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C - 2장 - 재료 - 2.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 배포

You might also like

Download as pptx, pdf, or txt
Download as ppt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Pre-Stressed Concrete
PSC
2. 재료
2.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

2.2 PS 강재

2.3 기타 재료
학습목표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기본 구성 재료에 대하여 학습한다 .

2. PS 강재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하여 학습한다 .

3. PSC 에 요구되는 콘크리트 특성과 PS 강재에 요구되는 성질을


구분하여 정리한다 .

4. 그라우팅 모르타르나 쉬스 등과 같은 기타 재료의 특성을 학습한다 .


PSC 구성 재료
 콘크리트 - PSC 는 일반적으로 RC 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높고
건조수축과 크리프가 작은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

 PS 강재 - 프리스트레싱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도 고강도 PS 강재를


사용

 기타 보조재료 - (RC 와 달리 고강도 강재에 긴장작업을 통해


프리스트레스를 주기 위하여 ) 쉬스 (sheath), 정착장치 (anchorage),
접속장치 , 그라우팅재 등과 같은 별도의 보조재료가 필요
2. 재료
2.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
2.1.1 콘크리트용 재료
2.1.2 콘크리트의 강도
2.1.3 탄성과 소성
2.1.4 PSC 에 요구되는 콘크리트 특성
2.1.5 PSC 용 고강도 콘크리트를 얻는 방법

2.2 PS 강재

2.3 기타 재료
일반적인 콘크리트 성질
 고강도 (High Strength) 콘크리트

 고내구성 (High Durability) 콘크리트

 고성능 (High Performance) 콘크리트


콘크리트의 품질
 고강도 콘크리트

- 혼화재 : 플라이애시 등 광물질 혼화재


- 혼화제 : 고성능 감수제 등
→ 일반적으로 압축강도 40MPa 이상의 콘크리트를 칭함 .

- 높은 압축강도 → 부재의 단면축소 가능 , 구조물의 자중 감소


- 높은 탄성계수 → 건조수축과 크리프 저감 → 처짐량 감소 ,
프리스트레스 손실 저감
- 마모에 대한 저항성 향상 , 밀실구조로 철근부식 저감 , 내약품성
등 내구성 증대
콘크리트의 품질
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 : 압축강도 fck ≥ 30MPa( 포스트텐션 )
≥ 35MPa( 프리텐션 )
→ 외력 , 자중 + 프리스트레스 응력을 견뎌야 함 .

 건조수축과 크리프가 작아야 한다 .

※ 부재의 수축으로 인한
프리스트레스 감소
콘크리트의 품질
 콘크리트 배합설계 및 시공 시의 유의점

- 낮은 W/C 사용 → 고강도화 , 낮은 건조수축 , 낮은 크리프


- 가능한 낮은 단위시멘트량 사용 → 골재량 증가
( 낮은 W/C 의 경우 건조수축 및 크리프는 낮아지나 시멘트 초기
수화시기에 발생하는 자기수축은 증가하는 경향 )
- 양질의 골재 사용 및 적절한 입도분포 확보
- 적절한 다짐
- 초기양생 시 균등한 습윤양생 실시
- 엄격한 품질관리 및 시공관리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
 콘크리트 배합설계 및 배합표
콘크리트용 재료 - 물
 시멘트와의 수화작용으로 응결 , 경화 및 강도증진으로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에 영향

 유해물질 제거
- 기름 , 산 , 염류 , 유기물 등

 해수는 사용 불가
- 철근 및 PS 강선의 부식
콘크리트용 재료 - 시멘트
 시멘트 (cement) 란 물질과 물질을 접합시키는 성질을 가진 모든 무기질
결합재를 의미

 건설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시멘트라고 하는 경우는 포틀랜드 시멘트 및


포틀랜스 시멘트계의 혼합시멘트를 말함 .

