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에너지 일반사항 - 에너지 사용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ptx, pdf, or txt
Download as ppt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8

에너지의 일반 사항

( 에너지 이용 )

Division of Energy Systems Research


Energy Process System Lab.
에너지의 법칙
• 에너지의 변환과정은 반드시 열역학 ( 熱力學 : Thermodynamics) 제 1 법칙과
제 2 법칙의 제약을 받음 .

• 열역학 제 1 법칙은 줄 (J. Joule) 이 체계화한 에너지보존 ( 保存 ) 의 법칙 . 고립된


계 (system) 내에서 에너지의 총량은 변하지 않고 , 어떤 형태의 에너지가 다른
형태로 변환될 때 변환전의 총량과 변환 후의 총량은 동일 .

• 열역학 제 2 법칙은 카르노 (S. Carnot) 의 연구에 기반을 둔 것으로 , 이 법칙은


열 에너지의 이동방향을 정의 . 즉 열은 항상 온도가 더 높은 물체로부터 더 낮은
물체로 전달되고 그 역 ( 逆 ) 은 일을 투입하지 않고는 불가능 . 또 열 에너지가
역학에너지로 전부 변환될 수 없으며 따라서 효율을 정의
Korea Energy Balance Flow

import supply conversion consumption

Oil

Coal

3
Energy Flow Diagram of USA (2nd law efficiency analysis)
에너지 기기에서의 열에너지 이동 방향

High temp. reservoir, TH


High temp.
reservoir, TH
QH QH

W Heat Heat Pump


Engine Refrigerator W
스팀터빈 , 가스터빈
자동차 엔진 등 냉장고 , 에어컨
히트펌프
QL QL
Low temp.
reservoir, TL
Low temp. reservoir, TL

화력발전소 : 스팀터빈 사이클

5
에너지 기기들의 효율
효율의 정의 : output( 유용한 에너지 ) / input ( 유입 에너지 )
1) for heat engine
Output W work out QH  QL
    
Input QH heat in QH

2) for refrigerator, (its purpose is to remove heat


from a low temperature reservoir)
QL QL
 R  COPC  
W QH  QL

3) for heat pump, (its purpose is to put heat into


the high-temp. reservoir, to heat your home in the winter)
QH QH
 H  COPH  
W QH  QL
열에너지의 특징 에너지 소비
• 열 에너지는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 가능 . 그러나 열에너지가
100% 일 ( 역학적 ) 에너지형태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 .

• 열에너지를 일에너지로 바꿀 때 , 열에너지가 온도가 다른 두


저장소에서 이동이 있어야 하며 작용하는 가역기관의 효율 이상으로
일로 변환하기는 불가능 .

• 열은 높은 온도로 있으면 그 일부를 다른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으나


낮은 온도로 옮겨진 열은 이용할 수 없으며 이 것을 폐열이라고 함 .
에너지 소비는 고급의 에너지를 저급화하면서 그 차이를 사용 .
에너지 이용의 효율
에너지효율이란 투입한 에너지에 대한 유익한 에너지의 회수율 (%) 로 정의
에너지소비 효율

1. 공급된 에너지에 대해 유용하게


사용된 에너지의 비율

에너지 효율 (%)=
유용하게 사용된 에너지의 양
/ 공급된 에너지

2.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
가전 제품에는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이 붙어 있는데 , 제품별로
에너지 소비 효율을 분석하여 소비
등급을 5 단계로 나누어 정함
에너지소비 효율 등급
에너지 사용 과정 ( 화석 연료 )
1. 첫째 화석연료의 연소
화석연료의 화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됨

2. 둘째 열 이용 또는 다른 에너지로 변환
2.1 열 직접 이용 또는 열 전달
2.2 열에너지를 타 에너지형태로 변환
열에너지 역학에너지 ( 동력 ) : 자동차
열에너지 역학에너지 전기에너지 : 발전소

3. 잉여에너지의 저장 : 어려움
열에너지 : 화학물질 ( 용융염 ) 을 이용하여 저장
전기에너지 : 배터리 , 양수 발전
발열량 : 각 연료가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 양
• 발열량 (Heating value : H.V. 또는 Calorific value) 은 단위 중량의 물질이 완전
연소시 발생되는 열량 . 단위 중량 (kg, lb) 이나 부피 ( 기체의 경우 Nm3, ft3) 의
연료에 대한 기준으로 kcal/kg 혹은 kcal/Nm3 로 표현 , English Unit: Btu/lb

• 연소로 생기는 물의 상태가 기체 ( 수증기 ) 인가 액체 ( 물 ) 인가에 따라 증발 잠열


만큼 차이가 나므로 전자를 저위발열량 (Lower or Net Heating Value), 후자를
고위발열량 (Higher or Gross Heating Value) 라 하여 구분
발열량 (Heating Value)
1) 메탄 연소 : CH4 + 2O2  2CO2+ 2H2O(l)
반응엔탈피 ( 연소열 , 발열량 ) 는
생성물의 엔탈피 합 – 반응물 엔탈피 합
∆Hrxn = Σ Hproducts – Σ Hreactants

2) 발열량 종류
HHV
LHV

연료 + 공기 ( 산소 )  CO2 + H2O( 액체 ) : 고위발열량


연료 + 공기 ( 산소 )  CO2 + H2O( 기체 = 증기 ) : 저위발열량
연료들의 발열량
연소와 연료
연소 (Combustion) 란 두 물질 ( 연료와 산소 ) 의 급속한
화학반응으로서 보통 열과 빛이 과정 중에 동반됨 .

