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pt, pdf, or txt
Download as ppt,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9

명상과 심리치료

- 영상유식관법을 중심으로

인경 / 동방대학원대학교 교수
명상상담연구원 원장
1. 명상과 심리치료의 통합에 관한
최근 동향과 과제들
 불교명상 가운데 남방수행인 위빠사나 특히 , Sati 수행법에
집중됨
 대부분 인지치료와의 통합이 주류를 이룸
 대부분 불안 , 우울과 같은 정서적 장애가 중심
 초기경험과 관련된 심층적인 측면보다는 오히려 현재적인
표층적인 현상에 초점

 대승불교 명상법을 포함한 다양한 불교명상법의 활용


 서구의 다양한 심리치료와 적극적인 통합을 시도
 인생의 초기경험과 연결된 성격장애로 연구의 확대
 유식불교와 같은 심층적인 관점에로 이동
2.1 영상문 유식학파
 영상문 유식학파는
일체의 현상을 인식주관이 반영된 影像의 현현으로 해석하고
실천이론을 세운 초기유식학파의 명칭

- 세친의 < 유식 30 송 > 에서 설한 轉變說에 의한 식일원론이


등장하면서 , 전변의 개념이 영상의 개념을 대신하면서 주류를
형성함
- 호법의 < 성유식론 > 이후 영상문 유식학파의 실천론은 단절됨

 영상문의 수행법 ,
보통 유식학파를 이론보다는 실천을 강조할 때는 瑜伽行派라고
하는데 , < 영상문 유식학파의 구체적인 수행의 방법을 필자는
영상을 주요 대상으로 삼는 까닭에 필자는 이것을 바로
영상유식관법 , 혹은 간단하게 줄여서 영상관법이라고
영상관법 호칭한다 .
2.2 영상의 정의
 영상 (pratibimba) 의 언어적 의미
prati: ~ 에 대해서 , bimba: 본래의 것 , 본질
본질로부터 생겨난 표상 , 이미지
[ 실례 ] 하늘의 달과 호수에 비친 달 , 새끼줄 ( 본질 ) 과 뱀 ( 영상 )

 불교학적 정의
부처님께서 설하신 알아야 할 본래적 의미로서 교법 ( 本質 ) 과 듣는
사람의 의식에 반영된 , 닮은 심상 , 개념적 표상 ( 同分影像 )

 조작적 정의
명상을 할 때 , 알아야할 교법 ( 所知法 ) 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미해결된 과제 ( 所知事 ) 들과 닮은 , 마음속에 떠올려 탐색해야할
인식대상으로서 시각적인 이미지 일체 .
2.3 영상유식관법이란
 영상유식관법의 정의
알아야할 과제와 닮은 影像을 마음 속에 떠올려 , 고요함과 지켜봄
( 止觀 ) 을 통해서 , 사물의 본질을 통찰하는 명상법이다 .

 경론의 전거들
- 해심밀경 ( 대정장 16 권 , p.698)
“ 부처님께서 자씨보살에게 말씀하시었다 . ‘ 선남자여 , 비발디와 삼마디에
나타나는 影像은 오직 의식이기 때문이다 . 선남자여 , 외적인 대상이란
오직 의식이 현현한 것일 뿐이다 .’”

- 해심밀경 원측소 ( 한불전 1, p.299); 유가사지론 ( 대정장 30, p.427)


“ 요가에 의해서 ‘영상을 분별한다’고 하는 것은 알아야할 사건의 닮은
영상을 삼마희다지와 비발사나에 의거하여 매우 자세하게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 若依瑜迦 有分別影像者 謂於所知事 同分影像 由三摩呬多地毗鉢
舍那行觀察 簡擇極簡擇 遍尋思 遍伺察
2.4 영상유식관법의 목표
 영상의 유형
1. 분별영상 ; 세상의 일을 향한 탐색 ( 作意 ) 로 위빠사나의 대상
2. 무분별영상 ; 세간을 벗어나는 출세간적 선정으로 사마타의 대상