 시멘트의 분류 ( 경화방법 )
- 공기 중에서 경화하는 기경성 시멘트
- 수분에 의해서 경화하는 수경성 시멘트
콘크리트용 재료 - 시멘트

※ 팽창시멘트는 화학적 프리스트레싱 적용 시 사용


콘크리트용 재료 - 시멘트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 종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멘트로 보편적인 성질을 가지며 주로 토목 , 건축의
공사에 사용
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2 종 )
시멘트의 화학 조성에서 수화열을 낮추어 단기강도보다 장기강도를 증진시킨
시멘트로 수화열이 낮아 건조 수축이 적음
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3 종 )
보통 시멘트의 7 일 강도를 3 일만에 발현시키는 조기에 고강도를 내는
시멘트로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들어진 콘크리트는 수밀성 및 구조물의
내구성 우수한 특징
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4 종 )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수화열을 낮추어 시멘트 중 가장 수화열이 낮음 .
주로 LNG 탱크 , 댐의 구조체 등 매스가 큰 구조물에 사용하며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와 특성 비슷
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5 종 )
특히 황산염에 강한 저항을 할 수 있는 시멘트로 하수 , 배수 시설 , 해양구조물 ,
황산염이 많이 포함된 토양에 사용하는 구조물 등에 사용
콘크리트용 재료 - 시멘트
 포틀랜드 시멘트 종류에 따른 특성과 용도

포틀랜드 시멘트 종류 특성 주로 사용되는 용도

1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일반 시멘트 일반 콘크리트 공사에 다양하게 사용

2 종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수화열을 저감한 시멘트 댐 , 터널 , 도로포장 등

3 종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초기강도를 증진 시킨 시멘트 보수 , 긴급공사에 사용

4 종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수화열을 최소화한 시멘트 LNG 탱크 , 댐 , 매스콘크리트 등

5 종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내화학성 , 내구성 향상시킨 시멘트 하수 , 배수 , 해양공사 등


콘크리트용 재료 - 골재
 콘크리트용 골재란 KS F 2526 에 규정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서 시멘트 및 물과 함께 혼합하는 모래 ,
자갈 , 부순돌 , 슬래그 , 기타 이와 비슷한 재료를 말함 .

 PSC 에 사용되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견고하고 입자가


비교적 둥근 조골재의 선택이 중요하며 , 강자갈보다는 표면이 거칠고 ,
면적이 넓어서 시멘트 풀과 부착성능이 우수한 쇄석이 권해지고 있으
나 , 워커빌러티의 저하로 고려 필요

 잔골재의 조립률은 일반적으로 3.0 정도가 가장 적당하고 ,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20mm or 25mm 를 사용
콘크리트용 재료 - 골재
 콘크리트에서 골재가 차지하는 용적 비율은 약 65~85% 정도로서 ,
콘크리트 용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료이기 때문에 골재의 종류나
성질에 따라 콘크리트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이 큼
- 깨끗하고 유해물이 포함하지 않을 것
- 물리 , 화학적으로 안정성 및 고내구성
- 견경 , 강고할 것
- 모양이 입방체 또는 구형이 가까울 것
- 시멘트 풀과의 부착력이 큰 표면조직
- 입도가 적정
- 소요 중량
- 마모에 대한 저항성 우수
콘크리트용 재료 - 혼화재료
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혼합할 때 시멘트 , 물 , 골재 및 섬유 보강재
이외의 재료를 적당량 첨가하여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 ,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
 일반적인 사용목적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개선 , 강도의 증진 및
내구성 증진 , 응결 및 경화시간 조절 , 발열량 저감 , 시멘트의 사용량
절약 , 수밀성의 증진 및 철근의 부식방지 등
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 시 사용목적에 따라 ( 고로 ) 슬래그 , 플라이애
시 , 실리카퓸 등을 혼입하여 사용
 초기강도는 저하되나 , 장기강도 증진에 유리 , 장기강도 발현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
 높은 수화열 발생을 억제 , 내구성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
 PS 강재의 부식이나 부착성능 등의 영향으로 충분한 검토 후 사용
콘크리트용 재료 - 혼화재
 일명 광물질 혼화재
 사용량
- 시멘트 중량대비 5% 이상 사용
- 콘크리트 배합설계중 체적계산시 고려
 사용목적
- 강도 증진
- 내구성 증진
콘크리트용 재료 - 혼화재
 포졸란 작용 : 플라이애시 , 규조토 , 화산재 , 규산백토

