지조사에 많은 도움을 주신 포항
또한 Zr-Ti 도표 상에서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는 판 시청 관계자들과 심도 깊은 논문이 될 수 있도록 유
내부 환경 현무암(within-plate basalt), 뇌성산 현무암 익한 조언을 해주신 익명의 심사위원님께 감사드린다.
질암은 화산호 현무암(volcanic arc basalt) 영역에 각 이 논문은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자체과제인 한국의 지
각 해당한다(Fig. 7b). 질 다양성 연구[NRICH-1805-A15F-1]에 의해 진행되
었다.
결 론
References
한반도 남동부에 분포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415
호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를 실 Ahn, K.S., 2014, Distribution and petrology of the columnar
시하였으며, 이를 뇌성산 뇌록산지 일대 현무암체와 joint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3, 45-59. (in Korean With English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abstract).
1)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는 신생대 마이오세 현무 Choi, H.-O., Choi, S.H., Lee, D.-C., Kang, H.-C., 2013,
암질 마그마의 관입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단면의 형 Geochemical evolution of basaltic volcanism within the
태는 대부분 5~6각형으로 나타난다. 반면 우리나라 tertiary basins of southeastern Korea and the opening of
내 유일한 뇌록 산출지로 알려진 뇌성산 뇌록 산출지 the East Sea (sea of Japan).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249, 109-122.
는 뇌성산 현무암질암 내에 맥상 또는 간극 충전형태 Degraff, J.M., Aydin, A., 1987, Surface morphology of
로 뇌록이 관찰되며, 최근 광정산 사이 포항 블루밸 columnal joints and its significance to mechanics and
리 조성 단지 내에서도 현무암 단열을 암맥상으로 뇌 direction of joint growth.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록이 관찰된다. Bulletin, 99, 605-617.
Do, J.Y., Lee, S.J., Kim, S.J., Yun, Y.K., Ahn, B.C., 2008,
2)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의 구성 암석은 미정질로
Characterization of Noerog, A Traditional Green Mineral
감람석, 휘석이 반정이 나타나는 반면 뇌성산 뇌록 Pigment. The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산출지 일대 현무암질암은 사장석, 감람석, 휘석 반정 korea, 21, 271-2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으로 사정석 반정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두 Dowling, R., Newsome, D., 2006, Geotourism. Elsevier,
Cornwall, 260.
암석의 광물조합 및 조직은 기원 맨틀 물질의 차이에
Dowling, R., Newsome, D., 2008, Global Geotourism con-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ference proceedings, 478.
3) 두 현무암체에 대한 전암대자율 측정 결과, 뇌록 Hose, T.A., 1995, Telling the story of Britain’s stone. Envi-
산출지 일대(포항 블루벨리)에 분포하는 뇌성산현무 ronmental Interpretation, 10, 16-17.
Hose, T.A., 2003, Geotourism in England: a two-region case
암은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에 비해 다소 높은 값을
study analysis. Unpublished thesis, Birmingham: Depart-
보이나, 대자율 값에 근거한 암석의 분류에서 두 암 ment of Ancient History and Archaeology, University of
석은 모두 자철석 계열에 해당한다. Birmingham.
4) 두 암석에 대한 주성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Jang, Y.D., 2017, A report on the collection and preserva-
TAS Diagram에 도시해보면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는 tion methods of Noerok and its causes occurred the
southeastern part of Gwangjeong mountian in Jang-meon
알칼리 계열의 포노테프라이트(Phonotephrite), 뇌성산 of Nam-gu, Poha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현무암질암은 현무암질 안산암 내지 안산암 영역에 Korea Lang & Housing Corporation, 5-18. (in Korean
해당한다. 또한 Zr-Ti 도표 상에서 포항 달전리 주상 With English abstract).

