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as pptx, pdf, or txt
Download as pptx,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41

컴퓨터 , AI 역사

2023 년 3 월 13 일 주
타자기
천공카드
• 천공 카드는 1725 년 즈음에 Basile Bouchon 와 Jean-Baptiste Falcon 가 더 튼튼한 형태의 천공
종이말이로서 처음 사용하였고 나중에 프랑스에서 직조기를 제어하는 데 이용하였다 . 이 기술은 1801
년에 조제프 마리 자카드 (Joseph Marie Jacquard) 가 그의 자카드식 직조기에서 크게 개선하였다 .

• 찰스 배비지는 천공 카드 이용의 개념을 그가 설계하였던 공학용 계산기를 제어하는 한 방법으로


생각하고 착수하였다 .

• 허먼 홀러리스 (Herman Hollerith) 는 매체에 자료를 기록하여 기기가 이를 읽을 수 있게끔 하는 방식을


발명하였다 .

• 1900 년대에서 1950 년대에 이르기까지 천공 카드는 자료 기입 , 자료 기억 등을 위한 주된 매개체였다 .

• 오늘날 천공 카드는 거의 쓰이지 않으며 ( 일부 오래된 시스템이나 오래된 전문 응용 프로그램 쪽을


제외하고 ) 다른 기억 매체가 이를 대체하였다 . - 위키
Electronic Numerical Integrator And
Computer; ENIAC, 에니악
폰 노이만은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할 당시 발표한 논문 < 전자계산기의 이론 설계 서론 > 에서 CPU,
메모리 , 프로그램 구조를 갖는 프로그램 내장 방식 컴퓨터의 아이디어를 처음 제시하였고 , 7 년 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의뢰로 세계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 방식 컴퓨터 EDSAC( Electric Delay Storage
Automatic Caculator) 을 제작한다 . 이후에 나온 컴퓨터는 모두 폰 노이만의 설계를 기본 구조로
디자인되고 있다 .
EDSAC
• 에드박 (EDVAC;Electronic Dis-
crete Variable Automatic Com-
puter) 은 최초의 전자식 컴퓨터들
가운데 하나였다 . 이전의 에니악 ,
에드삭 컴퓨터와는 달리 10 진수가
아닌 이진수로 처리하였고 , 최초의
이진수를 사용한 프로그램 내장
컴퓨터이다 .
1950
전동타자기

출처 : 넥슨 박물관
출처 : 넥슨 박물관
존 매카시 (John McCarthy)
• 존 매카시 (John McCarthy, 1927.09.04~2011.10.24. LISP 언어의 창시자 )

• " 기계를 인간 행동의 지식에서와 같이 행동하게 만드는것 "

• 존 메카시는 MIT 를 졸업하고 프린스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55


년 지능이 있는 기계를 만들기 위한 과학과 공학이라는 논문을 발표

• 1956 년 7 월과 8 월에 다트머스 대학에서 존 매카시가 제안한 A Proposal for


the Dartmouth Summer Research Project on Artificial Intelligence 주제로 마빈
민스키 , 레이 솔로모노프 , 허버트 시몬 , 클로드 새넌등이 참석하여서
다트머스 학회의 시작을 알림 .
다트머스 학회 (AI)
퍼셉트론 이론 개발 - 1958
• Perceptron 이론 개발 .
• 코넬대학에서 심리학 연구
• 연결주의를 이용하여 1943 년에
발표된 맥컬론 - 피츠모델을
기반으로 한 weight 개념을
넣어서 발전시킴
• 현재 딥러닝의 시초

