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나라의 일본 원정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ptx, pdf, or txt
Download as ppt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3

원나라의 일본 원정

1. 제 1 차 원정
2. 제 2 차 원정
3. 그 이후
제 1 차 원정 배경
당시 몽골제국의 황제였던 쿠빌라이 칸은 남송을 정복하고 싶었고 먼저 남송과 가까운 일본을
끌어들이려했다

그래서 고려에게 일본까지 길을 안내하라 요구했고 고려가 바다가 험하고 풍랑이 심해 군대가
일본까지 가기 힘들다 겁을 줬지만
쿠빌라이는 일본 원정을 결정했다

원군 (2 만 5 천 ) 고려군 (1 만 5 천 )
몽골인 : 적은 수로 거의 전원 고급 장수 + 900 척의 전선 ( 고려인 3 만 5 천명 투입
한족 : 하급 장수
거란 , 여진족 , 금나라 출신 한족 : 잡병
제 1 차 원정 전개
<- 원정로

쓰시마 섬 전투 -> 이키 섬 전투 -> 하카타만 전투


-> 사와라 전투와 하코자키 전투
쓰시마 섬 전투 이키 섬 전투

쓰시마 섬의 소 스케쿠니의 80 명 vs 타이라노 카게타카의 기병 100 기 vs 연합군


300 명의 원 - 고려 연합군
쓰시마 섬과 마찬가지로 반나절 만에 박살이
소 스케쿠니는 열심히 싸웠으나 1 천의 났다 . 하지만 일본군 20 명이 생존했다
본대 상륙 후 반나절 만에 섬을 내주었다 .
하카타 만 전투 사와라 & 하코자키 전투

음력 10 월 19 일 쇼니 카게스케는 연합군에 맹렬하게 항전했다 .


연합군의 하카타만 상륙했고 , 그러나 패배하고 디자이후로 후퇴하였다 .
모모치바라 , 이키노하마 , 하고자키 해안에서
상륙을 시작했다 .
하카타에서는 일본군 사령관인 쇼니 카게스케가
1 만 1 천의 일본군을 소집하였다 .
신의 바람 !!
음력 10 월 20 일 새벽 하카타 만에 대폭풍이 몰아치기 시작했다
연합군은 900 척의 군함 중 200 척이 침몰하고 거의 모든 배가 손상되었다 .
이후 연합군은 지휘체계를 잃고 전투의 동력을 잃게 되었다 .
제 2 차 원정 배경
쿠빌라이 칸은 남송을 멸망시킨 후 일본에 사신을 보냈다
하지만 일본이 사신을 모두 처형시키자 이에 화가 난 쿠빌라이 칸은 일본 정벌을 다시 결심한다 .
일본에서도 연합군의 원정에 대한 응징으로 반격 계획을 세우고 전쟁을 준비했다 .

연합군
원나라군 : 1 만
고려군 : 2 만
뱃사공 수부 : 1 만 7 천
옛 남송 출신 수군 : 10 만 그러나 훈련이
되어 있지 않았고 무기는 농기구였다 .
제 2 차 원정 전개

<- 원정로

쓰시마 섬 전투 -> 1 차 이키 섬 전투 -> 시카노 섬 전투 ->


2 차 이키 섬 전투 -> 하카타 만 공략
쓰시마 섬 전투 제 1 차 이키 섬 전투

1281 년 음력 5 월 21 일 연합군이 쓰시마 섬


쇼니 스케토키의 막부군은 저항했으나 연합군에게
공략을 시작했다 . 하지만 저번 1 차와는 달리
전멸당하고 섬을 내주었다 .
저항이 심해서 물러났다 .
시카노 섬 전투 제 2 차 이키 섬 전투

이키 섬으로 다시 돌아온 연합군은 남쪽에서 오는


하카타 만을 바로 상륙하는 것이 무리라고 판단한
옛 남송 출신 강남군과의 합류를 위해 히라도
연합군은 먼저 시카노 섬에 상륙하려 했으나 오토모
섬으로 이동했고 쇼니 스케요시의 일본군은 이때
요리야스의 막부군에 의해 고전을 했다 .
이키 섬을 탈환한다 .
하카타 만 공략

하나로 합류한 연합군은 하카타만 섬을 공략하려 했다 . 일본군은 대함대의 위용에 눌려 무사들이 헤엄을
쳐서 연합군을 치고 오는 등 기습전을 벌였다 .
신의 바람 !!!
타카시마 근해에서 강풍이 불기 시작했고 3500 척의 배들이 거의 다 침몰하거나 떠내려갔다 .
이에 원의 지휘관들은 병사들은 내버리고 달아난다 . 이 외에도 2 만의 고려군이 배를 타고 탈출하는데
성공했다 .
하지만 일본에 남겨진 10 만의 군사들은 일본군에 의해서 참수되거나 노예가 되었다 .
그후
원나라 일본 고려 :
쿠빌라이 칸은 3 차 원정까지 가마쿠라 막부가 붕괴하였고 원의 일본 원정은 일본의 대 중국
계획했으나 죽음과 동시에 행정 체계가 마비되었다 . / 대 고려 악감정만 촉발하고
중단되었고 그 이후에 원이 대마도가 왜구의 소굴이 되면서
쇠퇴하게 되며 역사의 뒤안길로 조선 초기까지 왜구들에게
사라지게 된다 지속적으로 시달리며 나중에는
임진왜란의 명분을 주는 등
결과적으로 한국사에 좋지 않은
영향만 끼쳤다 .

이상입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