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ptx, pdf, or txt
Download as ppt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3

소나기

Nguyễn Thị Phương


Anh
Vũ Thị Hoài Chi
Lê Thanh Hiền
Nguyễn Thị Hồng Ngọc
내용
01 작가 소개 02 작품 소개

03 인물 소개 04 요약

05 사건 진행 06 소재의 의미

07 예술 가치 08 퀴즈
01
작가 소개
황순원
- 1915.3.26 ~ 2000.9.14
- 서정적인 아름다움과 소설문학이
추구할 수 있는 예술적 성과의 한
극치를 시현한 소설가
- 주요 작품 : [ 너와 나만의 시간 ],
[ 나무들 비탈에 서다 ], [ 목넘이
마을의 개 ], [ 소나기 ], [ 카인의
후예 ],..
02
작품 소개
소나기

- 형식 : 단편소설
- 시대 : 현대 (1952 년 )
- 시점 : 3 인칭 작가 관찰자 시점
- 주제 : 농촌을 배경으로 사춘기 소년과
소녀의 순수한 사랑
- 한국 단편소설 내 전설 중의 전실이라 칭할
만한 명작
03
인물 소개
04
요약
05
사건 진행
5.1. 개울가에서 소년과 소녀가
만남

소년은 소녀가 개울 둑에서 물장난을 즐기는


모습을 발견했다 .

가 ) 소녀의 첫번째 적극 행동
소녀 평소와 다르게 다른 사람의 통행을 방해할
수 있는 곳에서 물장난을 즐긴다 .
5.1. 개울가에서 소년과 소녀가
만남
나 ) 소녀의 두번째 적극 행동
다음 날 , 소녀는 소년과의 대화를 유도하려고 물장난 대신 세수를 하고 예쁜 옷을
입었지만 결과는 변함없었다 .

이 바보
5.1. 개울가에서 소년과 소녀가
만남

다 ) 소년이 소녀를 보지 않는 날

- 그리워했다

- 열등감을 느꼈다 .

- 부끄러워서 도망갔다 .
5.2. 산으로 놀러감

다음 만날 때 , 소녀가 산으로 놀러가자고 제안했다 . 소년은 내적 갈등을 겪은 후


소녀와 함께 하기로 결정했다 .

이후 소년이 적극적으로 행동하기 시작했다 .


5.2. 산으로 놀러감

- 소년은 무밭에서 무를 뽑아 모범적으로 먹었으나 , 소녀가 못 먹다고 해서 던짐


행동에 따라 소년도 더 멀리 던졌다 .
5.2. 산으로 놀러감

- 소년은 예쁘고 싱싱한 꽃들을 골라 소녀에게 선물했다 .

- 산마루에서는 소녀가 다치게 되자 소년은 적극적으로 행동해 소녀를 도와줬다 .


5.3. 소나기

달달한 데이트 중 소녀와 소년이 소나기를 만났다 . 어더운 풍경으로 분위기가


불안해졌다 .
5.3. 소나기

소년이 자기 옷도 벗어 소녀를 싸주었다 .

비를 피하기 위해 수수단으로 이동했다 .

수숫단에 소녀는 소년의 몸 내음새를


피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소녀가 소년에게
친밀감을 느낀 것같다 .

안고 온 꽃 묶음이 일그러지는 사건을


겪는다 .
5.3. 소나기

비가 그친 후 소년이 소녀를 업고 개울을 건너가며 날씨가 개선되면서 둘의 사랑이


순수함을 나타냈다 .
5.4. 소녀가 이사하게 되어 이별을 앞두게 됨

자신이 이사가게 되었음을 소년에게 알리는 순간에 소녀의 까만 눈에 쓸쓸한 빛을


볼 수 있다 . 소녀가 소년과 헤어지기 싫지만 어른들이 하는 일이니 어쩔 수 없다 .
소년은 안타까울 것도 서러울 것도 없다고 생각하지만 이것이 소년이 자신의
마음을 제대로 모르는 것이다 . 사실에 소년은 소녀와 헤어지게 된다는 매우 충격
받았다 .
우리 집을
내주게 됐
다.
5.5. 죽기 전에 소녀의 유언