 잠재수경성 : 고로슬래그 미분말

 팽창성 : 팽창제

 고강도 ( 오토클레이브 양생 ) : 실리카퓸 , 규산질 미분말

 착색 : 착색제

 기타 : 고강도용 혼화재 , 폴리머 , 증량재 등


콘크리트용 재료 - 혼화재
 플라이애쉬 (fly ash)
화력발전소에서 미분탄을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재의 미립자를 집진기로
포잡한 것

장점 단점
-장기에 걸쳐 강도 증진 - 초기강도가 낮다
-수밀성 , 내구성 향상 - 연행공기량 감소
-화학 저항성 우수 - 응결시간 지연
-단위수량 저감
-워커빌리티 개선
-알칼리 골재반응 억제
콘크리트용 재료 - 혼화재
 실리카 흄 (silica fume)
금속 실리콘 , 페로실리콘 합금 등 제조시 발생하는 폐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Si 를 집진하여 얻어지는 초미립자의 산업 부산물 , 매우
미세하여 높은 결합성을 지님

장점 단점
- 침투성이 낮은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 - 단위수량 증가
- 발열량 , 블리딩 감소 - 건조수축 증가
- 내화학성 , 수밀성 , 기밀성 증대 - 소성수축 균열 증가
콘크리트용 재료 - 혼화제
 일명 화학혼화제
 사용량
- 시멘트 중량대비 1% 정도 이하 사용
-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미고려
 사용목적
- 유동성 향상
- 강도 증진
- 내구성 증진
- 응결 및 경화시간 조절
- 기타
콘크리트용 재료 - 혼화제
 워커빌리티와 동결융해에 대한 내구성 향상 : AE 제 , 감수제 , AE 감수제 ,
고성능 감수제 등

 응결 , 경화시간 조절 : 지연제 , 촉진제 , 급결제 , 초지연제 등

 방수효과 : 방수제

 충전성 개선 또는 중량 감소 : 기포제 , 발포제

 유동성 개선 : 유동화제

 기타 : 증점제 , 보수제 , 방청제 , 수화열 저감제 등


콘크리트 양생
 양생 (curing) : 콘크리트에 적당한 온도와 충분한 습도 및 재령을 주며
유해한 응력을 가하지 않는 것
콘크리트 양생
콘크리트 강도 - 압축강도
 콘크리트의 강도란 일반적으로 압축강도를 지칭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다른 강도에 비해 상당히 크고 , 압축강도로부터 다른
강도의 크기와 경화된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략적으로 추정 가능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주로 물 / 시멘트 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 물


/ 시멘트 비가 작을수록 압축강도는 증가

 시멘트 공극비에 의해서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영향을 받음 .

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시험방법 (KS F 2405) 에 따라 충격접촉부와


양생상태 등의 사이에 의해 공시체의 강도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함 .
콘크리트 강도 - 압축강도
콘크리트 강도 - 압축강도
 PSC 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일반적으로 40MPa 이상 ,
표준방법으로 양생한 콘크리트 공시체 (Φ150×300mm) 의 재령 28 일
강도를 기준으로 함 .

fck / 표준 fck (%)


D 140 L/D 감소 : 강도 증가
L/D 4 이상 : 거의 일정
120
L 형상비 :
L/D 100 형상비
1 2 3 4 5 (L/D)
80 85 %