 명상의 목표
- 고요함과 지켜봄 ( 止觀 ) 을 닦아 익히는 것을 인연으로 삼는
까닭에 , 모든 인연하는 영상에 작의하는 바가 모두 원만하여진다 .
- 이런 원만으로 말미암아 문득 전의를 얻게 되어 , 일체의 거칠고
무거운 번뇌가 모두 쉬고 소멸하게 된다 .
- 다시 전의를 얻는 관계로 영상을 초월하게 되는데 , 이로 인하여 곧
알아야할 사건에 대해서 무분별의 현량 지견이 발생하게 된다 .
( 修習止觀爲因緣故 諸緣影像所有作意 皆得圓滿 此圓滿故 便得轉依 一切麤
重 悉皆息滅 得轉依故 超過影像 即於所知事 有無分別現量智見生 ,
원측소 ( 한불전 1, p.299)
2.5 영상유식관법의 실례
- 부정관을 중심으로

 영상관법 원리
부정관은 신체에 집착하고 욕심이 많은 사람이
마음속으로 시체의 썩고 추한 영상을 떠올림으로써
탐욕을 없애는 관법이다 .

 영상유식관법의 절차
1. 실제 경험 : 썩어가는 시체의 모습을 실제로 경험
2. 닮은 영상의 확립 : 마음 속으로 실제로 닮은 영상을 기억하여 (sat
i) 반복하여 선명하게 떠올리는 연습
3. 개입 : 애착의 대상이 일어날 때 , 추한 영상으로 대처함
4. 지관에 의한 통찰 : 영상은 다만 영상일 뿐 , 실제하지 않음

 서구 심리치료와 비교
NLP 의 대치기법 : 부정적 영상을 긍정적 영상으로 대치
행동치료의 혐오기법 : 쾌감자극에 대한 혐오자극
3.1 심리학적인 의미
 영상유식관법의 심리학적 이해

영상유식관법에서 닮은 영상을 마음속에서 떠올린다고 할 때 ,


그것의 심리학적인 의미는 무엇인가 ?

1. 기억형태 : 경험은 유실되지 않고 영상형태로 기억된다 .


2. 미해결된 과제 : 반복적으로 자동적으로 떠올라오는 영상은
개인적으로 중요한 미해결된 과제이다 .
3. 연기적 관계 : 모든 심리현상은 잠재적인 심층과 현실적 표층경
험과의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연기적 관계를 가진다 .
4. 명상과 통찰 : 명상을 통해서 영상의 본질을 통찰할 수가 있다 .
3.2 마음작동 일반모델 :
아뢰야식 심층연기
 緣起원리
이것이 존재하기에 , 저것이 존재하고
이것이 사라지면 , 저것이 사라진다 .

 아뢰야식의 심층연기
경험내용과 아뢰야식과 상호 인과 관계

1. 훈습과정 : 경험내용이 아뢰야식에 저장됨 ( 現行熏種子 )


7 식 , 6 식 - 등류습기 ( 명언종자 , 분별작용 )
6 식의 선악마음 - 이숙습기 ( 업종자 , 행위 )
2. 발달과정 : 훈습된 종자가 성장 , 발달함 ( 種子生種子 )
동일한 경험이 계속 축적되면서 종자의 잠재력 증대 ( 業 )
3. 현행과정 : 내재된 종자가 현실경험에로 출현 ( 種子生現行 )
명언종자 , 7 식과 6 식
3.3 마음작동 일반모델 :
종자와 아뢰야식과의 관계
 상호인과 ( 因果 ) 관계
모든 경험들은 ( 아뢰야 ) 의식 안에 저장되어 있다 . 반대로
( 아뢰야 ) 의식은 모든 경험 안에 저장되어 있다 . 이들은
서로 과성 ( 果性 ) 혹은 인성 ( 因性 ) 의 관계로 저장되어
있다 . < 대승아비달마경 >
경험내용
현행 훈습
종자
( 아뢰야식 )
 종자와 아뢰야식의 관계
모든 경험의 종자는 아뢰야식의 특수한 힘 ( 功能 ) 이다 .
경험내용 공능으로서의 종자 ( 用 ) 와 그것을 소유한 아뢰야식
( 體 ) 은 별개가 아니다 .( 성유식론 )
3.4 마음작동 일반모델 :
아뢰야식 표층연기
 표층연기의 성격
아뢰야식의 심층연기가 심왕 ( 心王 ) 에 의한 마음의 내면
측면을 말하고 있다면 , 표층연기는 마음의 심소법 ( 心所法 ) 에
의한 현실적인 경험의 과정을 말한다 . 표층연기는 아래와 같이
5 가지 변행심소 ( 遍行心所 ) 로서 설명할 수가있다 .

