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ptx, pdf, or txt
Download as ppt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51

Did Buddha get into cross-legged posture

붓다는 결가부좌를 취하였는가

발표자: 이 영일
presenter: Lee, Young il
1
결가부좌의 원어와 번역어

 Saṃskṛtam: paryaṅkāsana
 Pāli: pallaṅkāsana
 한역: 結加(跏)趺坐, 全跏坐
 영역: cross-legged posture
2
2 Paryaṅkāsana(Pallaṅkāsana)

그림1) 좌: 결가부좌를 취한 간다라 양식의 석조삼존상(石造三尊像), 2~3세기경, 북부 인도의 Ahicchattr


a출토, 인도 뉴델리 국립박물관 소장(Acc no: L.55.25)
가운데: 모헨조다로 출토 인장. BC 2500~2400년경
우: Muchalinda의 호위를 받는 붇다. 3세기경, Andhra Pradesh(Nagarjunakonda에서 제작된 것으
로 추정), South and South East Asian Collection.
3
결가부좌의 출현

the emergence of cross-legged


posture

4
결가부좌 (cross-legged posture)로서
Paryaṅkāsana(Pallaṅkāsana)

범천권청도(梵天勸請圖)
범천권청도, 간다라 출토, 파키스탄, 1 세기 경 5
Swat 계곡 출토, 북부 파키스탄, 기원 전
from Stūpa to Icon statue

Buddha/Bodhisattva double sided statue. Gandhāra, AD 1~2 c. 6


Helenic Buddha figurine.
Pakistan or Afghanistan,
Gandhāra, AD 1~2c.

A Bodhisattva
Gandhāra, AD 2~3
7 c.
간다라불상
좌우 손발의 순서
positions of hands and feet in gandhāra buddha statues

왼손 상위

JaulianⅡ Site 출토 불상AD, 1~2


세기(초기 쿠샨시대).

왼손 상위

범권청도, Swat 계곡 출토, 북부 파키스탄, 기원 전후

간다라 불상에서 수인이 반대인 경우는 있으나,


오른발을 아래에 놓는 경우(항마좌)는 발견하기
어렵다. 8
오른손 상위
길상좌(吉祥坐, Gilsangjwa), 항마좌(降魔坐, Hangmajwa)
the auspicious posture the posture of conquering the devil

9
북방 불교에서
결가부좌의 확산과 혼동

혼용 통일
명칭: 結加(跏)趺坐 結加趺坐
행법: 길상좌/항마좌 항마좌

10
원효(元曉, 617~686)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에서 항마좌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항마좌 형식의 좌법을
전가좌(全跏坐)라고 설하였다.

11
길상좌, 결가부좌의 원형

󰡔 修禪要訣󰡔 (677)에서 佛陀波利(Buddhapālita)


북인도 간다라 북부 카쉬미르 지역의 계빈국(罽賓國),
즉 가습미라국(迦濕彌羅國, 산스크리트 kaśmīra의 음역) 사람.

"결가하여 단정하게 앉는데, 방법은 왼쪽다리로 오른쪽 [대퇴부]를


누르고, 오른쪽 다리로 왼쪽 [대퇴부]를 누른다. 만약 이것이 불편하
면, 반가도 좋다. 반가법은 오직 오른쪽 다리가 왼쪽다리를 누른다.
양손은 손바닥이 위를 보게 하고, 오른손이 왼손을 누르며 반대로는
하지 말라."

