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ptx, pdf, or txt
Download as ppt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26

중국의 전통사상과 종교

1
INDEX
1. 제자백가와 분서갱유
(1) 왕도정치와 유가사상
(2) 동양의 마키아벨리즘 법가사상
(3) 진나라의 통일과 분서갱유

2. 도교와 불교 그리고 서양과의 만남


(1) 신선을 꿈꾸는 도교
(2) 달마가 동쪽으로 오다
(3) 서양사상과의 만남

3. 현재 중국인의 종교과 신앙 2
* 왕조의 변천

• 夏 – 商 – 周 – ( 春秋戰國 ) – 秦 – 漢 –魏 – 晉 –

( 五胡十六國 – 南北朝 ) – 隋 – 唐 – ( 五代十國 ) –

宋 – ( 遼 – 西夏 – 金 ) - 元 – 明 – 淸
Intro

• 춘추전국시대 - 사상의 황금시대


• 제자 - 공자 , 노자 , 장자 , 묵자 , 맹자 , 순자 , 한비자
• 백가 - 유가 , 도가 , 묵가 , 법가

4 / 10
유가 , 도가 , 법가 , 묵가 , 명가 등…
법가 ( 진나라 ) -> 유가 ( 한나라 ) -> 도가 ( 위진남북조 ) -> 유 . 불 . 도 (
당나라 )...

후에 서양과의 접촉으로 중국 사상의 변화

유가 ( 儒家 ) 법가 ( 法家 )
제자백가 중 향후 중국의 진시황의 천하 통일에
정치사상에 큰 영향 기반된 사상

5
1. 제자백가와 분서갱유
(1) 왕도정치와 유가사상

① 공자 ( 孔子 , BC 551~479)

- 유가학파의 창시자
- 핵심 : 인 ( 仁 )
- 극기복례 ( 克己復禮 )
- 논어 ( 論語 )

② 맹자 ( 孟子 , BC 372?~289?)

- 의 ( 義 ) 강조
- 왕도정치
- 성선설

6
1. 중국 사상의 특징과 흐름
③ 유가사상과
인본주의

인 의 예 지 신

동중서 ( 한대-
유가사상의 국교화 ,
통치이데올로기화 )
맹자 ( 전국시대 .
유가사상의 체계
화)

공자 ( 춘추시
대, 유가사상의
창시 )

7 / 10
④ 이학과 심학사상

• 송대의 신유학 : 불교사상과 노장사상을 흡수 . 도학 , 이학 , 송학이라 불림

• 이학의 창시자 – 주돈이 , 송나라 유학의 형이상학적 사유의 시초

• 정호 · 정이의 ‘낙학’ , 주희의 ‘민학’ , 왕양명의 ‘양명학’

• 정주이학 ( 주희의 주자학 , 성리학 ) -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


• 주희 : 유학을 집대성 , 오경의 참뜻을 밝히고 성리학( 주자학) 을 창시 ,
8 / 10
완성
1. 중국 사상의 특징과 흐름

⑤ 실학사상과 고증학
• 명말 청초의 혼란기 , ‘ 문자의 옥’의 영향
• 경세실학經世實學 ,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학문풍토 조성
• 서광계 , 황종희 , 왕부지 경세사상 추구 ,
이후 고증학으로 발전
• 이시진의 『본초강목』 , 서광계의 『농정전서』 ,
송응성의 『천공개물』
• 고증학의 발달로 경학 연구

9 / 10
1. 제자백가와 분서갱유
(2) 동양의 마키아벨리즘 법가사상

순자 ( 荀子 , BC 298?~238?)

- 법가의 사상적 연원
- 맹자와 대조 ( 성악설 )
- 청출어람 ( 靑出於藍 )
법 ( 法 ) : 인정에 얽매이지 않고
공정하게 상벌을 시행하는 원칙
술 ( 術 ) (: 韓非子
한비자 신하들을, BC 280?~233)
잘 조종하여
의견을 일치시킬 수 있는 수단
세 ( 勢 )- : 전국시대의 정치 철학자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유지할 수 있는 군주의
- 법가사상 집대성위세
- 수주대토 ( 守株待兎 )
- 법 ( 法 ), 술 ( 術 ), 세 ( 勢 )

10
1. 제자백가와 분서갱유
(3) 진나라의 통일과 분서갱유

상앙의 토지 , 병역 , 조세 , 형벌 등 각 분야의 개혁
진나라 강대국으로 성장

이사 ( 李斯 , ? ~ BC 2)

- 강력한 중앙집권체제
- 군현제
- 화폐와 도량형의 통일
- 법령개정

11
1. 제자백가와 분서갱유
(3) 진나라의 통일과 분서갱유

분서갱유
과도한 중앙집권에 대한 유가의 반발에서 야기
실생활에 관련 있는 분야를 제외한 서적을 태움

유가의 입장에서 본 진나라 정책


왕도정치에 위배 .
하지만 법가사상이 진나라 통일에 큰 영향 줌 .

법가사상과 유가사상의
우위를 따지기 어려움 !