 5 가지 변행심소 표층연기

제 1 단계 : 인연접촉 ( 觸 ) 종자의 활성화 ( 作意 )

제 2 단계 : 감정 ( 受 ) 생각 ( 想 ) 갈망 ( 思 , 行 )

제 3 단계 : 대처행동 ( 業 ) ( 인연접촉 ( 觸 ) )
3.5 마음작동 일반모델에 의거한
영상유식관법의 과정
 명상목표 ; 영상을 떠올려서 탐색하고 그것이 결국은 마음에
의해서 구성된다는 유식무경의 도리를 깨닫고 , 영상을
초월하는 것임

 영상유식관법의 과정 ;
제 1 단계 과제파악 : 알아야 할 과제 , 심리현상을 파악함 .
제 2 단계 머물러 경험하기 : 마음을 고요하게 유지한 가운데
사물의 닮은 영상을 떠올려 확립하고 , 충분히 재경험
* 제 3 단계 탐색 : 자세하게 영상을 탐색하기 ,
감정 , 생각 , 갈망이 무엇인지를 심소법 탐색
제 4 단계 개입 : 영상 속으로 개입하여 들어가서
억눌린 바를 표현하고 , 혹은 대안 행동을 해보기
제 5 단계 통찰 : 거리 두고 , 지켜보기의 단계
영상에서 거리를 두고 알아야 할 과제 .
그 대상의 본질을 통찰함
4.1 영상유식관법 사례 :
제 1 단계 , 과제파악

 제 1 단계 , 과제파악
과제파악의 단계는 알아할 교법이나 탐색할 개인적인 사건과
관련된 구체적인 장면을 설정하도록 하고 , 가급적이면 내담자의
중심된 호소나 미해결된 과제와 연결된 사건을 선택하는데 ,
이때 상담자는 주로 경청만을 한다 .

 사례
1. 30 중반 여성 , 연약한 외모 , 우울증 성향 , 분리공포를 가짐

2. 장면설정 [1]: 저녁무렵 , 어둑어둑해진 바깥 담벼락에 어린 나는


쪼그리고 앉아 있다 . 엄마가 방안에서 오빠들을 혼내고 있다 .
호초리로 벌받고 있는 오빠들의 흐느낌 , 엄마의 단호한 목소리가
들리고 , 나는 겁나고 무섭다 .
4.2 제 2 단계 , 머물러
재경험하기
 제 2 단계 , 머물러 재경험하기
선택된 구체적인 장면을 눈을 감고 그 영상을 면전에 떠올려서
그때의 상황을 다시 재경험하도록 함 , 이때 생생하게 경험하도록 떠올른
영상을 감각기관으로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안내를 할 수
가 있음

 사례
1. 어떤 소리가 들리는가 ?
2. 무엇이 보이는가 ?
3. 나는 지금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가 ?
4. 누구하고 있는가 ?
 응답
흐느끼는 소리 , 엄마의 화난 소리 .
겁많고 연약한 아이가 잔뜩 움추려져서 겁에 질려있는 모습 .
공포와 두려움에 압도당하여 있음 .
혼자 동떨어져서 버려진 느낌 .
4.3 제 3 단계 , 심소법 탐색하기
 제 3 단계 , 심소법 탐색하기
영상관법에 의해서 경험한 내용을 중심으로
감정 , 생각 , 갈망이라는 3 가지의 심소법을 정확하게 구별하면서
하나씩 검색하여 본다 .
 감정
두려움 , 불안 , 공포 .
머리 - 뜨거움 , 식은 땀 , 목 - 뭔가 큰 덩어리 하나가 걸려있음
가슴 - 두근거려 터질 것같아 손으로 잡아야 한다 . 그렇지 않으면 죽을
것 같다 .
생각
엄마가 화가 많이 나셨다 . 오빠들 겁에 질려있다 . 엄마가 우릴 두고
가버리면 어떻게 하지 , 나는 엄마가 무섭다 . 혼자 남겨진 나를 아무도
돌봐주지 않는다 .
갈망
누군가 이 상황을 바꾸놨으면 좋겠다 .
엄마가 좀더 건강했으면 , 좀더 부드럽고 친절했으면 ..
4.4 제 4 단계 , 개입과 새로운
행동
 제 4 단계 , 개입과 새로운 행동
그때의 상황으로 되돌아간다면 , 어떻게 하고 싶은가 ? 질문하여
상황으로 다시 개입하여 창조적인 새로운 행동을 하게 하는 단계로
서 , 하지 못했던 미해결과제를 해결하는 기회를 부여한다 .