60

< 공시체 형상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 >


콘크리트 강도 - 압축강도
 PSC 는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콘크리트에 큰 압축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고강도 콘크리트가 요구 , 설계기준 강도는 다음과 같음 .
- 프리텐션 방식 : fck ≥ 35MPa
- 포스트텐션 방식 : fck ≥ 30MPa
 고강도 콘크리트는 높은 압축강도로 부재의 단면을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 자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 긴 경간의 구조물이나 고층
건축물에 사용
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서 초기처짐이나 장기처짐을 감소 , PSC
교에서는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이 적어짐 .
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강도는 이론적 필요강도를 정확하게 타설 ,
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배합 설계시 배합강도는 설계기준강도보다
대략 15% 정도 크게함 .
콘크리트 강도 - 인장강도
 콘크리트는 취성재료로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하여 상당히 낮고 ,
실험기계 사용 시 조임장치 등의 문제로 인해 그 값은 측정하기 어려움 .
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쪼갬인장강도를 사용하며 , 원주형 공시체
(Φ150×300mm) 를 옆으로 뉘어서 가압하여 산출함 .

 보통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는 다음 범위에 있음


MPa
콘크리트 강도 - 인장강도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7~11%, 평균 10%
정도
 압축강도가 작을수록 상대적으로 인장강도는 커지는 경향
콘크리트 강도 - 휨인장강도
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는 4 점 휨시험에 의해 결정되며 , 파괴계수
(modulus of rupture) 라고 함 .
 콘크리트 설계기준에서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는 보통 콘크리트의
파괴계수로 다음과 같이 표현되며 , 쪼갬인장강도의 1.25~1.75 배 정도
MPa
콘크리트 강도 - 전단강도
 전단응력은 다른 응력과 분리하여 계산되기 어렵기 때문에 실험적으로
결정하기가 쉽지 않음 .

 전단응력과 압축응력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 전단강도가 압축강도의


35~80% 까지의 상당히 높은 값까지 변화

 순수 전단을 받는 부재는 횡방향으로 분할하면서 부서지므로


전단응력은 작은 값으로 제한됨 .

 일반적으로 전단강도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보다 20~30% 정도 크게


고려되며 , 압축강도의 12% 정도
콘크리트의 강도 비교
탄성과 소성
 재료의 역학적 성질을 알아내기 위한 대표적인 실험이 응력 - 변형률
선도를 알아내는 실험
 콘크리트는 설계 시 주로 압축력을 받도록 그 역할이 결정되기 때문에
강재의 경우와는 달리 인장실험이 아닌 압축실험을 중요하게 고려
 국내에서는 KS F 2405 에 준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평가 실험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실험은 공시체의 높이가 지름의 2 배인 원주형
공시체를 사용하는 것을 표준으로 , Φ150×300mm 를 채용
 콘크리트는 연성재료인 강재에 비하여 인장 시 비교적 적은 값에서
파괴되는 취성재료
 취성재료들은 비례한도를 지나서 조금밖에 더 늘어나지 않고 파단됨 .
응력 - 변형률 곡선
 파단응력은 거의 극한응력과 같게 되며 , 인장에서보다 압축력에서
휠씬 더 큰 극한응력을 가지며 압축 시 연성재료와 달리 최대하중에서
실제로 파단되거나 파괴됨 .

fy

US
BP
SH
EL UY LY
PL
0.2 %
Es

s
0.002
탄성계수
 콘크리트의 성질을 표현하는 주요한 계수의 하나인 탄성계수는
탄성범위 내에서 변형률에 대한 응력의 변화로서 정의
 탄성계수는 원래 곡선의 접선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 이 때 곡선까지의
초기경사는 초기 접선 탄성계수로서 정의
 주어진 응력까지 원래의 선을 연결하는 직선의 경사는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결정
탄성계수
 초기접선 탄성계수 f 초기접선 할선
접선계수 *
 접선 탄성계수 fck=fu
 할선 탄성계수

압축

Ec

E0
u=0.002~0.003 
탄성계수
 콘크리트의 단위질량 mc 의 값이 1,450~2,500 kg/m3 인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MPa

여기서 mc : 콘크리트의 단위질량 (kg/m3)


fcu : 재령 28 일의 콘크리트의 평균 압축강도
fck ≤ 40MPa, fcu = fck +4 (MPa)
fck ≥ 60MPa, fcu = fck +6 (MPa)
40 ≤ fck ≤ 60 이면 직선보간법 적용
fck :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 (MPa)
탄성계수
 보통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mc = 2,300 kg/m3 ) 의 경우는 다음 식으로
MPa

 크리프 계산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초기접선탄성계수와


할선탄성계수와의 관계는

여기서 Eci : 콘크리트의 초기접선탄성계수 = 10,000 MPa


PSC 에 요구되는 콘크리트 특성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높은 프리스트레스
응력 받을 수 있도록 압축강도가 높은 고강도 콘크리트이어야 한다 .