12
2. 도교와 불교 그리고 서양과의 만남
(1) 신선을 꿈꾸는 도교

도가 도교
춘추전국시대의 불사 ( 不死 ) 의
노장사상을 가리키는 신선이 되기를
용어 꿈꾸는 민간 종교

노자 ( 老子 )

- 확실한 연대기 無
- 사마천 ( 司馬遷 ) 의 사기 ( 史記 )
- 노자 ( 老子 ) 라는 서적
- 무위자연
- 도(道)

13
1. 중국 사상의 특징과 흐름

(3) 노장사상과 청담

• 노장사상 ( 황로사상 ): 노자의 사상 + 장자의 사상


• 도가사상 : 무위자연의 ‘도’
• 노자 ( 전국시대 - 도가사상 시조 )
장자 ( 전국시대 - 도가사상 풍부화 )
• 청담사상가 : 남조 송나라 유의경
• 위진남북조 장자의 무정부주의적 사상 : 죽림칠현

14 / 10
2. 도교와 불교 그리고 서양과의 만남
(1) 신선을 꿈꾸는 도교

노자의 사상과 공자는 상대성 多


『옛날에 장자가 나비가 되었다 . 나비는
즐겁고 유쾌하며 자신이 장자인 줄 몰랐다
……… .. 』

장자
장자와 ( 莊子
나비의 구분, BC
無 369~286)
- 노자의 사상 직접 계승
- 도 ( 道 ) 추구
- 개인의 인생철학에 관심
- 호접몽 ( 胡蝶夢 )
- 모든 가지는 상대적

15
2. 도교와 불교 그리고 서양과의 만남
(1) 신선을 꿈꾸는 도교

장자 ( 莊子 , BC 369~286)

- 말로 전하고
머리로 익히는 지식 부정

중국內 도교사원 多

도가사상의
신비주의색채
민간의
신선사상 도교

16
2. 도교와 불교 그리고 서양과의 만남
(2) 달마가 동쪽으로 오다

불교의 유입 : 서한 (BC 206 ~ AD 25) 말기 ~ 동한 (AD 25~220) 초기


정착 : 위진남북조시대

17
2. 도교와 불교 그리고 서양과의 만남
(2) 달마가 동쪽으로 오다
인도에는 ‘선’의 개념이 없었는데 ,

기존 중국 사상에는 신과 영혼의 개념중국에서


無 광범위하게 전파되어 ,
가장 큰 종파로 성장
후에 불교는 중국적 불교로 토착화
Ex) 선종 ( 禪宗 ) 의 흥성

혜능 ( 慧能 , 638~713)
- 돈오 ( 頓悟 , 한순간의 깨달음 ) 강조
- 중생도 깨우치면 부처가 될 수 있다
- 육조단경 ( 六祖壇經 )

4~9 세기 불교의 황금기


18
2. 도교와 불교 그리고 서양과의 만남
(3) 서양 사상과의 만남
기존의 유학사상
+
철학적 개념
당나라 이후 유 . 불 . 도의 융합 ( 이기론 , 심성론 , 우주론 등
…)
주희 ( 朱熹 , 1130~1200) 의 성리학

만주족의 중국지배
→ 실용주의에 기반한 고증학 ( 考證學 ) 유행

청나라 말기 - 현실 정치제도와 법률에 관심

19
2. 도교와 불교 그리고 서양과의 만남
(3) 서양 사상과의 만남

아편전쟁 이후 서양사상에 직접적인 충격과 영향 받음


천하의 중심이 중국이 아니란 것을 깨달음

→ 유학생을 서양에 파견 , 선진문명과 기술 배움

20
2. 도교와 불교 그리고 서양과의 만남
(3) 서양 사상과의 만남

사회진화론의 관점 – 노장사상 , 선종이 중국을 낙후시킨 주범

자신의 마음만 바꾸면 불행도 행복이 되고


문화나 생활수준이 뒤떨어져도 만족할 수 있다

루쉰 ( 魯迅 , 1881~1936)
- 장자를 신랄하게 풍자 , 조롱

신해혁명의 성공 → 전통문화를 부정하는 사회 분위기 더욱 심화

지식인들은 마르크스주의 선택

21
3. 현대 중국인의 종교와 신앙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종교


→ 불교 , 도교 , 개신교 , 가톨릭 , 회교 등

마테오리치 (Matteo Ricci, 1552~1610)

- 명나라 때 본격적으로 기독교 ( 가톨릭 ) 전파


- 서양 문명과 과학적 지식이 영향 끼침

근대 이후 외국인 선교사들이 자유롭게 활동


기독교 인구 꾸준히 증가

22
3. 현대 중국인의 종교와 신앙

중국은 종교와 신앙의 자유를


헌법으로 보장

But, 사실 엄격한 규제와 관리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만
공식적인 활동 가능

중국 정부가 종교정책에 신경을 쓰는 이유


→ 정부의 대외정책 및 소수민족정책과 직접적인 관련 有
Ex) 티베트지역 - 라마교 / 회족 , 위구르족등 소수민족 - 이슬람교

23
3. 현대 중국인의 종교와 신앙

위구르인은 독립의지가 강함
이슬람교 : 중국內 이슬람교도를
결집시키는 구심점 역할

농촌 , 대도시에서도 민간신앙 풍습 有
Ex) 종이돈 접어 태우기
복 ( 福 ) 자를 거꾸로 붙이기
길한 숫자 & 불길한 숫자 → 생활에 밀착

가장 환영 받는 신은 ‘재물신’
→ 종교적 신념과 무관하게 신봉

24
25
2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