연료 (Fuel) 란 산소 또는 공기와 섞여 연소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물질로서 대표적인 것은 원유 , 석탄 ,
천연가스등 화석연료와 이를 원료로 하는 각종 석유제품 ,
연료가스 및 메탄올 , 코크스
Combustion
Combustoin 정의
1)The rapid chemical combination of oxygen with the combustible el-
ements of fuel. Combustible : C  CO2, CO
H  H2O
S  SOX (SO2, SO3)
N  NOX (NO)

2) Combustion 결과
- high temperature (∵ 반응 enthalpy 가 발생되므로 )
- high pressure (∵ 대량의 배기가스 생성 )
- emission : premixed(blue), diffusion(yellow)
(emissivity : 미분탄 = 1.0 정도 , LNG=0.2 주로 H2O 및 CO2)
열전달
• 전 도 : 고체에서 열이 전달되는 방법으로서 접촉하고 있는 물질을 통한
열전달

• 대 류 : 액체나 기체에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열전달

• 복 사 : 매개물질이 없이 열이 전달되는 방법으로서 태양열이 매개물질


없이도 우리에게 뜨거움을 느끼게 하는 것이 대표적
전도 열전달 : Conduction
1) heat transfer within one medium

2) two mechanics
① molecular interaction : higher energy level molecules give
energy to lower energy molecules in any types
(solid, liquid, gas)

②'free' electron : free electron inside metal transfers heat


energy. Explains why metal is good thermal
conductor.
전도 : Fourier's law of heat conduction
T∞(hot side) : Temperature of fluid where no T change
T∞
heat transfer direction from hot to cold

T T
qx  dT
Q w
 k Tw(cold plate)
A X dX

where X : directional heat flow rate


A : area normal to the direction of heat flow
k : thermal conductivity

Usually, thermal conductivity is function of temperature.


For gas, with T increase, molecular interaction increase, then thermal conduction will be
increased.
대류 열전달 : Convection
1) Energy transfer between a bulk fluid and surface (or interface) of
material

2) two mechanisms
① forced convection : fluid motion over surface generated by
external device (pump, fan)

② natural (free) convection : density difference in the fluid caused


natural fluid motion
대류 : Convection
1) Isaac Newton, 1701 developed equation for con-
vective heat transfer

2) Equation q  hA(T surf  T )


fluid

q : rate of convective heat transfer


A : area normal to heat flow
h :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복사 열전달 : Radiation
1) Heat transfer by radiation required no medium for the propagation
conduction media : molecule, free electron
convection media : media fluid
radiation media : nothing required

2) radiation heat transfer for a black body (white body, gray body)
q
T
4

A
where q : radiant emission power (Js-1)
A : area of emitting surface(m2)
σ : Stefan - Boltzmann Const.
8 1 2 4
(5.669 10 J s m k )
전지 (Battery) 1 차전지

-1 차 전지 : 건전지로 전해액이 출렁출렁할

정도로 많지 않고 양 / 음극사이에 있는
전기절연재 (Separator) 가 있는 전지로서
일반적으로 충전할 수 없는 전지

-2 차 전지 : 에너지 저장밀도 , 내구성 ,

환경친화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니켈메탈할라이드 전지 , 리튬전지 ( 리튬폴리머
전지 포함 ) 등의 충전할 수 있는 차세대 전지 . 2 차전지
건전지의 구조
2 차 전지 (Rechargeable battery)
•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전과 역방향인
충전과정을 통하여 , 반복 사용이 가능한 전지

• 물질 종류에 따른 2 차 전지 구분
물질 전지 종류 용도
휴대폰 , 노트북 , PDA, DSC
리튬계 리튬이온 / 폴리머

전동공구 , 무선전화 , 카세트 , UPS


니켈 카드뮴
, 전기면도기 , 전기장난감 등
알카리계 니켈 수소
공업용 대용량
니켈 아연

산성계 납축 전지 자동차용 , 산업용


리튬이온 2 차 전지의 특징
- 동일 부피당 제일 가벼운 금속 ( 높은 중량 대비 에너지 밀도 )

- 전기화학적 표준전위 ( 전압 ) 가 높아 리튬을 활동물질로 이용하여


높은 전지전압 (∼4V) 과 큰 에너지밀도 (~300Wh/ℓ) 구현이 가능

- 리튬이온이 층구조인 양극과 음극 사이를 유기전해액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금속리튬의 안전성 문제 개선

- 가볍고 단위ㅣ질량당 저장 용량이 높으므로 휴대용 전자기기 ,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

26
리튬전지 작동 원리
- 전기화학적 산화 - 환원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리튬이온의
이동 ( 방전 ) 으로 전류 ( 전기 ) 가 발생 , 그 역방향은 충전

27
동영상 시청 약 10 분 정도
• 리튬 이온 전지 , 어떻게 작동할까 ?
• https://www.youtube.com/watch?v=qEvqUn6EsO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