 세계 ( 法 ) 에 대해서
문을 열고 방안으로 들어간다 .
엄마에게 두려움 , 불안을 이겨내고 말을 한다 .
“ 엄마 , 화내지마 무서워 . 오빠들은 잘못이 없어 . 조용히 타이를 수
있잖아 .”
자신 ( 我 ) 에 대해서
“ 엄마는 오빠를 사랑하고 있어 . 다만 엄마의 사랑의 표현이
바라보기가 힘들었을 뿐이야 . 그리고 너는 너무 어리잖야 . 겁내지
말고 용기를 내 .”
4.5 제 5 단계 , 지켜보기
 제 5 단계 , 지켜보기
처음 스크린의 영상으로 돌아가서 그냥 , 단지 그대로 바라만 보세요 . 마치
다른 사람의 일처럼 객관적으로 지켜만 보세요 . 처음과 느낌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

 소감
그래 , 그땐 누구나 , 부모님들은 엄했지 .
올바르고 모범적으로 성장하길 바랬던
나와 같은 부모님의 교육방식이었지 .

 달라진 점
- 방어적 자세에서 수용적 입장이 된다 .
- 자기중심의 관점에서 전체적인 관점이 된다 .
- 나의 입장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의도가 보인다 .
- 상대방에 대해서 용서하게 된다 .
4.6 명상을 마친 후 상담내용
 가족 내에서 나의 위치와 역활은
나는 연약하고 여리며 , 가진 것 없고 , 도와주기에는
너무나 아는 것이 없는 , 힘없는 존재였다 .
어느 순간부터는 방관자가 되어버리는 그런 아이였다 .

 가족내에서 형성된 나의 성격은


가족 모두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
가족이 언제든지 붕괴될 수 있다는 두려움과 무서움에 나는 멈춰있었고 ,
내가 가족을 이룬 이후에는 가족을 지키고 돌보며
나 하나의 희생을 위해서는 언제든지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행동을 함 .

 현재의 나의 문제와 연결시키면


나는 내가 가진 지식 , 경험과 능력보다는 과도하게 포장하는 경향이 있고 , 가족의
신뢰와 사랑 , 관심에 만족하고 행복해 하지만 , 다른 한편으론 남편이나
시어머님이 인정해주지 않고 무시하면 , 그 순간부터 두려움에 질식할 것처럼 ,
떨고 무기력에 떨어진다 .

 이후 떠올린 영상을 중심으로 심리극을 실시함


4.7 내담자 소감문
 상처를 받았던 경험을 떠 올릴 때는 ‘ 나는 왜 이렇게 상처가 많은 거야 ’라는 생각과
함께 불편함과 짜증이 먼저 일어났다 .
 다시 한 번 호흡으로 돌아와 그 상황에 머물러 영상화 하는 동안 나와 함께 있었던 그
어떤 사람도 괴롭다거나 힘들어 하지 않는 듯 했다 .  내가 감정에 이끌려 그 상황에
빠져 똑바로  보려하지 않았다는 것 !!
 그래도 그 순간에는 누구보다 절박하고 답답했음이 그 안에서 다시 느낌과 감정 ,
갈망을 체험하는 동안 생생하게 다가왔다 .
 특히 엄마의 죽음을  두려워하고 가족의 절대적인 안정을 원하던 어린 꼬마는 가족
안에서 내 존재의 부재를 받아들이고 싶지 않으며 , 가족 , 사회 속에서 절대적 신임을
얻고자하는 신념을 만들어낸 씨앗이었음을 직면하는 순간 주체할 수 없는 눈물로
가슴이 터질 것 같았다 .
 그것은 매사에 완벽하고 야무져 보이고자 하는 과장된 행동과 말투로 나를 돋보이게
함으로써 내 존재를 알리고 싶어 하는 현재의 내 모습을 수용하는 순간이기도 했다 .
 그럼에도 아직  앙금처럼 뭔가 남아 있다 . 수용했다고 하지만  아직 받아들이기 힘든
그 무엇이 있다 .
 그래도  지금 행복하다 . 항상 짓눌리는 통증과 묵직했던 배안의 무게로 불쾌함을
느꼈던 때에 비해 훨씬 홀가분한 마음이다 . 두꺼운 겨울옷을 벗고 산뜻한 봄옷을 입은
듯하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