(2)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프 변형이 적은 안정된 콘크리트이어야


하며 , 경우에 따라 조강성과 수화열이 적어야 한다 .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배합은 PS 긴장


재 , 쉬스 , 철근 , 정착장치 등의 주위에 콘크리트가 잘 채워질 수
있도록 정해야 한다 .

(4) 프리스트레싱 시의 정착부 부근의 콘크리트의 강도는 정착에 의해


생기는 지압응력에 견디는 강도 이상이 되어야 한다 .
PSC 용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
 배합설계 시 유의사항
- 물 / 시멘트비는 가능한 45% 이하가 되도록 적게 한다 .
( 현장 : 35~40%, 공장 : 33~35%)
- 단위 시멘트량은 필요한 범위 내에서 최소가 되도록 사용한다 .
- 시공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사용수량을 될 수 있도록 적게 한다 .
- 양질의 골재와 적당한 골재 입도를 사용한다 .

 시공 시 유의사항
- 진동다짐을 통해 밀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만든다 .
- 균질의 콘크리트를 위해 품질관리와 시공관리를 엄격하게 한다 .
- 부재의 균등한 습윤양생을 통해 국부적 건조수축을 막는다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 콘크리트의 수축
- 소성수축 (plastic shrinkage)
- 자기수축 (autogeneous shrinkage)
- 건조수축 (drying shrinkage)
- 탄산화수축 (carbonation shrinkage)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 콘크리트는 상태습도에 따라 팽창 혹은 수축 발생
- 단위시멘트량과 단위수량을 줄임으로써 팽창 , 수축량 저감
- 시멘트의 종류와 품질 , 골재의 종류와 최대치수 , 다짐 , 양생 ,
부재의 치수 등에서 영향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 콘크리틑 습기를 흡수하면 팽창하고 건조하면 수축한다 .
→ 시멘트 페이스트가 팽창하고 수축하기 때문
- 건조수축 감소 : 단위수량을 적게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
부배합을 피하고 , 양생이 중요
- 콘크리트 부재는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건조해 들어감 .
→ 불균등하게 수축
→ 표면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고 , 내부 콘크리트에는 압축응력
발생 ( 건조된 콘크리트 표면부의 수축량이 내부보다 큼 )
→ 콘크리트 표면부에 균열 발생
콘크리트의 크리프
 콘크리트에 일정한 크기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재하되면 하중 ( 응력 ) 의
변화가 없이도 변형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현상으로 ,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변형

 크리프 발생기구
- 시멘트 풀의 점탄성적 성질
- 시멘트 풀과 골재 사이의 소성 성질

 영향을 미치는 요소
- 외적 : 습도 , 온도 , 콘크리트 형상 , 재하하중의 크기 등
- 내적 : 시멘트 , 골재 , 혼화재료 등의 성질과 양 등
콘크리트의 크리프
콘크리트의 크리프
 크리프 (Creep) 의 발생 원인
- 콘크리트 , 특히 시멘트 페이스트 , bond phase( 골재와의 계면 )
microstructure 의 변형

- Microcracking : microcrack < 0.1mm


- 콘크리틑 타설 후 굳기 시작하면서부터 이미 마이크로크랙이
발생되기 시작
→ 이유 : 시멘트 페이스트와 골재는 다른 material properties
( 강도 , 탄성계수 등 ) 를 가지고 있고 , 자기수축 , 건조수축 등은
시멘트 페이스트가 주도하기 때문에 ( 골재는 상대적으로 안정
적인 phase 를 구축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