죽기 전에 소녀가 죽거든 입던 옷 분홍색 스웨터를 꼭 그대로 입혀서 묻어 달라고


한다 . 아마 소년과의 추억이 담긴 옷을 입음으로써 소녀가 소년과의 추억을
영원히 간직하고 싶어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
06
소재의 의미
6.1. 조약돌

소년과 소녀를 이어주는 매개체이다 . 소설의 발단 부분에서 조약돌은


소년에 대한 소녀의 관심을 의미하고 , 전개 부분 이후 조약돌은 소녀에
대한 소년의 그리움을 의미한다 .
6.2. 대추

소년을 생각하는 소녀의 마음을


상징한다 . 아마 대추는 맛있는 거니까
자신의 좋아하는 소년도 이걸 맛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서 건네지 않았을까
싶다 . 그리고 이사를 가기 전에
소년에게 이별 선물로 건네준 것일 수도
있다 .
6.3. 갈림길

갈림길은 전개 부분에서 사건 전환의 계기이고 절정 부분


이후 소년과 소녀의 이별을 암시하는 것이다 .

6.4. 분홍 스웨터

소년과 소녀의 추억을 상징한다 .


6.5 소나기

갑자기 세차게 쏟아지다가


그치는 비이다 . 갑자기
찾아와서 짧게 끝나버린 소년과
소녀의 사랑을 상징하는 것이다 .

6.6. 꽃

꽃의 묶음 소년이 소녀에게 건네준 꽃묶음은


소나기를 만나면서 망그러지고 마는데 이것은
소녀의 죽음 암시한다 .
07
예술 가치
- 등장 인물이 성함이 없다 .
소년과 소녀라는 부른다 .
향토적 배경
- 개울가 , 논밭 , 징검다리 , 갈꽃밭 , 산 , 꽃들 등…
농촌 마을의 아름다운 풍경이 보일 수 있다 .

- 소 녀 의 ‘ 흰’ 살결 , 소년의 까만 얼굴 , 빨간색
코피와 대조됨 .
- 하얀 조약돌 , 갈꽃이 , 논밭과 숲 , 색색의 꽃들
등장 -> 맑과 깨끗하고 평안함 .
- 소녀의 흰 얼굴 , 분홍색 스위터 , 남색 스커프 ,
보랏 꽃을 좋아함 -> 비극적 결말 암시함 .
비유적
소년 소녀

가정형편 초시네의 증손녀 가난한 농부의 맏아들

성격 적극적 , 활발하다 소극적 , 부끄럽다

첫 만남 순수하다 순박하다

결말 고통을 받함 소나기 때문에 죽음


결말의 처리 방식

- 생략법을 사용함 -> 여운을 남기고 독자의 상상력을


불어일으킴
- 주변 인물들의 대화로 소녀의 죽음을 간접적으로 전달함
-> 인물의 잠정 표현이 절제되고 애틋함이 더해짐 .
- 비극적인 결말로 끝맺음 . -> 소년과 소녀의 짧고 순수한
사랑을 볻보이게 하고 , 독자에게 안타까움과 감동을 전
함.
소나기 죽음
- 최정운 교수 (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 에
따르면 , 1953 년에 나온 황순원의「소나기」
에서 소녀는 그간 한반도 땅에서 ' 개화 ' 를
이끌어온 도시 부르주아를 상징함 .
- 마을 사람들은 약도 ‘변변히 써보지 못한’
조용하고 쓸쓸한 소녀의 죽음과 그 죽음이
상징하는 윤 초시네 집안 전체의 쇠락과 몰락과
단손 ( 斷孫 ), 그들의 사라짐을 조용히 애도한
다.
08
퀴즈
1. 소년과 소녀가 처음 만난 곳은 ?

A 산 B 호두 나무 아래

C 개울가 D 원두막
2. 처음에 감정 표현에 좀 더
적극적이었던 사람은 ?

A 소년 B 소녀
3. 소년과 소녀를 이어주는
매개체가 되는 소재는 ?

A 조약돌 B 갈꽃
4. 소년과 소녀의 짧고 순수한
사랑을 상징하는 것은 OOO 이다 .
정답

소나기
5. 소녀가 소년에게 건네는 ' 대추 ' 의
의미는 소년에 대한 OO 이라고 할 수
있다 .
정답

사랑 /
마음
감사합니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