플랭크 로젠블랫
퍼셉트론즈 - XOR 문제 제기
• 1951 년 학습하는 기계 SNARC(Stochastic
Neural Analog Reinforcement Calcula-
tor) 를 개발
• 1958 년 존매카시와 함께 컴퓨터과학 및
인공지능 연구실 설립
• 기회주의 학자로 인간은 생각하는 기계로
논리회로를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인간처럼 생각하는 기계를 생성 .
• Perceptrons 라는 저서를 통해 연결주의의
퍼셉트론의 문제점을 지적함 (XOR 문제
제기 )
마빈 민스키
1960
1960
Human Computer Interaction
1970
Altair 8800 (MITS, 1972)
마이크로컴퓨터이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와는 많이 다르다 . 당시에 나오던 메인프레임의
단말기들처럼 자체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도 없을 뿐 아니라 키보드 같은 입출력 장치도 없었기 때문에 그렇게
쓰기 위해서는 확장 카드를 이용해 단말기에 연결해야만 했다 . 이러한 확장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전면
패널의 토글 스위치와 LED 만을 이용해 컴퓨터를 사용해야 했는데 , 스위치를 이용해 기계어 명령어를 메모리에
주입하고 프로그램을 실행 후 결과를 LED 로 표시하는 식이었다 . 프로그램을 하나 입력하고 실행하려면 오랜
시간이 걸렸고 스위치로 기계어 명령어를 입력해야 하다 보니 잘못 입력할 가능성도 높았다 .

확장 장치를 추가하면 단말기나 텔레타이프를 이용해 알테어 BASIC 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 BASIC
인터프리터를 가동할 만한 메모리가 부족해 메모리를 확장해야만 했으며 직렬 통신 포트 확장 카드 , 텔레타이프
등 비싼 장비를 추가로 구매해야만 해 매우 비쌌다 . 게다가 이렇게 해서 단말기로 BASIC 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다 구성했다고 해도 처음에 BASIC 인터프리터를 로딩하기 위해 부트로더만큼은 부팅 때마다 직접
스위치로 입력해야 했다 . 알테어 BASIC 인터프리터는 애플 II 의 그것과 달리 컴퓨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천공 테이프 등의 저장 매체로부터 별개의 소프트웨어로서 로딩해 와야 했다 . 그런데 이 로딩 절차가 애플 II
처럼 롬으로 기록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 알테어 BASIC 인터프리터를 불러오기 위해선 스위치로 이 로딩
절차를 입력해 줄 필요가 있었다 . 결국 컴퓨터에 어지간히 관심이 있는 사람이 아니면 이걸로 뭘 해 보기는
힘들었다 .

- https://namu.wiki/w/%EC%95%8C%ED%85%8C%EC%96%B4
출처 : 넥슨 박물관
1980
Osborne1

출처 : 넥슨 박물관
XT
인공신경망 연구
• 연결주의 신경망 – 볼츠만
머신과 오류역전파 알고리즘

• 1986 년에 개발된 오류역전파로


인공 신경망의 새로운 지평을
펼침 . - 룸멜하트 , 힌튼

존 홉필드 데이비드 룸멜하트


1990
AT & 386
486
2000 년
2005 년 – 딥러닝
• 영국 태생의 인공지능 연결주의 학자 ,
심리학전공 인공지능 박사학위

• 럼멜하트와 같이 오류역전파 개발

• 2006 년 ‘ A fast learning algorithm for


deep belief nets’ 심층 신뢰 신경망
(Deep BeliefNetwork, DBN) 을 개발

• 딥러닝의 창시자
CNN (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 )
• 1989 년 힌튼의 지도를 받은 얀 레쿤과 요슈아 벤지오가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을 완성

• 볼츠만 머신에 역전파 알고리즘을 결합해 구현한 심층


신경망 (Deep Neural Network) 으로 딥러닝의 전성기

• 이를 적용한 AlexNet 이 2012 년 ILSVRC(ImageNet


Large Scale Visual Recognition Challenge) 에서 압도적
성적으로 우승을 차지하며 이후 깊은 구조 (Deep Archi-
tecture) 기반의 딥 러닝 알고리즘이 주류를 이루게 됨 .
반도체

You might also like