Vol. 27, No. 4, 2018


194 김재환 · 유영완 · 정승호 · 김태형 · 문동혁 · 공달용

Jung, S., Kim, M.C., Cho, H., Son, M. and Sohn, Y.K., Miocene basins in southeastern Korea: Structural and
2012, Basin fills and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Miocene paleomagnetic approaches. Ph.D. Thesis, Pusan National
Yangpo subbasin in the Janggi-myeon, Pohang, SE University, Busan, 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orea.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Son, M. and Kim, I.-S., 1994. Geological structures and
48, 49-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evolution of the Tertiary Chongja basin, southeastern
Jwa, Y.J., Kim, K.K., Ko, S.B., Kim, J.S., 2006, Source margin of the Korean peninsula. Economic and Environ-
Area of the Rocks Using the West Stone Pagoda of mental Geology, 27, 65-80. (in Korean with English
Gameunsaji Temple Site, korea. The Journal of the Petro- abstract).
logical Society of Korea, 15, 128-138. (in Korean With Son, M., Kim, I.-S. and Sohn, Y.K., 2005. Evolution of the
English abstract). miocene waup basin, SE Korea, in response to dextral
Kim, B.K., 1970. A study on the Neogene Tertiary deposits shear along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East Sea (Sea
in Korea. The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6, of Japan).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 25, 529-544.
77-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Son, M., Seo, H.-J. and Kim, I.-S., 2000. Geological struc-
Kim, J.H., Jwa, Y.J., 2010, A Study on the Provenance of tures and evolution of the Miocene Eoil Basin, southeast-
the Stones and the Surface Cracks in the Suljeongri East ern Korea. Geosciences Journal, 42, 73-88.
Three-story Stone Pagoda, Changnyeong, korea. The Song, C.W., Kim, H.J., Kim, J.S., Kim, M.C., Son, M.,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3, 45-59. 2015, Stratigraphic Implication of the Daljeon Basalt in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the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The Journal of the
Kim, M.C., Gihm, Y.S., Son, E.Y., Son, M., Hwang, I.G.,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323-335. (in Korean
Shin, Y.J., Choi, H.S., 2015, Assessment of the potential with English abstract).
for geological storage of CO2 based on structural and Song, S., Lee, H.K., Yun, H., 1998, Petrogenesis of the Ter-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in the Miocene Janggi tiary volcanic rocks from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Basin, SE Korea.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Journal of Mineralogy, Petrology and Economic Geology,
of Korea. 51, 253-2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3, 441-461.
Kim, M.C., Kim, J.S., Jung, S.H., Son, M., Sohn, Y.K., Stueve, A.M., Cock, S.D., and Drew, D., 2002, The
2011, Bimodal Volcanism and Classification of the Mio- Geotourism study: Phase 1 Executive Summary. National
cene Basin Fill in the Northern Area of the Janggi-myen, Geographic, Washington. D.C.
Pohang,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 Toramaru, Matsumoto, 2004, Columnar joint morphology
ety of Korea, 47, 585-612. (in Korean With English and cooling rate: A starch water mixture experiment.
abstrac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ild Earth, 1978-2012,
Lee, H.K., Moon, H.-S., Min, K.D., Kim, I.-S., Yun, H. and 109(B2).
Itaya, T., 1992. Paleomagnetism, stratigraphy and geo- Uchida, E., Cunin, O., Suda, A., Nakagawa, 2007, Consid-
logic structure of the Tertiary Pohang and Changgi eration o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sandstone
basins; K-Ar ages for the volcanic rocks. The Journal of quarries during the Angkor period based on the magnetic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25, 337-349. (in susceptibilit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4, 924-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35.
Lee, J.J., Kim, J.H., Han M.S., 2018, Mineralogical Charac- You, K.S., 2013, A Study on paints producing centers sup-
teristic Changes of Noerok Occurred from Noeseong ply and demand environment of chosun Dynasty color
Mountain, a Raw Material for Pigment Depending on its pigment.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7, 24. (in
Firing Process.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Korea, 31, 23-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Lee, S.J., Choi, I.S., Lee, K.K.,Do, J.Y., Ahn, B.C., 2007,
An analysis of Noerok used in temple Dancheong in Received September 5, 2018
Gyeongju area. The Kyong ju MunHwa Youn Gu, 9, 1- Review started September 7, 2018
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Accepted October 30, 2018
Son, M., 1998.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Tertiary

J. Petrol. Soc. Korea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