12
고대 인도의 관문, 간다라(犍陀罗)
The gateway of ancient India, Gandhāra

13
Achaemenid(Persian) Empire, 550~330 BC

14
알렉산더 3세 인도 침입 BC 326
Alexander III (356~323 BC) invaded India

15
Indo-Greek Kingdom

Maurya(322-184 BC)

16
Greco-Bactrian Kingdom BC 2c.
BC250~BC125

17
BC 80~AD 20
18
Gandhāra attained its high status from the 1st century to the 5th century
under the Kushan Empire

19
Śrī Laṃkā 20
the origin of āsana
좌법의 기원

21
Mohenjo-daro

22
āsanas in Harappa and Mohenjo-daro
Mohenjo-daro Harappa

Harappa and Mohenjo-daro


23
신상(神像), the image of god

24
오른발이 위에 놓인 좌법
putting the instep of right foot on the sole of left foot.

the instep of the sole of


right foot left foot

25
The stūpa in Mohenjo-daro was made by early buddhist.

26
27
산치 대탑
Sanchi mahāstūpa
BC 3세기 경(Aśoka~ )

28
Maurya Dynasty (BC 322~BC 185)

king Aśoka(BC 273~232)


불교의 세계화 The globalization of Buddhism

29
스리랑카 · 미얀마 · 시리아 · 이집트 · 마케도니아 · 그리스 · 북아프리카 등 유라시아 지역에 포교단을 파견
30
Sunga
(BC 185~BC 78)

31
Sanchi under the Satavahanas
(1st century BCE–2nd century CE)

Śrī (길상吉祥)

32
Stūpa 1 South Gate
33
Bharhut Stūpa

34
발굴 당시 스케치
Sketches at the time of excavation.

35
36
Bharhut

37
결가부좌 탄생의 징후
Kushan

Satavahana
BC 1st.~AD 2nd

38
(3~4c.)

39
40
Buddha sheltered by Muchalinda

Nāgārjunakoṇḍa
(무찰린다의 호위를 받는 붇다).
3C., Andhra Pradesh, India
(probably made in
Nagarjunakonda, made),South
and South East Asian Collection

Slab showing conversion of Nanda(난다의 귀의


도). AD 4c. 후반, Nagarjunakonda valley, Guntur
district, Andhra pradesh, The Nagarjunakonda
Museum(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41
좌법의 변형: 半跏趺坐化
deformation of pallaṅkāsana: the half lotus position

그림10) 반가부좌 형식의 남방 좌불상과 신상.


좌: 선정좌불상, 5~6세기경, Anuradhapura, 스리랑까.
가운데: 선정좌불상, 9세기, Anuradhapura, 스리랑까.
우: 쉬리(Śrī) 신상, 12세기경, DaladaMaluwa사원, Polonnaruwa, 스리랑까 42
Angkor Wat(12세기~)

43
Buddha Shakyamuni in
Meditation, 7-8세기 경,
Thailand, Mon-Dvaravati
'The God Visnu', 11-12세기 경, Museum of Cham period(600-799)
Sculpture, Vietnam
44
paryaṅkāsana(parllaṅkāsana)

결가부좌

45
the yogic physiology of āsana
좌법의 수행생리학

46
음양합일체로서 인간
human as a hermaphrodite

그림11) 좌: Ardhanārīśvara, 꾸샨 왕조, 1세기경, 북인도의 Rajghat 출토, India, Mathura Museum소장
가운데: Ardhanārīśvara, 꾸샨 왕조, 150~200년경, 북인도,
우: 쉬와의 삼지창과 Ardhanārīśvara, Chola 왕조, 1050년, 남인도, The Cleveland Museum 47of
Art 소장 (via SikhMuseum.com)
sun moon
gāndhārī pūśā

Viśvarūpa로서 Viṣṇu,
AD 1800~1850, Jaipur, 天有日月 人有兩目
Victoria and Albert 『황제내경, 영추』<사객편>
Museum(London) 소장. 48
결가부좌의 수행생리학

그림13) 길상좌와 항마좌에서 에너지 승강 작용, 49


우명문상화(右命門相火)와 좌신수(左腎
水)

그림14) 좌: 짜끄라, 좌우 나디와 수슘나. *굵은 선은 논자.


우: 󰡔 성명규지性命圭旨󰡔 (1615)에서 명문상화를 표현한 [반조도反照圖]. *큰 글자는
50
졸자.
5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